[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91409A -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409A
KR20090091409A KR1020080016651A KR20080016651A KR20090091409A KR 20090091409 A KR20090091409 A KR 20090091409A KR 1020080016651 A KR1020080016651 A KR 1020080016651A KR 20080016651 A KR20080016651 A KR 20080016651A KR 20090091409 A KR20090091409 A KR 2009009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positioning
communication terminal
resu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채환
한규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409A/ko
Publication of KR2009009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4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 센터로부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 트래픽 세션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며,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이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위 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GPS 측위, 네트워크 측위 및 하이브리드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통해 획득하기 때문에 GPS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가 감소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측위, GPS, 음영 지역

Description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Reducing Position Determination Erro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GPS Shadow Area}
본 발명은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측위 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때에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통해 얻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외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측위 오차 범위가 작게 발생하는 GPS 기반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지하, 실내 등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환경 또는 고층 빌딩 밀집 지역 등 GPS 신호가 미약한 지역, 즉 GPS 음영지역에서는 GPS 측위가 불가하거나 100m 이상의 위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측위(TDOA 방식, AOA 방식, p-Cell 방식 등) 및 하이브리드 측위(A-GPS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지만, GPS 측위보다 측위 오차 범위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용자에 서비스 이용자에게 양질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초음파 통신 기능, 블루투스 통신 기능, 적외선 통신 기능 및 지그비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측위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위 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때에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 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련번호, 기지국 ID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상기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측위 서버; 상기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전송하는 위치 센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센터로부터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서버에 있어서, 위치 센터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트래픽 세션을 설정한 후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에도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트래픽 세션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측위 요청부; 및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인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측위 결과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LBS 플랫폼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위치 센터에서 상기 식별번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련번호, 기지국 ID 및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 측위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하는 단계; (g) 상기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위치 센터에서 상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상기 LBS 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측위 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GPS 측위, 네트워크 측위 및 하이브리드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통해 획득하기 때문에 GPS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가 감소하고, 하나의 트래픽 세션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 1 측위 및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그 측위 결과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측위 시간 단축 및 측위 실패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측위 요청 단말기(112), 피 측위 단말기(114), 이동통신망(120), 위치 센터(MPC: Mobile Positioning Center)(130), 측위 서버(140) 및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150)을 포함한다.
측위 요청 단말기(112) 및 피 측위 단말기(114)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및 와이브로(WiBro)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측위 요청 단말기(112)는 피 측위 단말기(114)의 측위를 요청하 기 위한 측위 요청 메시지를 LBS 플랫폼(150)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피 측위 단말기(114)는 초음파 통신 기능, 블루투스 통신 기능, 적외선 통신 기능 및 지그비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측위 서버(140)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측위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측위 서버(14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는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음영지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서 지그비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즉 피 측위 단말기(114)가 3개의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지연 시간을 측위하고, 삼각 측량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 후, 이를 측위 서버(140)에 전송하는 기술로써, 네트워크 측위보다 측위 오차가 작게 발생한다.
한편, 피 측위 단말기(114)는 자기 자신의 위치 파악을 요청하기 위한 측위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내 위치 찾기 등)를 LBS 플랫폼(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120)은 측위 요청 단말기(112) 및 피 측위 단말기(114)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측위 요청 단말기(112) 및 피 측위 단말기(114)와 LBS 플랫폼(15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피 측위 단말기(114)와 측위 서버(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으로써, 현재 통용되고 있는 CDMA 2000망, W-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IS-95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와이브로망(Wibro)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위치 센터(130)는 LBS 플랫폼(150)으로부터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기지국 ID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GPOSREQ 메시지)를 측위 서버(140)에 전송하고, 측위 서버(140)로부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gposreq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최종 측위 결과를 LBS 플랫폼(150)에 전송한다. 여기서, 복합 측위 타입 필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별도로 정의된 서비스 기능 타입(SVC_TYPE) 필드로써, 측위 서버(140)가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 및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피 측위 단말기(114)로부터 수신하도록 한다. 한편, 피 측위 단말기의 식별번호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측위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서버로써,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 Determining Entity) 및 SLP(SUPL Location Platform) 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측위 서버(140)는 위치 센터(130)로부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피 측위 단말기(114)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통해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측위 서버(140)는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2 측위를 요청하기 위해 제 2 측위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U_POS_REQ 메시지)를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전송하고 피 측위 단말기(114)로부터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U_POS_ RES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는 제 2 측위 결과(피 측위 단말기(114)의 위, 경도값) 및 제 2 측위 성공 여부를 포함하고, 제 1 측위 결과는 GPS 측위 결과, A- GPS 측위 결과, P-Cell 측위 결과,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측위 결과 및 AOA(Angle of Arrival) 측위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피 측위 단말기(114)로부터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한 측위 서버(140)는 제 1 측위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인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측위 서버(140)는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기 전에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의 인증 처리를 수행함으 로써 피 측위 단말기(114)가 정상적인 가입자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BS 플랫폼(15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수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써, 위치 센터(130) 및 측위 서버(14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하고 조회한 위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LBS 플랫폼(150)은 측위 요청 단말기(112) 또는 피 측위 단말기(114)로부터 피 측위 단말기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피 측위 단말기(114)의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아서 피 측위 단말기(114)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확인한다.
피 측위 단말기(114)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이면, LBS 플랫폼(150)은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에 전송하고, 위치 센터(130)로부터 최종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 최종 측위 결과를 기반으로 한 부가 서비스를 측위 요청 단말기(112) 또는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서버(140)는 인증 처리부(210), 측위 요청부(220), 측위 결과 비교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인증 처리부(210)는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기 전에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의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측위 요청부(220)는 통신부(240)를 통해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신부(240)를 제어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와의 트래픽 세션을 설정한 후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에도 통신부(240)에서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복합 측위 타입 필드는 측위 요청부(220)가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 및 제 2 측위를 요청하도록 한다.
측위 요청부(220)는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통해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2 측위를 요청하여 제 2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성공 여부를 포함한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측위 요청부(220)는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2 측위를 요청하기 위해 제 2 측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측위 결과 비교부(230)는 측위 요청부(220)에서 수신한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인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통신부(240)를 통해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에 전송한다.
통신부(240)는 통신부(240)는 위치 센터(13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40)는 위치 센터(130)로부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 처리부(210)에 전달하고, 측위 요청부(220)의 제어에 의해 피 측위 단말기(114) 와의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측위 요청부(220)가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하도록 한다.
통신부(240)는 제 1 측위가 종료되어도 측위 요청부(22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유지한다.
한편, 통신부(240)는 측위 결과 비교부(230)에서 전달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LBS 플랫폼(150)에서 측위 요청 단말기(112) 또는 피 측위 단말기(114)로부터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피 측위 단말기(114)의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아서 피 측위 단말기(114)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확인한다(S305, S310).
피 측위 단말기(114)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이면, LBS 플랫폼(150)은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에 전송한다(S315).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위치 센터(130)는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기지국 ID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GPOSREQ 메시지)를 측위 서버(140)에 전송한다(S320).
위치 센터(130)로부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측위 서버(140)는 피 측위 단말기(114)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가 정상적인 가입자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25).
이 후, 측위 서버(140)는 피 측위 단말기(114)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1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다(S330, S335).
측위 서버(140)는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기 설정된 트래픽 세션을 통해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제 2 측위를 요청, 즉 제 2 측위 요청 메시지를 피 측위 단말기(114)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340, S345). 여기서,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는 제 2 측위 결과(피 측위 단말기(114)의 위, 경도값) 및 제 2 측위 성공 여부를 포함한다.
측위 서버(140)는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인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피 측위 단말기(114)의 식별번호,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센터(130)에 전송한다(S350, S355). 여기서, 제 1 측위 결과는 GPS 측위 결과, A- GPS 측위 결과, P-Cell 측위 결과,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측위 결과 및 AOA(Angle of Arrival) 측위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치 센터(130)는 측위 서버(140)로부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최종 측위 결과를 LBS 플랫폼(150)에 전송한다(S355, S36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 측위 단말기(114), 즉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할 때에 제 1 측위 및 제 2 측위를 병행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음영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 결과보다 정확도가 높은 제 2 측위 결과인 근거리 무선통신 측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가 종래보다 작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측위 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GPS 측위, 네트워크 측위 및 하이브리드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통해 획득하기 때문에 GPS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가 감소하고, 하나의 트래픽 세션을 통해 이 동통신 단말기에 제 1 측위 및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그 측위 결과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측위 시간 단축 및 측위 실패율이 감소되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측위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
130: 위치 센터 140: 측위 서버
150: LBS 플랫폼 210: 인증 처리부
220: 측위 요청부 230: 측위 결과 비교부
240: 통신부

Claims (13)

  1.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련번호, 기지국 ID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상기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측위 서버;
    상기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전송하는 위치 센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센터로부터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LBS 플랫폼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측위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이동통신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는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 1 측위 및 상기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번호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서버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 Determining Entity) 및 SLP(SUPL Location Platform) 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시스템.
  6.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서버에 있어서,
    위치 센터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트래픽 세션을 설정한 후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한 후에도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트래픽 세션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측위 요청부; 및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측위 결과인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측위 결과 비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 1 측위를 요청하기 전에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결과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결과, A-GPS 측위 결과, P-Cell 측위 결과,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측위 결과 및 AOA(Angle of Arrival) 측위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요청부는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제 2 측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측위 결과 및 제 2 측위 성공 여부를 포함한 제 2 측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는 상기 측위 요청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 1 측위 및 상기 제 2 측위를 요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서버.
  11.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LBS 플랫폼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 및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위치 센터에서 상기 식별번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련번호, 기지국 ID 및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를 포함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 측위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트래픽 세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측위, 하이브리드 측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중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제 1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1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트래픽 세션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제 2 측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결과인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비교하고 이 중에서 최상의 정확도를 갖는 최종 측위 결과를 선택하는 단계;
    (g) 상기 식별번호,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 및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포함한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위치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위치 센터에서 상기 위치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최종 측위 결과를 상기 LBS 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c1) 상기 측위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측위 타입 필드는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 1 측위 및 상기 제 2 측위를 요청하고, 상기 제 1 측위 결과 및 상기 제 2 측위 결과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 줄이는 방법.
KR1020080016651A 2008-02-25 2008-02-25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eased KR20090091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51A KR20090091409A (ko) 2008-02-25 2008-02-25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51A KR20090091409A (ko) 2008-02-25 2008-02-25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09A true KR20090091409A (ko) 2009-08-28

Family

ID=4120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651A Ceased KR20090091409A (ko) 2008-02-25 2008-02-25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836B1 (ko) * 2010-07-08 2014-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측위 오차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210051558A (ko) 2019-10-30 2021-05-10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 단말의 측위오차를 저감시키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836B1 (ko) * 2010-07-08 2014-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측위 오차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210051558A (ko) 2019-10-30 2021-05-10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 단말의 측위오차를 저감시키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361B2 (en) Systems and architectures for support of high-performance location in a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US10568062B2 (en) Positioning for WLANs and other wireless networks
JP6125566B2 (ja) 統合ワイヤレスデバイスロケーション決定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6839022B1 (en) Network support for subscriber access to mobile caller location information
USRE46800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location platform for a user equipment to roa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US8509731B2 (en)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s in emergency situations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US780980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station based on DBM and TCP/IP
CN103460672B (zh) 用于使用授权位置服务器来识别位置服务器并且授权与位置服务有关的访问的方法、装置和制品
KR101008507B1 (ko) 역 광고 sms에 의해 개시되고 촉발되는 supl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분실된 및/또는 도난된 전화의 위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901572B2 (en) A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cure user plane location
JP2002152810A (ja) 電話回路網における位置情報の交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8202070A1 (zh) 定位辅助数据配置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0359961C (zh) 无线通信网络和设备中的定位技术支持确定
US9210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al time location service provider
US20150015441A1 (en)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service for a wireless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wireless devices
KR20090091409A (ko) Gps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오차를줄이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1416424A (zh) 对移动通信系统中的漫游终端的网络发起区域事件触发定位方法
KR200800264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영지역에서의 위치 정보 수집방법 및 시스템
CN100471288C (zh) 一种目标方获取发起方位置信息的方法及系统
CN100372441C (zh) 一种移动终端定位的方法
US20080287159A1 (en) Communicating with visible person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115492B1 (ko) 로밍 망의 기지국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통신 환경에서 로밍된 가입자 단말기를 측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0162A (ko) 위치정보 제공 가능 단말기의 위치영상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007

Appeal identifier: 2010101006096

Request date: 2010081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1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60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10

Effective date: 2011100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10

Effective date: 2011100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1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810

Decision date: 20111007

Appeal identifier: 2010101006096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S0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Patent event date: 20111011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