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025A -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 Google Patents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0025A KR20090090025A KR1020080015256A KR20080015256A KR20090090025A KR 20090090025 A KR20090090025 A KR 20090090025A KR 1020080015256 A KR1020080015256 A KR 1020080015256A KR 20080015256 A KR20080015256 A KR 20080015256A KR 20090090025 A KR20090090025 A KR 20090090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door lock
- digital door
- stopper
- doub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핸들부에 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도어의 외측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측핸들부에 비상키, 터치키 및 카드키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성을 설치하여 외측몸체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기존 현관문에 별도의 타공 없이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는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ced-siz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double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in the inner handle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o use a tool such as a hook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Improve the security of the digital door lock by preventing the inner handle from rotating, and install the configuration that can open the door with emergency key, touch key and card key on the outer handle, and greatly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for installing a digital door lock without additional perforation to the door.
본 발명은 내측핸들이 구비되는 내측몸체와 외측핸들이 구비되는 외측몸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의 안쪽에는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핸들 이중 잠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n inner body provided with an inner handle and an outer body provided with an outer handle, wherein an inner handle of the inner handle is provided with a handle double lock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inner hand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핸들부에 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도어의 외측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측핸들부에 비상키, 터치키 및 카드키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성을 설치하여 외측몸체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기존 현관문에 별도의 타공 없이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는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ced-siz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double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in the inner handle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o use a tool such as a hook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Improve the security of the digital door lock by preventing the inner handle from rotating, and install the configuration that can open the door with emergency key, touch key and card key on the outer handle, and greatly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for installing a digital door lock without additional perforation to the door.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에는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이중잠금기능, 패닉기능 등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in a door of a home or office. Recently, many configur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security and convenience of a digital door lock such as a double lock function and a panic function.
하지만 이중잠금된 상태에서, 실내에서 이중잠금된 잠금걸림쇠를 해제할 경 우에는 별도의 해제버튼(open 버튼)을 눌러주어야만 잠금걸림쇠가 해제되어 이중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불필요한 선행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double-locked state, when releasing the double-locked lock in the room, you need to press a separate release button (open button) to release the lock and the double lock is released. It was to be able to open,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do unnecessary prior operations to open the door in the room.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번호 제10-0674684호에는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특징은 실내유닛에 구비된 이중잠금버튼이 눌려졌을 때는 이중잠금되고, 이중잠금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을 때는 이중잠금이 해제되는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닛의 손잡이(내측핸들)를 돌림에 의해 연동되면서 이중잠금버튼의 누름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이중잠금 자동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Patent No. 10-0674684 discloses an electronic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automatic release function, its main feature is double lock when the double lock button provided in the indoor unit is pressed, In the electronic door lock in which the double lock is released when the double lock button is not pressed, the double lock automatic release mean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pressed state of the double lock button by interlocking by turning the handle (inner handle) of the indoor unit.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automatic releas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비상시 실내에서 내측핸들을 돌리는 작업만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은 향상시켰으나, 외부에서 고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을 회전시킬 경우 도어가 열리게 되므로 보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ience is improved by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only by turning the inner handle in the emergency room, but when the inner handle is rotated by using a tool such as a ring from the outside, the door is opened and thus the security is inferior.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대부분 상,하로 길쭉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 기존의 현관문에 별도의 타공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mostly up and down, there was a hassle of having to perforate a separate front door to install in the d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핸들에 핸들 이중 잠금부를 설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어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ouble handle of the handle on the inner handle of the digital door lock to improve the security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nner handle in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to provide a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a locking handle.
또한, 본 발명은 열쇠, 터치키, 카드키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외부에서 열 수 있도록 하는 수단들을 외측핸들에 설치하여 외측몸체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현관문 등의 기존 도어에 별도의 타공 없이도 설치가 가능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means for opening the door from the outside using a key, a touch key, a card key, etc. on the outer hand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body without a separate perforation to the existing door, such as the front door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iniature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installe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은 내측핸들이 구비되는 내측몸체와 외측핸들이 구비되는 외측몸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의 안쪽에는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핸들 이중 잠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comprises an inner body having an inner handle and an outer body having an outer handle, the inner handle The inside of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double lock is install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inner handle.
이때, 상기 핸들 이중 잠금부는, 상기 내측핸들의 몸체부에 삽입 결합되어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핸들스토퍼와, 상기 핸들스토퍼에 결합되어 핸들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핸들해정판과, 상기 내측핸들의 손잡이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핸들해정판을 작동시키는 막대버튼과, 상기 막대버튼에 삽입 결합되어 상 기 핸들스토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토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andle double lock portion, the handle stopp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inner handl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inner handle, the handle release plate is coupled to the handle stopper to move the handle stopper up and down, and the inside The bar butt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handle to operate the handle rele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control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bar butt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andle stopper.
여기서, 상기 스토퍼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막대버튼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이동축으로 구성된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의 이동축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핸들스토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opper control unit, a locking device consisting of a moving plate which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user, a moving shaft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bar button, and the movement of the locking devic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i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stopper.
또한, 상기 이동축에는 상기 고정핀을 고정시키기 위한 핀스프링과, 상기 핀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spring for fixing the fixing pin and a fixing plate for preventing the pin spring is separated.
또한, 상기 이동판과 막대버튼의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all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plate and the bar button.
그리고, 상기 핸들스토퍼에는 상기 핸들해정판이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stopper may include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handle release plate is coupl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passes.
또한, 상기 내측핸들의 외측 덮개과 막대버튼의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over of the inner handle and the bar butt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은 내측핸들이 구비되는 내측몸체와 외측핸들이 구비되는 외측몸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외측핸들의 몸체부에는 터치키 작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door lock includes an inner body provided with an inner handle and an outer body provided with an outer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이때, 상기 터치키 작동부의 중앙에는 열쇠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key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ouch key operating unit.
또한, 상기 외측핸들의 손잡이부에는 카드리더기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of the outer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reader is installed.
또한, 상기 외측몸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몸체의 상부에는 터치 키버튼이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key button is installed in an arc shape.
그리고, 상기 외측몸체의 케이스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보강편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외주연에 결합편이 형성된 보강플레이트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having a coupling groove are formed inside the case of the outer body, and the reinforcing plate having a coupling pie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is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외측몸체의 하부 측면에는 비상전원공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power supply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모드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reduced-type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inner handl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security by preventing intrusion from the outside in advanc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use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쇠, 터치키, 카드키와 같은 도어를 열기 위한 수단들을 외측핸들에 설치하여 도어록의 전체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현관문 등의 기존 도어에 별도의 타공 없이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such as keys, touch keys, card keys on the outer hand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door lock can be installed on the existing doors, such as the front door without additional drilling Have addition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의 몸체를 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내부에 설치된 건전지가 방전되더라도 외부에서 건전지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has a circular shape and is beautiful in appearance, and even if the battery installed therein has an additional effect that the door lock can be normally operated using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핸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ner handle of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핸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 이중 잠금부를 제거한 상태의 내측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토퍼 제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의 a), b)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막대버튼을 나타낸 상, 하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해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핸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외측몸체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body of the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dy of a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handle in a state of removing the handle double loc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trol portion of the invention, Figure 6 a), b) is a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r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7 shows a hand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rele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9 a) ~ c) of the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ner handle,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dy of the reduced-size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outer bod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우선,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몸체(400)에 구비되는 내측핸들(100)에 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도어의 외측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100)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측몸체(500)에 구비되는 외측핸들(600)에 비상키(632), 터치키 및 카드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성을 설치하여 외측몸체(500)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기존의 현관문과 같은 도어에 별도의 타공 없이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는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내,외측몸체(400)(500)와 상기 내,외측몸체(400)(500)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핸들(100)(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double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on the
상기 내측몸체(400)에는 디지털 도어록을 작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건전지(미도시)를 보호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전지커버(410)와 디지털 도어록의 기구적인 작동과 전자적인 작동을 한 동작에 의해 동시에 잠금 혹은 기능정지를 시키는 이중잠금버튼(420) 등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고, 아래쪽 중앙에는 내측핸들(10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는 썸턴(140)이 삽입 결합되는데, 상기 썸턴(140)의 단부에는 수동회전핀(142)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회전핀(142)은 상기 썸턴(1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티스(미도시)의 데드볼트(미도시)를 작동시켜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때, 내측핸들(100)에는 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핸들 이중 잠금부(200)를 설치하여 도어의 외측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100)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는데, 상기 핸들 이중 잠금부(200)는 내측핸들(100)의 안쪽에 설치되어 내측핸들(10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거나 핸들 이중 잠금부(200)를 누른 상태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 이중 잠금부(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스토퍼(210), 핸들해정판(220), 막대버튼(230), 스토퍼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우선 상기 핸들스토퍼(210)는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삽입 결합되어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막대버튼(23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내측핸들(100)을 잠김상태 또는 풀림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이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the handle
즉, 상기 핸들스토퍼(210)는 일측 단부가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몸체(400)에 결합되도록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삽입 결합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내측몸체(4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측핸들(100)이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막대버튼(230)의 누름작동에 의해 핸들스토퍼(210)의 일단부가 내측몸체(40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내측핸들(1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들스토퍼(210)에는 상기 핸들해정판(220)이 결합되는 결합홀(212)과, 후술할 스토퍼 제어부(300)의 고정핀(340)이 관통되는 관통홀(21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다음, 상기 핸들해정판(220)은 상기 핸들스토퍼(210)와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막대버튼(230)과 연결 설치되어 막대버튼(230)의 누름 작동에 의해 핸들스토퍼(2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에 외측으로부터 삽입 결합된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핸들해정판(22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상기 핸들스토퍼(210)의 결합홀(2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240)이 결합되는 볼트공(22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240)에 의해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에 삽입 결합되는 막대버튼(2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다음, 상기 막대버튼(230)은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에 내측으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핸들해정판(220) 및 핸들해정판(220)과 결합된 핸들스토퍼(2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막대버튼(230)의 전면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제어부(30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232)에는 후술할 제2스프링(352) 및 볼베어링(350)이 삽입되는 베어링 삽입홀(2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막대버튼(230)의 후면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들해정판(220)에 형성된 볼트공(22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240)이 결합되는 볼트공(236a)이 형성된 돌출부(2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36)의 바깥쪽에는 막대버튼(230)의 누름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막대버튼(230)과 내측핸들(100)의 외측 덮개(1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0)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238)이 형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6, a front surface of the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막대버튼(230) 및 핸들해정판(220)이 삽입 결합되는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에는 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122)의 중간부에는 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2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 결합되어 막대버튼(230)과 결합되는 핸들해정판(220)이 제1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120)의 내측으로 빠져나가는 일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막대버튼(230)의 돌출부(236)가 플랜지(124)의 내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4)에는 상기 막대버튼(230)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238)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스프링(250)이 관통되는 스프링 삽입홀(126)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한편, 상기 스토퍼 제어부(300)는 상기 막대버튼(230)의 결합홀(232)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스토퍼(2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 제어부(300)가 좌측, 즉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 쪽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핸들스토퍼(210)가 고정되어 작동하지 않게 되고, 스토퍼 제어부(300)가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핸들스토퍼(210)가 상기 막대버튼(230)의 누름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 제어부(3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장치(330)와 고정핀(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330)는 다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판(310)과, 상기 이동판(3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막대버튼(23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이동축(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340)은 잠금장치(330)의 이동축(320)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핸들스토퍼(2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즉, 상기 고정핀(340)의 일측 단부에는 요(凹)홈(34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42)이 형성된 부분은 잠금장치(330)의 이동축(320)에 형성된 고정홀(322)에 삽입 결합되어 이동축(320)의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핀스프링(32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핀스프링(3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320)의 저면에는 고정판(326)이 볼트 등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34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이동축(320)의 고정홀(322)과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막대버튼(230)의 측면부에 형성된 연통홀(239)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이동판(310)을 왼쪽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연통홀(239)에 대응되도록 하여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와 손잡이부(120)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1고정홈(128)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스토퍼(210)의 관통홀(214)에 결합된다.That is, the groove (34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in (340), the portion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고정핀(340)은 잠금장치(330)의 이동축(320)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판(310)의 좌,우 이동에 의해 핸들스토퍼(2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ixing
또한, 상기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과 막대버튼(23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350)이 삽입 설치되어 잠금장치(330)가 좌,우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판(310)의 안쪽면에는 제1 및 제2베어링 삽입홈(312,314)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버튼(230)의 베어링 삽입홀(234)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350)이 잠금장치(330)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1베어링 삽입홈(312)에 안치되고, 잠금장치(33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서는 제2베어링 삽입홈(314)에 안치되어 잠금장치(330)가 좌,우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막대버튼(230)의 베어링 삽입홀(234)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350)의 안쪽으로는 제2스프링(352)이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이동시킬 경우 볼베어링(350)이 안쪽으로 눌려짐으로써 제1 및 제2베어링 삽입홈(312,314)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핸들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inner handle of the reduced-size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의 a)는 상기 잠금장치(330)가 우측에 위치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장치(330)의 이동축(320)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340)이 핸들스토퍼(210) 및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핸들스토퍼(210)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First, FIG. 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즉, 막대버튼(230)과 내측핸들(100)의 외측 덮개(130)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막대버튼(230)이 내측핸들(100)의 안쪽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막대버튼(230)과 결합된 핸들해정판(220) 역시 내측핸들(100)의 내부에서 최대로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해정판(220)은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 내측에 형성된 플랜지(124)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해정판(220)과 결합된 핸들스토퍼(210) 역시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 내에서 상승하게 되어 그 단부가 디지 털 도어록의 내측몸체(400)에 결합됨으로써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을 잡고 돌리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는 힘에 의해 손잡이부(120)의 안쪽에 돌출 형성된 막대버튼(230)이 눌리게 된다.In such a state, in order to open the door, the user grabs and turns the
상기와 같이 막대버튼(230)이 눌리게 되면 막대버튼(230)과 결합된 핸들해정판(220)이 손잡이부(120)의 외측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결합돌기(222)에 의해 결합된 핸들스토퍼(210) 또한 하강하게 되어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도어록의 내측몸체(400)로부터 분리되어 내측핸들(100)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막대버튼(230)과 핸들해정판(220) 및 핸들스토퍼(210)가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를 돌려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외출을 하거나 장기간 동안 집을 비우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좌측, 즉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쪽으로 이동시키면 제1베어링 삽입홈(312)에 위치하고 있던 볼베어링(350)이 제2스프링(352)의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눌려 들어가면서 이동판(310)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볼베어링(350)은 제2베어링 삽입홈(314)에 위치하게 되면서 이동판(310)을 고정시키게 되고, 내측핸들(100)은 이중잠금상태가 된다.Next, when the user goes out or empties the house for a long time, as shown in b) of Figure 9, the moving
이때, 이중잠금상태란 핸들스토퍼(210)가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몸체(400)에 결합되어 내측핸들(100)이 회동하지 않는 상태와, 상기 막대버튼(230)이 눌러지지 않으므로 내측핸들(100)을 회동시킬 수 없는 상태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double lock state is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막대버튼(230)이 제1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축(32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340)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제1고정홈(128)을 통해 핸들스토퍼(210)의 관통홀(214)에 결합된다.In more det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고정핀(340)이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결합되므로 막대버튼(230)이 눌려지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고정핀(340)이 핸들스토퍼(210)의 관통홀(214)에 결합되어 핸들스토퍼(210)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핸들스토퍼(210)가 도어록의 내측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내측핸들(100)이 이중잠금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fixing
이때, 사용자가 다시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막대버튼(230)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막대버튼(230)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를 돌리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the moving
한편, 사무실이나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곳에서는 상기와 같이 막대버튼(230)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를 돌리기가 번거롭거나 출입하는 사람들이 막대버튼(230)을 눌러야만 도어를 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해 억지로 손잡이부(120)를 돌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버튼(230)을 누른 상태에서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내측핸들(100)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ffice or a place where people are frequently entering and leaving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막대버튼(230)을 누른 상태에서 잠금장치(330)의 이동판(3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핸들스토퍼(210)가 내측핸들(100)의 바깥쪽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이동축(320)에 고정 결합된 고정핀(340)이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제2고정홈(129)를 통해 핸들스토퍼(210)의 관통홀(214)에 결합되어 핸들스토퍼(210)가 고정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moving
이때, 상기 고정핀(340)이 제2고정홈(129)을 통해 내측핸들(100)의 몸체부(110)에 결합되므로, 막대버튼(230)이 눌려진 상태 그대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340)이 관통홀(214)에 결합되므로 핸들스토퍼(210) 역시 도어록의 내측몸체(400)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내측핸들(100)의 손잡이부(120)를 돌림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몸체(5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 사용되는 불필요한 구성들을 최소화하고,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수단들을 외측몸체(500)에 구비되는 외측핸들(600)에 설치하여 상기 외측몸체(500)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타공을 할 필요가 없게 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외측핸들(600)의 몸체부(610)에는 터치키 작동부(62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터치키 작동부(620)는 사용자가 도어를 외측에서 열기 위해 사용하는 터치키(미도시)와 반응하여 전자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more detail, first, a touch
이때, 상기 터치키 작동부(620)의 중앙에는 열쇠 삽입홀(6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열쇠 삽입홀(630)은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터치키 또는 카드키(미도시)를 분실하였을 경우 및 제품의 에러 발생 시 비상키(632)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a
한편, 상기 외측핸들(600)의 손잡이부(650)에는 카드 리더기(66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카드 리더기(660)는 사용자가 도어를 외측에서 열기 위해 사용하는 카드키와 반응하여 전자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외측핸들(600)의 몸체부(610)에 터치키 작동부(620)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터치키 작동부(620)의 중앙에 열쇠 삽입홀(630)을 형성시키며, 상기 외측핸들(600)의 손잡이부(650)에 카드 리더기(660)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터치키, 비상키(632) 및 카드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외측몸체(500)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외측몸체(500)의 상부에는 1 부터 0까지의 숫자가 입력된 터치 키버튼(510)이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원호 형상 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설정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터치 키버튼(510)을 누름으로써 별도의 키 없이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터치 키버튼(510)의 아래쪽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후에 눌러서 비밀번호의 올바른 입력을 확인하도록 하는 시작/종료 버튼(5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키버튼(510)에 입력되어 있는 숫자들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시작/종료 버튼(520)을 누르면 발광되도록 하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한편, 상기 외측몸체(500)의 하부 측면에는 비상전원공급부(5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530)는 내측몸체(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디지털 도어록을 작동시키기 위한 건전지(미도시)가 방전될 경우 외부에서 9V 건전지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측몸체(500)의 케이스(550) 내측면에는 결합홈(554)이 형성된 보강편(552)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54)에는 외주연에 결합편(564)이 형성된 보강플레이트(560)가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보강플레이트(560)는 상기 외측몸체(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고정핀(570)에 의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티스(미도시)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몸체(500)의 케이스(550)를 외부에서 강제로 뜯어낼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552 having
즉, 상기 보강플레이트(560)를 외측몸체(500)의 케이스(550) 내측으로 삽입 시킨 후, 보강플레이트(560)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결합편(564)이 상기 보강편(552)에 형성된 결합홈(554)에 끼워지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외측몸체(500)의 케이스(550)는, 고정핀(570)에 의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티스에 고정 결합된 보강플레이트(560)에 걸림 결합되어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뜯어낼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reinforcing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내측핸들(10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의 바깥쪽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100)을 회전 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측핸들(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막대버튼(230)을 핸들의 내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을 경우 자연스럽게 막대버튼(230)을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duced-typ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또한, 외측몸체(500)에 구비되는 외측핸들(600)에 터치키, 비상키(632) 및 카드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치하여 상기 외측몸체(500)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킴으로써 도어록 설치시 기존 현관문 등의 도어에 별도의 타공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외측몸체(500)를 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외측몸체(500)의 케이스(550) 내측에 보강플레이트(560)를 부가 설치하여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외측몸체(500)를 떼어낼 수 없도록 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configuration to open the door by using a touch key, an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본 발명은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핸들부에 핸들의 회동을 제어하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도어의 외측에서 고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내측핸들을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측핸들부에 비상키, 터치키 및 카드키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성을 설치하여 외측몸체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기존 현관문에 별도의 타공 없이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는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ced-siz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double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in the inner handle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o use a tool such as a hook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Improve the security of the digital door lock by preventing the inner handle from rotating, and install the configuration that can open the door with emergency key, touch key and card key on the outer handle, and greatly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ature digital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ing handle for installing a digital door lock without additional perforation to the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body of the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body of the compact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핸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 이중 잠금부를 제거한 상태의 내측핸들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doubl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removed.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토퍼 제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6의 a), b)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막대버튼을 나타낸 상, 하부 사시도.Figure 6 a), b) is a top,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8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핸들해정판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rele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9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핸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Figure 9a) ~ c)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ner handle of the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dy of the reduced digital door lock with a double lock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외측몸체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bod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내측핸들 110 : 몸체부100: inner handle 110: body portion
120 : 손잡이부 122 : 삽입홀120: handle portion 122: insertion hole
124 : 플랜지 126 : 스프링 삽입홀124: flange 126: spring insertion hole
128 : 제1고정홈 129 : 제2고정홈128: first fixed groove 129: second fixed groove
130 : 외측덮개 140 : 썸턴130: outer cover 140: thumb
142 : 수동회전핀 200 : 핸들 이중 잠금부142: manual rotation pin 200: handle double lock
210 : 핸들스토퍼 212 : 결합홀210: handle stopper 212: coupling hole
214 : 관통홀 220 : 핸들해정판214: through hole 220: handle release plate
222 : 결합돌기 224 : 볼트공222: engaging projection 224: bolt ball
230 : 막대버튼 232 : 결합홀230: bar button 232: coupling hole
234 : 베어링 삽입홀 236 : 돌출부234: bearing insertion hole 236: protrusion
236a : 볼트공 238 : 스프링 삽입홈236a: Bolt hole 238: Spring insertion groove
239 : 연통홀 240 : 결합수단239: communication hole 240: coupling means
250 : 제1스프링 300 : 스토퍼 제어부250: first spring 300: stopper control unit
310 : 이동판 312 : 제1베어링 삽입홈310: moving plate 312: first bearing insertion groove
314 : 제2베어링 삽입홈 320 : 이동축314: second bearing insertion groove 320: moving shaft
322 : 고정홀 324 : 핀스프링322 fixing hole 324: pin spring
326 : 고정판 330 : 잠금장치326: fixing plate 330: locking device
340 : 고정핀 342 : 요홈340: fixing pin 342: groove
350 : 볼베어링 352 : 제2스프링350: ball bearing 352: second spring
400 : 내측몸체 410 : 건전지커버400: inner body 410: battery cover
420 : 이중잠금버튼 500 : 외측몸체420: double lock button 500: outer body
510 : 터치 키버튼 520 : 시작/종료버튼510: touch key button 520: start / end button
530 : 비상전원공급부 550 : 케이스530: emergency power supply 550: case
552 : 보강편 554 : 결합홈552: reinforcing piece 554: coupling groove
560 : 보강플레이트 564 : 결합편560: reinforcing plate 564: bonding piece
570 : 고정핀 600 : 외측핸들570: fixing pin 600: outer handle
610 : 몸체부 620 : 터치키 작동부610: body portion 620: touch key operating portion
630 : 열쇠 삽입홀 632 : 비상키630: key insertion hole 632: emergency key
650 : 손잡이부 660 : 카드리더기650: handle portion 660: card reader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5256A KR20090090025A (en) | 2008-02-20 | 2008-02-20 |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5256A KR20090090025A (en) | 2008-02-20 | 2008-02-20 |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0025A true KR20090090025A (en) | 2009-08-25 |
Family
ID=4120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5256A KR20090090025A (en) | 2008-02-20 | 2008-02-20 |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9002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009Y1 (en) * | 2010-03-22 | 2012-04-27 |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 Door handles locks provide |
KR101142425B1 (en) * | 2009-11-13 | 2012-05-08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Door lock unlocking device |
WO2013114224A2 (en) * | 2012-01-09 | 2013-08-08 | Elbee Pty Ltd. | Lever door handle lock |
KR101354502B1 (en) * | 2012-03-30 | 2014-01-24 | (주)대양디앤티 | Safety handle for door lock |
-
2008
- 2008-02-20 KR KR1020080015256A patent/KR2009009002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425B1 (en) * | 2009-11-13 | 2012-05-08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Door lock unlocking device |
KR200460009Y1 (en) * | 2010-03-22 | 2012-04-27 |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 Door handles locks provide |
WO2013114224A2 (en) * | 2012-01-09 | 2013-08-08 | Elbee Pty Ltd. | Lever door handle lock |
WO2013114224A3 (en) * | 2012-01-09 | 2014-01-23 | Elbee Pty Ltd. | Lever door handle lock |
KR101354502B1 (en) * | 2012-03-30 | 2014-01-24 | (주)대양디앤티 | Safety handle for door 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69755B2 (en) | Deadbolt lock with electronic touch-key | |
KR100897022B1 (en) |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 | |
KR101115258B1 (en) | Push Pull Door Lock Body | |
KR101142425B1 (en) | Door lock unlocking device | |
US6598439B1 (en) | Lock-and-alarm assembly | |
KR101436602B1 (en) | Mortise lock | |
KR20090090025A (en) | Miniature digital door lock with double locking handle | |
KR101086261B1 (en) | Digital door lock | |
KR101599410B1 (en) | Turn knob locking apparatus for door lock | |
KR200447937Y1 (en) | Inner handle with forced release prevention | |
KR101598958B1 (en) |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Mortise Lock | |
KR101742771B1 (en) | Door lock equipped with security function | |
KR100961878B1 (en) | Door lock having safety apparatus | |
KR200438979Y1 (en) | Digital door lock | |
KR101876476B1 (en) | Electronic door lock device with safty lock | |
KR101008980B1 (en) | Mortis lock of digital door lock | |
KR101410865B1 (en) | Mortise lock | |
KR20180060394A (en) | Push-pull door lock mortise | |
KR102203195B1 (en) | Digital door lock | |
JP5034065B2 (en) | Locking device and storage furniture | |
KR101695847B1 (en) |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Doorlock Mortise having Transient Opening Function | |
CN100416032C (en) | an electronic lock | |
JP3809636B2 (en) | Locking device | |
KR200438624Y1 (en) | Dead bolt control unit of digital door lock | |
KR200334250Y1 (en) | Digital door-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