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89245A -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245A
KR20090089245A KR20080130078A KR20080130078A KR20090089245A KR 20090089245 A KR20090089245 A KR 20090089245A KR 20080130078 A KR20080130078 A KR 20080130078A KR 20080130078 A KR20080130078 A KR 20080130078A KR 20090089245 A KR20090089245 A KR 2009008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rail
door
arm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734B1 (ko
Inventor
토루 아라오
토시아키 우치카타
마사아키 노다
토시오 시모자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7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과제]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의 급변이나,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전환에 수반하는 전환 구동력의 증가, 쇼크를 저감할 수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레일(22)을 부착한 도어(4)와, 레일에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에 요동단이 추지된 암(31, 32)에 의해 도어를 지지하는 평행 링크(16)와, 암의 요동에 의해 도어를 폐쇄 위치(D1)와 동 위치로부터 차체 외측 후방으로 요동시킨 돌출 위치(D2)와 동 돌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의 전개방 위치(D3)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와 암의 요동 변위할 때에 요동 중심(Lrf)이 되는 요동 중심 롤러(Ro)와, 동 롤러(Ro)의 중심선(Lrf)에 대해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 1 종동 롤러(Rv)와, 레일(22)에 형성됨과 함께 암 및 레일이 전 요동역에서 요동할 때 제 1 종동 롤러(Rv)와 접촉함으로써 레일의 전개방 위치(D3)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는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를 구비하였다.
자동차, 스윙 슬라이드 도어, 개폐 장치

Description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측벽에 마련되는 승강구를 개폐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후(後)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도록 요동하고, 그 요동 위치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여 승강구를 모두 개방하는 전(全)개방 위치에 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그 도어의 이동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평행 링크를 이용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의해 차체측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유닛을 이용한 도어의 한 예가 일본 특개평10-175444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수동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구 성을 채택하고,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모터를 구비한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RU)의 경우, 평행 링크(200)와 도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암(201)과 이들을 요동시키는 개폐 구동 기구(203)를 구비한다. 평행 링크(200)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전후 추지단(樞支端)이 연결되고, 도어(204)측의 레일(205)에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206)에 전후 요동단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207, 208)을 구비한다. 개폐 구동 기구(203)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지지된 모터(209)와, 모터(209)에 구동되는 권취 드럼(210)과, 권취 드럼(210)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연결된 개방 케이블(211) 및 폐쇄 케이블(212)과, 개방 케이블(211)을 감아거는 복수의 풀리(213)와, 도어(204)측의 앞 케이블 멈춤(214)과, 도어측의 뒷 케이블 멈춤(216)과, 개폐 작동 케이블(211, 212)을 감아거는 복수의 풀리(215)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어(204)가 폐쇄 위치(D1)에 있는 때에 권취 드럼(210)이 개방 케이블(211)을 감으면, 우선, 평행 링크상의 앞 암(207)이 복수의 풀리(213)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돌출 위치(D2)를 향하여 요동하고, 도어(204) 내의 레일(205)에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206)가 돌출 위치(D2)에 달한다. 또한, 개방 케이블(211)의 감김에 의해 앞 케이블 멈춤(214)이 개방 방향(도 15에서 좌측)으로 장력을 받음으로써, 돌출 위치(D2)에서 요동을 정지한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측의 레일(205)이 후방으로 활주하고, 도어(204)가 개방 위치(전개방 위치)(D3)로 이동한 다.
역으로, 도어(204)가 전개방 위치(D3)에 있을 때에 권취 드럼(210)이 폐쇄 케이블(212)을 감으면, 뒷 케이블 멈춤(216)이 폐쇄 방향(도 15에서 우측)으로 장력을 받고,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204) 및 레일(205)이 전방의 돌출 위치(D2)를 향하여 이동하고, 돌출 위치(D2)에서 슬라이더(206)에 대한 도어측의 레일(205)의 활주가 정지한다. 또한, 폐쇄 케이블(212)의 감김에 의해 평행 링크의 앞 암(207)상의 복수의 풀리(213)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평행 링크가 요동하고, 돌출 위치(D2)로부터 폐쇄 위치(D1)측으로 슬라이더(206)와 함께 도어측의 레일(205)이 요동하고, 도어(204)가 폐쇄 위치(D1)에 달한다.
이와 같이 병행 링크의 요동단에 추지축을 통하여 추지된 슬라이더(206)는 레일(205)과 함께 요동하고,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 사이에서 요동하고, 그 때에,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측의 레일(205)이 상대적으로 활주 변위하면 요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을 막기 위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 암(207)에는 전(前) 추지축(b1)을 통하여 요동 중심 롤러(Ro)가 추지되고, 이 요동 중심 롤러(Ro)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요동 변위 롤러(Rv)가 추지된다.
여기서, 전 추지축(b1)에 추지된 요동 중심 롤러(Ro)가 레일(205)측에 형성된 요동 중심 규제벽(wo)에 맞닿음과 함께,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 홈(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함으로써,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의 사이에서의 요동시에, 도어측의 레일(205)이 차체 전후 방향(X)인 도어 폐쇄 방향이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측의 요동 변위시의 궤적을 규제 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32096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
그런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의 사이에서의 요동시에 있어서, 요동 중심(中心) 롤러(Ro)를 중심(中心)으로 앞 암(207)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고, 그 돌출 위치(D2)에 달할 때까지는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을 벗어나, 거의 90도의 방향 변환을 하여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달한다. 그리고 나서 돌출 위치(D2)와 전개방 위치(D3) 사이의 활주역(域)에 달하면,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06)측이 돌출 위치(D2)에 정지하고, 상대적으로 레일측의 직선형상 레일 홈(sr)이 요동 중심 롤러(Ro) 및 요동 변위 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활주한다.
이와 같이 돌출 위치(D2)에서, 요동 변위 롤러(Rv)는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있을 때의 방향과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따라 전개방 위치(D3)를 향하는 굴림대 이동시의 방향이 90도 전환하여, 개폐 구동 기구(203)가 받는 전개방 위치(D3)의 방향에 대한 구동 저항력(p1)은 크게 전환된다. 즉, 개폐 구동 기구(203)는 요동 후기의 구동 저항력의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 전환 구동력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의 급변에 의해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이 전환 쇼크를 생기게 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역으로, 레일(205)측의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따라 요동 중심 롤러(Ro) 및 요동 변위 롤러(Rv)가 상대적으로 활주하여, 전개방 위치(D3)로부터 폐쇄 위치(D1)를 향한다고 한다.
이 경우, 활주 후기에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o)에 맞닿고, 동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도어측의 레일이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그 직후에 동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이동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요동 만곡 레일(rr)에 돌입하고 동 레일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즉,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 이 경우, 개폐 구동 기구(203)는 도어측의 레일(205)이 앞 암(207)에 대한 활주 종료 후에 레일(205)에 대해 암(207)측이 요동을 시작한다는 전환을 행하기 때문에,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전환에 대처하기 위해 전환 구동력(F1)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p1)의 급변에 의해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F1)에 수반하는 전환 쇼크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점은, 병행 링크측에 지지된 슬라이더와 도어측의 레일의 상대적 활주나, 도어의 레 일측에 지지된 슬라이더와 병행 링크측과의 상대적인 요동을, 도어 개폐마다 전환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의 급변이나,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전환에 수반하는 전환 구동력의 증가를 막아서, 쇼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에 요동단이 추지된 암과, 상기 암의 요동 및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레일의 활주에 의해, 상기 도어를 도어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와 동 위치로부터 차체 외측 후방으로 요동시킨 돌출 위치와 동 돌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의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요동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요동 중심이 되는 요동 중심 롤러와, 상기 암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종동(從動) 롤러와, 상기 레일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암 및 레일이 상기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前) 요동 역(域)에서 요동할 때 상기 제 1 종동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전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는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의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암에 추지됨과 함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中心線)에 대해 소정량 떨어져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종동 롤러와, 상기 암에 대해 레일이 상기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에 접근한 때에 상기 제 2 종동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암의 상기 레일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가져오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측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 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는 요동 중심 규제벽을 마련하고, 상기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암이 요동할 때에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는 요동 변위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암 및 레일이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에 제 1 종동 롤러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어,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레일의 가이드 홈의 벽부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과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암의 요동 중심 롤러에 대해 가이드 홈을 끼워 맞춘 레일이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에 대한 암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암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어,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 생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레일의 외측면의 측벽부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과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항의 발명은,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음으로써 레일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고, 개방 어긋남 규제벽에 요동 변위 롤러가 굴림대 접촉하여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암 및 레일이 전후 방향의 어긋남 없이 동요할 수 있고, 확실하게 폐쇄 위치에 레일측의 도어를 이동하여 도어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이후 단지 '리어 도어'라고 기재한다)(4)는 4도어의 해치백 타입의 자동차(이후 단지 '차량'이라고 기재한다)(B)의 리어 도어를 이루고 있다.
차량(B)은 좌우의 각 전(前)승강구(1)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2)와, 좌우의 각 후(後)승강구(3)를 개폐한 리어 도어(4)를 구비한다. 각 프런트 도어(2)는 전단 상하 2개소(h1, h2)가 힌지 결합되고, 회동단이 센터 필러(5)의 상하 중간의 후(後) 로크부(Jf)에 도시하지 않은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한편, 리어 도어(4)는 후술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 지지되고, 후승강 구(3)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D1)와, 폐쇄 위치(D1)로부터 차밖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돌출 위치)(D2)와, 돌출 위치(D2)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 전(全)개방 위치(D3)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폐쇄 위치(D1)에서 리어 도어(4)는 그 전단 상하 로크부(J1, J2)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 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센터 필러(5)에 2점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게 로크되고, 후단 상하 중간의 후단 로크부(J3)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 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리어 필러(60)에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
리어 도어(4)의 외주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웨더 스트립이 부착되고, 이 웨더 스트립에 의해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지지된 때에, 후승강구(3)의 주연 벽면에 대해 치밀하게 압접할 수 있고, 실성(seal性)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은 차체의 후승강구(3)에 따라 배치된 리어 필러(60)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부근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필러(60)는 차체의 뒷 부분의 아우터 패널(쿼터 패널)(60b)의 전단부분과 그 차내측의 이너 패널(29)(도 7 참조)의 전단부분과, 도시하지 않은 보강재로 형성된다. 리어 필러(60)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부근에는, 평평한 종벽(縱壁)을 이루는 이너 패널(29)과 이너 패널(29)의 차외측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60b)을 서로 용착시켜서 이루어지는 후승강구(3)의 주연부인 세로 플랜지부(f1)가 형성된다.
도 1, 3,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세로 플랜지부(f1)의 일부에 겹치도록 부착오목부(T)가 형성된다. 이 부착오목부(T)는 차외측(도 1로 앞쪽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후단 로크부(J3)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을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 4,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의 부착오목부(T)의 저벽(601)에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베이스부(基部)인 베이스 부재(15)가 고착된다. 베이스 부재(15)는 차체측벽의 고정부재를 이루고 있고, 평행 링크(16)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과, 리어 도어(4)의 개폐 구동원을 갖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케이블 엔드(Poe, Pce)(도 3, 7 참조) 및 후술하는 복수의 중간 롤러(r)가 마련된다.
또한, 개폐 구동 기구(19)의 차체측부재에 연동하는 부재가 리어 도어(4)측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측에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과 복수의 롤러(Po1, Pc1, Po2, Pc2)(도 5, 6, 7 참조)가 배치된다.
도 3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5)는 강성을 유지한 형상을 가지며,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하부 부착부(151)와 그보다 상방으로 늘어나고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추지하는 상부 종주부(縱柱部)(152)를 구비한다. 하부 부착부(151)는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횡방향 플랜지부(15a)와 그 횡방향 플랜지부(15a)를 보강하도록 용착되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하방 경사부(15b)와, 하방 경사부(15b)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여 나오고, 부착오목부(T)의 일부를 이루는 전방향 단형상부(601)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플랜 지(15c)를 구비한다.
상부 종주부(152)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을 세로 핀(43)을 통하여 추지하는 기단 보스부(41)를 구비한다. 기단 보스부(41)의 일측에는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이 겹치고, 상호 간에 볼트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ㄷ자형 체결 브래킷(53)은 기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하여 나오는 종벽면이 부착오목부(T)의 종벽에 겹치고, 양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는 요동하는 리어 도어(4)의 개폐 이동 궤적이나 각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평행 링크(16)의 앞 암(31) 및 뒷 암(32)의 전후연결 핀(246, 245)은 슬라이더(24)의 전후단 근방과 각각 핀 결합된다. 앞 암(31) 및 뒷 암(32)은 전후 및 상하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요동할 수 있고, 양 암 상호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에는 도어 지지 레일(22)이 부착 브래킷(35)을 통하여 일체 결합되어 있고, 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레일 홈(33)에 슬라이더(24)가 끼워 장착된다. 또한, 부착 브래킷(35)은 이너 패널(402)의 내벽의 중앙 주요부를 덮는 형상의 굴곡 판재이고, 도어 중심(重心) 위치 부근에 후술하는 도어측 추지부(37)를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아우터 패널(401)과 도어 내 공간을 통하여 배치되는 이너 패널(402)은 서로의 전후 및 하부의 외주연부가 상호 일체 접합 처리되고, 또한, 양 패널의 상방 주연부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유리의 승강 작동역 및 그 지지 부재의 새시(55)를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의 차내측면은 트림(80)에 의해 덮인다. 트림(80)은 평행 링크(16)의 앞뒤 암(31, 32)을 끼워 삽입하는(嵌揷) 슬릿(81)이 형성되고, 전체는 이너 패널(402)에 도시하지 않은 계지 수단으로 계지된다.
도 1, 3, 4,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의 상방에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이 마련된다.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차체측에 추지된 베이스 부재(15)의 상부의 상부 종주부(152)에 형성된 기단 보스부(41)에 제 1 세로 핀(43)을 통하여 제 1 지지 암(44)의 기단부(441)가 추지된다. 제 1 지지 암(44)의 회동단에는 제 2 세로 핀(62)을 통하여 제 2 지지 암(61)의 기단부(611)가 추지되고, 그 타단인 요동단(612)이 리어 도어(4)의 중심(重心) 위치 부근의 도어측 추지부(37)를 제 3 세로 핀(36)을 통하여 추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이루는 제 1 지지 암(44)과 제 2 지지 암(61)은 세로로 길다란 단면(斷面)의 바형상 부재로서 강성재(剛性材)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상하 방향의 도어 하중을 받아도 변형을 억제하고, 리어 도어(4)의 중심부(重心部)의 하중을 항상 베이스 부재(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 전개방 위치(D3)로 도어 개폐 궤적에 따라 이동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리어 도어(4)의 도어 하중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리어 도어(4)의 기울어짐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는, 와이어 하네스(20)의 주요부가 지지된다. 즉, 도 9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20)는 리어 도어(4) 내의 전장 기기, 예를 들면,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도시하지 않은 전동 윈도우 레귤레이터, 전, 후단 로크부(J1, J2, J3)의 파워 래치(6, 8)나, 도시하지 않은 래치 센서 및 컨트롤러(30) 등의 각 배선을 묶어서 와이어 하네스(20)를 형성하고, 그 와이어 하네스(20)를 차체측의 전원(도시 생략) 및 메인 컨트롤러(300)에 연결한다. 와이어 하네스(20)는 차체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나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부(441), 제 1 지지 암(44), 제 2 지지 암(61), 요동단(612), 도어측 추지부(37)의 각 측벽에 도시하지 않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순차로 체결되고, 리어 도어(4)의 내부 공간측에 달하여, 제어 기기인 컨트롤러(30) 등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은 그 내부에 하향 주(主), 종(從) 레일 홈(33u1, 33u2)이 형성되고, 또한,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하(下) 레일 홈(3311)이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도어 지지 레일(22)의 내부에 전후 외(外) 롤러(r1, r2), 복수의 롤러(r)를 통하여 슬라이더(24)가 끼워 삽입된다.
도 3,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4)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상(上) 기판(241) 및 동 상 기판(241)의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블 록형상의 하(下) 기판(244)과, 상 기판(241)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한 쌍의 병렬형상의 종장벽(縱長壁)(242, 243)과, 상 기판(241)의 앞부분에 뒷 암(32)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뒷 연결 핀(245)(도 3, 6 참조)과, 하 기판(244)의 앞 측으로부터(도 6에서 우측) 하방으로 늘어나 앞 암(31)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앞 연결 핀(246)을 구비한다.
종장벽(242)(도 3 참조)의 주요부에는 후(後) 외 롤러(r1)를 유동가능하게 끼우는 노치구멍이 형성되고, 후 외 롤러(r1)는 세로 방향의 후(後)추지 핀을 통하여 종장벽(242)에 추지된다. 이 후 외 롤러(r1)는 뒷 연결 핀(245)과 공통의 후(後) 요동 중심선(Lrr)상에 배치된다.
하 기판(244)의 앞에 가까운 앞 연결 핀(246)과 공통의 전(前) 요동 중심선(Lrf)상에 전 외 롤러(r2)의 세로 방향의 전(前) 추지 핀이 배치되고, 동 전 추지 핀이 앞 암(31)의 분기(分岐) 요동단(b)에 전 외 롤러(r2)를 추지한다.
이로써, 병행 링크(16)에 대해 그 외측 전, 후 요동 중심선(Lrf, Lrr)을 통하여 추지된 슬라이더(24)가 병행 링크(16)에 의해 요동함과 함께 슬라이더(24)의 후 외 롤러(r1), 전 외 롤러(r2)에 대해 도어 지지 레일(22)이 전후 방향(X)으로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다. 또한, 후 요동 중심선(Lrf, Lrr)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점을 도 7에 있어서는 전후 요동 중심점(中心點)(Prf, Prr)으로서 나타낸다.
도 9,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상부의 하향 레일 홈(33u1, 33u2)은 전후 방향(X)의 전역(全域)에 길게 형성된다. 한편, 도어 지지 레일(22)의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도어 지지 레일(2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까지 형성되고, 그 후방(도 9로 좌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그곳에 감합하는 앞 암(31)의 요동단의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를 끼워 삽입한다. 여기서, 도 4, 5,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그 후방측 단부에 분기부를 통하여 만곡지로(sr)가 형성된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만곡지로(sr)는 하레일 홈(3311)의 단부측과 소정량 떨어져서 병렬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레일 홈(3311)의 단부는 요동 중심 규제벽(wc)으로 덮인다. 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은, 이것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은 때에 레일(22) 및 도어(4)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돌출 위치(D2)에 도어 지지 레일(22)측이 달한 상태가 유지되고, 그리고 나서,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한 돌출 위치(D2)와 폐쇄 위치(D1)의 요동 변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灣曲枝路)(sr) 및 하레일 홈(3311)의 단부의 외측은 만곡한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으로 덮여 있다. 이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는 요동 중심 롤러(Ro)의 중심선(Lrf)에 대해 일정한 회전 반경(rs)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은 상태에서 앞 암(31)이 요동할 때에 레일(22)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앞 암(31)에 추지된 후술하는 요동 변위 롤러(Rk)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도어 개방 방향(도 9에서 좌방향) 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출 위치(D2)와 폐쇄 위치(D1) 사이에서의 요동 변위에 있어서,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하여서의 레일(22) 및 도어(4)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을 어긋남 없이 지지할 수 있고, 도어의 요동 궤적의 어긋남이나 편차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sr)의 하레일 홈(3311)에 합류하는 부위에서의 레일 홈 내벽은 볼록형상 만곡벽인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로서 형성된다. 이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D2)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D2bf)(도 8중의 (b) 내지 (h)의 범위에서 요동하는 영역)에서 요동할 때, 후술하는 제 1 종동 롤러(Rv)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전개방 위치(D3)의 방향(도 3중에서 좌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도한 구동 저항력(p1)의 발생을 미연에 막아, 구동력(F1)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sr)의 하레일 홈(3311)에 합류하는 부위에서의 레일 홈 외측벽은 오목형상 만곡벽인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로서 형성된다. 이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1)에 대해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에 접근한 때에 후술하는 제 2 종동 롤러(Rc)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앞 암(31)의 레일(22)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어측의 레일(22)에 대해 앞 암(31)이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 유하여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90도의 이동 방향의 전환에 의해, 구동 저항력(p1)이 급변하고,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F1)에 수반하는 전환 쇼크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리어 도어(4)에 배치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구동 기구(19)는 리어 도어(4)의 구동원을 이루는 모터(101), 권취 드럼(46)의 회전력으로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를 통하여 전개방 위치(D3)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개폐 구동 기구(19)는, 도 1,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 내부에 배설된 모터(101) 및 모터(101)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구동되는 권취 드럼(46)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원(M)과, 권취 드럼(46)에 인출 자유롭게 감기는 개방 케이블(49) 및 폐쇄 케이블(51)과, 개방 케이블(49)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전단의 단부 풀리(Po1)와, 폐쇄 케이블(51)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앞측의 제 1 풀리(23f)와, 앞 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와,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지지되고 개방 케이블(49)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oe)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와, 뒷 암(32)상의 제 2 풀리(Pc2)(후 중간 풀리)와,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의 하플랜지(53d)에 지지되고 폐쇄 케이블(51)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ce)를 구비한다.
다음에, 리어 도어(4)의 작동을 설명한다.
컨트롤러(30)(도 9 참조)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기 전에 있어서,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로 유지되어 있다고 한다. 그 때, 리어 도어(4)측의 전단 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가 로크 상태를 유지한 채로 비통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a), 도 11,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 암(32)과 앞 암(31)의 요동단은 차내측으로 인입되고, 양 암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와 함께 도어 지지 레일(22)이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도 1 참조)(D1)에 지지한다.
이 경우,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제 1 종동 롤러(Rv)가 만곡지로(sr)의 단부벽(wst)에 맞닿음으로써 레일(22)의 차체 전방(도 8(a), 도 11에서 우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규제하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도어 차체 후방(도 8(a), 도 11에서 좌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규제하고 있다.
다음에,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으면,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폐쇄 위치(D1)의 리어 도어(4)의 전단 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에 로크 해제의 출력을 발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도어 개방지령에 의거한 도어 개방출력을 받으면, 도 1,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원(M)측의 권취 드럼(46)을 구동하여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을 감고, 폐쇄 케이블(51)의 방출을 행한다. 이 때, 도 7,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케이블(49)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케이블 엔드(Poe)(개방 케이블 고정단)와 앞 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 리) 사이가 좁아지고, 앞 암(31)의 요동단 및 슬라이더(24)가 일체적으로 차외측으로 요동하고, 도어가 돌출 위치(D2)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즉, 평행 링크(16) 및 그 요동단의 슬라이더(24)를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도어(4)를 돌출 위치(D2)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도 8(b), (c), 도 12(b)의 요동역에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은 채로, 앞 암(31)상의 제 1 종동 롤러(Rv)가 만곡지로(sr)를 떠나 있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따라 굴림대 이동한다. 뒤이어,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맞닿음으로써 앞 암(31)에 대해 레일(22)측이 상대적으로 어긋나는 것을 막고, 이윽고, 도 8(d) 내지 (g), 도 12, 13(b), (d)의 영역에서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가 제 1 종동 롤러(Rv)의 전방 이동을 서서히 허용하고,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으로부터 떨어지고, 즉, 레일(22)의 전개방 위치(D3)의 방향(도 9중에서 좌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한다.
뒤이어, 도 8(h), (i), 도 13(e)의 요동역에서는,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가 함께 하레일 홈(3311)에 달하여 레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을 시작하고 있다. 즉, 돌출 위치(D2)에 들어가기 전의 요동 영역에서 활주 변위를 시작하고, 돌출 위치(D2) 통과 후의 활주 영역에 달할 때에도 일부 요동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즉,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레일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F1)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가 구동하고, 도어 지지 레일(22)측(리어 도어(4)측)이 전개방 위치(D3)를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가 함께 하레일 홈(3311)에 따라 스무스하게 활주하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을 전개방 위치(D3)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 폐쇄지령을 받으면, 컨트롤러(30)는 이에 의거하여, 도어 폐쇄출력을 모터(45)에 출력하고, 권취 드럼(46)을 구동하여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케이블(51)을 감고,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폐쇄 케이블(51)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도 9에 도시하는 돌출 위치(D2)에 앞뒤 암(31, 32)은 되돌아온다.
이 경우, 우선, 도 8(i), 도 13(e)의 활주역으로부터, 도 8(h)의 요동역 시작역에 달한다. 이윽고, 도 8(g) 내지 (d), 도 13(d), (c)의 영역에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가 제 2 종동 롤러(Rc)의 요동 변위를 서서히 허용하고, 도 8(c) 내지 (a), 도 12(b), (a)의 영역에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접근한다. 그리고 나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은 상태에서 앞 암(31)이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여, 확실하게 전후 방향이 어긋남 없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이 폐쇄 위치(D1)에 달한다.
이와 같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레일(22)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 롤러(Ro)에 대해 하 가이드 홈(3311)을 끼워 맞춘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Rc)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에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앞 암(31)에 대한 레일(22)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22)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앞 암(31)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유하여서의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p1)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F1)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어 도어(4)가 후승강구(3)를 폐쇄하면, 이 후,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달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위치 센서에 의해 도어 폐쇄신호를 받는다. 이에 응하여,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의 전단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도시 생 략)에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로크 출력을 발하고, 리어 도어(4)를 후승강구(3)에 로크하고, 로크 신호가 컨트롤러(30)에 입력되게 된다.
상술한 점에 있어서, 도 1의 도어 개폐 장치가 채용하고 있던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에서는, 개폐 케이블(49, 51)을 감고, 방출하는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을 도어 내에 수용하고, 개폐 구동 기구(19)의 케이블 엔드(Poe, Pce)를 차체측의 베이스 부재(15)에 부착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개폐 구동 기구의 개폐 케이블의 한 쌍의 케이블 엔드를 도시하지 않은 도어 내의 레일의 전후단에 연결하고, 모터 및 권취 드럼을 차체측의 기본틀에 장착한다는 역구성을 취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도 1의 도어 개폐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개폐 장치는 도 1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와 비교하여,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과 맞닿는 요동 변위 롤러(Rk)가 배제된 점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여,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폐쇄 위치(D1)로부터 요동 시작까지의 도 14(1) 내지 (5)의 사이에 미리 활주량(J1)만큼 도어를 슬라이드 시켜서, 래치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확실하게 벗어나, 도어의 회동 시작시의 활주 저항을 저감시키고, 그리고 나서 요동 변위를 도 14(6) 내지 (12)의 사이에 행하고 있다. 이 영역에서는 도 1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와 같은 거동이 행하여지고,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D2)의 부근이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소동 저항력(F1)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의 폐쇄시에, 앞 암(31)의 요동 중심 롤러(Ro)에 대해 하 가이드 홈(3311)을 끼워 맞춘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Rc)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에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앞 암(31)에 대한 레일(22)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22)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앞 암(31)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유하여서의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p1)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F1)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리어 도어의 내측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정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의 주요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과 복수 롤러의 작동 설명도.
도 9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돌출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0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전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1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도어 폐쇄 위치 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
도 12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앞 암과 하부 레일의 작동 설명도의 전단부.
도 13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앞 암과 하부 레일의 작동 설명도의 후단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과 복수 롤러의 작동 설명도.
도 15는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평행 링크와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 레일과 앞 암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후승강구 4 : 리어 도어
16 : 평행 링크 17 : 도어 활주 기구
18 : 도어 하중 지지 암
19 : 개폐 구동 기구(도어 개폐 장치)
101 : 모터 102 : 드럼
20 : 와이어 하네스 22 : 도어 지지 레일
24 : 슬라이더 241 : 상 기판
241f : 스토퍼 벽 243 : 종장벽
30 : 컨트롤러 31 : 앞 암
32 : 뒷 암 33 : 가이드 홈
49 : 개방 케이블 51 : 폐쇄 케이블
wa :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 wb :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
wo : 요동 중심 규제벽 B : 자동차(차체)
D1 : 폐쇄 위치 D2 : 돌출 위치
D3 : 전개방 위치 Lrf :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
Rv : 제 1 종동 롤러 Rc : 제 2 종동 롤러
Ro : 요동 중심 롤러 U : 스윙 슬라이드 유닛
x : 전후 방향 Y : 차폭 방향

Claims (5)

  1.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에 요동단이 추지된 암과,
    상기 암의 요동 및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레일의 활주에 의해, 상기 도어를 도어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와 동 위치로부터 차체 외측 후방으로 요동시킨 돌출 위치와 동 돌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의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요동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요동 중심이 되는 요동 중심 롤러와,
    상기 암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종동 롤러와,
    상기 레일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암 및 레일이 상기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서 요동할 때 상기 제 1 종동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전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는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의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암에 추지됨과 함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져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종동 롤러와,
    상기 암에 대해 레일이 상기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에 접근한 때에 상기 제 2 종동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암의 상기 레일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가져오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동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측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의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는 요동 중심 규제벽을 마련하고,
    상기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암이 요동할 때에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는 요동 변위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KR20080130078A 2008-02-18 2008-12-19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6681 2008-02-18
JP2008036681A JP5020853B2 (ja) 2008-02-18 2008-02-18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45A true KR20090089245A (ko) 2009-08-21
KR100999734B1 KR100999734B1 (ko) 2010-12-08

Family

ID=4103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0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9734B1 (ko) 2008-02-18 2008-12-19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20853B2 (ko)
KR (1) KR100999734B1 (ko)
CN (1) CN10151382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36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N112848853A (zh) * 2019-11-12 2021-05-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门打开和关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7309A1 (de) * 2009-12-07 2011-06-09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Fahrzeug mit einer Schiebetüre
KR101256991B1 (ko) 2011-06-21 2013-04-2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개폐도어
KR101382688B1 (ko) 2012-09-17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연결 구조
JP2018203076A (ja) * 2017-06-05 2018-1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ガイドローラユニット及び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11002054B2 (en) * 2018-11-09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liding door mechanism
CN110094134A (zh) * 2019-05-14 2019-08-06 清华大学 一种客车大开度前滑滑移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60Y2 (ko) * 1975-02-06 1981-04-09
JPS5515308A (en) * 1978-07-17 1980-02-02 Kanto Jidosha Kogyo Kk Sliding door holder for rolling stock
JP3443622B2 (ja) 1996-12-18 2003-09-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
JP2002266554A (ja) 2001-03-12 2002-09-18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
US6779832B2 (en) 2002-03-19 2004-08-24 Wagon Engineering, Inc. Side door assembly
JP2003320964A (ja) * 2002-05-01 2003-11-1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取付部の床構造
AT500017B8 (de) * 2003-01-21 2007-02-15 Knorr 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AT501468B8 (de) * 2005-02-17 2007-02-15 Knorr 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
JP4658694B2 (ja) * 2005-05-31 2011-03-23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ドア開閉構造
JP4404045B2 (ja) * 2005-11-21 2010-01-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ート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システム
JP4492550B2 (ja) * 2006-01-27 2010-06-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配索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361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N112848853A (zh) * 2019-11-12 2021-05-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门打开和关闭装置
CN112848853B (zh) * 2019-11-12 2024-05-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门打开和关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3827B (zh) 2012-08-29
JP2009190697A (ja) 2009-08-27
KR100999734B1 (ko) 2010-12-08
CN101513827A (zh) 2009-08-26
JP5020853B2 (ja)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734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976315B1 (ko)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CN101037921B (zh) 摆动式滑门系统
CN101184652B (zh) 用于机动车辆的货物空间覆盖装置
US7611190B1 (en) Vehicle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CN101514607B (zh) 门锁系统
CN100577979C (zh) 用于车辆的侧面滑门系统
JP4492550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配索構造
US7182569B2 (en) Auto rack deck hinge arrangement
JP200721799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JP2009132335A (ja) 車体構造
JP2951650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5144218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4858405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009132334A (ja) ドアの配索構造
JP4544138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
JP2009083666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JP2010167873A (ja) ドア開閉装置のカバー構造
JP2006045888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の施錠装置
JP2010064594A (ja) ドア開閉装置のカバー構造
JP2009191590A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4985596B2 (ja) 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JP2009083669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JP2005081878A (ja) 車両用フロントスライドドア
JP2010064657A (ja) スライドドアのカ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