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521A -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7521A KR20090087521A KR1020080012797A KR20080012797A KR20090087521A KR 20090087521 A KR20090087521 A KR 20090087521A KR 1020080012797 A KR1020080012797 A KR 1020080012797A KR 20080012797 A KR20080012797 A KR 20080012797A KR 20090087521 A KR20090087521 A KR 20090087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measuring
- sensing unit
- portable device
- biologica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25—Ergonomically shaped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취부 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한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portable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biosignal without wearing it and mounting it when necessar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엄지의 그립(grip)을 위해 표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취부홈을 구비하며, 심박수와 피부 전도도 및 체온을 포함한 생체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한 손으로 취부한 상태에서 검지로 누를 수 있도록 일측 상단부에 버튼식으로 구비된 전원부; 및 상기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센싱부의 상부에 구비된 동작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obliquely on the surface for a grip of the thumb, and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including heart rate and skin conductivity and body temperature;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 button-type at an upper end portion so as to be pressed by the index finger in a state of mounting with one hand; And an operation indicat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unit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상시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사용자가 취부하여 왼손 혹은 양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체 신호 계측에 따른 불편함이나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iosignal of the left hand or both hands by attaching the user when necessary without wearing it at all times, so that the discomfort or foreign object caused by the measurement of the biosignal does not occur.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취부 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한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measuring portable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biosignal without wearing it and mounting it when necessary.
최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기간 사용가능한 착용형 센서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 생체 신호 센서와 재택형 무구속 계측 센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 care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a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a wearable sensor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is increasing. Accordingly, studies on a wearable biosignal sensor and an at-home non-restrictive measurement sensor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일반적으로 생체 신호 측정용 센서는 센싱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며,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측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생체 신호 측정용 센서는 손목시계형, 밴드 형, 띠형, 부착 형 등이 있었으며 스티커 형 또는 고무 밴드 성분이 들어간 띠를 이용하여 손목 또는 손가락에 부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general, a biosignal measuring sensor should have a fixed sensing position and be able to measure without moving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conventional bio-signal measuring sensor has a watch-type, band-type, band-type, attached type, etc.,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io-signal by attaching it to a wrist or a finger using a band containing a sticker type or a rubber band component. .
그러나 손목시계 형이나 밴드 형 센서의 경우 디자인적으로 심미적인 기능은 만족스러우나 사용자가 착용을 해야 하므로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센서의 무게 및 센싱 지점이 피부와 닿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피부와 센서간의 무리한 밀착으로 인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중에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착용 중 생체 신호 측정이 안정적이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case of watch type or band type sensor, the aesthetic function is satisfactory by design, but it must be worn by the user, so if the user wears it for a long time, the weight and sensing point of the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the user often feels uncomfor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a foreign object during sensing due to excessive contact between the sensors, and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measurement of the bio-signals during the wearing is not s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시 착용하지 않고 취부시에 생체 신호 계측이 가능하도록 센서 및 전원부를 배열한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in which the sensor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arranged such that the biological signal can be measured at the time of mounting without being worn all the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는 한 손으로 취부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유선형의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로서, 엄지의 그립(grip)을 위해 표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취부홈을 구비하며, 심박수와 피부 전도도 및 체온을 포함한 생체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한 손으로 취부한 상태에서 검지로 누를 수 있도록 일측 상단부에 버튼식으로 구비된 전원부; 및 상기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센싱부의 상부에 구비된 동작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biological sig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biological signal by mounting with one hand, the surface for the grip of the thumb (grip) A sensing unit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at an angle to the sensor and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including heart rate and skin conductivity and body temperature;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 button-type at an upper end portion so as to be pressed by the index finger in a state of mounting with one hand; And an operation indicat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unit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엄지의 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1 센서, 상기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취부시 손바닥이 접촉할 수 있도록 측면에 구비된 제2 센서, 상기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센서와 이격되어 측면에 구비된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other side to contact the end of the thumb to measure the heart rate, and a second sid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palm so that the palm can contact when mounted to measure the skin conductivity The sensor may include a third sensor provided on a side of the sensor to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또한, 상기 제2 센서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제2 센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third sens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ensors.
또한, 상기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는 생체 신호 계측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와의 연결은 크래들, USB, 및 블루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biological signal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results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made of a cradle, USB, and Bluetooth.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may be a photo plethysmo graphy (PPG)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는 양손으로 취부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유선형의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로서, 엄지의 그립(grip)을 위해 전면에 팔(八)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취부홈을 구비하며, 심박수와 피부 전도도 및 체온을 포함한 생체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mounted on both hands to measure a biological signal, and has an arm shape on the front for a grip of a thumb. A sensing unit having a pair of mounting grooves formed in the shape and having a 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including heart rate and skin conductivity and body temperatur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And an operation indicator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ensing unit.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엄지의 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취부홈의 상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센서, 상기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 취부시 검지가 접촉할 수 있도록 후면에 구비된 제2 센서, 상기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취부시 손바닥이 접촉할 수 있도록 측면에 구비된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sensor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thumb may contact to measure the heart rate, and the index finger may be contacted during mounting to measure the skin conductivity. It may include a second sensor provided on the rear side, a third sensor provided on the side so that the palm can contact when mounting to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may be a photo plethysmo graphy (PPG) sensor.
본 발명에 의하면 상시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취부하여 한손 혹은 양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시에 가지게 되던 불편함이나 이물감이 해소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iosignal of one or both hands by attaching it when necessary without wearing it all the time,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discomfort or foreign object that a user has when wearing for a long time as in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들을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10)는 센싱부(20), 제1 센서(30), 제2 센서(40), 제3 센서(50), 전원부(60), 및 동작 표시등(70)을 포함한다.1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센싱부(20)는 사용자가 생체 신호를 계측할 시에 손으로 취부하는 부분으로센싱부(2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취부홈(25)이 형성되어 있다.The
제1 센서(30)는 심박수 측정을 위한 센서로서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손끝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PPG 센서의 특성상 사용자의 다양한 손 크기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손의 길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엄지 손가락 끝 부분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1 센서(30)를 취부홈(25)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제2 센서(40)는 피부 전도도 측정을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시에 사용자의 검지 부분에서 측정이 용이하도록 센싱부(20)의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3 센서(50)는 체온 측정을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시에 손바닥의 중앙부분이 제3 센서(50)와 접촉하여 측정이 가능하도록 센싱부(20)의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전원부(60)는 센싱부(2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생체 신호 계측을 위하여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전원을 가할 수 있도록 센싱부(20)의 상부 우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동작 표시등(70)은 센싱부(2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센싱부(20)가 동작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센싱부(20)의 상부 좌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센싱부(20)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신호를 계측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한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 부분을 센싱부(20)의 전면부에 형성된 취부홈(25)과 밀착시키며 엄지의 끝이 제1 센서(30)와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싱부(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제2 센서(40)가 사용자의 검지 부분과 손바닥의 아래 부분에 접촉되도록 하며, 측면부에 형성된 제3 센서(50)가 사용자의 손바닥 중앙 부분에 접촉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전원부(60)를 검지 손가락으로 동작시켜 센싱부(20)가 동작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이 생체 신호 계측을 위한 심박수 측정 센서,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 및 체온 측정 센서를 사용자가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하였을 때 동시에 측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센서를 상시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취부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uch,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the skin conductivity measurement sensor,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the biosignal are placed at a position that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attaches the
이때,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10)는 생체 신호 계측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센싱부(20)와 상기 무선 통신부와의 연결은 크래들, USB, 및 블루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a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를 취부했을 시의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체 신호를 계측할 시에 한 손으로 센싱부(20)를 취부하여 사용할 수 있다.2 is a reference diagram when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 user measures the biosignal, the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후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100)는 양손의 생체 신호 계측을 위한 것으로서 센싱부(110), 제1 센서(120), 제2 센서(130), 및 제3 센서(140)를 포함한다.3A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rear view of a portabl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센싱부(110)는 사용자가 생체 신호 계측을 위하여 손으로 취부하는 부분으로서 센싱부(1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센싱부(110)를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취부홈(115)이 형성된다.The
제1 센서(120)는 심박수 측정을 위한 PPG(Photo Plethysmo Graphy) 센서로서 손 끝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PPG 센서의 특성상 사용자의 다양한 손 크기를 고려하여 손의 길이 차이가 최소가 되는 엄지 부분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1 센서(120)를 취부홈(115)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 센서(130)는 피부 전도도 측정을 위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센싱부(110)를 양손으로 취부시에 사용자 손의 검지 부분에서 측정이 용이하도록 센싱부(110)의 후면부 양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3 센서(140)는 체온 측정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센싱부(110)를 손으로 취부시에 손바닥의 중앙부분이 제3 센서(140)와 접촉하여 측정이 가능하도록 센싱부(110)의 양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이때, 전원부와 동작 표시등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indicator is as shown in Figure 1 will be omitted.
센싱부(110)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신호를 계측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센싱부(110)를 취부한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 부분을 센싱부(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취부홈(115)과 밀착시키며 엄지의 끝이 제1 센서(120)와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싱부(110)의 후면부 양측에 형성된 제2 센서(130)가 사용자의 양손 검지 부분과 손바닥의 아래 부분에 접촉되도록 하며, 양 측면부에 형성된 제3 센서(140)가 사용자의 양손 손바닥 중앙 부분에 접촉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전원부를 검지 손가락으로 동작시켜 센싱부(110)가 동작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이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심박수 측정 센서,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 및 체온 측정 센서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센싱부(110)를 취부하였을 때 동시에 측정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센서를 상시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취부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uch,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the skin conductivity measurement sensor,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for the biosignal measurement are placed at a position that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attaches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를 취부했을 시의 참고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체 신호를 계측시에 센싱부(110)를 양손으로 취부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4 is a reference diagram when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sign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user measures the biosignal,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착용하지 않고 필요시에 간단히 취부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용에 따른 불편함과 이물감이 해소되어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iosignal simply by attaching it when necessary without wearing it all the time, so that inconvenience and foreign object feeling caused by wearing can be eliminated and used as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bio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취부시의 참고도,2 is a reference diagram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정면도, 3A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후면도,3B is a rear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측면도, 및Fig. 3C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의 취부시의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when the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io-sign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0) : 생체 신호 계측용 휴대용 장치 (20, 110) : 센싱부(10, 100):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biological signal (20, 110): sensing unit
(25, 115) : 취부홈 (30, 120) : 제1 센서(25, 115): mounting groove (30, 120): first sensor
(40, 130) : 제2 센서 (50, 140) : 제3 센서40 and 130:
(60) : 전원부 (70) : 동작 표시등60: power supply 70: operation indicato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2797A KR101461119B1 (en) | 2008-02-13 | 2008-02-13 | Mobile device for physiological sen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2797A KR101461119B1 (en) | 2008-02-13 | 2008-02-13 | Mobile device for physiological sen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7521A true KR20090087521A (en) | 2009-08-18 |
KR101461119B1 KR101461119B1 (en) | 2014-11-12 |
Family
ID=4120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27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1119B1 (en) | 2008-02-13 | 2008-02-13 | Mobile device for physiological sen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111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2871B1 (en) * | 2018-11-23 | 2020-04-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alm rest type measuring device for bio information |
WO2024063464A1 (en) * | 2022-09-23 | 2024-03-28 |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ppg sen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8715B1 (en) | 2016-06-17 | 2023-08-23 |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 Apparatus for Measuring Complex Biological Signal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7987B2 (en) * | 1996-12-17 | 2002-07-02 | オムロン株式会社 | Health management guideline advice device |
KR100593572B1 (en) * | 2003-12-11 | 2006-06-30 | 김도곤 | A mouse that measures a human biosignal and performs two-way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
-
2008
- 2008-02-13 KR KR1020080012797A patent/KR1014611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2871B1 (en) * | 2018-11-23 | 2020-04-2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alm rest type measuring device for bio information |
WO2024063464A1 (en) * | 2022-09-23 | 2024-03-28 |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ppg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1119B1 (en) | 2014-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6546B1 (en) | Personal biosensor accessory attachment | |
US9042971B2 (en) | Biometric monitoring device with heart rate measurement activated by a single user-gesture | |
US9049998B2 (en) | Biometric monitoring device with heart rate measurement activated by a single user-gesture | |
US6929611B2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 |
KR101030887B1 (en) |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Portable Terminal | |
US20180235489A1 (en) | Photoplethysmographic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 |
US20070109491A1 (en) | Eyeglasses with a heart rate monitor | |
KR100847137B1 (en) | Portable bio signal measuring device | |
JP2017516539A5 (en) | ||
WO2004019172A3 (en) |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 physiolog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 |
WO2006067690A2 (en) | Device f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 |
JP6569509B2 (en) | Biological signal detection device | |
US20100036270A1 (en) | Wireless cardiogram signal diagnostic instrument | |
TW201110932A (en) | Belt type bio-signal detecting device | |
KR101829335B1 (en) | Wrist Support united wireless mouse and stress measuring system | |
KR102568715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Complex Biological Signals | |
KR100745673B1 (en) | Bioindex measuring device and method | |
KR101461119B1 (en) | Mobile device for physiological sensing | |
CN110755064A (en) | Electronic equipment | |
JP3124788U (en) | Glove-type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 |
KR101030442B1 (en) | Earphone-based restraint heart rate device | |
KR20090107873A (en) | Bio-composite Sensor | |
EP3811855A1 (en) |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ment program | |
KR101780061B1 (en) | Po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 |
CN205814302U (en) | Wearable ring device with real-time detection and transmission of bod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