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84252A - 조립식 난간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252A
KR20090084252A KR1020080010312A KR20080010312A KR20090084252A KR 20090084252 A KR20090084252 A KR 20090084252A KR 1020080010312 A KR1020080010312 A KR 1020080010312A KR 20080010312 A KR20080010312 A KR 20080010312A KR 20090084252 A KR20090084252 A KR 2009008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assembled
side wall
rail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록승
Original Assignee
덕성강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강건(주) filed Critical 덕성강건(주)
Priority to KR102008001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252A/ko
Publication of KR2009008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2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난간대의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 및 전기시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난간대를 설치/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을 지지하되, 상부에 난간과 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받침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를 제공하여, 난간을 용접 없이 간편하고,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난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서, 종래 용접기의 사용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 및 시공현장에서의 통행 지장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계단, 난간, 난간대, 용접, 조립

Description

조립식 난간대{A construction type stairs railing}
본 발명은 조립식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을 오를 때의 손잡이가 되는 난간과, 난간 사이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살을 계단에 고정시키는 난간대를 용접 없이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난간을 용접 없이 간편하고,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난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서, 종래 용접기의 사용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 및 시공현장에서의 통행 지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대는 계단을 오를 때의 손잡이가 되는 난간과, 난간 사이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살을 계단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대부분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난간대는 통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킨 후, 난간과 난간살을 난간대에 용접하여 설치하는 첫번째 방법과, 난간대에 난간과 난간살을 먼저 용접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난간과 난간살이 결합된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두번째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상기 두가지 방법 모두 난간대를 설치함에 있어, 용접기와 이에 사용되는 전기시설이 수반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번거로움이 생길 뿐만 아니라 용접기의 사용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 및 시공현장에서의 통행 지장 등이 문제되며, 상기 두번째 방법의 경우, 난간과 난간살이 먼저 용접된 상태로 운반됨에 따라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그 운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설치위치 및 상황이 조금만 변하여도 상기 용접된 상태의 난간대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각 구성품이 별도의 용접기 및 전기시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설치/분리되는 조립식 난간대를 제공하여, 난간을 용접 없이 간편하고,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난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 용접기의 사용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 및 시공현장에서의 통행 지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난간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의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을 지지하되, 상부에 난간과 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받침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한 연결부재는, 지지부재의 상부에서 회동축을 통해 연결되어, 난간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한 체결부재는, 측벽부재 방향으로 양 끝단의 길이를 연장하여 양 끝단이 측벽부재를 관통하여 측벽부재 사이에 조립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한 체결부재는, 난간살의 길이방향으로 양끝단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연장된 부분에 상기 난간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조체결부재를 형성시키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한 조립식 난간대는, 지지부재와 받침부재가 상/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나의 측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상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한 쌍의 측벽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을 지지하되, 상부에 난간과 결합에 의한 연결 및 난간의 경사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받침부재; 상기 측벽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간을 용접 없이 간편하고,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난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기나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 용접기의 사용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 및 시공현장에서의 통행 지장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대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대의 사시도이며, 도 3a ~ 도 3e는 도 2의 각 구성요소별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측벽부재(10), 지지부재(20), 받침부재(30), 체결부재(40)가 볼트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재(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후술되어질 지지부재(20), 받침부재(30), 체결부재(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한 쌍의 구조 외에 지지부재(20), 받침부재(30), 체결부재(40)가 조립이 아닌 금형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측벽부재(1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설치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도 1 내지 도 3a ~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재(10) 사이에 지지부재(20), 받침부재(30), 체결부재(40)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상기 측벽부재(10)는 외관상의 미려함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R)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에 난간(R)과 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20a)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20a)는 지지부재(20)의 상부에서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난간(R)이 계단의 경사 정도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계단(S)의 경사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난간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표준 크기의 난간대 만으로도 다양한 경사를 가지는 계단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결합되는 난간(R)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가능하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20a)를 지지부재(20)와 회동축(20b)을 통해 연결하여 회동축(20b)에 의해 난간(R)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서, 난간(R)이 계단의 경사 정도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연결부재(20a)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닌 상기 연결부재(20a)의 역할을 포함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 자체가 상기 난간(R)과의 연결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30)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체결부재(40,41,42)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면부호 41,42의 경우, 도 4, 도 5참조), 중앙부에 난간살(r)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r)을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들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1)의 양 끝단을 측벽부재(10)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하여, 양 끝단이 측벽부재(10)를 관통하여 측벽부재(10)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2)를 난간살(r)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연장된 부분에 상기 난간살(r)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조체결부재(42a)를 형성시켜, 난간살(r)이 상기 보조체결부재(42a) 상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40,41,42)들의 형태는 외관상의 차이뿐 그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 외관상의 미려함을 위해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난간대는 난간을 용접 없이 간편하고,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대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대의 사시도
도 3a ~ 도 3e는 도 2의 각 구성요소별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벽부재 20 : 지지부재 20a : 연결부재
30 : 받침부재 40,41,42 : 체결부재 42a : 보조체결부재

Claims (6)

  1. 계단(S)을 오를 때의 손잡이가 되는 난간(R)과, 난간(R) 사이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살(r)을 계단(S)에 고정시키는 조립식 난간대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부재(1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R)을 지지하되, 상부에 난간(R)과 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20a)를 구비하는 지지부재(2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받침부재(3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r)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41,42)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a)는,
    지지부재(20)의 상부에서 회동축(20b)을 통해 연결되어, 난간(R)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는 조립식 난간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1)는,
    측벽부재(10) 방향으로 양 끝단의 길이를 연장하여, 양 끝단이 측벽부재(10) 를 관통하여 측벽부재(10) 사이에 조립되는 조립식 난간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2)는,
    난간살(r)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키고, 연장된 부분에 상기 난간살(r)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조체결부재(42a)를 형성시키는 조립식 난간대.
  5.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0)와 받침부재(30)가 상/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나의 측벽부재(10)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
  6. 계단(S)을 오를 때의 손잡이가 되는 난간(R)과, 난간(R) 사이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살(r)을 계단(S)에 고정시키는 조립식 난간대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부재(1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난간(R)을 지지하되, 상부에 난간(R)과 결합에 의한 연결 및 난간(R)의 경사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재(2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의 하부에 조립되어, 난간대를 계단에 고정시키는 받침부재(30);
    상기 측벽부재(10) 사이에 하나 이상 조립되어, 난간살(r)을 체결시키는 체 결부재(40,41,42)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대.
KR1020080010312A 2008-01-31 2008-01-31 조립식 난간대 Ceased KR20090084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12A KR20090084252A (ko) 2008-01-31 2008-01-31 조립식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12A KR20090084252A (ko) 2008-01-31 2008-01-31 조립식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252A true KR20090084252A (ko) 2009-08-05

Family

ID=4120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12A Ceased KR20090084252A (ko) 2008-01-31 2008-01-31 조립식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71B1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101614689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난간
KR20090084252A (ko) 조립식 난간대
US6533098B1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partition walls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KR20020049414A (ko) 교각 점검대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20080005582U (ko) 계단 안전 난간대
KR101471489B1 (ko) 조립식 발코니 난간대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KR200447408Y1 (ko)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KR200236192Y1 (ko) 경사부 난간 설치구조
KR101166795B1 (ko) 교량의 점검시설용 난간지주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KR200291271Y1 (ko)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KR200485031Y1 (ko) 가설계단용 안전난간 체결장치
KR200337170Y1 (ko) 철골 안전난간의 체결구조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200259035Y1 (ko) 계단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