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194A - compressor - Google Patents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3194A KR20090083194A KR1020080009205A KR20080009205A KR20090083194A KR 20090083194 A KR20090083194 A KR 20090083194A KR 1020080009205 A KR1020080009205 A KR 1020080009205A KR 20080009205 A KR20080009205 A KR 20080009205A KR 20090083194 A KR20090083194 A KR 200900831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lead
- discharge
- valve
- valv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66—Valv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120)의 외관 일부는 내부에 실린더보어(121')가 구비된 실린더블럭(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21)의 일측에는 흡입 및 토출실(125a,125b)이 형성된 후방하우징(125)이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21)과 상기 후방하우징(125)의 사이에는 밸브유니트(13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유니트(130)는 밸브플레이트(131) 및 흡입리드밸브(135)와 토출리드밸브(139)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는 흡입공 및 토출공(131a,131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131a) 및 토출공(131b)에는 단차지게 흡입 및 토출단차부(131a',13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밸브(135)의 흡입리드(137)는 그 선단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이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ompressor 120 is formed by the cylinder block 121 provided with the cylinder bore 121 '. One side of the cylinder block 121 is coupled to the rear housing 125 in which the suction and discharge chambers 125a and 125b are formed. A valve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121 and the rear housing 125. The valve unit 130 includes a valve plate 131, an intake lead valve 135, and a discharge lead valve 139. Suction and discharge holes 131a and 131b are formed in the valve plate 131, and suction and discharge step portions 131a ′ and 131b ′ are stepped in the suction hole 131a and the discharge hole 131b. Are each formed. A tip of the suction lead 137 of the suction lead valve 135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plate 131.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 및 토출단차부(131a',131b')에 의해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밸브(135,139)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게 되고, 상기 흡입리드(137)가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이격되어 있어, 상기 흡입리드(137)와 밸브플레이트(131) 사이에 형성되는 점막의 면적이 작아져,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밸브(135,139)의 개폐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 valves 135 and 139 by the suction and discharge step portions 131a 'and 131b' is increased, and the suction lead 137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plate 131, the area of the mucosa formed between the suction lead 137 and the valve plate 131 is reduc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 valves (135, 139) more smoothly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보어를 흡입구 및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유니트가 구비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ressor having a valve unit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cylinder bore with the inlet and outle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과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한다.In general, a compressor us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sucks a refrigerant evaporated from an evaporator and transfers the refrigerant to a condenser made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ich are easy to liquefy.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일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유니트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cross-sectional view, and FIG.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압축기(20)의 골격일부는 실린더블럭(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2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21')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보어(21') 내에는 피스톤(23)이 엔진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23)이 상기 실린더보어(21') 내부에서 왕복운동하여 냉매를 압축시킨다.A portion of the skeleton of the
상기 실린더블럭(21)의 일단에는 흡입실(25a) 및 토출실(25b)이 각각 형성된 후방하우징(25)이 결합된다. 상기 흡입실(25a)은 압축기(20)로 유입된 냉매가 저장 되는 공간이고, 토출실(25b)은 상기 실린더보어(21')에서 압축된 냉매가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다.One end of the
상기 실린더블럭(21)과 상기 후방하우징(25)의 사이에는 밸브유니트(3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유니트(30)는 상기 실린더보어(21')를 상기 흡입실(25a) 및 토출실(25b)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상기 밸브유니트(30)의 골격은 밸브플레이트(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흡입공(31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31a)은 상기 흡입실(25a)과 상기 실린더보어(21')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A
상기 흡입공(31a)의 일측에는 토출공(31b)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31b)은 상기 실린더보어(21')와 상기 토출실(25b)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One side of the suction hole (31a) is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hole (31b) penetrates.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31)에는 결합공(31c)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1c)은 상기 압축기(20) 외관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하는 부분이다.The
상기 밸브플레이트(31)에는 고정보스(31d)가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31d)는 후술할 토출리드밸브(33)와 흡입리드밸브(35)가 고정되는 부분이다.The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일측면에는 토출리드밸브(33)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리드밸브(33)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토출공(31b)을 개폐하여 상기 실린더보어(21')와 상기 토출실(25b)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31)에는 토출리드(33')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리드(3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토출리드(33')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토출공(31b)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23)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어 상기 실린더보어(21') 내의 압력이 상기 토출실(25b) 내부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토출리드(33')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토출공(31b)을 개방하고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공(31b)을 통해 상기 토출실(25b)로 유입된다.The
상기 토출리드밸브(3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고정보스(31d)가 삽입되는 고정부(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At the edge of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31)에서 상기 토출리드밸브(33)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는 흡입리드밸브(35)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리드밸브(35)는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흡입공(3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실린더보어(21')와 상기 흡입실(25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리드밸브(35)에는 상기 고정보스(31d)가 삽입되는 관통공(3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An
상기 흡입리드밸브(35)에는 흡입리드(37)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37)는 상기 흡입리드밸브(35)에서 상기 흡입공(31a)의 둘레에 밀착되는 부분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37)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보어(21') 내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25a)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흡입리드(37)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흡입공(31a)을 개방하고 상기 흡입공(31a)을 통해 상기 흡입실(25a)의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21')로 유입된다.The
상기 흡입리드(37)에는 관통홀(37')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7')은 상기 흡입리드(37)가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토출공(31b)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실린더블럭(21)에서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흡입리드밸브(35)가 설치된 면에 접하는 일단에는 규제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부(21")는 상기 흡입리드(37)가 상기 흡입공(31a)을 개방하도록 탄성변형되었을 때, 상기 흡입리드(37)의 선단이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리드(37)가 과도하게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A regulating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mpress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37,33')는 상기 흡입실 및 토출실(25a,25b)과 상기 실린더보어(21')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20)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37,33')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s 37 and 33 'are op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and
상기 압축기(20)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20)의 동작과정에서 각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해 윤활유가 저장된다. 이 윤활유에 의해 상기 밸브플레이트(31)와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37,33') 사이에 점막이 형성된다.Lubricant oil is stored in the
이러한 점막에 의해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37,33')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실린더보어(21')와 상기 흡입 및 토출실(25a,25b) 내부의 압력차가 커지게 되어, 상기 흡입 및 토출공(31a,31b)이 개방되는 시간이 짧아져 상기 실린더 보어(21')로 유입 및 유출되는 냉매의 양이 줄어 압축기(20)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ucosa increas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er bore 21 'and the suction and
또한, 상기 흡입리드(37)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흡입공(31a)을 개방시킬 때, 상기 흡입리드(37)의 선단은 상기 규제부(21")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리드(37)의 선단이 상기 규제부(21")와 접할 때, 타격음이 발생하게 되어 압축기(20)의 동작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을 줄이기 위해 상기 규제부(21")와 상기 흡입리드(37) 사이의 거리를 더 좁게 한다면 상기 흡입리드(37)가 탄성변형되는 양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된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플레이트의 흡입공에서 흡입리드와 접하는 부분에 흡입공의 횡단면적을 넓게 해주는 흡입단차부가 형성되고, 토출공에서 토출리드와 접하는 부분에는 토출공의 횡단면적을 넓게 해주는 토출단차부가 형성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step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of the valve plate in contact with the suction lead to wid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hole, the discharge lead in the discharge hole The contact por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in which the discharge step is formed to wid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ho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리드의 일부가 밸브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in which a part of the suction lead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보어에서 흡입리드의 선단과 접하는 부분에는 규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or in which a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ortion of the cylinder bor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lea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실린더보어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보어 내를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피스톤이 구비되며, 냉매가 유입 및 토출되는 흡입실 및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보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니트는,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공과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리드가 구비되는 흡입리드밸브; 그리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에서 상기 흡입리드밸브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리드가 구비되는 토출리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 기 밸브유니트 및 상기 압축기에는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밸브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개폐보조구조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therein, a piston is provided to enabl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cylinder bore,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 compressor comprising a valve unit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a suction chamber and a discharge chamber with the cylinder bore, the valve unit comprising: a valve plate formed to penetrate a suction hole into which a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hole into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 suction lead valv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valve plate and having a suction lea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And a discharge lead valve coupled to an opposite surface of the valve plate on the valve plate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lea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The valve unit and the compressor may include a discharge lead valve.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auxiliary structure for smooth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 valve.
상기 개폐보조구조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기 흡입리드밸브가 접하는 면에서 상기 흡입공의 일측과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기 토출리드밸브가 접하는 면에서 상기 토출공의 일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단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opening / closing auxiliary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ction hole in contact with the suction lead valve of the valve plat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discharge hol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lead valve of the valve plate. .
상기 개폐보조구조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에서 상기 흡입실에 위치한 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둘레부분이 그 중심부분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리드의 선단이 상기 밸브플레이트와 이격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auxiliary structure is bent portion of the valve plate in the suction chamber is formed so th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valve plate is stepped with the central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lead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plate.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단차량(t)은 0.03mm 이상 0.4mm 이하 이다.The step amount t of the valve plate is 0.03 mm or more and 0.4 mm or less.
상기 실린더보어의 상기 밸브플레이트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흡입리드가 탄성변형되었을 때, 지지되는 규제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On the surface of the cylinder bore in contact with the valve plate, when the suction lead is elastically deformed, the regulating portion supported is inclined.
상기 규제부의 경사각(θ)은 0°<θ≤45°사이로 형성된다.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0 ° <θ ≦ 45 °.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플레이트에서 흡입 및 토출공에 흡입단차부 및 토출단차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단차부 및 토출단차부는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의 압력작용면적을 넓혀주기 때문에, 흡입 및 토출리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흡입 및 토출리드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여 상기 흡입 및 토출리드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되므로, 실린더보어로 유입 및 유출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여 압축기의 효율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step portion and the discharge step portion are formed in the suction and discharge holes in the valve plate, respectively. Since the suction step and the discharge step widen the pressure acting area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s is increased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s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suction and discharge leads.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moothly,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and out of the cylinder bore increase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또, 실린더보어에서 흡입리드가 접하는 일단에 규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므 로, 흡입리드가 탄성변형되어 규제부와 접할때, 타격음이 감소하게 되고, 흡입리드가 탄성변형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들고, 압축기의 효율 또한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bore in contact with the suction lead, when the suction lead is elastically deformed to contact the restricting portion, the impact sound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ction lead is increased to operate the compressor.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is also improved.
또한, 흡입리드의 선단이 밸브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되므로, 흡입리드와 밸브플레이트 사이에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점막의 면적이 줄어 흡입리드가 같은 압력에서도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ip of the suction lead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rea of the mucosa formed by the lubricating oil between the suction lead and the valve plate is reduc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smooth even at the same pressur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구성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disassembled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of the valve unit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축기(120)의 골격일부는 실린더블럭(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21)의 내부에는 실린더보어(121')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21')는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피스톤(123)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23)은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피스톤(123)이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냉매를 압축시킨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portion of the skeleton of the
상기 실린더블럭(121)에서 후술할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접하는 부분에는 규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부(121")는 흡입리드(137)가 탄성변형되었을 때, 그 선단이 접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 흡입리드(137)가 과도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restricting
상기 규제부(12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규제부(121")에서 흡입리드(137) 선단이 접하는 부분과 흡입리드(137)에서 상기 규제부(121")를 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규제부(121")에서 흡입리드(137) 선단이 접하는 부분과 흡입리드(137)에서 상기 규제부(121")를 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면, 흡입리드(137)가 일정한 힘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규제부(121")와 접할 때의 속도가 작아지게 되고, 흡입리드(137)가 상기 규제부(121")에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이 감소하게 되어, 흡입리드(137)가 상기 규제부(121")에 접할 때,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도 줄어들게 된다.Preferably, the restricting
또한, 상기 규제부(121")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해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규제부(121")를 따라 이동하여 더 탄성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실린더보어(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120)의 효율이 좋아진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of the
상기 규제부(121")의 경사각(θ)은 0°<θ≤45°사이로 설정된다. 이는 상기 규제부(121")의 경사각(θ)이 45°이상 커질 경우, 상기 규제부(121")와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되어 상기 흡입리드(137)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과 상기 규제부(12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흡입리드(137)가 탄성변형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restricting
상기 실린더블럭(121)의 일측에는 후방하우징(125)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25)은 상기 압축기(120)의 후방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블럭(121)의 일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후방하우징(125)에서 상기 실린더블럭(121)을 향하는 면에는 흡입실(125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실(125a)은 상기 압축기(12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흡입실(125a)은 후술할 밸브유니트(130)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A
상기 후방하우징(125)에서 상기 흡입실(125a)의 일측에는 토출실(125b)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25b)은 상기 실린더보어(12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어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토출실(125b)은 상기 흡입실(125a)과 마찬가지로 밸브유니트(130)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A
상기 실린더블럭(121)과 후방하우징(125)의 사이에는 밸브유니트(13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유니트(130)는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흡입실(125a) 및 토출실(125b)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A
상기 밸브유니트(130)의 골격은 밸브플레이트(1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1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keleton of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는 흡입공(131a)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 공(131a)은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흡입실(125a)을 연통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공(131a)은 후술할 흡입리드밸브(1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흡입실(125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The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흡입공(131a)의 가장자리에는 흡입단차부(131a')가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단차부(131a')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서 흡입리드밸브(135)가 설치되는 면에 상기 흡입공(131a)의 가장자리에 소정량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단차부(131a')에 의해 상기 흡입공(131a) 일부의 횡단면적이 넓어져, 후술할 흡입리드(137)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게 되어 동일한 압력에서도 흡입리드(137)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suction step (131a ')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uction hole (131a). In more detail,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는 토출공(131b)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131b)은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토출실(125b)을 연통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공(131b)은 후술할 토출리드밸브(13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토출실(125b)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A plurality of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토출공(131b)의 가장자리부분에는 토출단차부(131b')가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단차부(131b')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서 토출리드밸브(139)가 설치되는 면에 상기 토출공(131b)의 가장자리에 소정량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단차부(131b')에 의해 상기 토출공(131b) 일부의 횡단면적이 넓어져 동일한 압력에서도 후술할 토출리드(139')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게 되어 토출리드(139')가 쉽게 탄성변형된다.As shown in FIG. 5, a
상기 흡입공(131a)의 사이에는 결합공(131c)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 합공(131c)은 상기 압축기(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하는 부분이다.The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보스(131d)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보스(131d)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형상으로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양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보스(131d)는 흡입 및 토출리드밸브(135,139)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서 상기 흡입단차부(131a')가 형성된 면에는 흡입리드밸브(135)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리드밸브(13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밸브(135)는 상기 흡입공(13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흡입실(125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A
상기 흡입리드밸브(135)에서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고정보스(131d)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보스홀(13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131d)가 상기 보스홀(135')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리드밸브(135)가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 고정된다.The
상기 흡입리드밸브(135)에는 그 일부가 절결되어 흡입리드(137)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리드(137)는 그 일단이 상기 흡입리드밸브(135)와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절결된 외팔보 형상으로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리드(137)는 상기 실린더블럭(121)과 상기 흡입실(125a)의 압력차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흡입공(131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A part of the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밸브유니트(130)가 상기 압축기(12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밸브플레이트(131)는 그 일부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절곡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이 일정거리(t) 단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플레이트(131)가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후방하우징(125)의 흡입실(125a)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와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가 절곡됨에 의해 상기 흡입리드(137)가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소정거리 이격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는 압축기(120)의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상기 흡입리드(137) 사이의 점막의 면적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상기 점막의 면적이 줄어들면 상기 흡입리드(137)가 쉽게 탄성변형되어 상기 흡입공(131a)을 개방시키므로,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밸브유니트(130)가 절곡되어 단차지는 단차량(t)은 0.03mm 에서 0.4mm 사이가 되도록 한다. 0.03mm 이하가 될 경우, 상기 흡입리드(137)가 윤활유에 의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 점착될 수 있고, 0.4mm 이상이 될 경우, 압축된 냉매의 토출과정에서 상기 흡입리드(137)가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흡입공(131a)을 견고하게 막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단차량(t)는 0.03mm 에서 0.4mm 사이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to reduce the area of the mucosa between the
상기 흡입리드(137)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123)이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하사점을 향해 직선이동하면,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압력은 상기 흡입실(125a)의 압력보다 작게 되므로, 상기 실린더보어(121') 방향으로 탄성변 형되고, 동시에 상기 흡입공(131a)이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흡입공(131a)을 연통되고 이때,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21')로 유입된다.Looking at the action of the
이후 상기 피스톤(123)이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상사점을 향해 직선이동하면,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125a)의 압력보다 높아져 상기 흡입리드(137)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접하도록 탄성변형되어 상기 흡입공(131a)을 차폐한다.Thereafter, when the
상기 흡입리드(137)에서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토출공(131b)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137')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7')은 상기 흡입리드(137)의 일부가 상기 토출공(131b)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A through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서 상기 토출단차부(131b')가 형성된 면에는 토출리드밸브(139)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리드밸브(139)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토출공(131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토출실(125b)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A
상기 토출리드밸브(139)의 양측단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고정보스(131d)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13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39")는 상기 고정보스(131d)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부(139")를 상기 고정보스(131d)가 관통하여 상기 토출리드밸브(139)가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에 고정되는 것이다.Fixing
상기 토출리드밸브(139)에는 토출리드(139')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리드(139')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이다. 상기 토출리드(139')는 재질과 형 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토출리드(139')가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토출실(125b)의 압력차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토출공(131b)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압축기(120)에는 상기 피스톤(123)과 연동되도록 설치된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123)이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Although not shown, the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실린더보어에서 냉매가 흡입 및 토출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discharged in the cylinder bor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압축기(120)의 구동축이 회전하면 구동축에 연결된 피스톤(123)이 실린더보어(121') 내를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피스톤(123)이 직선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로 냉매가 유입 및 토출된다.When the drive shaft of the
냉매가 흡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123)이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에서 하사점을 향하는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체적이 증가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압력은 흡입실(125a)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된다.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the
흡입리드(137)는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흡입실(125a)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121')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흡입리드(137)는 그 선단이 밸브플레이트(131)와 이격되어 있어, 윤활유에 의한 점막의 면적이 작게 되므로, 상 기 흡입리드(137)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차에 의해서도 쉽게 탄성변형된다.The
또한, 밸브플레이트(131)의 흡입공(131a)에는 흡입단차부(131a')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리드(137)의 압력작용 면적이 넓게 되므로, 상기 흡입리드(137)에 가해지는 힘이 더 커져 상기 흡입리드(137)가 쉽게 탄성변형된다. 상기 흡입리드(137)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흡입공(131a)을 통해 냉매가 유입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흡입리드(137)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실린더블럭(121)의 규제부(121")에 지지된다. 상기 규제부(12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규제부(121")에 접할 때, 발생하는 타격음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규제부(121")의 경사를 따라 더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후 냉매가 토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123)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을 향하는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의 냉매는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125a)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흡입리드(137)는 상기 밸브플레이트(131)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의 흡입공(131a)을 차폐한다.After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refrigerant, when the
한편 상기 실린더보어(121') 내부의 압력이 상기 토출실(125b)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토출리드밸브(139)의 토출리드(139')가 흡입실(125a)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토출공(131b)에는 토출단차부(131b')가 형성되므로, 상기 토출리드(139')의 압력작용면적이 넓어져 작은 압력차에서도 상기 토출리드(139')가 쉽게 탄성변형된다. 상기 토출리드(139')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토출공(131b)이 개방되어 상기 토출공(131b)을 통해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실(125b)로 토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bore 121 'become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이격되고, 상기 흡입공(131a) 및 토출공(131b)에 흡입단차부(131a') 및 토출단차부(131b')가 형성되므로, 상기 실린더보어(121')와 상기 흡입실(125a) 및 토출실(125b)의 압력차가 상대적으로 작아도 상기 흡입리드(137) 및 토출리드(139')가 쉽게 탄성변형되어 상기 실린더보어(121')로 유입 및 토출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As such,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상기 규제부(12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리드(137)와 상기 규제부(121")가 접할때 발생하는 타격음이 감소하고,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규제부(121")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더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실린더보어(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120)의 효율이 좋아진다.In addition, the restrict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어, 상기 흡입 및 토출단차부(131a',131b')가 형성된 것과 상기 흡입리드(137)의 선단이 상기 밸브플레이트(131)와 이격된 것 중 어느 하나만 실시되어도 상기 압축기(120)의 효율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only one of the suction and
또한, 상기 흡입 및 토출단차부(131a',131b')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어도 상기 압축기(12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only one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stepp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일부구성을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nventional compressor.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유니트의 구성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uni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실린더보어에서 냉매가 흡입 및 토출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discharged in the cylinder bor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0 : 압축기 121 : 실린더블럭120: compressor 121: cylinder block
121': 실린더보어 121": 규제부121 ': Cylinder bore 121 ": Regulator
123 : 피스톤 125 : 후방하우징123: piston 125: rear housing
125a: 흡입실 125b: 토출실125a:
130 : 밸브유니트 131 : 밸브플레이트130: valve unit 131: valve plate
131a: 흡입공 131a': 흡입단차부131a:
131b: 토출공 131b': 토출단차부131b:
131c: 결합공 131d: 고정보스131c:
135 : 흡입리드밸브 135': 보스홀135: suction lead valve 135 ': boss hole
137 : 흡입리드 137': 관통홀137: suction lead 137 ': through hole
139 : 토출리드밸브 139': 토출리드139: discharge lead valve 139 ': discharge lead
139": 고정부139 ": fixed par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205A KR101452487B1 (en) | 2008-01-29 | 2008-01-29 |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205A KR101452487B1 (en) | 2008-01-29 | 2008-01-29 | Compr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194A true KR20090083194A (en) | 2009-08-03 |
KR101452487B1 KR101452487B1 (en) | 2014-10-21 |
Family
ID=412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9205A Active KR101452487B1 (en) | 2008-01-29 | 2008-01-29 |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248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0935A (en) * | 2014-10-06 | 2016-04-15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Valve assembly for compressor |
CN106248133A (en) * | 2016-08-15 | 2016-12-21 | 上海交通大学 | A kind of heater full working scope upper end difference and lower end difference should reach the On-line Estimation method of value |
CN106295203A (en) * | 2016-08-15 | 2017-01-04 | 上海交通大学 | The unit heat economy online evaluation method that value calculates in real time should be reached based on upper end differen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26909B2 (en) * | 1993-10-07 | 2002-09-24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H0861241A (en) * | 1994-08-15 | 1996-03-08 | Sanden Corp | Valve plate device |
JPH10196542A (en) * | 1997-01-10 | 1998-07-31 | Zexel Corp | Reciprocating compressor |
-
2008
- 2008-01-29 KR KR1020080009205A patent/KR101452487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0935A (en) * | 2014-10-06 | 2016-04-15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Valve assembly for compressor |
CN106248133A (en) * | 2016-08-15 | 2016-12-21 | 上海交通大学 | A kind of heater full working scope upper end difference and lower end difference should reach the On-line Estimation method of value |
CN106295203A (en) * | 2016-08-15 | 2017-01-04 | 上海交通大学 | The unit heat economy online evaluation method that value calculates in real time should be reached based on upper end difference |
CN106295203B (en) * | 2016-08-15 | 2020-01-07 | 上海交通大学 | On-line evaluation method of unit thermal economy based on real-time calculation of upper end difference should reach valu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2487B1 (en) | 2014-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47395A (en) | Valved discharge mechanism of a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 |
US5586874A (en) | Reed valve arrangement for a reciprocating compressor | |
JP5173163B2 (en) | Linear compressor | |
US5655898A (en) | Reed valve arrangement for a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20140104300A (en) | Intake checking valve | |
KR20100065399A (en)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
KR100461231B1 (en) |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 |
KR20090083194A (en) | compressor | |
WO2018110449A1 (en) | Valve structure of compressor | |
US7399169B2 (en) | Compressor | |
US6382939B2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in which a suction valve is previously bent to open a suction port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 |
JP2019218879A (en) | Suction valve structur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20120122657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090130754A (en) | Valve Unit for Compressor | |
KR101115805B1 (en) | A discharge-valve mounting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 |
KR101175881B1 (en) | compressor | |
KR20110098215A (en) |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840919B1 (en) | compressor | |
KR20120018259A (en) | Valve plate asembly of compressor | |
KR20100091798A (en) | Valve unit for compressor | |
KR101613986B1 (en) | Valve plate assembly for compressor | |
KR101463267B1 (en) | compressor | |
KR100927830B1 (en) | Valve assembly and compressor having same | |
KR20110003826A (en) | compressor | |
KR101166286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