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025A - 진동칫솔 - Google Patents
진동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0025A KR20090080025A KR1020090057375A KR20090057375A KR20090080025A KR 20090080025 A KR20090080025 A KR 20090080025A KR 1020090057375 A KR1020090057375 A KR 1020090057375A KR 20090057375 A KR20090057375 A KR 20090057375A KR 20090080025 A KR20090080025 A KR 20090080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brush
- switch
- space portion
- vibrating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magne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 소형 모터를 이용한 진동칫솔에 관한것이다. 진동을 갖는 진동칫솔로 잇몸을 자극을 주어 잇몸 맛사지효과를 보게 되며 진동기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면 칫솔질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뿐만아니라 초소형 모터를 채택함으로써 칫솔의 크기가 변동없이 진동칫솔의 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쉽게 건전지 교환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아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진동칫솔, 전동칫솔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기능을 갖는 진동칫솔에 관한것이다. 치솔 시장에는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기술의 전동 칫솔이 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으며 많이 보편화 되어 있다. 전동칫솔의 경우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큰 모터를 사용하고 또한 오래 사용하고 충전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칫솔의 손잡이가 전체적인 칫솔기능의 모양보다 매우 크며 불편해 보인다. 뿐만 아니라 매우 고가이어서 서민층에서는 사용하기가 부담스럽다.
칫솔질은 하루 세 번 이상은 반드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질좋고 값이 싼 칫솔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행히 칫솔은 그 모양이 단순하기 때문에 아주 저렴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일부 전동 칫솔의 경우 너무 터무니 없이 비싼 경우가 많다. 또한 칫솔의 경우 브러시가 마모 되면 교체를 하여 주어야 하는데 그 주기가 대부분은 2개월에서 3개월이 적당하다. 비록 브러시가 마모되어 칫솔을 교체하는 것이지만 2개월 내지 3개월을 상용하면 칫솔의 손잡이 각 부분에도 이물질등이 끼어 아무리 잘 씻어도 오래된 느낌을 지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고가의 칫솔등은 브러시만 교체가 가능하여 전동칫솔의 취약부분인 손잡이 부분의 이음매 등에는 이물질 등이 잘 끼어있어 위생상 좋지않다.
본 발명은 브러시가 마보되면 진동칫솔 전체를 교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값싼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건전지 한 번 삽입으로 2개월 내지 3개월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진동 칫솔을 구성하는것과, 값싼 진동칫솔을 만들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점을 찾기 위하여 칫솔대를 1차 성형하고 그 주면에 진동모터, 건전지, 그 구성을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전기적회로수단 등을 구성한 다음 다시 금형에 넣고 2차 성형하여 만드는 것으로 진동 칫솔 자체가 간단하고 깨끗하여 위생적이며 그 모양과 크기가 진동칫솔임에도 일반칫솔과 비슷하며 별도의 충전없이 칫솔모가 마모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칫솔을 만들 수 있다. 진동모터로 초소형 진동모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적어서 일반 건전지 만으로 2개월 남짓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칫솔은 그 값이 매우 저렴하여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진동칫솔이며 건전지의 충전없이 1회사용시간이 3분으로 하루 3번 사용할 경우 2개월 남짓 사용할 수 있어 충전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고 건전지의 교환도 쉽게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부담없이 사용할 수있는 진동 기능이 있는 칫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에서 1차 성형 된 칫솔 대는 칫솔모이식구멍(11)을 구비한 칫솔머리(10)와 칫솔목부위(12), 칫솔대(13), 이중사출연결부(14), 진동모듈수단틀(15), 진동모듈부끝단(16)까지 칫솔의 형태를 갖추고 진동모듈수단틀(15)을 구비하고 있고 그 열린 내부에는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가 마련되고 스위치구성공간부(19),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가 마련되어 있으며 진동모듈수단틀(15)의 여러 곳에 성형센터돌기(17)가 마련되어 2차성형을 할 때 금형 틀에서 센터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중사출연결부(14)에서 진동모듈부끝단(16)까지는 미 완숙된 칫솔대로 2차 성형으로 완성시켜야 하는 부분인데 그 전에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 스위치구성공간부(19),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에 각 각 부품들을 조립 구성하고 2차 성형을 하여 완성하게 된다. 회로구성수단(21)은 전지수단(30)의 전류를 스위치수단(28)과 전기적, 전자적 회로 수단으로 연결시켜 진동모터수단(27)을 구동시키는 회로수단이다. 회로구성수단(21)의 마이너스탄성단자수단(22)에서 전지수단(30)의 마이너스가 접지되며 마이너스출력단자(23)로 직접 연결되며 플러스단자수단(24)은 전지수단(30)의 플러스가 접지되고 스위치수단(28)과 스위치연결단자(25), 플러스출력단자(26)에 에 서로 on/off의 컨트롤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회로 적으로 연결되어 플러스출력단자(26)에 출력을 할 수 있다. 진동모터수단(27)은 마이크로 진동모터로 휴대폰 등 진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지만 그 진동 효과는 매우 큰 것이 장점이다. 다양한 모양의 진동모터수단(27)이 실제 사용되고 있어 아주 값이 싼 것이 또한 장점이다. 스위치수단(28)은 마이크로 스위치 수단으로 각 전자 부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가 매우 작고 다양한 컨트롤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값이 매우 저렴하여 진동칫솔 제작에 있어 그 비용이 아주 저렴한 제품이다. 전지수단(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전지를 사용하여야 그 값이 저렴하게 진동 칫솔을 제작할 수 있다. 진동모터수단(27)의 소비전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3분 정도의 칫솔질로 하루 3번 하면 2개월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면 칫솔모가 이미 상해서 칫솔모의 교환주기가 되었기 때문에 전지수단(30)을 굳이 충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충전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 스위치구성공간부(19),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에 회로구성수단(21)을 삽입 고정하고 진동모터수단(27)을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에 조립하고 스위치수단(28)은 스위치구성공간부(19)에 조립구성하고 전지수단(30)은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에 조립하여 회로구성수단(21)과 전기적 회로 적으로 연결하여 스위치수단(28)으로 진동모터수단(27)을 on/off/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스위치방수커버수단(29)을 스위치수단(28)에 씌어 스위치방수커버수단(29)은 고무 수단으로 할 수가 있지만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가진 실리콘 수단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되어도 도 3과 같이 구성한 것을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이라 칭하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은 상기에 열거한 구성을 칭하는 것이다.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을 2차성형 금형에 넣으면 성형센터돌기(17)들이 금형에 닿아 센터를 잡아주게 되며 도 4와 같이 칫솔손잡이수단(40) 을 을 성형한다. 칫솔손잡이수단(40)은 소재는 합성수지류, 고무류, 실리콘 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칫솔모이식구멍(11)칫솔모(50)를 삽입하면 진동 칫솔이 완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열거한 방법으로 이중사출연결부(14)에서 진동모듈부끝단(16)까지 의 구성을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이라 칭하는 것으로 하며 2차 성형 금형에 넣으면 성형센터돌기(17)가 센터를 잡아주게 되고 2차성형으로 칫솔모이식구멍(11)을 구비한 칫솔머리(10), 칫솔목부위(12), 칫솔대(13), 이차성형칫솔대수단(45), 손잡이끝부(46)까지 성형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재는 합성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모이식구멍(11)에 칫솔모(50)를 이식하면 진동칫솔이 완성된다. 이차성형 할 때 금형 안에 들어가는 진동모터수단(27)의 내부에 있는 자석은 높은 열을 받으면 자석이 자성을 잃게 되어 모터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2차 성형을 할 때 진동모터수단(27)의 외부에 열전달이 늦은 테이프를 감아서 성형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자석을 방향성 자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방향성 자석은 제조할 때 일방 향으로 자석원자의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착자를 하면 자연적으로 그 방향대로 자극이 들어간다. 다시 자성을 잃게 한 다음 착자를 하여도 똑 같은 방향으로 자극이 들어가기 때문에 가령 금형 안에서 진동모터수단(27)이 자성을 잃었을 때 외부에서 착자를 넣으면 제 방향으로 자극이 들어가서 진동모터수단(27)의 기능을 찾게 된다. 전지수단(30)은 높은 열에 놓으면 폭발 및 누수현상이 올 수있기 때문에 그 외부에 열전달이 늦은 테이프 등으로 감싸서 성형할 수 있고 또한 성형시에는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을 냉동 수단에 넣어 온도를 낮춘 다음 바로 꺼내 성형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2차 성형은 짧은 시간 안에 끝나고 끝나면 바로 냉각기를 갖기 때문에 아무 탈없이 진동 칫솔을 2차 성형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은 진동모듈수단틀(15)이 구비된 1차 성형 된 칫솔대의 사시도.
도 2는 1차 성형 된 칫솔대와 회로구성수단(21)과 각 부품수단들을 조립 순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2차 성형으로 칫솔손잡이수단(40)을 완성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칫솔모(50)를 식모 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의 외부에 이차성형칫솔대수단(45)을 2차 성형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칫솔모(50)를 이식하여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칫솔머리(10) 칫솔모이식구멍(11)
칫솔목부위(12) 칫솔대(13)
이중사출연결부(14) 진동모듈수단틀(15)
진동모듈부끝단(16) 성형센터돌기(17)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 스위치구성공간부(19)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 회로구성수단(21)
마이너스탄성단자수단(22) 마이너스출력단자(23)
플러스단자수단(24) 스위치연결단자(25)
플러스출력단자(26) 진동모터수단(27)
스위치수단(28) 스위치방수커버수단(29)
전지수단(30)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 이차성형칫솔손잡이수단(40)
손잡이끝부(42) 이차성형칫솔대수단(45)
손잡이끝부(46) 칫솔모(50)
Claims (8)
1차 성형으로 칫솔모이식구멍(11)을 구비한 칫솔머리(10)와 칫솔목부위(12), 칫솔대(13), 이중사출연결부(14), 진동모듈수단틀(15), 진동모듈부끝단(16)까지 칫솔의 형태를 갖추고 진동모듈수단틀(15)을 구비하고 있고 그 열린 내부에는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가 마련되고 스위치구성공간부(19),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가 마련되어 있으며 진동모듈수단틀(15)의 여러 곳에 성형센터돌기(17)가 마련되어 2차성형을 할 때 금형 내부에서 센터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하고 이중사출연결부(14)에서 진동모듈부끝단(16)까지는 미 완숙된 칫솔대로 2차 성형으로 완성시켜야 하는 부분으로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 스위치구성공간부(19),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는 일측이 열려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회로구성수단(21)은 전지수단(30)의 전류를 스위치수단(28)과 전기적, 전자적 회로 수단으로 연결시켜 진동모터수단(27)을 구동시키는 회로수을 구비하며 회로구성수단(21)의 마이너스탄성단자수단(22)에서 전지수단(30)의 마이너스가 접지되며 마이너스출력단자(23)로 직접 연결되며 플러스단자수단(24)은 전지수단(30)의 플러스가 접지되고 스위치수단(28)과 스위치연결단자(25), 플러스출력단자(26)에 에 서로 on/off의 컨트롤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회로 적으로 연결되어 플러스출력단자(26)에 출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 스위치구성공간부(19),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에 회로구성수단(21)을 삽입 고정하고 진동모터수 단(27)을 진동모터구성공간부(18)에 조립하고 스위치수단(28)은 스위치구성공간부(19)에 조립구성하고 전지수단(30)은 전지수단구성공간부(20)에 조립하여 회로구성수단(21)과 전기적 회로 적으로 연결하여 스위치수단(28)으로 진동모터수단(27)을 on/off/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스위치방수커버수단(29)을 스위치수단(28)에 씌어 스위치방수커버수단(29)은 고무 수단으로 할 수가 있지만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가진 실리콘 수단으로 하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을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을 2차성형 금형에 넣어 성형센터돌기(17)들이 금형에 닿아 센터를 잡아주게 하여 이차 성형으로 칫솔손잡이수단(40)을 을 성형하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제 4항에 있어서 이차 성형의 칫솔손잡이수단(40)은 소재는 합성수지류, 고무류, 실리콘 류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2차 성형을 할 때 진동모터수단(27), 전지수단(30), 스위치수단(28)의 외부에 열전달이 늦은 열차폐수단, 테이프 수단를 감아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이차성형후 진동모터수단(27)에 사용되는 자석에 착자를 하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이차 성형전에 칫솔대진동모듈수단(35), 칫솔대진동모듈수단(36)을 냉동 수단에 넣어 온도를 충분히 낮춘 다음 바로 꺼내 이차성형하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7930 | 2009-04-30 | ||
KR20090037930 | 2009-04-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025A true KR20090080025A (ko) | 2009-07-23 |
Family
ID=412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7375A KR20090080025A (ko) | 2009-04-30 | 2009-06-26 | 진동칫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8002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22883A1 (ko) * | 2016-01-13 | 2017-07-20 | 주식회사 블루레오 | 전동칫솔 |
-
2009
- 2009-06-26 KR KR1020090057375A patent/KR200900800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22883A1 (ko) * | 2016-01-13 | 2017-07-20 | 주식회사 블루레오 | 전동칫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1520B2 (en) | Toothbrush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CN101541258B (zh) | 电动-电子牙刷 | |
CN107394982B (zh) | 微型直流电机 | |
CN106377331A (zh) | 电动牙刷的充电机构 | |
CN103784062A (zh) | 一种声波洗脸刷 | |
CN107431371A (zh) | 电气设备单元 | |
KR20170117009A (ko) | 자외선을 이용한 골프채 소독 장치 | |
JP2009045202A (ja) | 電動歯ブラシ及び取替用ブラシ | |
CN206745463U (zh) | 一种电动牙刷 | |
CN104323867A (zh) | 一种牙齿清洁装置 | |
CN204636169U (zh) | 清洁装置 | |
CN203724016U (zh) | 一种声波洗脸刷 | |
KR20090080025A (ko) | 진동칫솔 | |
CN205359681U (zh) | 一种带音乐功能的儿童电动牙刷 | |
CN204233238U (zh) | 一种牙齿清洁装置 | |
KR200449047Y1 (ko) | 마스카라 브러쉬 | |
CN215273535U (zh) | 牙刷头及电动牙刷 | |
CN209253195U (zh) | 一种电动牙刷 | |
CN211381906U (zh) | 一种电动牙刷头结构 | |
CN205359333U (zh) | 一种电动声波振动的面部清洁刷 | |
CN111388122A (zh) | 电动牙刷 | |
CN201388691Y (zh) | 一种可更换牙刷头的牙刷 | |
CN208355585U (zh) | 一种智能电动牙刷 | |
CN209712826U (zh) | 振动清洁鞋刷 | |
CN219148006U (zh) | 一种组合式电动牙刷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