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479A - Tidal power generator - Google Patents
Tidal power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9479A KR20090079479A KR1020080005480A KR20080005480A KR20090079479A KR 20090079479 A KR20090079479 A KR 20090079479A KR 1020080005480 A KR1020080005480 A KR 1020080005480A KR 20080005480 A KR20080005480 A KR 20080005480A KR 20090079479 A KR20090079479 A KR 200900794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rator
- power
- bevel gear
- rotary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1—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물과 썰물의 해수 순환, 수압의 차이에 의하여 회전되는 조력을 이용하여 원추 모양의 스쿠류(프로펠라) 형태의 회전날개부(70,수차)를 이용하여 1차 회전시키고 그로 인하여 원형의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를 회전시켜 2차 회전 원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두 개의 원형 동력전달베벨기아(40,40a)의 베벨기아 선상 위에 여러 개의 발전기(정회전용 발전기-하단발전기(20), 역회전용 발전기-상단발전기(30))를 설치하여 그로 인하여 3차 증폭 회전을 발생시켜 전기 동력을 얻는 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rotation by using a rotary wing portion (70, aberration) of the cone-shaped skew (propeller) using the help of the sea water circulation, the water pressure of the ebb tide and low tide is rotated by the circular power The transmission bevel gears 40 and 40a are rotated to generate secondary rotational driving force. 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reverse generator-low generator 20, reverse generator-top generator 30) on the bevel gear of two circular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s (40, 40a), thereby amplifying the thi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dal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by generating rotation.
이러한 발명은 달의 인력에 의한 조수의 유입에 따른 양방향성과 더불어 밀물과 썰물의 방향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발전원인 수차의 형태(회전날개부,70)를 수심에 따른 수압과 해류의 이동을 감안하여 심해로 부터 스쿠류(프로펠라) 형태로 구성하여 1차 회전력을 얻고 다시 회전된 수차를 원형의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로 그 회전력을 확장한다. 또한, 변화가 심한 해류의 방향에 적응하기 위하여 원형의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를 상판과 하판의 구조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다량의 발전기를 높이를 다르게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가 밀물 시 발전을 하고,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가 썰물시 발전을 한다. 이는 1개의 동력회전원인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에 여러 대의 발전기(20,30, 발전터빈)를 운영하여 대랴의 전원을 생산하는 조력발전을 특징으로 한다. This invention overcomes the bidirectionality caused by the inflow of tidal currents by the lunar gravity and overcomes the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high and low tide, and the water depth (rotation blade, 70) is the source of power for continuous development in any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pressure and the movement of currents in the form of a squirrel (propeller) from the deep sea to obtain the first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onal aberration of the circular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 40a) to extend its rotational force. In addition, in order to adapt to the direction of the severe current changes, the circular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s (40, 40a)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large number of generators in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 It develops at high tide, and the upper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a) generates at low tide. This is characterized by tidal power generation to produce the power of Darya by operat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20, 30, power generation turbines) in the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 40a), one power sou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다의 수력을 이용하여 동력원인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해류의 흐름을 양방향에서 이용하면서 동시에 다량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power while using the current flow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produce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by using the hydro of the sea.
조력발전은 조석간만의 차가 현저한 해안에 방조제 등에 축조하여, 외해가 고조일 때 수문을 열어 해수를 발전용 구조물에 유입시키거나 외해가 저조일 때 발전용 구조물에서 외해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수차를 구동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Tidal power is built on a coastal seashore where the tidal-wave difference is remarkable, opening water gates at high tide to inflow seawater into power generation structures, or driving aberrations in the process of draining water from power generation tectonics to low tide at low tide. To develop.
또한 차력발전과 같이 바다의 일부에 수차를 고정하여 바다의 수력으로 수차를 돌려 발전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the aberration is fixed to a part of the sea, and the power generation of the aberration is turned to the hydroelectric power of the sea.
수차의 경우에는 높은 댐을 세워 수력발전을 하는 고수위차 수차기술은 발전되어 있으나 저수위 수차는 효용성이 떨어져 기술계발의 초기단계에 있다. 카프란 수차 또한 밀물과 썰물 시 양방향으로 발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었으나 운용하기가 비효율적이어서 썰물에서만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In the case of aberrations, high-level aberration technology, which uses high dams to generate hydroelectric power, has been developed. However, low-water aberrations are in the early stag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due to their poor utility. Kaplan aberrations were also installed to generate power in both directions at high and low tide, but they are developing only at low tide because they are inefficient to operate.
회전식 발전기도 수차와 같이 육상의 고수위차 수력발전에는 적합하나 에너지 밀도가 낮은 관계로 유동속도가 느려 유동장의 단면적을 넓혀야만 있는 것이 현재의 조력 발전 기술이다. Rotary generators, like aberrations, are also suitable for onshore high-level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but the current tidal power generation technology has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field due to low flow rate due to low energy density.
조력발전은 바다의 방파제나 일정구조물을 형성하고, 바다의 일부 면에 그 조력발전기를 고정하여 전기동력원을 얻는다. 이는 일정한 조석간만의 차이가 있는 지역이나 지형상으로 해류의 흐름이 일정속도를 유지하는 곳에서만 발전이 가능하기에 위치 선정 및 발전구조물 설비에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 수단은 모두가 1개의 수차 또는 다량의 수차를 이용하여 1개의 발전원(발전용 터빈)을 구비하여 이용하고 있어 많은 건설비와 더불어 한정되어지는 지역에서만 발전설비가 형성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Tidal power forms sea breakwater or certain structures and secures the tidal generator on some side of the sea to obtain an electric power source. This is because there is a lot of problems in the location selection and power generation structure facilities because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only in a region or terrain where there is only a certain tidal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flow maintains a constant speed. In addition, the existing means are all equipped with one power source (power turbine) using one aberration or a large number of aberrations,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is limited to be formed only in a limited area with many construction costs.
또한 이는 일정지역에서 발전이 이루어짐으로 전기원이 필요한 섬이나 기타 도서 및 내륙에 원거리 전달을 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wer generation is made in a certain area, there is a problem of installing and managing a structure for remote transmission to an island or other islands and inland where electricity is need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해류의 거대한 힘을 한 개의 수차(회전날개부,70)에 집중하도록 하고, 그 수차는 원형의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를 통하여 여러 개의 발전기(20 상단발전기,30 하단발전기, 발전터빈)를 동시에 회전시켜 발전 가능하도록 하여 1개의 수차로 많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함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oncentrates the huge force of the currents on one aberration (rotational blade part 70), and the aberration is through the circular power
또한, 해류의 방향이 조석간만의 차이로 인하여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회전날개부(70)의 나선형(프로펠라) 구조로 인하여 수차(회전날개부,70)의 회 전을 통제하는 회전변환부(60)를 갖고 그것으로 의하여 상단동력전달베벨기어(40a)가 회전할 때는 상단발전기(30)가 전기원을 생산하고 하단동력전달축베벨기어(40)가 회전할 때는 하단발전기(20)가 전기원을 생산하여 해류의 방향과 관계없이 조력발전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due to the spiral (propeller) structure of the
해양에너지 자원은 일단 개발이 되면 태양계가 존속하는 한 이용이 가능하고 오염문제가 없는 무공해 청정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ce developed, the marine energy resources can be used as long as the solar system survives, and have the effect of obtaining pollution-free clean energy without pollution problems.
본 발명을 이용한 조력발전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토목공사로 이루어진 조력발전 댐이나 바다의 일부 면에 고정되어 해상 동식물의 이동경로를 차단 함으로써 해양 생태계가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력발전 설비를 건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Tidal power generatio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isturbance of the marine ecosystem by blocking the movement path of marine animals and plants fixed to a side of the tidal power dam or sea made of civil engineering work that is time and costly, tidal power generation It does not need to build equipment, so it is cost effective.
또한, 수차발전은 수차발전기를 설치할 조건을 찾아내기 어려운 상황이나 본 조력발전기의 경우 밀물과 썰물이 있는 바다(지구가 존재하는 한의 무한 자연 에너지)에서는 어느 곳이든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여 에너지원을 요구하는 바닷가에서는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berration power generation is difficult to find a condition to install aberration generator, but in the case of this tidal power generator, it can be installed and moved anywhere in the sea where there is high and low tide (infinite natural energy as long as the earth exists). At the required beach, it can be installed anywhere.
저속의 바다 해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차를 수압별로 그 크기를 점차 변화시켜 회전발개부(70)를 돌리고 그로 인하여 수차의 회전과 더불어 원형의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가 회전함으로 그 동력전달베벨기어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발전기를 운영할 수 있음으로 1개의 구조물에서 기존의 설비보다는 많은 전기원 생산설비를 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 효과가 있다. By using the flow of the ocean current at low speed, the aberration gradually changes its size by water pressure, thereby turning the
이는 또한 이동이 가능한 조력발전기(발전기 바지선,1)로 전기원이 필요한 지점을 찾아가 발전을 함으로 전기의 이동시 생기는 구조물의 설비와 전기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and facilities of the structu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electricity by moving to the tidal generator (generator barge, 1) to move to the point where the power source is needed.
본 발명이 제시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조력발전장치의 작동 및 작동원리구성도이다. 대부분의 조력발전이 한 방향성을 갖고 발전을 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 양방향성, 즉 밀물과 썰물의 발생시 생기는 해수의 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회전날개부(70)의 형태가 선박용 프로펠라 구조와 비슷한 형태를 갖는다. 1 is an ope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tidal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most tidal power generation with on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idirectional, that is, the shape of the
이는 회전날개부(70)의 회전기둥부(61)가 해수면으로 내려가면서 원추형으로 구성(도 5의 회전기둥부,61에서 회전기둥부하단,77) 되므로 바다의 바닥면이 수압에 의한 회전날개부(70)의 저항을 줄여 줄 수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수심이 깊을 수록 수압의 에너지는 커지는 반면 해류의 이동은 그 속도가 늦은 것에 창안한 구성이다. 이는 경수심회전날개(73)와 심층수심회전날개(75)가 수압에 따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회전날개(부호 73,74, 75,76의 통괄 지칭)는 사선형(도 5의 회전날개부(70)의 사시도 참조)으로 기울어짐으로 해수의 방향이 육지로의 방향이면 회전날개부(70)가 좌측(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하여 회전날개부앞면(71)의 힘을 받은 회전날개부(70)는 회전날개부 전체를 해수면 아래로 밀면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이 하단발전기(30)를 회전시키게 되어 전기원을 얻게 된다.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이와 반대로 해수의 방향이 바다로의 방향이면 회전날개부(70)가 우측(시계방향 회전,도 7의 부호 78)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하여 회전날개부뒷면(72)에 힘을 받은 회전날개부(70)는 회전날개부(70) 전체를 들어 올리면서(도 7의 회전날개부(70)의 회전작동부 참조)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이 하단발전기(20)를 회전시키게 되어 전기원을 얻게 된다. On the contrary, if the direction of the sea water is the direction to the sea, the
또한 이는 도 2의 본 발명의 정,상면도 내부도에서 보이 듯이 하나의 회전날개부(70)가 회전하면서 대형의 원형 베벨기어인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를 천천히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대형의 원형 베벨기어인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는 회전날개부(70)의 전달을 받아 회전하면서 하단발전기(20)에 설치된 발전기베벨기어(21)가 회전하게 되는데, 그 기어 비율 및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의 크기에 따라 발전기의 회전속도는 수력에너지의 크기에 맞게 적절한 조정이 가능하며 그 설치 비율에 따라 최대의 회전수를 확보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inner and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2, one
이는 다시 저속이지만 밀물과 썰물의 발생시 해수에서 발생 되는 거대한 에너지의 전달을 받은 회전날개부(70)의 회전과 더불어 이루어지는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하나의 수차에 하나의 발전원이라는 개념을 벗어나 하나의 수차에 여러 개의 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여러 수차에서 벨트나 연결구를 이용하여 한개의 발전설비(발전기 터빈)를 작동시키는 방법에서 벗어나 동시 다량발전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It is a low-speed again, but the generator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ower surface power
도 3은 본 발명의 정,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80)에 의하여 발전기 바지선(1)은 해수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해수면 아래에는 회전날개부(70)가 위치하고 해수면의 위에는 파도나 우천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호덮개(90)가 구비된 발전기 바지선(1)이 있고, 발전기 바지선(1)의 내부에는 바지선 하부면(1a)의 중심에 회전변환부(60)가 위치하게 된다. 회전변환부(60) 상단에 연결된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와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의 중심인 베벨기어중심축(50)을 기준으로 위치하게 된다. 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와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가 위치하는 이유는 도 4의 본 발명의 회전변환부(60)의 상세 평면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는 회전날개부(70)가 해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하여 밀물과 썰물에 관계없이 발전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reason why the lower surface power
해수의 힘을 이용하여 청정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해상구조물인 발전기 바지선(1)을 만들고 발전기 바지선(1) 위에 회전 가능한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을 설치하고 그의 중심의 하부 면에 원추형태의 중심기둥에 사선으로 회전날개를 달아(도 5의 회전날개부(70)의 사시도 참조) 회전날개의 표면에 해수의 힘을 받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을 받은 동력전달베벨기어(40,40a) 다시, 발전기베벨기어(하단발전기베벨기어 21, 상단발전기베벨기어 31-편의상 상면과 하면을 통칭할 때는 두 개의 부호를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로 발전기베벨기어라 칭한다.)를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발전기(하단발전기 20, 상단발전기 30-편의상 상단발전기와 하단발전기를 통합하여 명칭 할 때는 두 개의 부호를 동시에 발전기라 칭한다.)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다량의 전기와 조수간만의 차이를 극복하면서 다량의 지속적인 발전 을 하기 위해서는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와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를 효과적으로 운영해야만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해수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원추형태의 구조를 가진 회전날개부(70)의 회전기둥부(61)에는 다수의 사선형 날개를 갖게 된다. In order to obtain clean energy using the power of seawater, a generator barge (1), which is a marine structure, is installed, and a rotatable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 40a) is installed on the generator barge (1), and a conical shap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thereof. A rotating blade is attached diagonally to the central pillar (see perspective view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날개부(70)의 평면도이다. 회전날개부(70)의 형태는 원추형(부호 61에서 77)의 회전기둥부(61)를 갖고 그의 회전기둥부(61)의 표면에 사선형으로 경수심회전날개(73), 중수심회전날개(74), 중중수심회전날개(75), 심층수심회전날개(76)을 구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날개들을 구성하는 이유는 바다의 바닥면으로 내려갈수록 수압이 높아지고 그러므로 인하여 물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회전날개의 크기들에 차별을 두었다. 또한 이는 밀물과 썰물, 즉 물의 흐름이 한방향이 아닌 것에 창안하여 회전날개을 사선형으로 구성하게 된 것이다. 5 is a plan view of the
이렇게 밀물과 썰물의 차이로 변환되는 해류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하여 회전날개부(70)가 좌로 회전(도 6의 회전날개부(70)의 좌회전 작동도)하면서 회전력과 수압에 의하여 회전기둥부(61)가 들어 올려지면서 발전기 바지선(1)의 바지선 상단케이스(1b)와 바지선 하단케이스(1c)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기둥부턱(51)의 하면발전기마찰부(52)가 바지선 상단케이스(1b)에 위치한 볼베어링(55)의 베어링을 타고 돌게 되고 이때,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가 발전기 바지선(1)에 고정된 하단발전기베벨기어(21)를 회전시키면서 하단발전기(20)이 발전을 하게 된다. Thus, in order to adapt to the current flow convert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tide and the low tide, the
그러나 회전날개부(70)가 좌로 회전(도 7의 회전날개부(70)의 우회전 작동도)하면서 회전력과 수압에 의하여 회전기둥부(61)가 내려지면서 발전기 바지선(1) 의 바지선 상단케이스(1b)와 바지선 하단케이스(1c)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기둥부턱(51)의 상면발전기마찰부(53)가 바지선 하단케이스(1c)에 위치한 볼베어링(55)의 베어링을 타고 돌게 되고 이때,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가 발전기 바지선(1)의 상면발전기받침대(32)에 고정된 상단발전기베벨기어(31)를 회전시키면서 상단발전기(30)이 발전을 하게 된다. However, while the
이와 같이 회전날개부(70)가 상하로 작동할 수 있는 원리는 도 6의 회전날개부(70) 좌회전 작동도와 도 7의 회전날개부(70) 우회전 작동도에서 나타나 듯이 해류의 방향(86, 도6 참조)이 회전날개부(70)의 회전기둥부(61)에 구비된 회전날개 앞면(71)에 해류의 흐름에너지를 전달받으면 그 에너지는 해류의 마찰 후 방향(87)으로 해수면으로 올라가게 되지만, 회전날개부(70)는 바다의 바닥면으로 하강(회전날개부 하강방향, 도 6의 79)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nciple that the
이와 반대로 해류의 방향(86, 도 7의 86)의 해류 에너지가 회전날개 뒷면(72)에 전달되면 해류의 마찰 후 방향(87, 도 7의 87)이 바다의 바닥면으로 향하게 된다. 이는 회전날개부(70)를 상승시키는 효과(78, 회전날개부 상승방향, 도 7 참조)를 가져오게 되고 이때 회전날개부 상승방향(78)과 회전날개부 하강방향(79)을 회전변환부(60)가 통제하여 상단발전기(30)와 하단발전기(20)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urrent energy of the current direction 86 (86 of FIG. 7)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서술과 같이 수차의 날개 즉 프로펠라 형태의 회전날개부(70)가 나선형 구조의 날개(71, 도 5 회전날개부(70) 사시도 참조)으로 밀물과 썰물의 그 회전방향의 변화는 것에 적응하기 위하여(밀물과 썰물시 양방향 발전을 하기 위하여) 하 면동력전달베벨기어(40)와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의 위치가 서로 위 아래로 마주 보아 회전날개부(70)의 방향이 좌로 회전하면 상단 발전기가 작동을 하고 수차의 방향이 우측으로 회전할 때는 하단 발전기가 작동함으로 해류의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는 조력발전장치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lade of the aberration, that is, the propeller-type
또한 바다의 해수는 그 깊이와 수압의 차이에 따라 밀도 에너지의 차이가 현격한 것이 일정 크기의 수차를 회전시키는 것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해수의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상황과 수압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수차(회전날개부,70-일반적인 조력발전에서 수력을 이용한 회전동력원을 얻는 것을 수차라 칭하고 본 기술에서는 회전날개부(70)의 유사개념으로 보고 겸용 사용한다.)의 날개가 해수면을 기준으로 바닥면으로 점점 작아지면서 수차 날개의 구조도 그 날개의 회전각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수력 회전날개부(70)을 갖고 있어 수압차이에 의한 해류의 이동에도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sea water of the sea causes a lot of problems in rotating the aberration of a certain size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density energ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depth and water pressur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erration (rotation blade, 70-generated tidal power source to obtain a rotating power source using hydraulic power in order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the water pressure changes from time to time is called aberration, and 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rotor blade 70) As the wing of the wing becomes smaller and smaller with respect to the sea surface based on the sea level, the aberration wing also has a hydraulic
도 5의 회전날개부(70) 사시도를 보면 회전날개부(70)의 회전기둥부(61)에서 바다의 바닥면으로 그 기둥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회전기둥부하단(77)에 이르게 된다. 또한 회전날개부(70)에 구비된 회전날개는 경수심회전날개(73), 중수심회전날개(74), 중중수심회전날개(75), 심층수심회전날개(76)를 구비하고 그 회전날개의 결합도 원추형의 회전기둥부(61)에 사선으로 구비되어 있다. Looking at the perspective view of the
이는 해수의 밀도가 높은 수압에 적응하기 위한 구조인데, 바다의 바닥면일수록 수압이 높음으로 경수심회전날개(73)와 같은 회전 날개를 갖는다면 밀도가 높은 수압에 저항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해수의 깊이를 고려하여 회전날개(73에서 76)와 회전기둥부(61)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는 바다의 바닥면이나 지형상의 이유로 해류의 흐름이 차이를 보이는 지역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경수심회전날개(73), 중수심회전날개(74), 중중수심회전날개(75), 심층수심회전날개(76)의 위치를 서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This is a structure for adapting to the high pressure of the sea water, the higher the water pressur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 can have a resistance to the high pressure of the water pressure if the rotor has a rotary wing, such as the deep water rotor blade (73).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of the seawater rotary blades (73 to 76) and the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설치도이다. 이는 상기의 조력을 대량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기발생기인 조력발전장치(발전기 바지선,1)를 바다에 임시 정박시키기 위하여 바지선 연결고리(2)와 바지선 연결받음고리(3)를 서로 연결하여 도 8과 같이 발전기 바지선(1) 들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8 is a connection install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connect the barge link (2) and the barge link receiving ring (3) to each other in order to temporarily anchor the tidal power generator (generator barge, 1) that is an electric generator to the sea in order to use the above tidal mass in Figure 8 and Likewis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generator barges (1).
발전기 바지선(1)들이 서로 바지선 연결고리(2)와 바지선 연결받음고리(3)로 서로 연결하고 발전기 바지선(1)의 설치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면 발전기의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관리용 바지선(95)를 필요 선택부분에 위치 시키고, 관리용 바지선(95)에 고정용 앙카(85)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발전 설비를 바다의 필요부분에 바지선을 고정하듯 정박시킨다. When the generator barg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arge connecting ring (2) and the barge connecting ring (3), and the installation of the generator barge (1)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barge (95) is not made of the generator It is positioned in the required selection, and provided with a fixing
이는 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40), 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a)로 하여 여러 배수로 확대되어 전기발전을 증폭 시키면서도 이를 다시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발전기 바지선(1)을 조립식 블록처럼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함으로 필요량의 전기전원 생산에 대응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형태는 해류의 이동 속도가 빠른 해수로에 방파제 형태로 구성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거나, 대단위 발전을 위하여 발전기 바지선(1)을 다수로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It can be connected to the generator barge (1) as a prefabricated block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 and the top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a) can be expanded to multiple multiples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power while amplify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It is a configuration to cope with the production of the required amount of electric power.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by forming a breakwater in a seawater channel with a fast moving speed of the current, or to install a large number of generator barge (1) for large-scale power genera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력발전장치는 기존의 수차식 또는 회전식 프로펠라 구조와는 다르게 원추형의 프로펠라 구조로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당김과 밀림이 발생 되는 점에 창안하여 밀물과 썰물 또는 수시로 변화하는 해류의 방향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여 해류의 흐름이 약하거나 조석간만의 차이가 약해도 항시 전원을 생산할 수 있으며 회전원과 발전원을 1 대 1의 비율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배의 배수로 적용하면서도 동시 다량의 발전원을 설치, 또는 다른 방향의 발전원도 설치하여 1개 설비로 대량의 전기원을 생산하기 위한 구성이다. Unlike the existing aberration type or rotary propeller structure, the tidal power ge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conical propeller structure, and invents a point where pull and jungle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us the direction of high and low tide or current that changes frequently. It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current, so even if the current flow is weak or the difference between tides is weak, it can produce power at all times. It is a configuration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source in one facility by installing the power generation source, or in the other direc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조력발전장치의 작동원리구성도이다.1 is a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tidal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내부의 정,상면도이다. 2 is a front and top view of the interior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정,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회전변환부(60)의 상세 평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69는 회전변환부(60)의 확대도이다.4 is a detailed plan view of the
제5도는 본 발명의 회전날개부(70)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6도는 본 발명의 회전날개부(70)의 좌회전 작동도6 is a left turn operation of the
제7도는 본 발명의 회전날개부(70)의 우회전 작동도7 is a right turning operation of the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설치도이다.8 is a connection install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발전기 바지선, 1: generator barge,
1a:바지선하면부, 1b:바지선 상단케이스, 1c: 바지선 하단케이스1a: Bottom line of pants, 1b: Top case of pants, 1c: Bottom case of barges
2:바지선연결고리2: pants wire hook
3:바지선연결받음고리3: pants wire hook
10:축전지10: storage battery
20:하단발전기, 21:하단발전기베벨기어 20: lower generator, 21: lower generator bevel gear
30:상단발전기, 31:상단발전기베벨기어, 32:상면발전기받침대30: upper generator, 31: upper generator bevel gear, 32: upper generator support
40:하면동력전달베벨기어, 40a:상면동력전달베벨기어40: rear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40a: top power transmission bevel gear
50:베벨기어중심축, 51:회전기둥부턱, 52:하면발전기마찰부, 53:상면발전기마찰부50: bevel gear center shaft, 51: rotary column jaw, 52: lower generator friction part, 53: upper generator friction part
55:볼베어링, 56:베어링고정판55: ball bearing, 56: bearing fixed plate
60:회전변환부, 61:회전기둥부60: rotation conversion unit, 61: rotation pillar
68:좌회전(시계반대방향 회전), 69:우회전(시계방향 회전)68: rotate left (counterclockwise), 69: rotate right (clockwise)
70:회전날개부, 70: rotating blade part,
71:회전날개 앞면, 72:회전날개 뒷면, 73:경수심회전날개71: front of the rotor blades, 72: the rear of the rotor blades, 73: hard water rotor blades
74:중수심회전날개, 75:중중수심회전날개, 76:심층수심회전날개,74: medium depth rotor blade, 75: medium depth rotor blade, 76: deep water rotor blade,
77:회전기둥부 하단77: bottom of the rotating pillar
78:회전날개부 상승방향, 79:회전날개부 하강방향78: upward direction of the rotary blade, 79: downward direction of the rotary blade
80:부력부, 85:고정용 앙카, 86:해류의 방향, 87:해류의 마찰 후 방향80: buoyancy part, 85: anchoring anchor, 86: direction of current, 87: direction after friction of current
90:보호덮개, 95:관리용 바지선90: protective cover, 95: administrative barg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5480A KR20090079479A (en) | 2008-01-18 | 2008-01-18 | Tidal power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5480A KR20090079479A (en) | 2008-01-18 | 2008-01-18 | Tidal power gen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479A true KR20090079479A (en) | 2009-07-22 |
Family
ID=4129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5480A Ceased KR20090079479A (en) | 2008-01-18 | 2008-01-18 | Tidal power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947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066B1 (en) * | 2011-10-10 | 2013-07-05 | 유재인 | Ocean stream powered device using funnel pipe |
-
2008
- 2008-01-18 KR KR1020080005480A patent/KR2009007947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066B1 (en) * | 2011-10-10 | 2013-07-05 | 유재인 | Ocean stream powered device using funnel pi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lghali et al. | Marine tidal current electric power generation technology: State of the art and current status | |
Soleimani et al. | Feasibility study on tidal and wave energy conversion in Iranian seas | |
KR100883756B1 (en) | Combined marine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ombines hydrological and current generation | |
JP2019152212A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ment type water rotor | |
KR100867547B1 (en) | Integrate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ombines tidal power and current generation | |
CN104005903B (en) | Vertical-axis wave-activated generator | |
JP6504512B2 (en) | Hydro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seawater tides and tides | |
US20110018277A1 (en) | Hydrokinetic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 |
CN104481780B (en) | Shallow submergence floatation type band kuppe trunnion axis ocean current power-generating system | |
KR101232332B1 (en) | Variable location type power plant using tidal current | |
CA2952600C (en) | Device for generating hydroelectric energy | |
CN104747381A (en) | Coaxial rotating type wave energy-wind energy utilizing device | |
JP2002081362A (en) | Hydro power system | |
KR20110073182A (en) | Hydroelectric Power Plant with Linear Wings | |
Lim et al. | Marine tidal current electric power generation: state of art and current status | |
KR20090079479A (en) | Tidal power generator | |
KR102427102B1 (en) | A tidal power generator and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in deep water | |
KR102089210B1 (en) |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of screen traction type | |
CA2694150A1 (en) | The helical pathway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electrical power from water flows using oval helical turbines | |
JP3207222U (en) | Tidal current generator | |
KR20100123950A (en) | Tidal power generating apparatus | |
CN220263013U (en) | Offshore floating power generation devices based on wind and tidal energy | |
RU2740613C1 (en) | Wave plant for generation of electricity | |
KR101000805B1 (en) | Direction change device for pile-type ocean current generation | |
KR101075071B1 (en) | Small but large capacity ocean current turbine generators for high speed ocean curr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