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148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9148A KR20090079148A KR1020080027444A KR20080027444A KR20090079148A KR 20090079148 A KR20090079148 A KR 20090079148A KR 1020080027444 A KR1020080027444 A KR 1020080027444A KR 20080027444 A KR20080027444 A KR 20080027444A KR 20090079148 A KR20090079148 A KR 20090079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interference
- shutter
- link plate
- dust coll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며, 분리된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 배출구를 가지는 집진장치; 상기 집진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유닛; 및 상기 집진장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 위치에서 상기 셔터유닛을 개방하고, 이탈위치에서 상기 셔터유닛을 폐쇄하는 오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wast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eparated waste; A shutter unit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te outlet; And a sewage container installed detachably und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opening the shutter unit at a mounting position, and closing the shutter unit at a detaching pos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수거통을 비울 경우의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when emptying the waste container.
일반적으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대용량의 오물수거통을 가진다. 특히,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를 가질 경우, 흡입된 공기에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고정되고, 원심분리된 오물을 포집하는 오물수거통은 고정된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물수거통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면, 상기 오물수거통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비우게 된다.Generally, an upright vacuum cleaner has a large amount of waste container. In particular, when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or, the cyclone dust collector which forms a rotary airflow in the sucked air is fix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and the waste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centrifuged dust is detached from the fixed cyclone dus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install. When the waste is filled in the waste container, the waste container is separated and the inside of the waste container is emptied.
이처럼, 오물수거통을 사이클론 집진장치로부터 분리하면, 사이클론 집진장치 내부에 잔류된 오물이 누출될 수 있다. 특히,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배기그릴 부분에는 머리카락, 섬유질 먼지 등이 엉켜있는 경우가 많으며, 오물수거통 제거 과정에서 작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머리카락 등에 붙어 있는 먼지들이 비산하면서, 청소기 주변으로 비산 되는 경우도 많다.As such, when the wast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dirt remaining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may leak. In particular, hair and fibrous dust are often entangled in the exhaust grill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even if a small impact is applied during the removal of the waste container, the dust attached to the hair is scattered around the cleaner and is often scattered around the cleaner. .
따라서, 오물수거통 내부를 비우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청소기 및 주변을 다시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오물이 묻어 더러워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emptying the inside of the waste container,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cleaner and the surroundings again, there is an inconvenience, such as dirty stains on the user's hand is required to impr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물수거통을 비우기 위해 제거하더라도, 집진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오물이 청소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even if removed to empty the waste contain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dirt remaining inside the dust collecto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오물수거통을 비우기 위해 운반하는 과정에서 포집된 오물의 비산 및 누출을 막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물수거통을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waste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scattering and leakage of collected waste during transport to empty the wast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며, 분리된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 배출구를 가지는 집진장치; 상기 집진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유닛; 및 상기 집진장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 위치에서 상기 셔터유닛을 개방하고, 이탈위치에서 상기 셔터유닛을 폐쇄하는 오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waste outlet for the separated waste is discharged; A shutter unit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te outlet; And a sewage container installed detachably und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opening the shutter unit at a mounting position, and closing the shutter unit at a detaching 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장치의 저면부에 마련된 슬라이딩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플레이트; 상기 오물수거통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간섭하는 간 섭부; 및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탄력지지하여,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간섭부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회전 원복시켜,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폐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unit, the shutt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rt discharge port; One end is hinged to the shutter plate, and the other end is slidably coupled to a sliding slot provided at a bottom of the dust collector; An interference portion disposed above the waste container and interfering with the link plate; And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ink plate and releases the link plate by rotating and restoring the link plate when the interference of the interference part with respect to the link plate is released.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간섭부와 마주보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간섭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섭부는, 상기 오물수거통의 상기 간섭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장착위치에서 상기 간섭돌기를 가압하는 푸쉬돌기; 및 장착위치에서, 상기 간섭돌기를 지지하여,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link plate preferably has an interferenc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facing the interference portion. At this time, the interference portion, the protrusion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interference protrusion of the waste container, the push protrusion for pressing the interference projection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in the mounting position,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interference projections,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link plate;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오물 배출구와 대응되는 오물 유입구; 및 상기 오물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슬라이딩 셔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간섭부는, 상기 슬라이딩 셔터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waste container is a waste inlet corresponding to the waste outlet; And a sliding shutter for selectively closing the dirt inlet. In this case, the interferenc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liding shutter.
상기 집진장치는, 회전기류의 회전축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 단부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고, 그 타측 바닥면에 상기 오물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air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waste outlet is provided at the other bottom thereof. It is good to b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물수거통이 집진장치로부터 제거되면, 집진장치로부터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 배출구가 자동으로 폐쇄되기 때문에, 집진장치 내부의 잔여 오물이 집진장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t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since the waste discharge port from which the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automatically closed, the remaining waste inside the dust collecting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have.
또한, 오물수거통 상단부에 마련된 오물 유입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밀 폐할 수 있어, 오물수거통 운반 중에 포집된 오물이 비산되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te inlet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can be seal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collected during the waste container transport to scatter or lea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에 집진장치(100)가 고정 설치되며, 그 아래쪽에는 오물수거통(2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진장치(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셔터유닛(300)이 마련된다.1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집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류의 회전축이 중력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사이클론 집진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즉, 일측 단부의 상측에는 공기 유입구(110)가 마련되고, 그 바로 아래에는 미도시된 공기 배출구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오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배출구는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그릴 파이프(120) 및 배기 필터(130)에 의해 2차 여과될 수 있다. 한편, 집진장치(100)에 형성된 회전기류에 의해 분리된 오물은 집진장치(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물 배출구(150)를 통해 아래쪽에 결합된 오물수거통(200)으로 수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오물수거통(200)은 상측에 상기 오물 배출구(150)와 대응되는 크기의 오물 유입구(210)를 상기 오물 배출구(150)와 마주보는 위치에 가지며, 상기 오물 유입구(2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22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오물수거통(200)의 운반시 사용할 수 있는 운반손잡이(24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상측면에는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셔터유닛(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간섭부(250)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간섭부(250)의 구성은 상기 셔터유닛(300)의 구조와 함께 설명한다.The
셔터유닛(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플레이트(310), 링크 플레이트(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셔터 플레이트(310)는, 상기 오물 배출구(15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에 제 1 힌지(311)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링크 플레이트(320)는 제 2 힌지(321), 제 3 힌지(322) 및 간섭돌기(323)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 2 힌지(321)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와 링크 플레이트(32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The
상기 제 3 힌지(322)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를 상기 집진유닛(100)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유닛(100)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간섭돌기(323)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물수거통(200)에 마련된 간섭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간섭돌기(323)는 상기 간섭부(25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The
한편,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상측에 마련된 상기 간섭부(250)는 푸쉬돌기(251) 및 지지면(252)을 포함하는데, 상기 푸쉬돌기(251)는 오물수거통(200)의 상승을 통한 장착과정에서 상기 간섭돌기(323)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지면(252)은 상기 오물수거통(200)이 집진장치(100)와 밀착되는 장착위치에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장착 과정을 도 5 및 도 6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ste container mounting proces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상기 오물수거통(200)은 집진장치(100)의 아래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분리된 오물수거통(200)을 집진장치(100)에 결합할 경우, 상기 오물수거통(200)은 청소기 본체(1)의 소정의 장착 예비 위치에 삽입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100)와 오물수거통(200)은 일정 거리(g) 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된다.The
한편, 집진장치(100)와 오물수거통(20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100)의 오물 배출구(150)는 셔터유닛(30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즉, 상기 오물 배출구(150)와 대응되는 크기의 셔터 플레이트(310)는, 상기 탄성부재(330, 도 4 참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오물 배출구(150)를 밀폐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집진장치(100) 내부에 원심분리된 오물이 잔류하고 있더라도,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에 의해 상기 오물 배출구(150)가 밀폐되므로, 오물수거통(200)이 집진장치(100)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도 잔류 오물의 비산 및 누출 우려가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사용자가 오물수거통(200)을 집진장치(100)에 결합하기 위해 장착 예비 위치에서 오물수거통(200)을 상승시키면, 상기 오물수거통(200)의 상측에 마련된 간섭부(250)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의 저면에 마련된 간섭돌기(323)와 접촉하면서 상기 셔터유닛(300)을 개방한다. 즉, 상기 푸쉬돌기(251)가 상기 간섭돌기(323)를 밀면,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는 상기 오물수거통(200)과 함께 상승하면서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가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 3 힌지(32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02)을 따라 움직이는데, 이에 따라 링크 플레이트는 슬롯 방향인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움직인다.When the user raises the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는 상기 제 1 힌지(311)에 의해 집진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힌지(321)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3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링크 플레이트(320)가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셔터 플레이트(310)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오물 배출구(150)를 개방한다.The
상기와 같은 오물수거통(200)의 상승동작에 의해, 집진장치(100)와 오물수거통(200)의 밀폐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250)의 지지면(252)은 상기 가압돌기(323)의 접촉면(323a)과 면접촉 하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32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ealing of the
한편,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와 링크 플레이트(320)의 힌지 연결부인 제 2 힌지(321)에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330, 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수거통(200)이 집진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가압돌기(323)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셔터 플레이트(310)를 다시 폐쇄위치로 원복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따라서, 사용자가 집진장치(100)에 오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오물수거통(200)의 분리 동작만으로,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셔터유닛(300)이 작동되면서, 상기 오물 배출구(150)가 자동으로 폐쇄되므로, 오물수거통(200) 제거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청결하게 진행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take a separate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dust in the
또한, 분리된 오물수거통(200)의 오물 유입구(210)는 슬라이딩 셔터(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오물수거통(200)을 운반하는 과정 중에, 포집된 오물이 비산 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의 정단면도,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집진장치 저면에 장착되는 오물수거통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waste contain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오물 배출구를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도시한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hutter unit for closing the waste outlet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장착 전 단계에서의 집진장치와 오물수거통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그리고,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waste container at the pre-mounting stage;
도 6은 장착 후 단계에서의 집진장치와 오물수거통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waste container at the post-installation stag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청소기 본체 100; 집진장치One;
150; 오물 배출구 200; 오물수거통150;
210; 오물 유입구 250; 간섭부210;
251; 푸쉬돌기 252; 지지면251; Push
300; 셔터유닛 310; 셔터 플레이트300;
320; 링크 플레이트 330; 탄성부재320;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154,581 US7950104B2 (en) | 2008-01-16 | 2008-05-23 | Vacuum cleaner having dust-separating apparatus with shutter unit |
GB0813249A GB2456601B (en) | 2008-01-16 | 2008-07-18 | Vacuum cleaner |
AU2008203262A AU2008203262B2 (en) | 2008-01-16 | 2008-07-22 | Vacuum cleaner having dust-separating apparatus with shutter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34408P | 2008-01-16 | 2008-01-16 | |
US61/011,344 | 2008-01-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148A true KR20090079148A (en) | 2009-07-21 |
Family
ID=413370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25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306B1 (en) | 2008-01-16 | 2008-03-19 | A cyclone dusting collecting apparatus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
KR10200800274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82B1 (en) | 2008-01-16 | 2008-03-25 | Vacuum cleaner |
KR1020080027444A Ceased KR20090079148A (en) | 2008-01-16 | 2008-03-25 | Vacuum clean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25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306B1 (en) | 2008-01-16 | 2008-03-19 | A cyclone dusting collecting apparatus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
KR10200800274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82B1 (en) | 2008-01-16 | 2008-03-25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14803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62341A1 (en) | 2012-05-10 | 2013-11-13 | LG Electronics, Inc. | Glass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65311B2 (en) * | 2018-11-26 | 2022-11-04 |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82313B2 (en) * | 2002-04-22 | 2007-09-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Cyclone vacuum cleaner |
KR100500847B1 (en) * | 2003-05-21 | 2005-07-12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attaching/disattaching contaminant collecting receptacle of cyclone-type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JP4152291B2 (en) | 2003-09-30 | 2008-09-17 | 三洋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US7571721B2 (en) * | 2005-09-14 | 2009-08-11 | Franklin Machines Products | Baffle-type grease filter for kitchen ventilators |
KR100757384B1 (en) * | 2006-05-25 | 2007-09-1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2008
- 2008-03-19 KR KR20080025615A patent/KR1014803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5 KR KR1020080027449A patent/KR1014495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5 KR KR1020080027444A patent/KR2009007914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62341A1 (en) | 2012-05-10 | 2013-11-13 | LG Electronics, Inc. | Glass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147A (en) | 2009-07-21 |
KR101449582B1 (en) | 2014-10-13 |
KR20090079149A (en) | 2009-07-21 |
KR101480306B1 (en) | 2015-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7286002U (en) | Mobile clean robot with case | |
CN115363475A (en) | stand | |
KR100560332B1 (en) | Dust collecting / fixing device and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408726B1 (en) | Cyclone dust collectors for vacuum cleaners | |
KR100615360B1 (en) | Vacuum cleaner with cyclone dust collector and cyclone dust collector | |
US7950104B2 (en) | Vacuum cleaner having dust-separating apparatus with shutter unit | |
KR100840889B1 (en) | Dust collection container | |
KR102409218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1393492B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ust collector for use in vacuum cleaner | |
CN115811953A (en) | Vacuum cleaner | |
CN217610860U (en) | Sewage filter box of ground cleaning equipment and sewage box structure thereof | |
KR20090079148A (en) | Vacuum cleaner | |
KR100572882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840890B1 (en) | Dust collection container | |
JP5098849B2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 |
JP3656834B2 (en) |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
JP2013059516A (en) | Vacuum cleaner | |
RU2814411C1 (en) | Installation for removal of dust collected i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embodiments) | |
KR101436630B1 (en) | Vacuum cleaner | |
CN221083537U (en) | Dust bag and dust collector | |
CN215502783U (en) | Dust box and cleaning robot | |
CN220327397U (en) | Separation units and wet surface cleaning equipment | |
CN213155660U (en) | Dust Boxes and Sweepers | |
KR101257560B1 (en) | Auto cleaner | |
JP2005095664A (en) |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3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