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7666A -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666A
KR20090077666A KR1020080127590A KR20080127590A KR20090077666A KR 20090077666 A KR20090077666 A KR 20090077666A KR 1020080127590 A KR1020080127590 A KR 1020080127590A KR 20080127590 A KR20080127590 A KR 20080127590A KR 20090077666 A KR20090077666 A KR 20090077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quid composition
alkaline
salt
tooth dec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충
Original Assignee
김학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충 filed Critical 김학충
Publication of KR2009007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6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 예방용 액체 조성물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을 함유한 알칼리수로 구강 내의 산도와 당도를 희석해 충치를 예방하고, 알칼리수에 불소를 첨가하여 충치예방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을 위한 액체 조성물이다.
알칼리수 소금 불소 구강청정

Description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Liquid Composition for Curing Dental Caries }
본 발명은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세정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수를 용매로 하고 여기에 소금과 불소를 첨가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치약을 이용한 칫솔질이다. 그러나 칫솔질로는 치아에 묻은 음식물찌꺼기는 닦아낼 수 있지만, 혀와 입천장에 묻은 것은 다 닦아낼 수가 없다. 또한 간식이나 음료를 먹고 마시면 여기에 포함된 당분이 구강 내에 남아 있지만, 그때마다 양치질을 할 수도 없고, 자주 양치질을 하게 되면 치아가 빨리 마모될 우려가 있다. 치약 외에 구강세정제가 나와 있지만, 그것은 대부분 살균 및 항균제를 사용하여 치과 치료 후에 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며, 또한 제약회사에서는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한 달 이상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다. 기타 생약추출물로 만든 구강세정제가 있지만, 충치의 근본 원인이 되는 당분과 산성분을 희석하는 것이 아니라, 충치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을 위한 것이므로 충치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치균에 대한 항균이나 살균이 목적이 아니라, 알칼리수와 소금과 불소를 이용하여 충치균의 서식환경을 어렵게 만들고, 나아가 치아를 튼튼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성분을 희석하는 ph10정도의 알칼리수를 용매로 하여, 여기에 당분을 희석하는 소금을 첨가해 0.9 ~ 2.5 중량%의 염도를 가진 알칼리성 식염수로 만들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불소 0.02~ 1.5 중량%을 첨가한다. 짠맛을 마스킹하고 청량감을 주기 위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향미료와 청량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로 가글을 하면 구강 내의 산도가 낮아지고 알칼리성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충치균이 활동하기 어려워지고, 염분이 충치균의 양분인 당분을 희석하여 충치균의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 또한 식초와 같은 산성분을 중화해 치아를 보호하며, 나아가 치아를 튼튼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구강 내의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여 구취와 구내염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ph7.5 ~ ph 10.5 바람직하게는 ph8.5 ~ ph 10의 알칼리수에 죽염이나 구운 소금을 첨가하여 0.9 ~ 2.5 중량%의 염도를 가진 알칼리성 식염수를 만들고 여기에 불소 0.02 ~ 1.5 중량%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을 만든다.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산도를 낮추어 치아를 산성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알칼리수를 용매로 사용한다. 충치가 발생하는 원인은 충치균이 치아에 묻은 당분류를 먹고 배설하는 산에 의해서 법랑질이 상하고, 또한 식초와 같은 조미료로 인하여 치아가 탈석회화되기 때문이다. 충치균이 ph5.5%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데 알칼리수로 가글을 하면 구강 내의 환경이 중성 내지 염기성으로 변하므로 충치균이 활동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된다.
알칼리수에 첨가된 소금으로 0.9 ~ 2.5 중량%의 염도를 가진 알칼리성 식염수가 당분을 희석하여 충치균이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 그리고 음식물에서 포함된 당분은 끈적이는 성질로 구강 내에 잘 접착이 되지만, 염분으로 가글 하면 당분의 끈적이는 성질이 희석되어 치아와 구강 내의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배출된다.
또한, 소금의 항염증성과 살균 효과로 구내염을 예방된다.
상기 알칼리성 식염수에 불소 0.02~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0 중 량%을 첨가하면 불소가 치아에 도포되어 산성분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게 되고, 또한 침(타액)에 존재하는 칼슘과 인산염 등의 무기질을 끌어 모아 치아표면에 부착시켜 손상된 범랑질을 재석회화하게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불소화합물로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주석,산성 불화인산염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돗물 불소화에 주로 사용되는 불화나트륨과 불화규소나트륨을 1종 선택하여 첨가한다.
그리고 재석회화에 효과가 우수한 칼슘글리세로포스페이트 0.05 ~ 2.0 중량%을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알칼리수를 만드는 방법은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액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만들거나,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ph 7.5 ~ ph10.5의 알칼리수를 조성한다. 불소와 소금을 첨가한 후에도 수소이온농도(ph)가 7.5 ~ 10.5의 알칼리수가 되게 조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짠맛을 마스킹하기 위하여 사카린, 아스파탐, 자일리톨 등을 첨가하고,가글을 했을 때 청량감을 주고 구취를 가리기 위하여 페퍼민트오일, 멘톨, 솔잎추출물이나 녹차추출물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렇게 조성된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10cc정도를 입에 넣고 20초정도 가글을 한 후에 뱉어내면 구강 내의 환경이 알칼리성으로 변화되어 충치균의 활동을 어렵게 만들고, 산성분으로부터 치아가 보호되며, 또한 불소가 치아를 산성분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치아의 재석회화를 돕기 때문에 충치를 예방하게 된다.
나아가 구취와 구내염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ph7.5% ~ ph10.5% 알칼리수에 소금 0.9~ 2.5 중량%, 불소 0.02~ 1.5 중량%를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2. 청구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식염수에 불화나트륨과 불화규소나트륨 가운데 1종류를 선택하여 0.02~ 1.5 중량%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3. 청구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식염수에 칼슘글리세로포스페이트 0.05 ~ 2.0 중량%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KR1020080127590A 2008-01-11 2008-12-16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Ceased KR20090077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08 2008-01-11
KR20080003308 2008-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666A true KR20090077666A (ko) 2009-07-15

Family

ID=4085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590A Ceased KR20090077666A (ko) 2008-01-11 2008-12-16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77666A (ko)
WO (1) WO20090882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545B2 (en) 2013-03-15 2021-05-11 Cda Research Group, Inc. Copper 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conditions caused by coronavirus and influenza
US11007143B2 (en) 2013-03-15 2021-05-18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in the oral-respiratory-otic areas of the body
US10398733B2 (en) 2013-03-15 2019-09-03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in the dermatological areas of the body
US11318089B2 (en) 2013-03-15 2022-05-03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mak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for use in various anatomical areas of the body
US11083750B2 (en) 2013-03-15 2021-08-10 Cda Research Group, Inc.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formulations
US11193184B2 (en) 2019-02-22 2021-12-07 Cda Research Group, Inc. System for use in producing a metal ion suspension and process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514A (en) * 1975-01-13 1976-08-17 Geraldine Fay Weisz Fluoride mouth wash compositions
JPH01268625A (ja) * 1988-04-21 1989-10-26 Toyo Stauffer Chem Co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8270A3 (ko) 2009-11-05
WO2009088270A2 (ko)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97B2 (en) Or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80057007A1 (en) Oral hygiene products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588067B1 (en) Composition for dental health
US8715625B1 (en) Natural oral care compositions
RU2017130866A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20090077666A (ko) 충치예방용 액체 조성물
AU2016346191B2 (en) Oral care products and methods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TW201534336A (zh) 口腔護理組成物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120117387A (ko) 잇몸질환예방 및 완화를 위한 구강 조성물
US20060216247A1 (en) Process for treating teeth
KR102502829B1 (ko) 티트리 오일 및 알로에베라 겔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KR100795434B1 (ko)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KR20100041922A (ko) 국화, 곽향 및 형개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양치액
US20190008746A1 (en) Or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40130937A1 (en) Oral care composition
US20070292531A1 (en) Composition for oral use and methods for application of same
US11857654B2 (en) NHAP containing oral composition
KR100494287B1 (ko) 은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KR100916910B1 (ko) 자연분말치약
KR100748264B1 (ko) 치아질환예방을 위한 구강세정제
Matoug‐Elwerfelli et al. Oral Hygiene Agents: Toothpastes
Yılmaz et al.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Mouthwashes in Caries Biofilm
US9872817B2 (en) Alkalizing delivery system for promoting an optimal oral salivary 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