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224A -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 Google Patents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7224A KR20090077224A KR1020080003049A KR20080003049A KR20090077224A KR 20090077224 A KR20090077224 A KR 20090077224A KR 1020080003049 A KR1020080003049 A KR 1020080003049A KR 20080003049 A KR20080003049 A KR 20080003049A KR 20090077224 A KR20090077224 A KR 200900772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acceleration sensor
- unit
- control unit
- rope skip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C01B13/0262—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C01B13/027—Zeoli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2—Nitrog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3—Methods relating to valve switching
- B01D2259/40005—Methods relating to valve switching using rotary 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10/00—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specific gases
- C01B2210/0043—Impurity removed
- C01B2210/0046—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 없는 줄넘기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실제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운동 효과 및 운동 상황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less rope skipping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same movement effect and exercise condition as the actual rope skipping motion by an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movement.
본 발명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손잡이부재(20)로 이루어지되 그 중 일측 손잡이부재(2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1)와; 가속도센서(21)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어부(22)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와;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25)와;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26)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감싸는 손잡이 케이스(27)와;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된 버튼부(B)와;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8)로 이루어진 구조이다.The rope skipping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cylindrical handle members 20 having the same shape, one of the handle members 20, the acceleration sensor 21 for detecting the movement; A controller 22 for receiving data of the acceleration sensor 21; A memory unit 23 for storing input data; A power supply unit 24 for supplying power; A sound generator 25 for generating a soun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controller 22; A vibration generator 26 for generating vibratio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ler 22; A handle case 27 surrounding the components; A button portion B mounted on the handle case 27; The display unit 28 is mounted on the handle case 27.
본 발명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줄 없이 한 쌍의 손잡이부재로만 줄넘기 운동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점프- 줄 회전- 착지의 줄넘기 운동 동작이 모두 완료될 경우에만 줄넘기 횟수를 카운트하기 때문에 유선 줄넘기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상의 줄이 바닥에 닿거나 발에 걸릴 경우 진동으로, 가상의 줄이 회전하거나 바닥에 닿을 경우 소리로 표현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유선 줄넘기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The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accelero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the rope skipping movement with only a pair of handle members without a rope, so that the jump rope movement of the jump-row rotation-landing is completed only when the movement of the jump-row rotation-landing is comple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kipping ropes, you can get the same exercise effect as a wired jump rope. By vibrating when a virtual rope hits the floor or foot, you can vibrate when the virtual rope rotates or touches the floor.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you to feel like jumping rope.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핸드폰이나 MP3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전자시계 등의 각종 기기에 내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devices such as a mobile multimedi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MP3 or an electronic c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로 연결되지 않은 한 쌍의 줄넘기 손잡이부재 중 일측 줄넘기 손잡이부재 내부에 가속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줄넘기 손잡이부재의 움직임 및 사용자의 움직임(점프, 착지)에 따른 줄넘기 운동을 인식하도록 하여 줄 없이도 실제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운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에도 음향, 진동, 빛 등을 이용하여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운동 상황을 재연해주도록 한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cceleration sensor inside one of the rope skipping handle member of a pair of rope skipping handle member not connected by a rope, to recognize the rope skipping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pe skipping handle member and the user's movement (jumping, landing) Without rope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exercise effect as the actual rope skipping exercise, and besides, it relates to the rope skipping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that reproduces the same exercise situation as the actual wire rope jumping exercise using sound, vibration, and light.
일반적으로 줄넘기용 운동에 사용되는 줄넘기는, PVC와 같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길게 압출 성형하여 만든 긴 줄과, 줄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구조로, 양손으로 손잡이를 각각 잡은 후 신체를 중심으로 줄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되는 줄이 바닥에 닿기 전에 점프하여 줄을 통과함으로써 줄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점프하여 회전되는 줄을 통과시키는 동작을 1회의 동작으로 계산하는 운동이다.Jump rope, which is generally used for rope skipping movement, consists of a long string made of flexible synthetic resin such as PVC, which is made by long extrusion, and a pair of handle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pe. At the same time, the rope is rotated to the center and jumps through the rope before it reaches the floor so that the rope can be continuously rotated.
상기와 같은 줄넘기 운동은 장소나 시간 등에 큰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줄을 회전하는 팔, 점프시 사용되는 다리를 비롯하여 신체 전부를 골고루 사용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10분간만 뛰어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남녀노소 모두 다 쉽게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The rope skipping exercise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performed anytime and anywhere because it is not restricted by the place or time, and it is enough to run for 10 minutes because it is an exercise that uses the whole body including the arm that rotates the rope and the leg used for jumping. You can get the exercise effect, it has become a popular exercise that can be easily enjoyed by both sexes.
이러한 줄넘기 운동은 줄넘기만 가지고 다양한 운동으로 즐길 수 있는데, 사람의 수에 따라 혼자 수행하는 줄넘기와, 단체로 수행하는 줄넘기로 나뉘며, 혼자 수행하는 줄넘기의 경우에도 뛰는 방법에 따라서 두발 모아 뛰기, 양발 번갈아 뛰기, 한발 뛰기, 줄 두 번 회전에 한번 뛰기(일명 2회전 뛰기) 등의 여러 가지 줄넘기 운동방법으로 즐길 수 있다.Such rope skipping exercise can be enjoyed as a variety of exercises with only skipping rope, which is divided into rope skipping performed by the number of people and rope skipping performed by a group. You can enjoy a variety of rope skipping exercises, such as jumping, one step, and two runs in a row.
특히, 최근 들어 컴퓨터가 보급되고 각종 게임이 개발되면서 야외활동이 현저히 줄어든 청소년이나, 건강 또는 미용을 위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과체중 또는 운동부족의 성인들이 줄넘기 운동을 손쉽게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 recent spread of computer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games have greatly reduced the amount of outdoor activities, and as the interest in weight control for health or beauty increases, adults who are overweight or lack of exercise easily use the rope skipping exercise. .
상기와 같은 줄넘기 운동은, 줄넘기라는 간단한 운동기구만 있으면 언제든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긴 줄을 넘기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실행하기 적절치 못하며, 줄넘기를 할 때 줄이 바닥에 닿아 충격음을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Jump rope exercis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njoyed at any time simply with a simple exercise equipment called rope skipping, but it is not suitable to run indoors because it requires a large space for skipping long ropes,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producing impact sounds.
그리고, 줄넘기 운동을 할 때 줄이 바닥에 닿는 시점과 점프 시점이 맞지 않거나, 점프가 약할 경우 줄이 발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발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And, when you jump rope exercise when the rope touches the floor and the jump point does not match, or the jump is weak, the rope is caught on the foot, this may cause foot pain.
상기와 같이, 장소, 소음 및 통증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면서도 줄넘기 운동을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644호에는 "줄 없는 줄넘기"가 게시되어 있는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place, noise and pain, and to easily enjoy the rope skipping movement,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83644, "lineless rope skipping" is posted, look at the following Same as
상기 줄 없는 줄넘기는, 15~50cm의 줄(2)과, 줄(2)의 일측 선단에 고정 결합되는 200~500g의 연질 중량체(1)와, 줄(2)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는 손잡이(3)로 구성된 한 쌍의 줄넘기 부재로 이루어지며, 중량체(1)가 결합된 줄(2)의 일측 단부에는 다수의 추를 더 결합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써, 줄넘기 부재의 손잡이를 양손에 잡고 중량체와 줄을 회전시키면서 점프를 시행하여 줄넘기 운동을 하는 것으로, 줄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을 덜 받는 이점이 있다.The rope without rope, 15 ~ 50cm string (2), 200 ~ 500g soft weight (1)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ing (2),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ing (2) Consists of a pair of rope skipping member consisting of (3), one of the ends of the rope (2) to which the weight body (1)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weights to further control the weight, the handle of the rope skipping member To hold the rope in both hands to perform a jump rope while performing a jump while rotating the weight and the string, because the length of the string is shor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less restricted by the plac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줄 없는 줄넘기의 경우, 줄넘기 운동의 기본 동작인 '점프-줄 회전-착지' 중 줄 회전 동작은 유지될 수 있으나 운동자가 점프 및 착지를 시행하지 않아도 유효한 줄넘기 운동 횟수로 인식될 수 있는바, 줄넘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운동효과도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ope skipping as described above, the rope rotation of the jump-line rotation-landing, which is the basic operation of the rope skipping movement, may be maintained, but it may be recognized as an effective number of rope skipping movements even if the athlete does not perform jump and landing. As can be, not only can not effectively skip rope skipping, there is a significant drop in the resulting exercise effect.
뿐만 아니라, 줄넘기 운동에서는 줄이 회전되어 바닥에 닿을 시점에 운동자가 점프를 하여 줄을 통과하는 동작을 1회의 동작으로 셈하게 되는데, 상기 줄 없는 줄넘기의 경우 줄의 회전과 점프의 상관관계를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줄넘기 운동의 횟수를 셈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rope skipping movement, when the rope is rotated and reaches the floor, the movement of the athlete jumps through the rope and counts as one movement. In the case of the rope skipping, the rope rotation and the jump are maintained. Not only can it be difficult,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unt the number of jump ropes.
따라서, 상기 줄 없는 줄넘기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되, 줄넘기 운동의 특 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운동의 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줄넘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rope skipping rope as i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ope skipping rope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exercise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pe skipping movement.
본 발명은 종래 줄넘기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줄 없이 한 쌍의 줄넘기 손잡이로만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운동 가능하게 하고, 줄넘기 손잡이 내부에 손잡이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와 줄넘기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제어부를 내장함으로써, 가속도센서에 의해 줄넘기 운동의 기본 동작인 점프-줄 회전-착지를 순차적으로 감지할 경우에만 1회의 줄넘기 횟수로 카운트하여 줄넘기 운동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줄 없는 줄넘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jump rope, consisting of only a pair of rope skipping handle without a rope to enable movement in a narrow spac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handle and the user inside the rope skipping handle The built-in control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jump ropes and the number of jump ropes can be used.If the jump sensor detects jump-line rotation-landing, which is the basic motion of the jump ropes, by counting the number of jump ropes o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pe skipping line so that it can be properly exercised.
그리고, 줄넘기 손잡이 내부에 음향발생부 및 진동발생부를 부설하여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시 발생하는 소리, 진동을 사용자가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줄이 필요 없기 때문에 줄넘기 손잡이의 구성요소를 핸드폰, MP3 등의 기기에 부가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are installed inside the rope skipping handle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sounds and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he actual wire rope skipping exercis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device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줄이 연결되지 않은 한 쌍의 손잡이부재와, 일측 손잡이부재 내에 장착된 가속도센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pair of handle members having no string connected and an acceleration sensor mounted in one handle member.
본 발명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되 일측 손잡이부재는, 3차원 공간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와;The rope skipping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cylindrical handle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but one handle memb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가속도센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ata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input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upply power;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스피커가 구비된 음향발생부와;An acoustic generator including a speaker as a part fo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ler;
상기 가속도센서, 제어부, 메모리부, 전원부, 음향발생부 및 진동발생부를 감싸는 손잡이 케이스와;A handle case surrounding the acceleration sensor, the controller, the memory unit, the power unit, the sound generator, and the vibration generator;
상기 손잡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제어부로 각종 값을 입력하는 버튼부와;A button unit mounted to the handle case to input various values to the control unit;
상기 손잡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is mounted to the handle case and displays a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ler.
즉, 동일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되, 일측 손잡이부재에는 상기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고, 타측 손잡이부재는 일측 손잡이부재와 동일한 손잡이 케이스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두 손잡이부재의 무게는 동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made of a pair of handle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one handle member includes all of the above components, the other handle member may be made of the same handle case and the same handle member only, one of the two handle members The weight is preferably produced in the same way.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줄넘기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를 사용자가 양손에 잡고 회전하면서 점프와 착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운동량을 표시해 주거나 음향·진동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jump r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o jump and land while holding a pair of handle members in both hands to rotate and display the amount of motion by the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movement or sound / vibration.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즉,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경우, 줄이 없기 때문에 그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실제 유선 줄넘기와 동일한 운동 효과 및 운동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lin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same exercise effect and exercise feeling as the actual wire rope jumping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place.
본 발명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줄 없이 한 쌍의 손잡이부재로만 줄넘기 운동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점프- 줄 회전- 착지의 줄넘기 운동 동작이 모두 완료될 경우에만 줄넘기 횟수를 카운트하기 때문에 유선 줄넘기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상의 줄이 바닥에 닿거나 발에 걸릴 경우 진동으로, 가상의 줄이 회전하거나 바닥에 닿을 경우 소리로 표현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유선 줄넘기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The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accelero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the rope skipping movement with only a pair of handle members without a rope, so that the jump rope movement of the jump-row rotation-landing is completed only when the movement of the jump-row rotation-landing is comple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kipping ropes, you can get the same exercise effect as a wired jump rope. By vibrating when a virtual rope hits the floor or foot, you can vibrate when the virtual rope rotates or touches the floor.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you to feel like jumping rope.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핸드폰이나 MP3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전자시계 등의 각종 기기에 내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devices such as a mobile multimedi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MP3 or an electronic clock.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s of the effects and the resulting effects, including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본 발명 제 1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 제 1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 4에 본 발명 제 1실시예 줄넘기의 각 동작시 가속도센서가 감지하는 가속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을, 도 5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사시도를, 도 6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 7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회전로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를, 도 8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회전로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를, 도 9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회전로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를 도시하였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ion sensor, FIG.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first embodiment accelera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A diagram showing the acceleration direc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during each operation of the rope skippin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ion sensor, Figure 6 is a second embodiment accelera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pe skipping rope used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rotary rotor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ion sensor in FIG. 7, and FIG. Another embodiment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rotor of a rope skipping rope,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rotor of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senso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1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손잡이부재(20)로 이루어지되 일측 손잡이부재(20)에는, 3차원 공간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1)와;As shown, the rope skipping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air of
상기 가속도센서(21)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와;A
상기 제어부(22)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와;A
상기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와;A
상기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스피커(S)가 구 비된 음향발생부(25)와;A
상기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26)와;A
상기 가속도센서(21), 제어부(22), 메모리부(23), 전원부(24), 음향발생부(25) 및 진동발생부(26)를 감싸는 손잡이 케이스(27)와;A
상기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되어 제어부(22)로 각종 값을 입력하는 버튼부(B)와;A button unit B mounted on the
상기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되어 제어부(22)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8)로 구성된다.Is mounted to the
즉, 본 발명의 줄넘기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로 이루어지되, 일측 손잡이부재(20)에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이 내장되어 있고 타측 손잡이부재(20)는 일측 손잡이부재(20)와 동일한 형상의 손잡이 케이스(27)로만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rope skip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air of
이때, 일측 손잡이부재(20)에만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두 손잡이부재(20)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는데, 무게가 달라질 경우 사용자의 균형감각을 무너뜨리게 되는바 두 손잡이부재(20)가 동일한 중량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측 손잡이부재(20)의 내부에 별도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two
상기 가속도센서(21)는, X/-X축, Y/-Y축, Z/-Z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가속도의 방향과 크기 데이터를 제어부(22)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즉, 줄넘기 운동시에 발생하는 동작 중, "점프 - 줄 회전 - 착지"에 대한 각 각의 가속도 데이터를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되는데, 각 동작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That is, among the operations occurring during the rope skipping movement, each of the acceleration data for "jump-rope rotation-landing" is transmitted to the
도 4의 (가)에 도시된 "점프" 동작시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20)를 파지한 상태로 Z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바, 수직 상승 방향인 Z축 방향의 가속도 데이터를 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되고, 이 데이터를 전송받은 제어부(22)에서는 사용자가 점프 동작을 실행했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jump” operation shown in FIG. 4A, the user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holding the
그리고, 도 4의 (나)에 도시된 "줄 회전" 동작시에는, (본 발명은 실제 줄이 없기 때문에 손잡이부재를 이용하여 가상의 원을 그리듯 회전시키는 동작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부재(20)를 마치 작은 원을 그리듯이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가속도 방향은 회전되면서 그리는 가상의 원호 각 지점의 접선 방향이 되는바, 이 데이터를 전송받은 제어부(22)에서는 사용자가 줄 회전 동작을 실행했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And, in the "row rotation" operation shown in Figure 4 (b),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rotating as if drawing a virtual circle using a handle member because there is no actual string) the user with both hands The
이때, 손잡이부재(20)가 회전되면서 그리는 가상의 원호에서, 최저점인 B지점은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시 줄이 땅에 닿는 지점이 된다.At this time, in the virtual arc drawn while the
마지막으로, 도 4의 (다)에 도시된 "착지" 동작시에는, 사용자가 지면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점프를 실행한 상태에서 줄 회전을 한 후, 사용자의 발이 다시 지면에 닿도록 착지하는 동작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재(20)를 파지한 상태로 -Z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바, 가속도센서(21)는 수직 하강 즉, 자유 낙하 상태의 가속도 데이터를 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되고, 이 데이터를 전송받은 제어부(22)에서는 사용자가 착지 동작을 실행했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Finally, in the "landing" operation shown in (c) of FIG. 4, after the user rotates the str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erforms a vertically rising jump from the ground, the user's feet touch the ground again. ,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Z axis while holding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점프, 줄 회전과 착지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제어부(22)에서 줄넘기 운동 1회가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28)로 1회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각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운동량 및 칼로리 소모량 등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28)로 전송해주게 된다.When the jump, rope rotation, and landing operation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줄넘기는, 실제로 줄이 없더라도 점프와 줄 회전 및 착지 중의 어느 한 동작이라도 실행되지 않으면 줄넘기 운동 1회의 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운동을 실시하도록 해주는 것이다.The rope skipping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does not recognize a single jump rope movement unless one of jump, rope rotation, and landing is performed even though there is no rope, so that the same movement as the actual wire skipping rope can be performed. It is.
이때,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더 창출하기 위하여, 도 4의 (나)에 도시된 줄 회전 동작시에, A지점 즉, 가속도 방향이 Y방향의 데이터 값을 나타낼 때 제어부(22)에서 음향발생부(25)로 이미 녹음된 줄 회전 소리를 발생시키며, B지점 즉, 가속도 방향이 -Y방향의 데이터 값을 나타낼 때 제어부(22)에서 음향발생부(25)로 이미 녹음된 줄과 지면의 마찰음을 발생시키거나 진동발생부(26)로 진동발생 명령을 내리게 되는바, 줄넘기 운동시 발생하는 음향이나 진동효과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further create an effect such as actually performing a wired rope skipping movement, the
따라서, 줄넘기 운동 횟수를 카운터 하기 위해서는 실제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점프-줄 회전-착지의 모든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며, 줄넘기시에 발생하는 줄 회전 음 또는 줄이 바닥에 부딪히는 마찰음은 물론, 줄과 지면의 마찰시 발생하는 손잡이부재의 미세한 진동까지 그대로 전달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실제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운동 효과 및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count the number of rope skipping movements, all movements of the jump-rope rotation-landing must be performed as in the actual rope skipping movement, and the rope rotation noise or the friction sound of the rope striking the floor as well as the friction between the rope and the ground It can be delivered as it is to the minute vibration of the handle member occurs when the user will have the same exercise effect and experience as the actual rope skipping exercis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점프- 줄 회전- 착지의 모든 동작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줄 회전 중의 B지점 즉, -Y축 방향의 가속도 데이터가 제어부(22)로 전달되기 전에 착지에 의한 -Z축 방향의 가속도 데이터가 제어부(22)로 전달되면,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시에 줄이 사용자의 발에 걸리는 상황이 되는바, 줄넘기 운동 횟수로 카운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진동발생부(26)에서 길고 강한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운동의 진행이 잘못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However, even if all the operations of the jump-line rotation-landing have been made 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point B during the row rotation, that is, the acceleration data in the -Y axis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 줄넘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mponents that are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ope skipping structure of the above as follows.
상기 제어부(22)는 가속도센서(21)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구성요소로 명령을 내리거나 출력 값을 전송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동 제어를 담당해준다.The
상기 전원부(24)와 손잡이 케이스(27)는 본 발명의 전원을 공급해주고, 각 구성요소를 감싸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The
상기 메모리부(23)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또는 줄넘기 운동의 종류 등의 입력 값을 저장하여 운동량 등을 산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된 버튼부(B) 및 디스플레이부(28)와 연계되어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음향발생부(25)와 진동발생부(26)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나, 실제 유선 줄넘기 운동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가속도센서(21)의 데이터에 따라 필요한 음향과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점프-줄 회전-착지'로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인 줄넘기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버튼부(B)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줄넘기 운동을 입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2회전 뛰기를 하고자 하여 2회전 뛰기 모드를 입력할 경우, 제어부(22)에서는 '점프-줄 회전-줄 회전-착지'의 동작이 모두 인식될 경우에만 1회의 유효한 줄넘기 운동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By the above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st basic rope skipping movement consisting of 'jump-line rotation-landing', as well as input the desired rope skipping movement through the button portion (B),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the two-turn run mode to make two-turn runs,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줄넘기의 경우, 가속도센서(21)가 점프, 줄 회전, 착지의 모든 동작에 대한 가속도 방향과 크기의 데이트를 제어부(22) 전송해주게 되는데, 가속도센서(21) 외에 회전로터(29)를 추가로 구비하여 줄 회전에 대한 데이터는 회전로터(29)로 인식하는 방법도 가능한바,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 2실시예 줄넘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손잡이부재(20)로 이루어지되 일측 손잡이부재(20)는,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1)와;As shown, the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pair of
상기 가속도센서(21)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와;A
상기 제어부(22)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와;A
상기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와;A
상기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스피커(S)가 구비된 음향발생부(25)와;A
상기 제어부(22)의 지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26)와;A
상기 가속도센서(21), 제어부(22), 메모리부(23), 전원부(24), 음향발생부(25) 및 진동발생부(26)를 감싸는 손잡이 케이스(27)와;A
상기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되어 제어부(22)로 각종 값을 입력하는 버튼부(B)와;A button unit B mounted on the
상기 손잡이 케이스(27)에 장착되어 제어부(22)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8)와;A
상기 손잡이 케이스(27)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22)와 연결되는 회전로터(29)로 구성된다.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가속도센서(21)가 3차원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즉, Z축/-Z축 방향의 가속도만 감지하여 점프와 착지에 대한 데이터만 제어부(22)로 전달해주고, 줄 회전에 대한 데이터는 회전로터(29)를 통해 제어부(22)로 전달되는 것이다.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회전로터(29)는, 손잡이 케이스(27)의 일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무게중심이 일측에 위치하여 손잡이부재(20)를 회전시킬 때 회전로터(29)의 무게중심부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구조이다.The
이때, 회전로터(29)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터(29)는 손잡이 케이스(27)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타원형의 형상으로, 무게중심이 회전로터(29)의 중심을 벗어난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구조이다.As shown in FIG. 7, the
따라서, 손잡이 케이스(27)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로터(29)가 결합된 일측을 가상의 원호를 그리듯 회전시키게 되면,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회전로터(29)의 일측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 데이터가 제어부(22)로 전달되어 줄 회전 동작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one side of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터(29)는, 손잡이 케이스(27)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로터 몸체(29A)와 회전로터 몸체(29A)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형상의 안테나(29B)로 구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8, the
즉, 회전로터(29)의 무게중심을 안테나(29B)의 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회전로터(29)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rotating the
이때, 상기 안테나(29B)는 손잡이 케이스(27)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회전에 유리한바, 손잡이 케이스(27)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결합되거나, 회전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시에만 손잡이 케이스(2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antenna (29B) is advantageous to the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도 7 내지 도 8에서는, 줄넘기 운동 중 줄 회전의 동작을 회전로터(29)를 이용하여 감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회전로터(29)의 일측 단부 즉,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부분(도 8의 실시예 경우 안테나의 단부측)에 LED 등의 광원(L)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S. 7 to 8, the movement of the rope rotation during the rope skipping movement is sensed using the
상기와 같이, 회전로터(29)에 광원(L)이 장착될 경우, 회전로터(29)와 같이 회전되는 광원(L)이 가상의 줄이 회전하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해주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유선 줄넘기와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ght source L is mounted 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줄넘기는 줄 없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핸드폰, MP3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전자시계 등의 생활 기기 내에 그 구성요소를 내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바, 줄넘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생활 기기를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rope skip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only a pair of
이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핸드폰, MP3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자체의 전원부, 음향발생부, 진동발생부, 버튼부, 디스플레이부 등은 공동적인 구성요소로써, 그 외의 구성요소들만 추가로 장착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MP3, etc., the power supply unit, the sound generating unit,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the button unit, the display unit, etc. of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itself as a common component, Only the other components can be additionally mounted and operated.
도 1은 종래 줄 없는 줄넘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pe skipping rope.
도 2는 본 발명 제 1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ion sensor.
도 3은 본 발명 제 1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내부 구성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제 1실시예 줄넘기의 각 동작시 가속도센서가 감지하는 가속도 방향에 대한 작용도.Figure 4 is an action on the acceleration direc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during each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ump rope.
도 5는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내부 구성 블럭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제 2실시예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줄 없는 줄넘기의 회전로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7 to 9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otary rotor of a rope skipping rope us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ion sens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20. 손잡이부재 21. 가속도센서 22. 제어부20.
23. 메모리부 24. 전원부 25. 음향발생부23.
26. 진동발생부 27. 손잡이 케이스 28. 디스플레이부26.
29. 회전로터 29A. 회전로터 몸체 29B. 안테나29.
B. 버튼부 L. 광원 S. 스피커B. Button part L. Light source S. Speak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3049A KR20090077224A (en) | 2008-01-10 | 2008-01-10 |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3049A KR20090077224A (en) | 2008-01-10 | 2008-01-10 |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7224A true KR20090077224A (en) | 2009-07-15 |
Family
ID=4133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3049A Ceased KR20090077224A (en) | 2008-01-10 | 2008-01-10 |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7224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72024A (en) * | 2009-07-21 | 2011-01-26 | Richard Martin Dannaher | Music playing skipping rope |
KR200454174Y1 (en) * | 2009-07-15 | 2011-06-23 | 현정아 | Jump rope with music playback |
KR101333601B1 (en) * | 2012-02-29 | 2013-11-27 | 정순복 | Bar for Exercise |
KR101361117B1 (en) * | 2011-11-29 | 2014-02-24 |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 Jump Lope for Exercise Managemen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369977B1 (en) * | 2013-01-21 | 2014-03-10 | 정구민 | Sporting apparatus for rope skipping |
CN103691102A (en) * | 2014-01-09 | 2014-04-02 | 林培林 | Exercis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CN103768775A (en) * | 2014-01-28 | 2014-05-07 | 河海大学常州校区 | Skipping rope counting device based on triaxial acceleration and counting method thereof |
US9517383B2 (en) | 2012-04-20 | 2016-1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multimedia exercise content based on exercise amount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WO2019039711A1 (en) * | 2017-07-19 | 2019-02-28 | 임흥기 | Jump rope |
CN109876416A (en) * | 2019-03-26 | 2019-06-14 | 浙江大学 | A skipping rope counting method based on image information |
KR102075483B1 (en) * | 2019-08-27 | 2020-03-02 | 김동일 | A Jump-Rope And Jump-Rope System For Sound Effect |
CN112827114A (en) * | 2021-02-23 | 2021-05-25 | 上海跳与跳信息技术合伙企业(有限合伙) | Anti-cheating intelligent skipping rope and anti-cheating method thereof |
-
2008
- 2008-01-10 KR KR1020080003049A patent/KR2009007722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174Y1 (en) * | 2009-07-15 | 2011-06-23 | 현정아 | Jump rope with music playback |
GB2472024A (en) * | 2009-07-21 | 2011-01-26 | Richard Martin Dannaher | Music playing skipping rope |
KR101361117B1 (en) * | 2011-11-29 | 2014-02-24 |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 Jump Lope for Exercise Managemen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333601B1 (en) * | 2012-02-29 | 2013-11-27 | 정순복 | Bar for Exercise |
US9517383B2 (en) | 2012-04-20 | 2016-1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multimedia exercise content based on exercise amount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KR101369977B1 (en) * | 2013-01-21 | 2014-03-10 | 정구민 | Sporting apparatus for rope skipping |
CN103691102A (en) * | 2014-01-09 | 2014-04-02 | 林培林 | Exercis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CN103768775A (en) * | 2014-01-28 | 2014-05-07 | 河海大学常州校区 | Skipping rope counting device based on triaxial acceleration and counting method thereof |
WO2019039711A1 (en) * | 2017-07-19 | 2019-02-28 | 임흥기 | Jump rope |
CN109876416A (en) * | 2019-03-26 | 2019-06-14 | 浙江大学 | A skipping rope counting method based on image information |
KR102075483B1 (en) * | 2019-08-27 | 2020-03-02 | 김동일 | A Jump-Rope And Jump-Rope System For Sound Effect |
WO2021040185A1 (en) * | 2019-08-27 | 2021-03-04 | 김동일 | Sound outputting jump rope and jump rope system |
CN112827114A (en) * | 2021-02-23 | 2021-05-25 | 上海跳与跳信息技术合伙企业(有限合伙) | Anti-cheating intelligent skipping rope and anti-cheating method thereof |
CN112827114B (en) * | 2021-02-23 | 2023-11-10 |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 Anti-cheating intelligent rope skipping and anti-rope skipping cheat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77224A (en) | Lineless rope skipping with accelerometer | |
JP5759375B2 (en) | Motion detection system | |
CN105031874B (en) | virtual exercise device | |
US7837595B2 (en) | Controller for an exercise bicycle | |
US8876604B2 (en) | Handheld electronic gesture game device and method | |
US20120258804A1 (en) | Motion-based input for platforms and applications | |
US20030171190A1 (en) | Games controllers | |
US20080102424A1 (en) | Instruction Delivery Methodology & Plurality of Smart, Kinetic-Interactive-Devices (K.I.D.s) | |
US20050209066A1 (en) | Martial Arts Exercise Device and Method | |
JP2007307284A (en) | Controller holder with sensor | |
CN102686285A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hancing performance in racket sports | |
KR101557237B1 (en) | Smart jump rope based on acceleration sensor | |
US12042722B2 (en) | Device including movable mass body provided in housing | |
CN107921303A (en) | With the adjustable resistance fitness machine for intelligent apparatus contro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interactive software applications | |
US20120322620A1 (en) |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simulation of physical exercises with legs and arms | |
KR10253425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t least one force detected from movement of a sensing unit into an auditory signal | |
KR20100015244A (en) | Stationary bike having self generating structure | |
US9378656B2 (en) |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 |
US20120149469A1 (en) | Game control and exercise system | |
CN211069003U (en) | Interactive game device to promote athletic growth | |
KR101476425B1 (en) | Step board with Smartphone holder | |
KR20100053327A (en) | Stationary bike's having self generating structure | |
CN116867551B (en) | Rope exercise simulation equipment | |
JP7430897B2 (en) | equipment for exercise equipment | |
JP3172798U (en) | Sports game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