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330A -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6330A KR20090076330A KR1020080002212A KR20080002212A KR20090076330A KR 20090076330 A KR20090076330 A KR 20090076330A KR 1020080002212 A KR1020080002212 A KR 1020080002212A KR 20080002212 A KR20080002212 A KR 20080002212A KR 20090076330 A KR20090076330 A KR 200900763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converter
- voltage
- time division
- st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저항을 시간 분할 다중 출력 방식 및 정전류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고, 또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합 또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합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drive a light emitting diode or a resistor in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method and a constant current driving method,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is a forward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To be determined by the sum or the sum of the voltages applied to the resistors.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직류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직류-직류 컨버터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와, 각 발광 스트링부에 연결된 동시에,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에 의해 발광 스트링부의 점등 및 소등을 결정하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직류-직류 컨버터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시간 분할하여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가 시간 분할하여 발광하도록 하는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를 개시한다.To this end,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C-DC converter for boosting and outputting a DC voltag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ing par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C-DC converter,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each light emitting string part, and controlling the DC-DC converter. And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is turned on and off by the LED, and the DC-DC converter controls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by time division, so that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s emit light by time division.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DC-DC converter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1, there is shown a circuit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 장치(100')(예를 들면, LED 백라이트 유닛 또는 LED 조명)는 입력 전압(Vin)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110')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을 인가받아 소정 휘도로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 의한 피드백 전압 정보를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에 전달하는 저항(R)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에는 입력 전압(Vin)의 승압을 위한 인덕터(L)와, 역전압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ZD)가 더 연결될 수 있다.As illustrated,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100 '(for example, an LED backlight unit or an LED light) includes a DC-DC converter 110' for boosting and outputting an input voltage Vin, and the DC-DC convert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at receive an output voltage Vout of 110 ′ and emit light at a predetermined luminance, and feedback voltage information by the light emitting diodes (LED) is transmitted to the DC-
이와 같은 방식의 발광 장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모두 점등하기 위해 높은 출력 전압(Vout)(수십 볼트(V) 이상)을 요구함으로써, 직류-직류 컨버터의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의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위해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설치하여야 하는데, 각 스트링 단위로 구동하기 위해 다수의 직류-직류 컨버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다수의 직류-직류 컨버터가 필요함으로써, 발광 장치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배선이 복잡해지고 또한 무게 및 부피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is type requires a high output voltage Vout (several tens of volts V) to light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which results in an expensive DC-DC converter. In addition, for local dimming of the backlight unit, the light emitting diode should be installed in a string unit, but a plurality of DC-DC converters are required to drive each string unit. That is, the need for a plurality of DC-DC converter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only expensive but the wiring is complicated and the weight and volume are increased.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발광 다이오드를 스트링 단위로 구비하고, 각 스트링마다 스위치를 연결하여 PWM 제어하는 방식도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각 스트링마다 차이가 나는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산포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산포도 커지는 단점이 있다. 즉, 직류-직류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압에서 스트링 단위의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고 남은 전압이 모두 스위칭 소자의 양단에 인가됨으로써,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스위칭 소자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 method of providing a light emitting diode in a string unit and connecting a switch to each string to control the PWM is also being studi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oltage distribution applied to both ends of is also large. That is, since the remaining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element at the output voltage from the DC-DC converter, and the remaining voltag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el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and a considerable heat is generated in the switching el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저항을 시간 분할 다중 출력 방식 및 정전류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고, 또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합 또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발광 상태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 등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는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ve a light emitting diode or a resistor in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method and a constant current drive method,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i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state and suppressing heat generation such as a switch by being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sum of voltages or the sum of voltages applied to the resistance.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를 PWM 제어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변화시켜 로컬 디밍(local dimming)이 가능한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capable of local dimming by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y PWM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만 이용하여 다수의 스트 링 단위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저항을 효율적으로 구동하여 원가를 절감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costs by efficiently driving a plurality of string light emitting diodes or resistors using only one DC-DC conver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는 직류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 및, 상기 각 발광 스트링부에 연결된 동시에,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 스트링부의 점등 및 소등을 결정하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시간 분할하여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가 시간 분할하여 발광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DC converter for boosting and outputting a DC voltag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ing par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C-DC converter; And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s are turned on and off by the control of the DC-DC converter. By controlling by time division, the said plurality of light emission string parts emit light by time division.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일정한 주파수로 턴온시킬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turn on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at a constant frequency.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킬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turn on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equentially.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하여 상기 발광 스트링부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by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of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동일한 시간만큼 턴온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turn on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by the same time, respectively.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서로 다른 시간만큼 턴온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turn on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by different times.
상기 발광 스트링부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n series.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의해 게이트 전압이 제어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The switching element may be a field effect transistor whose gate voltage is controlled by the DC-DC converter.
상기 발광 스트링부에는 상기 발광 스트링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도록 센싱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발광 스트링부와 상기 센싱 저항 사이의 노드에는 상기 발광 스트링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피드백할 수 있도록 센싱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A sensing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to sense a current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and a current is applied to the node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and the sensing resistor to convert the current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into a voltage. The sensing wiring can be connected to feed back to the DC-DC converter.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발광 스트링부로부터 전압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출력 전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출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receive a voltage from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to reduce the output current when the voltag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nd increase the output current when the voltag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출력 전압이 상기 발광 스트링부를 이루는 각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may automatically set an output voltage by a sum of forward voltages of respective light emitting diodes forming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상기 각 발광 스트링부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각 발광 스트링부에 의해 결정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하다.The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s is always the same regardless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determined by each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s.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부; 상기 발광 스트링부로부터의 전압을 피드백받고, 상기 피드백된 전압을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출력하는 피드백 전압 감지부; 상기 PWM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드백 전압 감지부에 의한 피드백된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출력 전류를 감소시키고, 상기 피드백된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출력 전류를 증가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PWM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온을 제어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DC-DC converter may includ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ler; A feedback voltage sensing unit receiving the voltage from the light emitting string unit and comparing the fed back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the feedback voltage to the PWM controller; A gate driver which decreases an output current when the voltage fed back by the feedback voltage detecto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under control of the PWM controller, and increases an output current when the feedback voltag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nd a switch driver for controlling turn-on of the switching element in a predetermined order by the control of the PWM controll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장치는 직류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스트링부; 및, 상기 저항 스트링부에 연결된 동시에,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항 스트링부의 전류 흐름을 결정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시간 분할하여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항 스트링부에 시간 분할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DC converter for boosting and outputting a DC voltage; At least one resistor string unit connected to the DC-DC converter; 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resistance string unit and determining a current flow of the resistance string unit under control of the DC-DC converter, wherein the DC-DC converter controls the switching element by time division. The resistor string may be divided in time to allow a current to flow.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저항을 시간 분할 다중 출력 방식 및 정전류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고, 또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합 또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발광 상태 또는 전원 상태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 등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e the light emitting diode or the resistor in the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scheme and the constant current driving scheme, and also output the DC-DC converter.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voltage by the sum of the forward voltages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or the sum of the voltages applied to the resistors, not only the light emission state or the power supply state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ut also heat generation such as a switch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PWM 제어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변화시켜 로컬 디밍(local dimming)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local dimming by changing the brightness of a light emitting diode by PWM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만 이용하여 다수의 스트링 단위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저항을 효율적으로 구동하여 원가를 절감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costs by efficiently driving a plurality of string light emitting diodes or resistors using only one DC-DC converter.
더불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대신 저항을 사용할 경우 일반 전원 장치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used as a general power supply device when using a resistor instead of a light emitting diode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100)는 직류-직류 컨버터(110)와,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LS)와, 다수의 스위칭 소자(S1,S2,...,Sn)와, 센싱 저항(Rs)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에는 당연히 전압 승압을 위한 인덕터(L) 및 역전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ZD) 등이 연결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는 오실레이터(111),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부(112),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 기준 전압원(114), 게이트 드라이버(115), 스위치 구동부(116) 및 과전압 감지부(117) 등을 포함한다.The DC-
상기 오실레이터(111)는 입력 전압(Vin)을 인가받아서 상기 PWM 제어부(112) 등에 소정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The
상기 PWM 제어부(112)는 외부의 제어 신호(CTL), 오실레이터(111)의 클럭 신 호,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의 신호 및 과전압 감지부(117)의 신호를 인가받아서 게이트 드라이버(115) 및 스위치 구동부(116)를 적절히 제어한다. The
상기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는 일단이 기준 전압원(114)에 연결되어 기준 전압을 인가받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와 센싱 저항(Rs) 사이의 노드(N)에 연결된 센싱 배선(SL)으로부터 전달되는 피드백 전압(Vfb)을 인가받아 소정 신호를 상기 PWM 제어부(112)에 출력한다. 실제로, 이러한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는 두 개의 입력단 및 한 개의 출력단을 갖는 비교기일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입력단중 한 개의 입력단에는 기준 전압원(114)이 연결되어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고, 다른 한 개의 입력단에는 센싱 배선(SL)이 연결되어 피드백 전압(Vfb)이 인가된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PWM 제어부(112)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게이트 드라이버(115) 즉, 그것에 연결된 스위치(S)를 제어하여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류가 감소하도록 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15) 즉, 그것에 연결된 스위치(S)를 제어하여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류가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는 Vref/Rs로 결정되는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상기 발광 스트링부(LS)는 정전류로 구동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eedback voltag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the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15)는 상기 PWM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그것에 연결된 스위치(S)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여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가 소정 전압 및 소정 전류로 출력되도록 한다. 실제로, 상기 게이트 드라이 버(115)에는 다수의 스위치가 연결되어 턴온 및 턴오프되지만 이러한 인덕터(L)와 스위치(S)의 턴온 및 턴오프에 의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성 및 원리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스위치 구동부(116) 역시 상기 PWM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위치 구동부(116)에는 각각의 스위칭 소자(S1,S2,...,Sn)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116)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의 턴온 및 턴오프가 결정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스위치 구동부(116)와 스위칭 소자(S1,S2,...,Sn) 사이에 하나의 배선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각 스위칭 소자(S1,S2,...,Sn)는 독립된 배선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부(116)와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과전압 감지부(117)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이를 PWM 제어부(112)에 알림으로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전체적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LS)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로부터 출력 전압(Vout)을 인가받도록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은 순전히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발광 스트링부(LS)는 직렬 연결된 10개에서 30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직렬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string parts 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receive an output voltage Vout from the DC-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S1,S2,...,Sn)는 상기 각 발광 스트링부(LS)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S1,S2,...,Sn)는 통상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 예를 들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배선을 통하여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스위치 구동부(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1, S2,..., Sn are connected to ends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s LS.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S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common field effect transistor, a bipolar transistor, or an equivalent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 Sn, for example, the gate electrode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상기 센싱 저항(Rs)은 상기 모든 스위칭 소자(S1,S2,...,Sn)의 끝단과 접지단 사이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와 상기 센싱 저항(Rs) 사이에는 센싱 배선(SL)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싱 배선(SL)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센싱 저항(Rs)에는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 흐르는 전류(ILED)가 동일하게 흐른다. 상기 전류(ILED)는 상기 센싱 저항(Rs)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상기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에 전달된다. 즉, 발광 스트링부(LS)에 흐르는 전류(ILED)는 전압(Vfb)으로 변환된 후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에 전달된다.The sensing resistor Rs is commonly connected between the ends of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And Sn and the ground terminal. A sensing line SL i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Sn and the sensing resistor Rs, and the sensing line SL is fed back from the DC-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는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Vref)에 비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Vfb)이 크면 직류-직류 컨버터(110)를 통한 출력 전류(ILED)가 감소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PWM 제어부(112)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는 미리 지정된 기준 전압(Vref)에 비하여 상기 피드 백 전압(Vfb)이 작으면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류(ILED)가 증가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PWM 제어부(112)에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eedback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PWM 제어부(112)가 게이트 드라이버(115) 및 그것에 연결된 스위치(S)를 제어하여 발광 스트링부(LS)에 인가되는 출력 전류(ILED)가 대략 감소되도록 하거나 또는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각 발광 스트링부(LS)에는 항상 일정한 전류(ILED)가 흐르도록 한다. 즉, 상기 각 발광 스트링부(LS)는 정전류로 구동된다. 따라서, 각 발광 스트링부(LS)는 항상 동일한 휘도를 낸다. Then,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은 각 발광 스트링부(LS)의 특성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것이 본 발명이 특징중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은 대부분 고정되어야 있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이 각 발광 스트링부(LS)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발광 스트링부(LS)는 다수의 직렬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LED)는 제조 공정상의 문제로 인해 순방향 전압(Vf)에 산포 또는 오차가 있다. 실제로, 발광 다이오드(LED)의 순방향 전압(Vf)은 대략 3.5±0.5V 정도된다. 따라서, 극단적으로 어떤 발광 스트링부(LS)를 이루는 발광 다이오드(LED)는 모두 순방향 전압(Vf)이 3V이고 직렬 연결된 개수가 10개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 총 30V가 인가되고, 다른 어떤 발광 스트링부(LS)를 이루는 발광 다이오드(LED)는 모두 순방향 전압(Vf)이 4V이고 직렬 연결된 개수가 10개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 총 40V가 인가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발광 다이오드(LED)의 순방향 전압 산포에 따라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여분의 전압이 스위칭 소자(S1,S2,...,Sn)에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S1,S2,...,Sn)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DC-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 전압(Vout)은 각 발광 스트링부(LS)마다 자동적으로 조정된다고 해도, 그 발광 스트링부(LS)에 인가되는 출력 전류(ILED)는 센싱 저항(Rs) 및 이를 이용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정전류로 유지되므로, 휘도역시 항상 일정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DC-
도 3은 도 2의 회로도에 대한 스위치의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of a switch with respect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PWM 제어부(112)는 스위치 구동부(116)를 제어하여 그것에 연결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S1,S2,...,Sn)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발광 스트링부(LS) 역시 순차적으로 턴온되면서 발광한다. 일례로, 스위칭 소자(S1)가 턴온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소자(S2 및 Sn)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S1)가 연결된 해당 발광스트링부(LS)만 발광한다. 또한, 스위칭 소자(S2)가 턴온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소자(S1 및 Sn)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S2)가 연결된 해당 발광 스트링부(LS)만 발광한다. 이러한 방식 으로 모든 스위칭 소자(S1,S2,...,Sn)가 순차적으로 턴온되어 해당 발광 스트링부(LS)도 순차적으로 발광한다.As illustrated, the
여기서, 상기 PWM 제어부(112)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S1,S2,...,Sn)의 턴온 시간을 모두 동일하게 할당함으로써, 시간적으로 모든 발광 스트링부(LS)의 휘도가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PWM 제어부(112)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 소자(S1,S2,...,Sn)의 턴온 시간을 서로 다르게 할당함으로써, 시간적으로 특정 발광 스트링부(LS)의 휘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Here, the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PWM 제어부(112)는 상기 스위치 구동부(116)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를 서로 다른 값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의 휘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법을 구현하기에 용이하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를 대략 100Hz~10kHz의 주파수을 갖는 싸이클로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발광 스트링부(LS)가 비록 하나씩 발광한다고 해도 인간의 시력으로 이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소자(S1,S2,...,Sn)의 턴온 주파수가 100Hz 미만이면 발광 장치(100)에 깜박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100Hz 이상의 주파수로 제어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urning on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 Sn) with a cycle having a frequency of approximately 100Hz ~ 10kHz, even if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LS emits light one by one, it is recognized by human eyesight Do not do it. If the turn-on frequency of the switching elements S1, S2,..., Sn is less than 100 Hz, flicker may occur i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에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output voltage in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가 예를 들어 S1, S2,..., Sn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각 스위치에 할당된 발광 스트링부(LS)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ut)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 S1에 할당된 발광 스트링부(LS)의 순방향 전압이 평균값이라고 했을 때 그것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ut)은 평균값을 갖고, 스위칭 소자 S2에 할당된 발광 스트링부(LS)의 순방향 전압이 최소값이라고 했을 때 그것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ut)은 최소값을 가지며, 스위칭 소자 Sn에 할당된 발광 스트링부(LS)의 순방향 전압이 최대값이라고 했을 때 그것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ut)은 최대값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직류 컨버터(110)에 의한 출력 전압(Vout)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점등되는 발광 스트링부(LS)의 순방향 전압의 합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물론, 이와 같이 출력 전압(Vout)이 각 발광 스트링부(LS)마다 다르다고 해도, 상기 발광 스트링부(LS)에 흐르는 전류(ILED)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동일한 휘도를 낸다. 더불어,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 S1 내지 Sn의 한 싸이클 주파수는 대략 100Hz~10kHz로 제어함으로써, 깜박임 현상을 느낄 수 없다.Assuming that the switching elements are S1, S2, ..., Sn, as shown in FIG. 4, the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string part LS assigned to each swit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Has a value. For example, when the forward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LS assigned to the switching element S1 is an average value, the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LS has an average value, and the output string VLS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LS assigned to the switching element S2 has an average value. When the forward voltage is a minimum value, the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hereto has a minimum value, and when the forward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string portion LS assigned to the switching element Sn is a maximum value, the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hereto is It is the maximum valu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voltage Vout by the DC-
참고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에 의한 출력 전압(Vout)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For reference, the output voltage Vout by the DC-
Vout = Vref + n*Vf(LED)Vout = Vref + n * Vf (LED)
여기서, Vref는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이고, n은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이며, Vf는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다.Here, Vref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n is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Vf is a forward voltag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전원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러한 전원 장치(200)는 상술한 발광 장치(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출력단에 발광 다이오드 대신 저항(R)을 연결함으로써, 전원 장치(200)로 이용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the
상기 저항(R)은 다수개가 모여서 하나의 저항 스트링부(RS)를 이루거나, 상기 저항 스트링부(RS)가 다수 구비되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항(R)은 낱개로 구비되거나 또는 낱개가 다수의 병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저항(R)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전기적 부하를 의미한다.A plurality of resistors R may be gathered to form one resistor string unit RS or a plurality of resistor string units R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Of course, the resistors R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connected in parallel. Substantially the resistor R means all electrical loads powered by the DC-
더불어,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10)의 스위치 구동부(116)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스위칭 소자 역시 상기 저항의 연결 상태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거나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 전원 장치에도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urned on or off by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 및 전원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claims,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회로도에 대한 스위치의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of a switch with respect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발광 장치에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output voltage in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분할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전원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100;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직류-직류 컨버터110; DC-DC converter
111; 오실레이터111; Oscillator
112; PWM 제어부112; PWM control
113; 피드백 전압 감지부113; Feedback voltage detector
114; 기준 전압원114; Reference voltage
115; 게이트 드라이버115; Gate driver
116; 스위치 구동부116; Switch drive
117; 과전압 감지부117; Overvoltage Detector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212A KR20090076330A (en) | 2008-01-08 | 2008-01-08 |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212A KR20090076330A (en) | 2008-01-08 | 2008-01-08 |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330A true KR20090076330A (en) | 2009-07-13 |
Family
ID=4133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2212A KR20090076330A (en) | 2008-01-08 | 2008-01-08 |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6330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974B1 (en) * | 2009-10-30 | 2011-03-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Power supply with multistep |
WO2011096649A2 (en) * | 2010-02-05 | 2011-08-11 | Shin Bong Sub |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
CN102216975A (en) * | 2010-01-06 | 2011-10-12 | 苹果公司 | Led backlight system |
KR20120133471A (en) * | 2011-05-31 | 2012-1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CD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CN102858061A (en) * | 2012-08-17 | 2013-01-02 | 王知康 | LED (light-emitting diode) power supply circuit controlled by multiple sections of switches |
WO2013008967A1 (en) * | 2011-07-13 | 2013-01-17 | (주)실리콘인사이드 | Led driver |
US8638051B2 (en) | 2011-04-08 | 2014-01-28 | Samsung Display Co., Ltd. | DC-DC converter and driving device of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US9165514B2 (en) | 2009-11-24 | 2015-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
KR20160074422A (en) * | 2014-12-18 | 2016-06-28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 Adaptive direct current (dc) to dc (dc-to-dc) light emitting diode (led) driver for dynamic loads |
KR20160145936A (en) * | 2015-06-11 | 2016-12-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pparatus of driving a light emitting device |
US9793817B2 (en) | 2013-11-14 | 2017-10-17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ultiple output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9876376B2 (en) | 2013-11-14 | 2018-01-23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ultiple battery char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08
- 2008-01-08 KR KR1020080002212A patent/KR2009007633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974B1 (en) * | 2009-10-30 | 2011-03-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Power supply with multistep |
US9165514B2 (en) | 2009-11-24 | 2015-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
CN102216975A (en) * | 2010-01-06 | 2011-10-12 | 苹果公司 | Led backlight system |
US8907884B2 (en) | 2010-01-06 | 2014-12-09 | Apple Inc. | LED backlight system |
WO2011096649A2 (en) * | 2010-02-05 | 2011-08-11 | Shin Bong Sub |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
WO2011096649A3 (en) * | 2010-02-05 | 2011-12-08 | Shin Bong Sub |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
CN102742360A (en) * | 2010-02-05 | 2012-10-17 | 申奉燮 |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
US8786194B2 (en) | 2010-02-05 | 2014-07-22 | Bong Sub Shin |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for LEDs |
US8638051B2 (en) | 2011-04-08 | 2014-01-28 | Samsung Display Co., Ltd. | DC-DC converter and driving device of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KR20120133471A (en) * | 2011-05-31 | 2012-1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CD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WO2013008967A1 (en) * | 2011-07-13 | 2013-01-17 | (주)실리콘인사이드 | Led driver |
CN102858061A (en) * | 2012-08-17 | 2013-01-02 | 王知康 | LED (light-emitting diode) power supply circuit controlled by multiple sections of switches |
US9793817B2 (en) | 2013-11-14 | 2017-10-17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ultiple output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9876376B2 (en) | 2013-11-14 | 2018-01-23 |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 Multiple battery char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60074422A (en) * | 2014-12-18 | 2016-06-28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 Adaptive direct current (dc) to dc (dc-to-dc) light emitting diode (led) driver for dynamic loads |
KR20160145936A (en) * | 2015-06-11 | 2016-12-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pparatus of driving a light emit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76330A (en) | Light emitting devices and power supplies with time division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s | |
US9699844B2 (en) | Multichannel constant current LED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LED driving power | |
US7750579B2 (en) | LED driving device with variable light intensity | |
JP4975856B2 (en) | Integrated circuit for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JP5089193B2 (en) | Light emitting device | |
US9246403B2 (en) | Lighting systems with uniform LED brightness | |
KR101910669B1 (en) | Control circuit of switching power supply for driving light emitting elements,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EP3133901B1 (en) |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 |
KR102085725B1 (en) | Led lighting system of ac direct ty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60255693A1 (en) | Analog and digital dimming control for led driver | |
US8723444B2 (en) | Electrical load driving circuit | |
US8049436B2 (en) | Dimmer and lighting apparatus | |
KR20110118573A (en) | Control circuit of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m | |
KR101435853B1 (en) |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 |
KR20140137214A (en) | Control circuit and voltage generating method for led lighting apparatus | |
JP6174647B2 (en) | Low flicker LED lighting equipment | |
WO2018198594A1 (en) | Led driver, and led drive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hat use said led driver | |
JP5172500B2 (en) | Drive device | |
US20140145645A1 (en) | Step-dimming led driver and system | |
JP5150742B2 (en) | LED drive circuit | |
KR101807103B1 (en) | Ac direct driving led apparatus | |
KR101988660B1 (en) | Led module control circuit | |
KR20140086593A (en) | Circuit to control led lighting apparatus | |
KR101422036B1 (en) | Apparatus for lighting using light emitting diode | |
WO2015128986A1 (en) | Led light emis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