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65503A -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503A
KR20090065503A KR1020090049283A KR20090049283A KR20090065503A KR 20090065503 A KR20090065503 A KR 20090065503A KR 1020090049283 A KR1020090049283 A KR 1020090049283A KR 20090049283 A KR20090049283 A KR 20090049283A KR 20090065503 A KR20090065503 A KR 2009006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adhesive
guide rails
horizontal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781B1 (ko
Inventor
조봉철
Original Assignee
조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철 filed Critical 조봉철
Priority to KR102009004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바닥마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의 도포를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수평도포체에 의해 한 번의 작업으로 접착제가 고르게 바닥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도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수평도포체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에 대한 수평상태가 전체에 걸쳐 동일한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마감재의 부착시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유도하여 작업효율성의 증대는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전방과 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2개의 지지프레임(120)(12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20)(120)의 전방과 후방 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130)(130)와, 상기 이동바퀴(130)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일높이조절부(140)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체(100)와;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이 형성된 수평도포체(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도포체(200)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 (110)(110)의 외측으로 인입되고 내면에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접촉되는 롤러(211)들이 구비된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과;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의 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의 양측 상면에 구성되는 도포높이조절부(231)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232)이 형성된 도포부(230)와; 상기 도포부(230)의 후방 측에 밀착 구성되어 상기 도포부(230)의 도포홈(232)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상단부가 상기 도포부(230)의 상면에 조절볼트(241)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가변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20)(120)의 상면과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도포부(230) 상면에는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과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수평계(300)(3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직진성을 확인하는 레이저(150)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10)과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과의 높이를 확인하는 높이조절자(1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닥마감재, 수평도포장치, 접착제도포장치

Description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HORIZONTAL APPLICATION EQUIPMENT OF GLUE FOR FLO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마감재를 시공할 때 바닥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레일체와, 이 가이드레일체를 따라 이동되는 수평도포체에 의해 바닥면에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대리석이나 데코타일과 같은 바닥마감재의 시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여러 개의 바닥재를 결합하거나 접착하여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바닥재는 먼저 비유연성의 재질로서 천연목재와, 천연목재보다 높은 경도와 탄성이 강한 합판, MDF, HDF, 마그네슘보드, 섬유질 경량 시멘트, 및 무기질재 보드 등이 있다.
그리고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탄성이 작은 것으로 인조수지 종류로 대부분 PVC 종류이며 데코 타일, 딜럭스 타일, 우드 타일, 장판 등이 있다.
건축물의 바닥에 깔거나 붙여서 사용하는 바닥 마감재는 유연성 재질로 만들 어진 종류와 비유연성재질로 만들어진 것, 그리고 소성 및 천연재로 만들어진 것으로 분류된다.
유연성 재질의 특징으로는 재질이 인조수지(PVC 류) 종류이며, 두루마리 필름 형태나 얇은 판형으로 만들고 한 면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거나 종이 무늬목 등을 접착하여 바닥에 깔거나 직접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인조수지(대부분PVC종류)로 자체 강도가 약하여 수명이 짧고 온도 등에 수축 팽창이 많고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화재 발생 시 인화성 물질로 불에 잘 타며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장점으로는 표면 인쇄가 아주 용이하고 재질이 인조수지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아주 좋아 굴곡진 바닥에도 측면의 다른 바닥재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쉽게 붙여서 시공할 수 있다.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로는 목재 재질의 마루 형태의 바닥재가 대표적이며 합판의 한 면에 인쇄지 또는 무늬목 등을 붙이고 표면을 UV 코팅한 후 측면에 상대되는 바닥재와 끼워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시공할 때는 옆에 대응되는 바닥재의 상판과 단차가 생기지 않고 정밀하게 맞도록 홈과 돌기를 끼워 맞춘다. 또한 재료에 따라 기단의 바닥에 접착제를 발라서 부착하는 시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합판마루의 단점은 주재료가 목재로서 화재 발생 시 인화성 물질이며 습기에 약하여 수축팽창이 있어 짜 맞춤 틈이 벌어지며 표면이 약하여 수명이 짧고 측면에 짜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목재 의 최소 두께가 8 mm 이상으로 바닥 난방 면에 시공했을 때 열전도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강화 마루는 목재를 가루로 만든 목분을 고압으로 압축 한 판의 상면에 인쇄지 및 멜라민을 적층 고온 고압으로 함침 한 후, 측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시킨 것(유니클릭)으로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환경 문제로 나무를 베기 어렵고 합판의 가격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나무의 자투리까지 모두 목분으로 만들어 효율적으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합판 마루보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물과 습기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물이 묻게 되면 부피가 늘어나며 파손되며 습기에 노출되면 전체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는데 늘어나는 길이가 같은 조건의 합판재질보다 몇 배에 해당한다.
또한, 근자 들어서는 거실의 고급화를 위해 바닥마감재로서 대리석을 시공하거나 대리석과 같은 느낌이 드는 인조 대리석을 깔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리석 또는 인조대리석은 재질의 특성에 의해 홈이나 돌기를 가공하기에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바닥에 시공할 경우,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도포된 접착제의 상단에 대리석을 고르게 정렬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마감재 중, 홈이나 돌기가 형성된 바닥마감재는 홈과 돌기를 서로 결합하여 시공함에 따라 어느 정도의 수평이 유지되기는 하지만, 접착제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대리석과 같은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마감재의 경우,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에 바닥마감재가 올려진 상태로 부착 시공됨에 따라 작업자가 하 나하나의 바닥마감재의 수평상태를 수평계로 맞추어 시공하여 함으로써, 수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먼저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하여야 하는 바, 작업자가 일일이 접착제를 수작업에 의해 도포함에 따라 접착제의 상면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고,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도포되는 접착제의 수평이 전혀 맞추어 지지못함으로써, 도포된 접착제의 상면에 바닥마감재를 부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접착제를 도포하는 시간 지연에 의해 바닥마감재의 시공시간이 지연되고, 이는 작업효율성의 저하와 함께 작업성을 크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바닥마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의 도포를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수평도포체에 의해 한 번의 작업으로 접착제가 고르게 바닥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도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수평도포체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에 대한 수평상태가 전체에 걸쳐 동일한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바닥마감재의 부착시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유도하여 작업효율성의 증대는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는,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의 전방과 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2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의 전방과 후방 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일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2개의 가이드레일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이 형성된 수평도포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도포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2개의 가이드레일의 외측으로 인입되고 내면에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된 2개의 이동프레임과;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의 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의 양측 상면에 구성되는 도포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이 형성된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후방 측에 밀착 구성되어 상기 도포부의 도포홈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상단부가 상기 도포부의 상면에 조절볼트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가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2개의 지지프레임 상면과 상기 수평도포체의 도포부 상면에는 바닥면과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수평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직진성을 확인하는 레이저가 더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체의 가이드레일 내면에는 가이드레일과 바닥면과의 높이를 확인하는 높이조절자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는,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에 올려지는 가이드레일체의 내측에 수평도포체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평도포체의 한 번의 가이드레일체를 타고 이동되는 것에 의해 바닥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음에 따라 접착제의 도포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이 가이드레일체와 수평도포체의 수평유지에 의해 일률적으로 고른 수평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바닥마감재의 시공시의 바닥마감재의 수평이 고르게 유지된다.
또한, 가이드레일체와 수평도포체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의 수평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높낮이 조절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수평상태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자에 의해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높이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바닥마감재의 높이가 동일하게 시공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한 번의 수평도포체의 이동작업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접착제를 수평지게 도포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효율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한다.
또한, 수평도포체의 도포홈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접착제의 도포가 생략되어 접착제의 낭비를 방지하여 주어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구성요부인 수평도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수평도포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에 바닥마감재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저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 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는,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전방과 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2개의 지지프레임(120)(12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20)(120)의 전방과 후방 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130)(130)와, 상기 이동바퀴(130)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일높이조절부(140)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체(100)와,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이 형성된 수평도포체(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체(100)는,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전방과 후방 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130)(130)에 의해 전진 및 후진은 물론, 측면 이동성이 용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체(100)를 실내에 설치하여 작업함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은 상기 이동바퀴(130)의 상부에 구성된 레일높이조절부(14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바닥에 바닥마감재가 시공된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 중 하나의 가이드레일(110)은 시공된 바닥마감재의 상면에 그리고, 나머지 가이드레일(110)은 바닥마감재가 시공되지 않은 바닥면에 위치되어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 사이의 높이 편차가 발생되는 바, 이 때 상기 레일높 이조절부(140)를 돌려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20)(120)의 상면에 수평계(300)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바닥마감재에 올려지는 가이드레일(110)과 바닥면에 위치되는 가이드레일(11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도포체(200)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외측으로 인입되고 내면에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접촉되는 롤러(211)들이 구비된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과,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의 전방 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의 양측 상면에 구성되는 도포높이조절부(231)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232)이 형성된 도포부(230)와, 상기 도포부(230)의 후방 측에 밀착 구성되어 상기 도포부(230)의 도포홈(232)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상단부가 상기 도포부(230)의 상면에 조절볼트(241)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가변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도포부(230)의 도포홈(232)은 상기 가변부(240)의 하단부(240a)가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변부(240)를 조절볼트(241)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부(230)로부터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포홈(232)의 개방범위가 설정되어 도포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높이가 설정된다.
상기 수평도포체(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110)의 외측에 내측이 인입 구성된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11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도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를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내측에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전방 측에 미리 부운 다음, 상기 수평도포체(200)를 밀어 전진시키면, 부워진 접착제(1)는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전진동작에 의해 일률적으로 고르게 정렬되어 도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번의 수평도포체(200)의 미는 동작에 의해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는,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전진동작에 의해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도포부(230)가 전진되고 이에 따라 도포부(230)의 하단에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도포홈(232)을 통해 접착제(1)가 빠져나감에 따라 도포홈(232)을 통해 빠져나간 접착제(1)는 일률적인 형상 즉, 상기 도포홈(23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고르게 도포되기 때문에 접착제(1)의 도포작업이 크게 향상된다.
이 때,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도포부(230) 상면에 구성된 수평계(300)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1)의 상면에 대한 수평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바, 이는 상기 도포부(230) 상면에 구성된 수평계(300)에 의해 미리 도포부(230)의 수평상태가 맞추어져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지지프레임(120) 상면에 구성된 수평계(300)와, 수평도포체(200)의 도포부(230) 상면에 구성된 수평계(300)에 의해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 닥면과의 수평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짐으로써,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에 대한 수평상태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의 상면에 부착되어 시공되는 바닥마감재(2)가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고른 바닥마감재의 시공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성의 증대는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한다.
또한,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직진성을 확인하는 레이저(150)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이드레일체(100)의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구불거림이 없이 직선상으로 도포가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10)과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과의 높이를 확인하는 높이조절자(16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높이조절자(160)에 의해 바닥면 전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상면에 대한 높이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도포될 수 있음에 따라, 시공되는 바닥마감재 역시 높이가 일정하게 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바닥마감재의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별도의 바닥마감재의 수평유지작업이나 높이조절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효율성 및 시공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시공시간의 단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 저면에는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마감재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래치방지부(170)가 더 부착 구성된다.
상기 스크래치방지부(170)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보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스크래치방지부(170)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마감재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이동시에 발생되는 긁힘이나 기스와 같은 스크래치가 방지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이동프레임(210)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가 접하는 승하강부(250)이 더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승하강부(250)에 의해 수평도포체(200)의 이동프레임(210)이 약 3cm 정도 들어 올려질 수 있어 수평도포체(200)의 이동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구성요부인 수평도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수평도포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에 바닥마감재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이드레일체 110 : 가이드레일
120 : 지지프레임 130 : 이동바퀴
140 : 레일높이조절부 150 : 레이저
160 : 높이조절자 170 : 스크래치방지부
200 : 수평도포체 210 : 이동프레임
211 : 롤러 220 : 연결프레임
230 : 도포부 231 : 도포높이조절부
232 : 도포홈 240 : 가변부
241 : 조절볼트 300 : 수평계

Claims (5)

  1.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전방과 후방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2개의 지지프레임(120)(120)과,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20)(120)의 전방과 후방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130)(130)와, 상기 이동바퀴(130)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일높이조절부(140)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체(100)와;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이 형성된 수평도포체(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도포체(200)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의 외측으로 인입되고 내면에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과 접촉되는 롤러(211)들이 구비된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과;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의 전방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이동프레임(210)(210)의 양측 상면에 구성되는 도포높이조절부(231)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232)이 형성된 도포부(230)와;
    상기 도포부(230)의 후방측에 밀착 구성되어 상기 도포부(230)의 도포홈(232)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상단부가 상기 도포부(230)의 상면에 조절볼트(241)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가변부(2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110)을 연결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20)(120)의 상면과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도포부(230) 상면에는 바닥마감재가 시공되는 바닥면과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수평계(300)(30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직진성을 확인하는 레이저(15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체(100)의 가이드레일(110) 저면에는 바닥면에 시공된 바닥마감재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래치방지부(170)가 더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KR1020090049283A 2009-06-01 2009-06-01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6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83A KR101064781B1 (ko) 2009-06-01 2009-06-01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83A KR101064781B1 (ko) 2009-06-01 2009-06-01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503A true KR20090065503A (ko) 2009-06-22
KR101064781B1 KR101064781B1 (ko) 2011-09-14

Family

ID=4099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2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4781B1 (ko) 2009-06-01 2009-06-01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8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04B1 (ko) * 2009-06-10 2011-03-08 조봉철 고정 및 이동장치가 구비된 수평도포기
KR101120050B1 (ko) * 2009-09-08 2012-03-22 이경화 바닥시공장치
EP2806084A4 (en) * 2012-01-12 2016-03-09 Ooparts Asia Pte Ltd SHAPING DEVICE AND CONSTRUCTION PROCESS WITH THE FORMING DEVICE
CN106733450A (zh) * 2016-12-26 2017-05-31 华侨大学 一种点胶机
CN111561137A (zh) * 2020-06-05 2020-08-21 张耀文 一种建筑用瓷砖抹水泥装置
CN111910947A (zh) * 2020-08-19 2020-11-10 江西省储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装饰装潢地板修补装置
CN114961195A (zh) * 2022-07-05 2022-08-30 南京芸皓智能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大负载高效高精度铺砖机器人
CN115199003A (zh) * 2022-07-28 2022-10-18 李来成 一种厚度控制装置
CN115610619A (zh) * 2022-09-21 2023-01-17 苏州意达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舰船甲板填缝胶涂覆装置
KR20250059757A (ko) 2023-10-25 2025-05-07 주식회사 크리트건설 바닥재 도포용 높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053B1 (ko) * 2016-07-07 2017-04-21 이수희 모르타르용 면고르기
CN110629984B (zh) * 2019-08-26 2020-11-13 莆田市城厢区任西贸易有限公司 一种幕墙打胶设备
KR102157303B1 (ko) * 2020-04-14 2020-09-17 주식회사 천우 구조물 안전진단용 초음파 접촉매질 도포장치
CN112024284A (zh) * 2020-08-21 2020-12-04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马达后盖的点胶装置及其点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41B1 (ko) * 2002-06-03 2005-02-07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액상형 물질 도포장치
KR20060094607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창대엔터프라이즈 실리콘노즐이 장착된 실리콘 도포기
KR100645297B1 (ko) 2005-07-25 2006-11-14 박칠선 코팅 두께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코팅장치
JP4318714B2 (ja) * 2006-11-28 2009-08-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04B1 (ko) * 2009-06-10 2011-03-08 조봉철 고정 및 이동장치가 구비된 수평도포기
KR101120050B1 (ko) * 2009-09-08 2012-03-22 이경화 바닥시공장치
EP2806084A4 (en) * 2012-01-12 2016-03-09 Ooparts Asia Pte Ltd SHAPING DEVICE AND CONSTRUCTION PROCESS WITH THE FORMING DEVICE
CN106733450A (zh) * 2016-12-26 2017-05-31 华侨大学 一种点胶机
CN106733450B (zh) * 2016-12-26 2020-08-07 华侨大学 一种点胶机
CN111561137B (zh) * 2020-06-05 2021-11-23 安徽华景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用瓷砖抹水泥装置
CN111561137A (zh) * 2020-06-05 2020-08-21 张耀文 一种建筑用瓷砖抹水泥装置
CN111910947A (zh) * 2020-08-19 2020-11-10 江西省储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装饰装潢地板修补装置
CN111910947B (zh) * 2020-08-19 2021-11-12 林阳辉 一种装饰装潢地板修补装置
CN114961195A (zh) * 2022-07-05 2022-08-30 南京芸皓智能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大负载高效高精度铺砖机器人
CN115199003A (zh) * 2022-07-28 2022-10-18 李来成 一种厚度控制装置
CN115610619A (zh) * 2022-09-21 2023-01-17 苏州意达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舰船甲板填缝胶涂覆装置
KR20250059757A (ko) 2023-10-25 2025-05-07 주식회사 크리트건설 바닥재 도포용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781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781B1 (ko)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US10876292B2 (en) Directly printed panel having a two-layer design
RU264485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и с прямой печатью
DK2744657T3 (en) Elastic multi-layer floor panel and reinforced PVC core
DE50311774D1 (de) Dekoratives Veredeln einer Holzwerkstoffplatte
EP3683381A1 (en) A joint guard for panels
CA2432891A1 (en) Wall boards or panel boards for use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CA2661857C (en) Method and means to assemble a building board on a support
MX2009005477A (es) Metodo de impresion directa en tablas de material basado en madera.
CY1109628T1 (el)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κατασκευη μιας σανιδας δαπεδου με συμπιεσμενα ακρα
DK1771630T3 (da) Monterings- eller glidesystem til lægning af trægulve på ydersiden og indersiden
KR101020304B1 (ko) 고정 및 이동장치가 구비된 수평도포기
US20160273233A1 (en) Changeover cover with plug connection
CN203654647U (zh) 一种采用魔术贴固定硬包的室内装饰板材基层结构
IT9048269A1 (it) Struttura di fissaggio per materiali da rivestimento di pareti.
CN210217022U (zh) 地板拼接结构及其地板
EP2989268A1 (en)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brick slips, and a wall provided with brick slips
CN202248387U (zh) 轻钢龙骨石膏板玻化砖装饰墙体
CZ285900B6 (cs) Schodišťový dílec
RU96591U1 (ru) Модуль покрытия
BE1026771A1 (nl) Bekleed 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beklede panelen.
BE1011469A6 (nl) Positioneringssysteem voor tegel, baksteen, siersteen of delen hiervan met een geintegreerde warmteisolatie.
CN103967274A (zh) 一种复合平贴的施工方法
WO2003087467A3 (en) Modular flooring installation techniques and equipment
ITBA20110002U1 (it) Coppra (congegno posa pavimenti a rapido adattamento)trattasi di sistema di posa in opera economico completo facile per rivestimenti di superfici, anche ad uso pavimenti a raso , o parti di esso (soglia , uscio , rampe , piatto doccia , canali di s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