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225A -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 Google Patents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4225A KR20090064225A KR1020070131806A KR20070131806A KR20090064225A KR 20090064225 A KR20090064225 A KR 20090064225A KR 1020070131806 A KR1020070131806 A KR 1020070131806A KR 20070131806 A KR20070131806 A KR 20070131806A KR 20090064225 A KR20090064225 A KR 200900642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inside handle
- lock
- override
- lock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래치의 오버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사이드핸들레버(2)에 형성된 호형 슬롯(2a)과 록레버(5)의 액츄에이터레버(6a) 연결측 부분이 오버라이드로드(9)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ride structure of an automobile door latch, in which an arc-shaped slot (2a) formed in the inside handle lever (2) and an actuator lever (6a) connection side portion of the lock lever (5) are connected by an override rod (9). It features.
따라서, 인사이드핸들 조작시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에 의해 록레버(5)가 회동되고, 이에 액츄에이터레버(6a)가 연동되어 그에 연결된 세이프록레버가 작동되어 세이프티록 상태가 해제되므로 탑승자가 직접 세이프티록레버를 조작하지 않고도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inside handle is operated, the lock lever 5 is rotated by the override rod 9, and the actuator lever 6a is interlocked, and the safety lock lever connected thereto is operated to release the safety lock state.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manipulating the lock le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이프티록노브를 조작하지 않고 인사이드핸들만 조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도어래치의 오버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자동차의 도어는 주행중 안정적으로 닫혀 있어야 하고, 도어의 내/외측에 구비된 인사이드핸들과 아웃사이드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열릴 수 있어야 한다.The door of the vehicle should be closed stably while driving, and should be unlocked and opened by manipulating the inside handles and the outside handles provided inside / outside the door.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래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아웃사이드핸들레버(3),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아웃사이드핸들레버(3)에 연동되는 오픈레버(=폴레버;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록레버(5), 상기 록레버(5)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6), 상기 록레버(5)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레버(3) 하부의 슬롯(3a)에 연결된 록링크(7),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차일드록레버(8)를 포함한다.A door latch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is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an
따라서, 통상 닫힌 상태의 도어를 열 때 인사이드핸들의 세이프티록노브를 젖히고 인사이드핸들을 당김으로써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회동되어 차일드록레버(8)가 아웃사이드핸들레버(3)를 회동시키면 오픈레버(4)가 작동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opening the door in the normally closed state,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해제 조작시 세이프티록노브를 조작할 필요 없이 인사이드핸들만 당기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오버라이드(override)라고 하는데, 상기 종래의 저가형 도어래치에는 이러한 오버라이드 기능이 없다.On the other hand, a function of allowing the lock state to be released by only pulling the inside handle without operating the safety lock knob during the above release operation is called an override, and the conventional low-cost door latch does not have such an override function.
따라서,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오버라이드 기능의 구현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mplementation of an override function for improving passenger convenien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안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되어 탑승자가 도어를 열 때 세이프티록노브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도어 개방의 편의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 도어래치의 오버라이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issues, and the override func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safety lock knob when the door is open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oor opening is further impr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인사이드핸들레버와 아웃사이드핸들레버,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와 아웃사이드핸들레버에 연동되는 오픈레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록레버, 상기 록레버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록레버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레버 하부의 슬롯에 연결된 록링크,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차일드록레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래치에 있어서,The inside handle lever and the outside handle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the open lever interlocked with the inside handle lever and the outside handle lever, the lock lever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the lock lever rotated. In the door latch of the vehicle comprising an actuator to be connected to the lock lever,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lot of the lower handle lever, the child handle lever is selectively interlocked with the inside handle lever,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와 록레버가 오버라이드로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ide handle lever and the lock lever a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an override rod.
그리고, 상기 오버드라이브로드의 상단은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에 형성된 호형 슬롯에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overdrive rod is connected to an arc-shaped slot formed in the inside handle lever.
또한, 상기 오픈레버의 단부가 연장성형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open lever is extended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ed by the child lock lev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사이드핸들 조작시 록레버가 연동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탑승자가 잠겨진 상태의 도어를 열 때 세이프티록노브를 별도로 조작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ck lever is interlocked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when the inside handle is operated,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separately operate the safety lock knob when the occupant opens the locked door.
즉, 오버라이드 기능이 구현되어 인사이드핸들 조작을 통한 도어 잠금상태의 해제 조작이 보다 간편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override function is implement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lease the door lock state through the inside handl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의 구성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각 작동 레버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의 상부 일측에 아웃사이드핸들 조작에 따라 회동되는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동일축에 차일드록레버(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차일드록레버(8)는 사용자의 연결노브 조작에 따라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일체 또는 분리되어 인사이드핸들레버(2)의 회동이 연결부품에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어린이들이 주행중 도어를 함부로 열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상부 타측에는 아웃사이드핸들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아웃사이드핸들레버(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아웃사이드핸들레버(3)에 연동되도록 오픈레버(4)가 설치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1), the outside handle lever (3) rotated by the outside handle manipulation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open lever (4)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outside handle lever (3). do.
상기 오픈레버(4)는 폴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작동시 래치의 걸림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부에는 록레버(5)가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그 록레버(5)의 일단은 액츄에이터(6)의 작동레버(6a)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타단은 록링크(7)의 하단과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 is mounted so that the lock lever (5) can be rotated about the middle portion, one end of the lock lever (5) is linked to the operating lever (6a) of the actuator (6) The other end is connec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록링크(7)의 상단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레버(3)의 하부에 형성된 슬롯(3a)에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한편,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상기 록레버(5)는 오버라이드로드(9)로 연결된다.Meanwhile, the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는 단순한 직선형 로드로서, 상단과 하단은 연결되기 용이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The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의 상단은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의 상부에 회동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호형의 슬롯(2a)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록레버(5)의 회동축과 액츄에이터레버(6a) 연결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override rod (9) is connected to the arc-shaped slot (2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handle lever (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the actuator of the lock lever (5) The
상기와 같이,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오버라이드로드(9)가 슬롯(2a)으로 연 결되는 이유는 세이프티록노브가 오버라이드 작동 후에는 언록(unlock) 상태로 있어야 하고 또한 인사이드핸들이 원위치로 리턴된 뒤에 세이프티록노브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세이프티록노브는 액츄에이터레버(6a)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레버(6a)는 록레버(5)와 연결되어 있으며, 록레버(5)와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오버라이드로드(9)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와 인사이드핸들레버(2)의 연결 부분은 경우에 따라 연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슬롯(2a)으로 연결되어야만 한다.The safety lock knob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오픈레버(4)와 인사이드핸들레버(2)는 직접 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래치재밍(latch jamm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오픈레버(4)는 일단부가 인사이드핸들레버(2) 쪽으로 연장 성형되어, 인사이드핸들레버(2)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차일드록레버(8)의 단부에 걸려서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과 같이, 록레버(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록(lock)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사이드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를 상방으로 당겨줌(녹색→노란색)으로써 록레버(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록 상태가 해제된다.3 to 5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of the door latch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side handle in a lock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록레버(5)에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레버(6a)도 록 상태에서 언록상태로 회동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레버(6a)에 연결되어 있는 세이프티록노브도 언록상태로 전환된다.At this time, the
도 4와 도 5는 인사이드핸들 조작시 오픈레버(4)의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인사이드핸들이 조작되면 상기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차일드록레버(8;차일드록 기능 off 상태)가 일체로 회동되어 그 단부가 상기 오픈레버(4)의 연장 성형된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오픈레버(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 5에서 빨간색→노란색)4 and 5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결국 도 5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레버(3)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the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세이프티록노브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인사이드핸들만 조작하여 도어의 록 상태를 해제하고 개방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and open the door by only operating the inner handle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safety lock knob.
한편, 도 6과 같이, 도어가 록레버(5)에 의한 록 상태가 아닐 때는 상기 록레버(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의 상단은 인사이드핸들레버(2)의 슬롯(2a) 내에서 우측 끝단(노란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door is not locked by the
상기 상태에서는 인사이드핸들 조작에 의해 인사이드핸들레버(2)가 회동되어도 상기 오버라이드로드(9)는 단지 상기 슬롯(2a) 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뿐이므로 록레버(5)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적인 도어 언록 상태에서의 래치 해제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even if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래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oor la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래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obile door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인사이드핸들 조작에 따른 인사이드핸들레버와 오버라이드로드 및 록레버의 작동 상태도,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inside handle lever, the override rod and the lock lever according to the inside handle operation,
도 4와 도 5는 인사이드핸들 조작에 따른 오픈레버와 아웃사이드핸들레버의 작동 상태도,4 and 5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n lever and the outside handle lever according to the inside handle operation,
도 6은 도어 정상상태(록레버 언록상태)에서의 인사이드핸들레버와 오버라이드로드의 작동 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nside handle lever and the override rod in the door normal state (lock lever unlocked st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베이스플레이트 2 : 인사이드핸들레버1: Base plate 2: Inside handle lever
2a : 호형 슬롯 3 : 아웃사이드핸들레버2a: arc slot 3: outside handle lever
3a : 슬롯 4 : 오픈레버3a: slot 4: open lever
5 : 록레버 6 : 액츄에이터5: lock lever 6: actuator
6a : 액츄에이터레버 7 : 록링크6a: Actuator Lever 7: Lock Link
8 : 차일드록레버 9 : 오버라이드로드8: child lock lever 9: override roa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806A KR20090064225A (en) | 2007-12-15 | 2007-12-15 |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806A KR20090064225A (en) | 2007-12-15 | 2007-12-15 |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4225A true KR20090064225A (en) | 2009-06-18 |
Family
ID=4099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1806A Withdrawn KR20090064225A (en) | 2007-12-15 | 2007-12-15 |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4225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260B1 (en) * | 2009-11-30 | 2012-05-07 | 주식회사 리한도어 | Door latch assembly |
KR20160030026A (en) * | 2014-09-05 | 2016-03-16 | 현대자동차 인도기술연구소 |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
CN107448071A (en) * | 2016-05-31 | 2017-12-08 | 现代自动车美国技术研究所 | With the mechanical standby and electronic latch of electronics override cancellation feature |
KR20190065787A (en) | 2017-12-04 | 2019-06-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latch apparatus for car |
CN113107289A (en) * | 2020-01-10 | 2021-07-1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
-
2007
- 2007-12-15 KR KR1020070131806A patent/KR2009006422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260B1 (en) * | 2009-11-30 | 2012-05-07 | 주식회사 리한도어 | Door latch assembly |
KR20160030026A (en) * | 2014-09-05 | 2016-03-16 | 현대자동차 인도기술연구소 |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
US10190342B2 (en) | 2014-09-05 | 2019-01-29 | HYUNDAI MOTOR INDIA ENGINEERING Pvt. Ltd. |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
CN107448071A (en) * | 2016-05-31 | 2017-12-08 | 现代自动车美国技术研究所 | With the mechanical standby and electronic latch of electronics override cancellation feature |
CN107448071B (en) * | 2016-05-31 | 2019-12-13 | 现代自动车美国技术研究所 | Electronic latch with mechanical back-up and electronic override cancellation features |
US10844639B2 (en) | 2016-05-31 | 2020-11-24 |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 E-latch with mechanical backup and electronic override cancel feature |
KR20190065787A (en) | 2017-12-04 | 2019-06-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latch apparatus for car |
CN113107289A (en) * | 2020-01-10 | 2021-07-1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
CN113107289B (en) * | 2020-01-10 | 2023-12-22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3685B1 (en) | Device for preventing opening of door | |
CN102199959B (en) | Double-locking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 |
JP2017193943A (en) | Cinching latch assembly for vehicle | |
JPH09511290A (en) | Vehicle door lock actuator | |
JP2010084439A5 (en) | ||
KR20090064225A (en) | Override structure of car door latch | |
US20040113439A1 (en) | Outside release handle | |
KR101022207B1 (en) | Automotive door latch with auto lock | |
KR100622727B1 (en) | Car Trunk Lead Latch Assembly | |
KR100604611B1 (en) | Automotive door lock with freewheel lock lever | |
KR100604612B1 (en) | Automotive door lock with restraint lock lever | |
KR20060072348A (en) | Override device with inside handle and safety knob | |
KR100947091B1 (en) | Car Door Latch with Override | |
KR100444089B1 (en) | Sliding side door lock for vehicles | |
JP5970254B2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101097064B1 (en) | door lock assembly | |
KR0178503B1 (en) | Locking device of car door | |
KR20070112979A (en) | Two-motion latch structure of the car door | |
KR100380449B1 (en) | locking apparatus for door of automobile | |
KR100866179B1 (en) | Vehicle door latch using a single cable | |
KR100561766B1 (en) | Locking device for car doors | |
KR100704605B1 (en) | Vehicle override latch | |
KR20080009840A (en) | Door Inside Handle Assembly of Vehicle | |
KR20070105739A (en) | Car door lock | |
KR200483321Y1 (en) | Trunk latch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