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934A - 매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1934A KR20090061934A KR1020070128950A KR20070128950A KR20090061934A KR 20090061934 A KR20090061934 A KR 20090061934A KR 1020070128950 A KR1020070128950 A KR 1020070128950A KR 20070128950 A KR20070128950 A KR 20070128950A KR 20090061934 A KR20090061934 A KR 20090061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medium
- block
- plate
- paper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종이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종이 매체의 권종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및 조정할 수 있는 매체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매체 공급 장치는 종이 매체는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종이 매체를 픽업 및 배출하는 분리부 및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따라 상, 하로 위치 조정가능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가압부의 상단은 하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종이 매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종이 매체가 분리부에 보다 용이하게 픽업 및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금융자동화기기, 매체 공급, 위치 조정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와 같이 지폐, 수표 등을 저장 및 공급하는 매체 공급 장치 또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이나 수표 등과 같은 종이 매체가 사용되며, 이들 종이 매체를 출금하기 위해서 종이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종이 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종이 매체가 배출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종이 매체의 배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종이 매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 등이 제공된다.
여기서 배출부는 외장형, 내장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외장형의 배출부의경 우 배출부는 카세트, 저장고 등과 별도로 기기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배출부가 외장형인 경우 배출부는 종이 매체의 상부를 픽업하여 종이 매체가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는 종이 매체의 상부가 분리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가압해야 하는데, 수용부에 제공되는 종이 매체는 권종에 따라 크기 및 길이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권종에 따른 가압부의 조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권종에 따른 종이 매체를 용이하게 출금할수 있는 매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 매체의 배면을 효율적을 가압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매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 매체를 공급하는 카세트, 지폐 저장고 등의 부피, 무게 등이 저감될 수 있는 매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 공급 장치는 종이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종이 매체를 상방향으로 픽업 및 배출하는 분리부; 및 수용부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하는 블록 및 블록을 따라 상, 하로 위치 조정가능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압부; 를 구비한다. 플레이트가 블록에 대해 상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종에 따라 플레이트가 종이 매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의 최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픽업 및 배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가압부의 결속부는 플레이트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결속부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장공은 결속부의 측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부는 블록의 양 측면에서부터 블록의 배면으로 형성되어 블록의 배면의 일 부분을 수용하여 블록을 감싸듯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의 측면은 결속부의 장공과 대응할 수 있는 나사홀이 제공될 수 있다. 나사홀은 블록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어 장공 일부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결속부와 결속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압부는 수용부을 기준으로 가압부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는 종이 매체가 분리부를 통해 픽업되도록 종이 매체를 분리부로 밀어 내는 역할을 하며, 종이 매체의 상부가 분리부에 밀착하여 종이 매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플레이트 상부 모서리가 플레이트의 하부 모서리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는 종이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지지판은 분리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지지판은 종이 매체의 상하 크기에 따라 상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지지판이 상하로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판 양 측에 고정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은 지지판이 상하로 조정될 때, 근소한 위치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경사진 복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는 지지판 상에서 폭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종이 매체의 양 측면을 제한하는 매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 가이드는 종이 매체의 권종에 따라 크기 및 장변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절적히 길이 조정하여 종이 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공급 장치에 따르면, 권종에 따른 종이 매체의 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제공하며, 가압부의 상단이 하단보다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종이 매체의 상단이 분리부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종이 매체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매체 공급 장치에 따르면, 종이 매체를 출금하는 분리부가 외부에서 제공되므로 카세트, 지폐 저장고 등의 부피 및 무게 등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카세트, 지폐 저장고 등을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공급 장치(100)는 수용부(110), 분리부(120) 가압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체 공급 장치(100)는 기기 내에서 지폐, 수표, 상품권, 카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출금 모듈에서 지폐를 장전하기 위해 기기에 고정된 저장고가 될 수도 있다.
수용부(110)는 다수의 지폐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수용된 지폐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110) 내에는 다수의 지폐가 가지런 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지폐는 장변이 저면과 접하도록 적재되며, 지폐 뭉치의 한쪽 단부는 가압부(130)에 의해서 가압되고, 다른 단부는 분리부(120)와 접할 수 있다.
수용부(110) 정면에는 분리부(120)가 제공된다. 분리부는 외장형 또는 내장형이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분리부는 외장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배출부가 내장형의 경우 분리부(120)가 픽업 롤러(122), 피드 롤러(124) 및 게이트 롤러(126)를 내장할 수 있으며, 외장형의 경우 픽업 롤러, 피드 롤러 및 게이트 롤러가 매체 공급 장치(100)의 장착과 함께 외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분리부(120)가 외장형으로 제공될 경우, 픽업 롤러, 피드 롤러 등의 무게 및 부피만큼 저장고, 카세트 등의 부피 및 무게 등이 감소하여 작업자가 카세트, 저장고 등을 기기내에 장착할 때,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분리부(120)에 대향하여 가압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분리부(120)를 향해 종이 매체 뭉치를 가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를 기준으로 가압부(130)의 상면 모서리가 가압부(130)의 하부 모서리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종이 매체를 분리부(120)에 밀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130)의 플레이트(132)가 앞으로 기울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132)는 지폐의 배면을 가압하는 것 외에도 지폐의 상부가 픽업 롤러에 밀착하도록 국부적으로 밀어줌으로써 픽업 및 배출 기능을 보조할 수가 있다.
커버부(140)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종이 매체가 분리부(120)로 이동하면서 삐 뚤어진 종이 매체를 가이드 하면서 바르게 정렬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수용부(110), 분리부(120) 및 매체 가압부(130)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와 유사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식의 장치와 대체될 수 있으며, 다른 장치로도 교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매체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 및 결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가압부 및 수용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130)는 플레이트(132) 및 블록(134)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32)는 종이 매체의 일 단면과 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종이 매체의 장부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30)는 수용부(110)를 기준으로 가압부(130)의 상단이 하단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가압부(130)가 분리부(120)로 이동하면서 종이 매체가 픽업 롤러(122)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므로 용이하게 종이 매체가 배출될 수가 있다.
또한, 가압부(130)는 플레이트(132)와 일체로 제공되며 후술할 블록(134)에 플레이트(132)를 고정할 수 있는 결속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136)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쌍의 L-자 형상의 결속부(136)가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속부(136)는 수평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1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공(137)은 후술할 블록(134)의 나사홀(b)과 대응될 수 있다.
블록(134)는 플레이트(132)가 분리부(120)로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블록(134)는 결속부(136)에 의해 플레이트(13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나사홀(b)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홀(b)은 블록(134)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으며, 나사홀(b) 및 장공(137)을 통해 스크류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32)와 블록(134)를 고정할 수 있다.
결속부(136)의 장공(137)과 블록(134)의 나사홀(b)은 플레이트(132)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분리부(120)는 종이 매체의 상부를 픽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종이 매체의 크기가 증가하면 종이 매체의 상부가 분리부(120)에 밀착하기 위해 종이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10)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종이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부(130) 역시 종이 매체의 상부를 가압하기 위해서 종이 매체의 위치에 따라 상, 하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30)이 이동하는 방향은 요구되는 사양에 맞도록 플레이트(132) 및 결속부(136)를 블록(134) 상에 위치시키고,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장공(137) 및 나사홀(b)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블록(134) 상에 형성된 나사홀(b)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이 매체에 따라 요구되는 플레이트(132)의 위치가 이전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위치와 근소할 수 있는데, 나사홀(b)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나사홀(b)과 나사홀(b)의 간격이 작아지므로, 플레이트(132)의 위치 조절을 근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형성된 나사홀(b)의 방향은 요구되는 조건,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플레이트(132)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부(130)는 종이 매체가 분리부(120)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리부(120)의 픽업 롤러(122)가 종이 매체의 상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종이 매체의 상단이 픽업 롤러(122)와 근접할 수 있도록 가압부(130)가 종이 매체의 상단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플레이트(13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종이 매체가 분리부(120)에 효과적으로 밀착하게 되어 종이 매체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132)가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르게는 플레이트가 경사면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및 도6을 참조하면, 수용부(110)는 종이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2)은 종이 매체의 크기에 따라 상하로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체 공급 장치(100)는 제공되는 종이 매체의 크기에 따라 수용부(110) 및 가압부(130)가 상하로 조정되어 고정될 수 있
다.
지지판(112)은 양측에 고정판(114)이 제공되며, 고정판(114)은 지지판(112)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14)에는 종이 매체에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나사홀(a)이 형성될 수 있다. 종이 매체는 권종에 따라 크기 및 높이 등이 다를 수 있으며, 권종에 따른 종이 매체의 높이에 맞는 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권종의 높이에 따라 지지판(11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112)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고정판(114)의 나사홀(a)과 외부의 장공(미도시)을 나사로 결속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지지판(112)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권종에 따른 픽업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종이 매체가 분리부(120)에서 픽업 및 배출이 보다 원활히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판(114)의 나사홀(a)은 앞서 설명한 블록(134) 상에 형성된 나사홀과 같이 지지판(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홀을 수직하게 배열하는 경우 나사홀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간격은 최소 나사홀의 직경보다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홀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나사홀에 대응되는 홀을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나사홀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지지판(112)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즉, 경사지게 배열된 나사홀과 그에 대응하는 장공을 이용하여 지지판(112)의 높이를 근소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는 지지판(112) 상에서 폭 조절이 가능하며, 종이 매체의 양 측면을 제한할 수 있는 매체 가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가이드(116)는 종이 매체의 양단을 정의하고 안내할 수 있으며, 종이 매체의 권종에 따라 좌우 로 이동 및 고정할 수 있으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대체적으로 종이 매체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2)은 종이 매체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판(112)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지지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지지부(118)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이드 지지부(118)는 종이 매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수용부(110) 바닥과 지폐 간의 마찰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이 매체는 가이드 지지부(118)에 의해서 종이 매체의 양단이 대략 허공에 떠 있기 때문에 쉽게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종이 매체가 바르게 정렬될 수 있다.
특히, 블록(134)는 가이드 지지부(118)를 수용하여 블록(134)가 분리부(12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블록(134)는 가이드 지지부(118)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블록 수용부(138)를 더 포함하며, 블록 수용부(138)의 양측은 곡선으로 마무리되어 블록(134)가 가이드 지지부(118)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의 T-자 상부는 상대적으로 가이드 지지부(118) 및 블록(134) 저면의 결속이 견고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매체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 및 결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가압부 및 수용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매체 공급 장치 110: 수용부
130: 가압부 132: 플레이트
134: 블록 136: 결속부
Claims (6)
-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종이 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종이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상기 수용부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종이 매체를 상방향으로 픽업 및 배출하는 분리부; 및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하는 블록 및 상기 불록을 따라 상,하로 위치 조정가능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매체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에 결속 가능한 결속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기재의 측면에는 수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제공되고, 상기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공급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결속 기재는 상기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분리부와 대향하는 상단이 하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는 상기 종이 매체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분리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며,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고정판이 수직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판은 종이 매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블록과 결속하여 상기 블록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공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950A KR20090061934A (ko) | 2007-12-12 | 2007-12-12 | 매체 공급 장치 |
US12/331,222 US7942404B2 (en) | 2007-12-12 | 2008-12-09 |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
CN2008101867418A CN101458837B (zh) | 2007-12-12 | 2008-12-12 | 供给纸介质的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950A KR20090061934A (ko) | 2007-12-12 | 2007-12-12 | 매체 공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1934A true KR20090061934A (ko) | 2009-06-17 |
Family
ID=4076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8950A Withdrawn KR20090061934A (ko) | 2007-12-12 | 2007-12-12 | 매체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1934A (ko) |
CN (1) | CN1014588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75576B2 (ja) * | 2009-12-14 | 2013-12-25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背面パネル固定構造および自動取引装置 |
CN102180364B (zh) * | 2010-07-22 | 2016-04-13 | 中钞信用卡产业发展有限公司 | 卡片送料装置及送料方法 |
CN101894418B (zh) * | 2010-08-12 | 2012-08-22 |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 一种atm钱箱的钞仓高度调整装置 |
JP2016170551A (ja) * | 2015-03-12 | 2016-09-23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自動取引装置 |
GB2575248B (en) * | 2018-06-28 | 2020-09-02 | Innovative Tech Ltd | A banknote acceptor feeder device |
CN109534031A (zh) * | 2018-11-22 | 2019-03-29 | 中山市德丰科技服务有限公司 | 一种水墨印刷机上料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89220A (en) * | 1986-08-06 | 1989-12-26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Automatic money depositing apparatus |
US5954226A (en) * | 1997-02-05 | 1999-09-21 | Peterson; Curtis J. | Envelope dispensing apparatus for an ATM |
PL198214B1 (pl) * | 1998-11-23 | 2008-06-30 | Diebold Inc | Urządzenie do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transakcji |
US6834853B2 (en) * | 2002-11-18 | 2004-12-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ulti-pass deskew method and apparatus |
JP4235503B2 (ja) * | 2003-07-23 | 2009-03-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
-
2007
- 2007-12-12 KR KR1020070128950A patent/KR20090061934A/ko not_active Withdrawn
-
2008
- 2008-12-12 CN CN2008101867418A patent/CN1014588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58837A (zh) | 2009-06-17 |
CN101458837B (zh) | 2012-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7557B1 (ko) | 지폐류 출금기용 카세트 | |
KR101075927B1 (ko) | 지엽류 수납 장치 | |
KR20090061934A (ko) | 매체 공급 장치 | |
US8146804B2 (en) | Cash transaction machine | |
KR20140009487A (ko) | 지폐 수납고 및 지폐 취급 장치 | |
KR101830770B1 (ko) |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 |
KR100961577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JP6102487B2 (ja) |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JPWO2010032281A1 (ja) | 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および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に脱着可能な投入・返却ユニット | |
KR900009173Y1 (ko) |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 |
JPWO2012168965A1 (ja) |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 |
KR100941539B1 (ko) | 매체 공급 장치 | |
US7942404B2 (en) |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 |
KR20090063952A (ko) | 매체 공급 장치 | |
KR101009109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834500B1 (ko) |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101407379B1 (ko) | 매체 공급 장치 | |
KR20090073736A (ko) | 매체 공급 장치 | |
KR20100073472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KR101834498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20100073473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KR20140124233A (ko) | 매체 집적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596311B1 (ko) |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 |
KR101440856B1 (ko) | 매체 공급 장치 | |
KR102030518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