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633A - Stereoscopic display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0633A KR20090060633A KR1020070127518A KR20070127518A KR20090060633A KR 20090060633 A KR20090060633 A KR 20090060633A KR 1020070127518 A KR1020070127518 A KR 1020070127518A KR 20070127518 A KR20070127518 A KR 20070127518A KR 20090060633 A KR20090060633 A KR 200900606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liquid crystal
- regions
- lens
- electro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차원과 삼차원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입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by dividing a screen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오늘날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근간으로 구축될 정보의 고속화를 위해 실현될 서비스들은 현재의 전화와 같이 단순히「듣고 말하는」서비스로부터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을 중심으로 한「보고 듣는」멀티 미디어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궁극적으로는「시·공간을 초월하여 실감 있고 입체적으로 보고 느끼고 즐기는」초공간형 실감 3차원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The services to be realized for the high speed of information to be built on the high-spe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day are 'seeing and listening' multi-media centering on digital terminals that process text, voice, and video at high speed from simply 'listening and talking' service like the current telephone. It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media-type service and ultimately develop into a hyper-spatial, realistic 3D stereoscopic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두 눈의 위치의 차이로 왼쪽과 오른쪽 눈은 서로 약간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눈의 위치 차이에 의한 영상의 차이점을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라고 한다. 그리고,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왼쪽 눈은 왼쪽 눈에 대한 영상만 보게 하고 오른쪽 눈은 오 른쪽 눈 영상만을 볼 수 있게 한다. In general,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presen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 vision through two eyes, because the parallax of two eyes, that is, the two eyes are about 65mm apart, the left and right sid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two eyes The eyes see slightly different images. As such, the difference in the image due to the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s is called binocular disparity. In addition, 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es the binocular parallax so that the left eye can see only the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can see only the right eye image.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하며, 이를 표시 장치로 응용한 장치를 입체 표시 장치라 한다.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when these two images are deliver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the brain accurately fuses them to reproduce the depth and reality of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image. Such a capability is commonly referred to as stereography, and a device in which it is applied as a display device is called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한편, 입체 표시 장치는 3D(3-dimension)을 구현하는 렌즈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액정층을 이용하여 렌즈를 구성하는 방식을 액정 전계 렌즈 방식이라 한다.Meanwhile,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mponents that form a lens that implements 3D (3-dimension). For example, a method of configuring a lens using a liquid crystal layer is called a liquid crystal field lens method.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마주보는 2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되는데, 2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으로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구동한다. 액정 분자는 분극 성질과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y)을 갖는다. 여기서, 분극 성질은 액정분자가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액정 분자내의 전하가 액정 분자의 양쪽으로 몰려서 전기장에 따라 분자 배열 방향이 변환되는 것을 말하며, 광학적 이방성은 액정분자의 가늘고 긴 구조와 앞서 말한 분자배열 방향에 기인하여 입사광의 입사 방향이나 편광 상태에 따라 출사광의 경로나 편광 상태를 달리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two opposite electrodes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therebetwee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are driven by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two electrodes. Liquid crystal molecules have polarization properties and optical anisotropy. Here, the polarization property means that when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placed in an electric field, charges i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ttracted to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so that the molecular arrangement dire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and optical anisotropy is characterized by the elongated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the aforementioned molecular arrangement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path of the outgoing light or the polarization state is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cident direction or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incident light.
이에 따라 액정층은 2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고 그 차이를 화소별로 달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exhibit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due to voltages applied to two electrodes, and may display an image by changing the difference for each pixel.
최근에 이러한 액정분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액정층이 렌즈 역할을 하게 하는 액정 전계 렌즈(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가 제안되었다.Recently, a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in which a liquid crystal layer functions as a len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has been proposed.
즉, 렌즈는 렌즈를 구성하는 물질과 공기와의 굴절율 차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의 경로를 위치별로 제어하는 것인데, 액정층에 전극의 위치별로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서로 다른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이 구동되도록 하면, 액정층에 입사하는 입사광은 위치별로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액정층은 실제 렌즈와 같이 입사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ens is to control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by position by us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ens and the air, by applying different voltage to each position of the electrode to the liquid crystal layer by the different electric field When driven,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layer feels a different phase change for each position. As a result, the liquid crystal layer can control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like an actual le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액정 전계 렌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field le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액정 전계 렌즈를 나타낸 단면도와, 도 2는 도 1의 액정 전계 렌즈 형성시 전압 인가 후 전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otential distribution after voltage application when forming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1.
도 1과 같이, 종래의 액정 전계 렌즈는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기판(10, 20)과, 상기 제 1, 제 2 기판(10, 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field lens includes a first and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10) 상에는 서로 제 1 이격 거리로 제 1 전극(11)이 형성된다. 이 때, 인접한 제 1 전극(11)들간에 있어서, 일측 제 1 전극(11)의 중심으로부터 타측 제 1 전극(11)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피치(pitch)라 하며, 상기 피치를 주기로 동일한 패턴(제 1 전극)이 반복되어 형성된다.Here, the
상기 제 1 기판(20)상에 대향되는 제 2 기판(20) 상에는 전면 제 2 전극(21)이 형성된다. The front
상기 제 1, 제 2 전극(11, 21)은 투명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전극(11, 21)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액정층(30)에 형성되며, 이러한 액정층(30)을 이루는 액정 분자는 전기장의 세기 및 분포에 따라 반응하는 특성에 의해 도 2와 같은 액정 전계 렌즈와 유사한 위상분포를 갖게 된다.The first and
이러한 액정 전계 렌즈는 상기 제 1 전극(11)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 2 전극(21)을 접지시키는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압 조건에 의해 제 1 전극(11)의 중심에서 가장 강한 수직 전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약한 수직 전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정층(30)을 이루는 액정 분자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전계에 따라 배열되어, 상기 제 1 전극(11)의 중심에서는 서있게 되고, 상기 제 1 전극(11)과 멀어질수록 수평에 가깝게 기울어진 배열을 갖게 된다. 따라서, 광의 전달의 입장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11)의 중심이 광경로가 짧게 되고, 상기 제 1 전극(11)으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광경로가 길어지게 되며, 이를 위상면으로 나타냈을 때, 표면이 포물면을 갖는 렌즈와 유사한 광 전달 효과를 갖게 된다.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is formed under a condition of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21)은 액정 전계의 거동을 유발하여, 전체적으로 빛이 느끼는 굴절율을 공간적으로 포물 함수가 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전극(11)은 렌즈의 모서리부(에지 영역)를 형성토록 한다.Here, the
이 때, 제 1 전극(11)은 제 2 전극(21)에 비해 다소 높은 전압이 인가되며, 따라서, 도 2와 같이,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21)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특히, 상기 제 1 전극(11) 부위에는 급격한 측면 전장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은 완만한 분포를 이루지 못하고, 다소 왜곡된 형태의 분포를 이룸으 로써, 공간적인 굴절율 분포를 포물면 형태로 이루지 못하거나, 혹은 전압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At this time, a voltag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이러한 액정 전계 렌즈는 물리적으로 포물면의 표면을 갖는 렌즈의 구비없이, 액정과 상기 액정을 사이에 두고 양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고, 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Such a liquid crystal field lens can be obtained by forming an electrode on both substrates with a liquid crystal inter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and the liquid crystal without applying a lens having a physically parabolic surface, and applying a voltage theret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 전계 렌즈를 구비한 입체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field len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예를 들어, 표시 장치로서 이용시, 2차원 또는 3차원의 선택적 구동은 가능하나, 2, 3차원의 동시 구현이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기기(Mobile application), 게임 기기(Gaming Application) 혹은 PDA(Personal Digital Application) 등에 있어서, 3차원의 표시와 함께 자막 등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2, 3차원의 동시 구현이 요구되기도 한다. For example, when used as a display devic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elective driving is possible, but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two or three dimensions is impossible. For example, in a mobile application, a gaming application, or a personal digital application, a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two or three dimensions is required to display characters such as subtitles as well as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be requir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화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차원과 삼차원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입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creens by dividing a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는, 이차원의 영상 신호를 출사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m개(m은 2이상의 자연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서로 대향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상에 전극들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의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들에 전압 인가에 의해 각 영역별 구동되는 액정 전계 렌즈와, 각각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m 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액정 전계 렌즈로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전 원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vided into a display panel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video signal, and the m (m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in the plane locat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wherein each region is appli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driving voltage and the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voltage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 areas and receiving the power source voltage, respectively, the power source voltage to be driven separately, and the transfer to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Its features, including that made.
상기 제어부는 m 개의 구동부를 이차원(2D)과 삼차원(3D) 모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m개의 구동부 각각에 대하여 이차원 모드/삼차원 모드의 선택부를 구비한다.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 drivers to generate voltage signals corresponding to one of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mode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includes a selection unit of two-dimensional mode / three-dimensional mode for each of the m driving units.
여기서, 상기 m 개의 영역의 구분은, 상기 액정 전계 렌즈를 이루는 상기 제 1 기판 또는 상기 제 2 기판을 m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전극들을 배치시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정 전계 렌즈는 상기 m개의 영역에 대해 각각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들은, 상기 제 1 기판 상의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에 대하여 각각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분할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전면에 형성된 공통 전극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m개의 구동부는 상기 제 1 기판 상의 상기 복수개의 분할 전극들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공통 전극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 전극에 인가되는 최소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공통 전극의 전압 인가는 상기 m개의 구동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변에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m regions are divided by dividing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into m regions and arranging the electrodes.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 regions for the m regions, and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ns regions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In this case, the m driving part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lit electrodes on the first substrate. In this case, a voltage equal to a minimum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plit electrodes is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The voltage application of the common electrode may be performed from any one of the m drivers or from the controll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plit electrodes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또한, 상기 액정 전계 렌즈는 상기 m개의 영역에 대해 각각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m 개의 영역은 상기 제 1 기판 상의 제 1 방향으로 나누어진 l(l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영역과, 상기 제 2 기판 상의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누어진 k(2이상의 자연수)개의 영역이 대응(m=l*k)되어 정의되며, 상기 제 1,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들은, 상기 제 1 기판 상의 복수 개의 렌즈 영역들에 대하여 각각 서로 이격된 제 1 분할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간 서로 이격된 제 2 분할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 regions, respectively, for the m regions, and the m regions may include l (l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regions divid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substrate, K (two or more natural numbers) regions divid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second substrate are defined to correspond (m = l * k), and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 regions on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divide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ens regions on the second substr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기판 상의 l개의 영역에 대응된 l개와, 상기 제 2 기판 상의 k개의 영역에 대응된 k개가 형성되며, 상기 l개의 구동부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k개의 구동부는 상기 제 2 분할 전극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들과 상기 제 2 분할 전극들의 전압 신호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iving parts may include l corresponding to l areas on the first substrate and k corresponding to k areas o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l driving part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plit electrodes. k driving part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plit electro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trol voltag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electrodes.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plit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long bar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split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long b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액정 전계 렌즈의 영역을 복수개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두어, 각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각 영역을 선택적으로 이차원 또는 삼차원 모드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화면에 이차원의 표시와 삼차원의 입체 표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By dividi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hav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each region, each region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in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ode by controlling each driving unit. Therefore, two-dimensional display and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display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on one screen.
또한, 동일 모드라 할지라도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하여,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에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same mode, driving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for each area, so that the screen can be divided and used for display.
그리고, 액정 전계 렌즈를 이루는 상하판 모두에 영역을 구분하고, 상하판에 구분된 영역이 각각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갖도록 하여, 상하판이 교차되어 정의된 영역 수만큼 분리된 구동 영역을 얻을 수 있어, 각각 상하판이 정의된 영역 수만큼 구동부가 요구될 때, 교차된 구동 영역 수보다 적은 수의 전압 조절로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Then, the area is divided into both the upper and lower plates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the regions di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each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y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regions separated by the defined number of regions by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can be obtained. When the driving unit is required by the number of regions defined by the upper and lower plates, respectively,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crossed driving regions.
즉, 액정 전계 렌즈의 형상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복수개의 전압 인가 조건을 주는 구동부 구비에 영역별 선택적 구동과, 이들 영역의 이차원 /삼차원의 전환이 가능하며, 한 화면에서 이차원/삼차원 동시 구동이 가능하다.That is, selective driving for each region and two-dimensional / three-dimensional switching of these regions are possible with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voltage application conditions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shape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It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액정 전계 렌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a liquid crystal field lens appli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100)는, 이차원 표시 영역(110)과 삼차원 표시 영역(120)이 구분된다. 상기 이차원 표시 영역(110)에서는 2차원의 표시를 수행하고, 나머지 삼차원의 표시 영역(120)에서 3차원의 표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차원 표시 영역(110)은 왼쪽 상측 모서리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를 복수개로 구비할 수도 있고, 그 영역을 보다 넓히거나 줄일 수 있고, 면적의 변경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서 모두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in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여러 실시예 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for enabling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역별 구동이 가능한 액정 전계 렌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액정 전계 렌즈의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field lens capable of driving by region in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wirings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4 in detail. to be.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전계 렌즈(200)는, 크게 그 중앙에 표시가 이루어지는 액티브 영역(210)과, 그 외곽의 신호 배선이 형성되는 패드 영역(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영역(210)은 총 4개의 제 1 내지 제 4 영역(211, 212, 213, 214)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영역(211, 212, 213, 214)과 인접한 제 1 내지 제 4 패드 영역(221, 222, 223, 224)들에는 상기 액티브 영역(210)의 상기 제 1 내지 제 4 영역(211, 212, 213, 214)에 형성된 전극들(도 5a 및 도 5b의 261, 262, 263, 264)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271, 272, 273, 2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패드 영역(221, 222, 223, 224)에 전압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구동부(231, 232, 233, 234)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내지 제 4 구동부(231, 232, 233, 234)는 각각 제어부에 연결되어, 각 구동부가 이차원(2D)과 삼차원(3D) 모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각 구동부 각각에 대하여 이차원 모드/삼차원 모드의 선택부(미도시)를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to
여기서, 상기 제 1 구동부(231) 및 제 2 구동부(232)는 상기 액정 전계 렌 즈(200)의 상측에, 상기 제 3 구동부(233) 및 제 4 구동부(234)는 상기 액정 전계 렌즈(200)의 하측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구동부(231~234)와 상기 액정 전계 렌즈(200)의 연결은 각각 인접한 패드 영역(221, 222, 223, 224)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구동부(231~234)와 상기 액정 전계 렌즈(200)와의 연결은 이 위치한다. 즉, 제 1 구동부(231) 및 제 2 구동부(232)와 상기 제 1 패드 영역(221) 및 제 2 패드 영역(222)에 형성된 신호 배선(도 5a 및 도 5b의 271, 272 참조)이 콘택되고, 상기 제 3 구동부(233) 및 제 4 구동부(234)는 상기 제 3 패드 영역(223) 및 제 4 패드 영역(224)에 형성된 신호 배선(도 5a 및 도 5b의 273, 274 참조)에 콘택된다. Her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a(제 1, 제 2 영역 도시) 및 도 5b(제 3 영역, 제 4 영역 도시)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영역(211, 212, 213, 214)에는 각각 해당 영역에 복수개의 렌즈 영역을 구비하고, 각 렌즈 영역마다 복수개의 분할 전극(261, 262, 263, 264)이 반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제 1 내지 제 4 영역(211, 212, 213, 214)은 각각 하나의 렌즈 영역을 포함하도록 간략히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동일 형상으로 복수개의 렌즈 영역이 반복되어 형성되게 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5A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5B (shown in the third and fourth regions), the first through
그리고, 인접한 상기 제 1 패드 영역(221)과 제 2 패드 영역(222)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 1 신호 배선(271)과 제 2 신호 배선(272)은, 제 1, 제 2 영역(211, 212)간의 인접한 부근에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각각 복수개의 제 1 신호 배 선(271)은 개별적으로 상기 제 1 분할 전극(261)들 중 하나와 콘택되고, 제 2 신호 배선(272)도 마찬가지로 제 2 분할 전극(262)들 중 하나와 콘택된다. 여기서, 상기 In addition,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신호 배선(271)은 각각 제 1 구동부(231)로부터 제 1 FPC(241)를 통해 전압 신호를 인가받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내지 제 4 신호 배선(272~274)은 각각 제 2 내지 제 4의 해당 구동부(232~234)로부터 제 2 내지 제 4 FPC(242~244)를 통해 전압 신호를 인가받는다. Each of the plurality of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패드 영역(223)과 제 4 패드 영역(224)에 형성되는 제 3 신호 배선(273) 및 제 4 신호 배선(274)은, 각각 제 3 영역(213) 및 제 4 영역(214)간의 인접부에서 서로 분리되며, 각각 복수개의 제 3 신호 배선(273)은 개별적으로 제 3 분할 전극(263)들 중 하나와 콘택되고, 제 4 신호 배선(274)도 마찬가지로 제 4 분할 전극(264)들 중 하나와 콘택된다. Similarly, the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구동부(231~234)는 제 1 내지 제 4 FPC(241~244)를 통해 해당 신호 배선(271~274)이 형성된 패드 영역(221~224)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각 영역의 신호 배선(271~274)은 서로 분리되어 각 구동부(231~234)로부터 해당 전압 신호들을 인가받는다. In addition, the first to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211)에 폭 P 를 갖는 렌즈 영역에 총 4개의 제 1 분할 전극(261)이 형성될 때, 상기 렌즈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인 전압 신호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호 배선(271)은 상기 제 1 분할 전극(261) 수에 맞추어, 각각 하나씩 대응되며, 각각 제 1 분할 전극(261) 중 하나와 대응된 제 1 신호 배선(271)이 컨택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total of four
경우에 따라 상기 렌즈 영역을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인 전압 신호가 인가되어야 하므로, 신호 배선 수를 반분하여 두고, 렌즈 영역의 에지부에서 최대 전압(Vmax)를 렌즈 영역의 중앙부에서는 가장 작은 최소 전압(Vmin)이 인가되도록, 하나의 렌즈 영역별로 좌우 대칭적인 신호 배선(271)과 제 1 분할 전극(261)을 콘택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 신호 배선(271)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좌우 대칭의 제 1 분할 전극(261)과의 콘택이 이루어지게 된다.In some cases, a voltage signal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ns area should be applied, so that the number of signal wires is divided by half, and the maximum voltage Vmax at the edge of the lens area is the smallest minimum voltage at the center of the lens area.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제 2 영역(212) 내지 제 4 영역(214)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전압 인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remaining
여기서, 제 2 신호 배선(272) 및 제 3 신호 배선(273)은, 상대적으로, 제 1 신호 배선(271) 및 제 4 신호 배선(274)에 비해 그 배선 길이가 긴데, 이는 각각 이들에 신호를 인가하는 제 2 구동부(232)와 제 3 구동부(233)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211~214)은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는, 영역들이 서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특성상 가로 폭을 조절하여 그 면적을 정할 수 있다. The first to
그리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전계 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211~214)은 분할 전극(261~264)이 형성된 하판측에 정의되는 것으로, 이 경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상판은 영역구분없이 전면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In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the first to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2D 및 3D 의 전환이 가능한, 일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region in which the 2D and 3D can be switched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는, 전압 인가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 기능을 갖는 액정 전계 렌즈(300)와,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 하측에 이차원 영상 정보를 출사하는 표시 패널(350)과, 상기 표시 패널(350) 하측에 표시 패널(350)로 광을 전달하는 광원(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applying voltage, and has a liquid
경우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350)이 광을 직접 발광하는 장치라면, 상기 광원(700)의 생략이 가능하다.In some cases, if the
상기 표시패널(350)에는 제 1 및 제 2 영상(IM1, IM2)을 각각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영상 화소(P1, P2)가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표시패널(350)로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l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 표시 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등의 평판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350)은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로 이차원의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300)는, 이차원 영상 신호를 렌즈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삼차원 영상 신호를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이차원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350) 상부에 위치하며,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삼차원 영상 신호의 출사 혹은 이차원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사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에 전압 무인가시 광이 투과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 무인가시는 이차원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에 전압 인가시는 삼차원 표시와 같은 스위칭 기능을 겸용할 수 있다. The liquid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300)는, 복수개의 렌즈영역이 대응되어 정의되며, 서로 대향 배치된 제 1, 제 2 기판(310, 320)과, 각 렌즈 영역(L)들에 대하여 상기 제 1 기판(310)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전극(311, 도 5a 및 도 5b의 분할 전극들에 대응)과, 상기 제 2 기판(320) 전면에 형성된 제 2 전극(321)과, 상기 제 1 전극들(311)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원(Vmin, V1, V2, ...,Vmax) 및 상기 제 1 기판(310) 및 제 2 기판(320) 사이에 채워진 액정층(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liquid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들(311) 및 제 2 전극(32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과 같은 투명 금속으로 형성하여, 각 전극이 위치한 부위에서 투과율의 손실을 방지한다.The
이하,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를 전압 인가 측면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iquid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와 이의 전압 인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의 액정 전계 렌즈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과 이로 인해 나타나는 위상차 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9는 입체 표시 구현 영역의 각 렌즈 영역의 거리별 인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a voltage applying uni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an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9 is a graph showing an applied voltage for each distance of each lens region of the stereoscopic display implementation region.
상기 렌즈 영역(L)의 중심(O)에서는 대략 문턱 전압(Vth)에 상당한 제 1 전압(Vmin)이 인가되며, 상기 렌즈 영역(L)들의 에지부(E)에 위치한 제 1 전극(311)에 가장 큰 제 n 전압(Vmax)이 인가된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영역(L)의 중심(O)과 에지부(E) 사이의 위치하는 상기 제 1 전극들(311)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렌즈 영역의 문턱 전압에 상당한 제 1 전압(Vmin)에서 제 n 전압(Vmax) 사이이며, 상기 렌즈 영역(L)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값의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311)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2 전극(321)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전극(311)과 상기 제 2 전극(321) 사이에 수직 전계를 조성한다.The first voltage Vmin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Vth is applied at the center O of the lens region L, and the
이러한 복수개의 제 1 전극(311)은 상기 렌즈 영역(L)에서, 상기 렌즈 영역의 에지부(E)를 경계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제 1 전극(311)들은,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각 영역의 전극들(261~264)에 대응되는 것으로, 각 영역에서 해당 패드 영역(221~224)에서, 해당 전압원(Vmin, V1, V2, V3, ..., Vmax)들과 신호 배선(도 5a 및 도 5b의 271~274)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전압이 인가된다.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렌즈 영역(L)의 중심(O)에 대응되어 형성된 제 1 전극(311)에 인가되는 가장 작은 문턱 전압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전압(Vmin)은 약 1.4~2V 를 피크(peak) 값으로 하는 교류 사각파이며, 이러한 문턱 전압 (Vmin)은 (Δε는 액정 유전율 이방성, K1은 액정의 탄성 계수, ε0은 자유공간 유전율)로 계산된다. 또한, 상기 렌즈 영역(L)의 에지(E)에 대응되어 제 1 전극(311)에 인가되는 전압 중 가장 큰 고전압은 약 2.5~10V를 피크값으로 하여 인가되는 교류 사각파이다. Here, the first voltage Vmin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threshold voltage applied to the
한편,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 1 전극들(311)에 상술한 문턱전압(1.4~2V를 피크값으로 하는 교류 사각파)에서 고전압(2.5~10V를 피크 값으로 하는 교류 사각파) 사이의 값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전극(321)에 접지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정 전계 렌즈(300)는 포물선면의 광학 렌즈와 유사한 렌즈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표시 패널(350)로부터 출사된 제 1 및 제 2 영상(IM1, IM2)은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에 의하여 각각 제 1 및 제 2 시역(viewing zone)(V1, V2)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 1, 제 2 시역(V1, V2)간의 거리를 사람의 두 눈 사이의 거리로 설계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역(V1, V2)으로 각각 전달되는 제 1 및 제 2 영상(IM1, IM2)을 합성하여 양안시차에 의한 3차원 영상을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한편, 제 1 전극(311) 및 제 2 전극(321)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는 상기 표시 패널(350)의 제 1 및 제 2 영상(IM1, IM2)의 굴절 없이 그대로 표시되는 단순 투명층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영상(IM1, IM2)은 시역구분 없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2차원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도면에서는, 상기 액정 전계(300)의 일 렌즈 영역(L)은, 액정 전계 렌즈 하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350)의 2개의 화소들(P1, P2)의 폭에 대응되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화소들이 상기 일 렌즈 영역(L)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영역(L)들은 화소들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인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화소들에 대해 계단형상(렌즈 배치가 n번째 화소 수평 라인에 대해 (n+1)번째 화소 수평라인측에서 일정 폭 쉬프트되어 형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drawing, one lens region L of the liquid crystal
상기 렌즈 영역(L)은 일 피치(pitch)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정의되며, 동일한 피치를 갖는 렌즈 영역(L)이 일 방향(도 6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이 때, 일 피치(P: pitch)란 일 렌즈 영역(L)의 가로폭을 의미하며, 상기 렌즈 영역은 도시된 볼록 렌즈와 같은 물리적인 렌즈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전계 인가에 따라 액정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렌즈 기능을 갖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렌즈 영역(L)의 중심(O)에서 상기 렌즈 영역(L)의 에지부(E)까지는 P/2에 상당한 거리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렌즈 영역(L)의 에지부(E)에서 각 렌즈 영역의 중심(O)까지 대칭형의 제 1 전극(311)들에 대칭의 전압 값이 인가됨을 나타낸다. The lens region L is defin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one pitch, and the lens region L having the same pitch is periodically repeated in one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6). At this time, one pitch (P: pitch) means the width of one lens area (L), the lens area does not have a physical lens shape, such as the convex lens shown, the liquid crystal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ic field The area having one lens function formed is displayed. The distance E from the center O of the lens region L to the edge portion E of the lens region L has a considerable distance to P / 2, and each lens is formed at the edge portion E of the lens region L. A symmetrical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311)을 포함한 상기 제 1 기판(310)과, 상기 제 2 전극(321) 상에는 각각 제 1 배향막(312)과 제 2 배향막(32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제 2 배향막(312, 322)은 전압 무인가시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액정 전 계 렌즈(300)를 투과층으로 기능시키기 위해, 제 1 배향막(312)의 러빙 방향을 상기 제 1 전극(311)의 방향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 2 배향막(312)의 러빙 방향을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350)을 통해 하부에서 전달되는 되는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를 거쳐 그대로 관측자에게 투과 전달시킨다.A
상술한 렌즈 영역(L)은 일 피치(P)를 주기로 가로 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된다.The lens region L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pitch P.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311)은 상기 제 1 기판(310)의 세로 방향(도면을 투과하는 방향)을 따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일 제 1 전극(311)의 폭을 2~10㎛으로 하며, 인접한 제 1 전극(311)간의 간격을 2~10㎛로 하여 배치한다. 예를 들어, 렌즈 영역의 피치(pitch)는 90 내지 1000㎛ 정도로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데, 상술한 제 1 전극(311)의 폭 및 이격 간격에 따라 렌즈 영역별로 10개 내외에서 100개 이상까지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전극(311)의 폭 및 이격 간격은 균일 간격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수치 2~10㎛의 범위에서 동일한 값을 갖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제 2 기판(310, 320)의 외곽 영역(패드부를 포함한 비표시 영역)에는 씰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 기판(310, 320) 사이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기판(310, 320) 사이의 액정층(330)은 충분한 위상의 액정 전계 렌즈 형성을 위해, 약 15㎛ 이상의 두께에 상당하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는데, 이러한 액정층(330)의 두께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 2 기판(310, 320) 사이의 셀 갭을 지지하는 볼 스페이 서 또는 칼럼 스페이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함되는 스페이서는 상기 액정 전계 렌즈의 위상을 왜곡시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Although not shown, a seal pattern (not shown) is formed in the outer regions (non-display regions including the pad portion) of the first and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300)는, 도 4~5b를 참조하면, 크게 중앙에 표시가 이루어지는 액티브 영역(210)과, 상기 액티브 영역(210)에 형성된 제 1 전극(311,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는, 261~264) 및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to 5B, the liquid
그리고, 상기 패드 영역(220)은 외부로부터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전압원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원은 분할 전극에 인가 전압을 생성하는 분배 전압 생성부(160)(도 5a 및 도 5b의 구동부(231~234)에 포함)와,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와 상기 패드 영역(220)을 연결하는 링크부(161)(도 5a 및 도 5b의 FPC(241~244)에 포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압원은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도 6의 311,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는 261~264)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과, 상기 제 2 전극(도 6의 321)에 접지 전압을 인가하며,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311)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전압원은 최대, 최소 전압과 그 사이의 각각의 전압 출력단 사이에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 출력단에 버퍼를 더 구비하여 분배전압 생성부를 더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최소 전압(Vmin)과 최대 전압(Vmax)과, 각각의 전압 출력단 사이에 출력되는 저항들(R1, ..., Rn-1)의 크기는 분배가 이루어지는 전압 크기에 따라 조절한다. 상기 렌즈 영역(L)의 에지부(E)에서 중앙부(O)로 가면서 각 제 1 전극(3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점점 커진 값으로 인가되며, 이러한 전압의 조절은 앞서 저항들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d region 220 includes a voltage source for applying a voltage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and the voltage source includes a divided voltage generation unit 160 generating voltages applied to the divided electrodes (the driving
여기서, 상기 각 제 1 전극(311)의 단부와,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된 각각 제 1 전압(Vmin)부터 제 n 전압(Vmax)까지의 총 n 개의 전압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배선들(도 5a 및 도 5b의 271-274 참조)과 콘택된다. 이러한 상기 인가 전압 수 n개는 하나의 렌즈 영역(L) 내에 형성되는 제 1 전극(311) 수 혹은 신호 배선과 제 1 전극과의 대칭 콘택시 상기 제 1 전극(311) 수의 반분된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b와 같이, 예를 들어, 4개의 전극이 형성되는 경우 n은 4 또는 2가 될 수 있다.Here, signal wires to which a total of n voltage signals from an end of each of the
도 5a 및 5b에서는, 신호 배선(271~274)이 각각 액티브 영역(210)의 상하에 위치한 패드 영역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상하 패드 영역에 상기 각 영역들의 일 렌즈 영역에 형성되는 4개의 전극들(261~264)에 대하여 콘택되는 신호배선(271~274)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5A and 5B, signal wirings 271 to 274 are shown in pad region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active region 210, respectively, and 4 formed in one lens region of each of the above and below pad regions. The signal wirings 271 to 274 contacting the two
여기서, 도면상의 중앙에 도시된 렌즈 영역의 에지부와 좌측의 렌즈 영역의 중심부 사이에, 총 n 개의 신호 배선(271~274)이 가장 하단부터 시작하여, 제 1 전압(Vmin)이 인가되며 이로부터 점점 커져 n 번째 신호 배선에서는 제 n 전압(Vmax)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의 렌즈 영역의 중심부(O)와, 중앙에 도시된 렌즈 영역의 에지부(E) 사이에, 총 n개의 신호 배선이 위치하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제 1 전압(Vmin)부터 제 n전압(Vmax)까지 인가된다. 이 경우, 전압 인가는 상기 렌즈 영역(L)의 에지부(E)를 경계로 하여, 상기 에지부(E)에 대응되는 제 1 전극(311)과 이와 콘택하는 신호 배선(271~274)을 경계로 하여, 그 상하의 신호 배선(271~274)이 대칭적으로 점점 제 n 전압(Vmax)으로부터 제 1 전압(Vmin)까지 줄어드는 전압 신호가 인가되며, 각각의 제 1 전극(311)들이 이들 신호 배선과 차례로 콘택되어, 상기 렌즈 영역의 에지부(E)로부터 중심부(O)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전압 값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311)들과 상기 신호 배선(271~274)과의 콘택은 그 사이에 보호막(미도시)을 개재하여 콘택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Here, a total of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311)은 상기 렌즈 영역에서 동일 간격의 폭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이들은 상기 제 1 기판(310) 상의 동일층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311)이 상기 제 1 기판(310)의 표면에 바로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도 8은 본 발명의 전압 인가 방식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액정 전가 렌즈의 인가 전압에 따른 위상차와 이에 따른 렌즈 모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의 위치별 전위 분포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ltage appl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liquid crystal transfer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ens shape according thereto, and FIG. 10 is a potential distribution for each position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전압원으로 기능하는, 분배 전압 생성부(160)는 상기 도 5a 내지 도 5b에 있어서, 구동부 (231)에 위치하며, 최대 전압(Vmax)과 최소 전압(Vmin) 사이의 전압 신호 분배를 위해, 최대 전압(Vmax)과 최소 전압 인가단(Vmin)과 각 전압 신호 출력단들 사이의 저항(resistor)(R1, R2, ..., Rn-1)과, 각 전압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도 5a 내지 도 5b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FPC(241~244)에 포함된 링크부(161)를 거쳐 상기 패드 영역(220)의 신호 배선(271~274)으로 인가되며, 상기 각 전압 신호 출력단의 단부에 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버퍼(B1, B2,...., Bn)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divided voltage generator 160, which functions as the voltage source, is positioned in the
상기 제 1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압은 도 8 및 도 9에서 정의된 관계로 산출하며, 이 경우, 각각의 전압 생성은 도 7의 Vmax(최대 전압)과 Vmin(최소 전압) 사이에 분배 전압 생성부(160)를 두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160)는 상기 Vmax(최대 전압)과 Vmin(최소 전압)의 각각의 전원 전압원 사이에 각 전극(261~264)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 가능한 복수개의 저항(R1, R2, ...., Rn-2, Rn-1)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항들 사이에 노드를 설정하고, 상기 노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안정화하는 버퍼(buffer)를 구비한다. 이 때, 버퍼로부터 상기 전압원들과의 연결 배선과 상기 패드 영역의 신호 배선과의 연결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 해당 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The voltage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s are calculated in the relationship defined in FIGS. 8 and 9, in which case each voltage generation generates a division voltage between Vmax (maximum voltage) and Vmin (minimum voltage) of FIG. 7. A portion 160 is made. In this case, the divided voltage generator 160 may divide a plurality of resistors capable of distributing voltages applied to the
이 때,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160)를 흐르는 전류는 수 mA로 설정한다. 여기서, 전류는 너무 작으면 구동 전압 편차가 커져 안정적이지 못한 전압 레벨이 각 노드로 출력될 수 있고, 전류가 너무 커지면 불필요하게 전압 분배기 내의 저항들에 열소모 전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압 분배기 내의 구동 전압 편차와 열소모 전력을 가감하여 소정의 전류 값을 결정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ivided voltage generator 160 is set to several mA. Here, if the current is too small, the driving voltage deviation becomes large and an unstable voltage level can be output to each node. If the current is too large, heat dissipation power may be generated in the resistors in the voltage divider, so that the driving in the voltage divider is unnecessary. Voltage deviation and heat dissipation power are added or subtracted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current value.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Vmin, V1, ..., Vmax)들은 링크부(161)를 거쳐 상기 패드 영역(220)의 신호 배선(271~274)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배선(271~274)과 상기 전극(261~264)의 단부에서 콘택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들의 수는 상기 각 렌즈 영역의 에지부(E)와 중앙부(O)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들(261~264)의 수에 상당하다. 이 때, 상기 분배 전압 생성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들은 상기 각 렌즈 영역의 중앙부와 에지부 사이에서, 상기 중앙부 또는 에지부를 경계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양의 2차 함수 형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들이 대응된다. Voltage signals Vmin, V1, ..., Vmax output from the divided voltage generator 160 are connected to signal
그리고, 이러한 적절한 인가 전압의 선택은 예를 들어, 도 8와 같이, 인가 전압을 소정 값으로 하였을 때, 액정층이 갖는 위상차에 따라 산출한 테이블을 예로 하여, 상기 전압 및 위상차에 관계에 따라 시뮬레이션된 액정 전계 렌즈와, 구현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의 형상이 유사한 경우, 해당 테이블을 선택하고, 해당 테이블로부터 렌즈 영역의 전극 위치별 전압 값을 산출한다. Then,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applied voltage is simula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and the phase difference, taking an example of a tabl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hase difference of the liquid crystal layer when the applied voltage is a predetermined value as shown in FIG. 8. When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is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imulation to be implemented, the corresponding table is selected, and a voltage value for each electrode position of the lens region is calculated from the table.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는 도 9에서와 같은 포물 렌즈면을 갖는 렌즈의 형성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복수개 형성된 제 1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렌즈 영역의 에지부로부터 중심까지 점차 낮은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즉, 도 8에서 위상차(렌즈 모양에 있어서, 세로축에 해당)가 큰 쪽(렌즈 영역의 중심)은 인가 전압이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며, 위상차가 낮은 쪽(렌즈 영역의 에지부)은 인가 전압이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즉, 인가 전압과 위상차는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in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a lens having a parabolic lens surface as shown in FIG. This must be authorized. That is, in FIG. 8, the larger the phas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lens, the vertical axis) (the center of the lens region) is the voltage applied with the lower applied voltage, and the lower the phase difference (the edge portion of the lens region) is applied voltage. This high voltage must be applied. In other words, the applied voltage and the phase difference are inversely related to each other.
또한, 도 9와 같이, 렌즈 영역 내의 에지부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인가 전압은 Vmax에서 Vmin으로 낮아지는 관계를 가지며, 이 때, 하나의 렌즈 영역 내에 중심을 경계로 좌우 에지부에 서로 대칭형의 관계를 가진다. 즉, 중심을 0점이라 하고, 상기 중심의 좌측과 우측을 에지부까지를 각각 (-), (+)x축 관계에 있다고 할 때, 상기 중심으로부터 거리(x)의 제곱에 비례하는 값이 인가 전압(V) 값으로 정의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applied voltage decreases from Vmax to Vmin toward the center from the edge portion in the lens region, and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have a 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the one lens region. Have That is, assuming that the center is a zero poin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are in the (-) and (+) x-axis relations to the edges, respectively, a value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x) from the center is It is defined as the applied voltage (V) value.
이상의 전압 인가 방식은 3차원의 입체 표시시에 각각 각 영역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구비된 분배 전압 생성부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고, 만일 소정 영역이 2차원의 표시를 수행할 경우에는 각각 분배 전압 생성부에 인가되는 최소 및 최대 전압 모두 동일 전압(Vx)을 인가하고 상기 제 2 기판(320)측의 공통 전극(제 2 전극)(321)에도 이와 동일한 Vx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 내에 제 1, 제 2 기판(310, 320)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되지 않아, 하측의 표시 패널(350)의 이차원 영상이 그대로 출사되게 한다. The above voltage application method is performed through a divided voltage generation unit provided in a driving unit for driving each region in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display, and if the predetermined region performs two-dimensional display, each divided voltage generation unit By applying the same voltage (Vx) to both the minimum and maximum voltage applied and the same Vx voltage to the common electrode (second electrode) 321 on the sid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는 영역별 구동부를 구비함에 의해 각 영역에 대한 이차원/삼차원의 선택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elective display of each region by providing the driver for each reg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를 하판 및 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a 및 도 10b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각 영역별 구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0A and 10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lower panel and an upper panel of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angle view of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10A and 10B. A plan view showing the driving for each region.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에 구성 중 상기 액정 전계 렌즈(300)의 구성을 대체한 것으로, 이차원의 영상 신호를 출사하는 표시 패널(도 6의 350 참조)과, 상기 표시 패널(350) 상부에 위치하고, 평면상에서 m개(m은 2이상의 자연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서로 대향된 제 1, 제 2 기판(310, 320)과 상기 제 1, 제 2 기판(310, 320) 상에 전극들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의 액정층을 포함하 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들에 전압 인가에 의해 각 영역별 구동되는 액정 전계 렌즈(600)와, 각각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m 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액정 전계 렌즈(600)로 전달하는 m 개의 구동부(511, 512, 513, 561, 562, 563) 및 상기 m개의 구동부(511, 512, 513, 561, 562, 563)의 전원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replaces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상기 액정 전계 렌즈(600)는, 각각 상판(550)과 하판(500)이 제 1 내지 제 3 영역(상판SEC1, 상판SEC2, 상판SEC3)과 제 4 내지 제 6 영역(하판SEC1, 하판SEC2, 하판SEC3)으로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이 영역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내지 제 6 구동부(511, 512, 513/ 561, 562, 5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liquid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즉, 도 10a 내지 도 11에 따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 전계 렌즈(600)는 영역의 구분이 상판(550) 또는 하판(500) 어느 하나의 기판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이 경우, 상하판(550, 500)이 서로 합착하여 액정 전계 렌즈를 이룰 때, 도 11과 같이, 서로 교차함에 의해 가로 3, 세로 3으로 구분되는 총 9개의 영역(S1~S9)으로 구분할 수 있다.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iquid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내지 제 6 구동부(511, 512, 513/561, 562, 563)는 각각 제어부에 연결되어, 각 구동부가 이차원(2D)과 삼차원(3D) 모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각 구동부 각각에 대하여 이차원 모드/삼차원 모드의 선택부(미도시)를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to
또한, 상기 액정 전계 렌즈(600)는 상기 m개의 영역(도 10a 내지 도 11에 따르면 9개 영역)에 대해 각각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m 개의 영역은 상기 하판(500) 상의 제 1 방향(도면 상에서 세로 방향)으로 나누어진 l(l은 2 이상의 자연수)개(도면상에서는 3개)의 영역과, 상기 상판(550)의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도면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누어진 k(2이상의 자연수)개(도면상에서 3개)의 영역이 대응(m=l*k)되어 정의되며, 상기 상하판(550, 500) 상에 형성된 전극들(미도시)은, 상기 하판(500) 상의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에 대하여 각각 서로 이격된 제 1 분할 전극(미도시)과, 상기 상판(550) 상에 복수개의 렌즈 영역들간 서로 이격된 제 2 분할 전극(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quid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판(500) 상의 l개의 영역에 대응된 l개(도면상에서는 3개)와, 상기 상판(550) 상의 k개의 영역에 대응된 k개(도면상에서는 3개)가 형성되며, 상기 l개의 구동부는 상기 하판(500) 상에서 각 영역(하판 SEC1, 하판 SEC2, 하판 SEC3)에 형성된 제 1 분할 전극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k개의 구동부는 상기 상판(550)상에서 각 영역(상판 SEC1, 상판 SEC2, 상판 SEC3)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들과 상기 제 2 분할 전극들의 전압 신호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l pieces (three pieces in the drawing) corresponding to l areas on the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plit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long bar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split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long b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방 향과 같이, 영역들을 구분한 방향(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세로 방향)으로 길게 막대 형상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전극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이와 교차하는 방향(가로 방향)으로 긴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분할 전극은 모두 각 렌즈 영역에 복수개로 구분된 미세분할 전극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하판측은 미세 분할 전극으로 상판측은 각 영역들에 하나씩 형성하여, 상판의 정의된 영역 수로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전극의 형상의 선택은 구현하고자 액정 전계 렌즈의 형상(물리적으로 렌즈가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전압 인가에 의해 구동된 액정이 갖는 위상차로 시감적으로 렌즈 효과를 얻을 때의 액정 전계 렌즈)에 따라(예를 들어, 렌즈 높이나 곡면 정도에 따라) 정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the first split electrodes may be spaced apart in a rod shape in a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hat intersects a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regions are divided,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second split electrode may be formed of an electrode that is long in a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division electrode. Also, in some cases, the first and second split electrode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fine split electrode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nses in each lens region. In some cases, the lower plate side is a fine split electrode and one upper plate is formed in each region. Thus, it may be formed only by the defined number of regions of the top plate. The selection of the shape of each electrode depends on the shape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to be implemented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when the lens effect is visually obtained by the phase difference of the liquid crystal driven by voltage application rather than the physically implemented len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lens or the degree of curve).
편의에 따라 도 10b에서의 상기 상판측의 제 2 분할 전극은 각각 상판에 형성된 영역(상판 SEC1, 상판 SEC2, 상판 SEC3)별로 구분되어 각 영역별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하도록 한다.For convenience, the second split electrodes on the upper side of FIG. 10B are divided into regions (top SEC1, top SEC2, top SEC3) formed on the top plate, respectively, to form one pattern for each area.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 예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와 같이, 가로 3개 영역, 세로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9개의 영역으로 구동 영역을 정의하고 이들 구동 영역에 전압 인가시 구현된 형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in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riving area is defined as three horizontal regions and three vertical regions, and nine regions defined by intersection thereof. Next, the form implemented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se driving regions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각 영역별 구동시 인가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 구현시 각 영역별 액정의 배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d는 각각 도 13a 내지 도 13d의 대응되는 렌즈 모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ed voltage when driving each region of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in respective regions when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A to 14D are corresponding lens shapes of FIGS. 13A to 13D, respectively. This is a graph.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좌측 상측부터 차례로 S1부터 S9의 영역을 정의한다. As shown in FIG. 12,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ons S1 to S9 are defined in order from the upper left side.
예를 들어, 가장 중앙의 S5 영역에만 3D를 구현하고, 나머지 영역에 2D를 구현한다고 할 때, 각각의 구동부에서의 전압 인가는 다음과 같다. For example, when 3D is implemented only in the most central S5 region and 2D is implemented in the remaining regions, voltage application in each driver is as follows.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액정층을 이루는 액정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하판과 상판측의 형성된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은 각각 제 1 분할 전극의 방향과 이에 안티패럴랠(anti-paralle) 한 방향으로 러빙되어 있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lay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has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y, and the first alignment film and the second alignment film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upper plate sides respectively have directions of the first split electrodes and anti-parallel thereto. paralle) Assume that it is rubbing in one direction.
즉, S5 영역에 3차원 구동에 따른 전압 신호가 인가되어야 하므로, 상기 상하판(550, 500) 사이에 각 거리별 위상차를 갖게 하는 수직 전계가 조성되도록 상기 상하판(500, 500) 상에 형성된 제 2 분할 전극(도 13a 내지 도 13d에 있어서 551 참조) 과 제 1 분할 전극(도 13a 내지 도 13d에 있어서 501 참조) 간 3D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즉, 상기 제 1 분할 전극이 미세 분할 전극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S 영역에서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하나의 공통 전극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각 영역별 단면상에서 도 6의 형태), 상기 제 1 분할 전극에 해당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제 2 구동부(512)에서 최소 전압(Vmin)부터 최대 전압(Vmax)을 포함하여 이들 사이의 전압 분배된 n개의 전압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이 때, 상기 제 2 분할 전극(공통 전극)에 해당하는 상판(550)의 제 5 구동부(562)에서는 0V를 인가한다.That is, since a voltage signal according to three-dimensional driving should be applied to the S5 region, the upper and
그리고, 나머지 영역은 각각 2D로 구현되어야 하므로, 2D의 조건상 상하판의 전압차가 없거나, 그 전압차가 아주 심한 조건을 준다. 왜냐하면, 상하판의 전압차가 없거나 그 전압차가 아주 심한 경우 액정이 누워있거나 서있어, 렌즈 영역내의 거리별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아 액정 전계 렌즈 기능을 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액정이 전계와 나란하게 배열하는 최소 전압을 A라 할 때, 상기 하판측의 제 1 분할 전극들에 0V가 인가되고, 상판측에 형성된 제 2 분할 전극(공통 전극)에 상술한 '최대 전압 + A 전압'(Vmax+A)을 인가시에는 렌즈 영역의 거리별 위상차가 없게 되고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수직 전계가 조성되어 모든 액정이 서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maining areas must be implemented in 2D, respectively, there is no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r the voltage difference is very severe. This is because when there is no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r when the voltage difference is very severe, the liquid crystal is lying or standing,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lens area so that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does not function. For example, when A is the minimum voltage at which the liquid crystal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n electric field, 0V is applied to the first split electrodes on the lower plate side, and the second split electrode (common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plate side is described above. When 'max voltage + A voltage' (Vmax + A) is applied, there is no phase difference for each distance of the lens region, and all liquid crystals stand by forming a vertical electric field under the same conditions.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3 구동부(511, 513)는 각각 하판 상의 이와 연결된 영역들(하판 SEC1, 하판 SEC3)에 형성된 각 제 1 분할 전극들에 0V를 인가하고, 상기 제 4 및 제 6 구동부(561, 563)는 각각 상판상의 이와 연결된 영역들 (상판 SEC1, 상판 SEC3)에 형성된 제 2 분할 전극에 (Vmax+A) V 를 인가한다. As a result, the first and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상태의 조건이 각각 상판과 하판 사이의 구동 조건이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driving condition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form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FIG. 12.
즉, 제 1 조건은 도 13a 및 도 14a와 같이, 각각 상하판의 해당 전극들의 모두 0V, 0V가 인가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 1 조건의 S4, S6 영역에 있어서는 액정 전계 렌즈의 액정층(530)은 액정 분자는 전압 인가전의 초기 상태와 같이 상기 제 1 분할 전극(501)의 방향으로 누워있어, 2D를 구현하게 된다. 도 14a에서는 이때 액정 전계 렌즈에서 위상차가 이상적인 포물 렌즈와 무관하게 거리(X축)에 변화에 상관없이 광경로차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condition, as shown in FIGS. 13A and 14A, 0V and 0V are applied to all of the corresponding electrod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respectively. In the S4 and S6 regions of the first condition, the
또한, 제 2 조건은 도 13b 및 도 14b와 같이, S 5 영역에 인가되는 것으로, 상기 S5영역에는, 각각 상판의 제 2 분할 전극에는 0V, 하판의 제 1 분할 전극들에 대하여는 3D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포물 렌즈와 광경로차가 거의 일치하는 액정 전계 렌즈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B and 14B, the second condition is applied to the
또한, 제 3 조건은 도 13c 및 도 14c와 같이, 각각 상판의 제 2 분할 전극에는 (Vmax+A)V, 하판의 제 1 분할 전극들에 대하여는 3D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판 사이의 전압차가 A V 이상인 경우는 거리별로 전계차이를 갖지 않는 강한 수직 전계가 조성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제 3 조건의 S2, S8 영역은 액정 전계 렌즈의 액정층(530)은 액정 분자는 각 거리별로 모든 액정이 서있게 되어, 2D를 구현하게 된다. 즉, 도 14c에 따라, 이때 액정 전계 렌즈에서 위상차가 이상적인 포물 렌즈와 무관하게 거리(X축)에 변화에 상관없이 광경로차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ird condition, as shown in FIGS. 13C and 14C, (Vmax + A) V is applied to the second divided electrodes of the upper plate and 3D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ivided electrodes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V, a strong vertical electric field having no electric field difference for each distance is formed. That is, in the S2 and S8 regions of the third conditio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have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t each distance, thereby implementing 2D. That is, according to FIG. 14C, it can be seen that the optical path difference does not occur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distance (X-axis) regardless of the ideal parabolic lens in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또한, 제 4 조건은 도 13d 및 도 14d와 같이, 각각 상판의 제 2 분할 전극에는 (Vmax+A)V, 하판의 제 1 분할 전극들에 대하여는 각각 0V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판 사이의 전압차가 A V 이상인 경우는 거리별로 전계차이를 갖지 않는 강한 수직 전계가 조성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제 4 조건의 S1, S3, S7, S9 영역은 액정 전계 렌즈의 액정층(530)은 액정 분자는 각 거 리별로 모든 액정이 서있게 되어, 2D를 구현하게 된다. 즉, 도 14d에 따라, 이때 액정 전계 렌즈에서 위상차가 이상적인 포물 렌즈와 무관하게 거리(X축)에 변화에 상관없이 광경로차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ourth condition, as shown in FIGS. 13D and 14D, (Vmax + A) V is applied to the second divided electrodes of the upper plate and 0 V is applied to the first divided electrodes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V, a strong vertical electric field having no electric field difference for each distance is formed. That is, in the areas S1, S3, S7, and S9 of the fourth conditio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즉, 상술한 입체 표시 장치의 의해, 액정 전계 렌즈의 형상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복수개의 전압 인가 조건을 주는 구동부 구비에 영역별 선택적 구동과, 이들 영역의 이차원 /삼차원의 전환이 가능하며, 한 화면에서 이차원/삼차원 동시 구동이 가능하며, 이를 상술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That is, by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selective driving for each region and two-dimensional / three-dimensional switching of these regions are possible with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voltage application conditions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shape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Simultaneous two-dimensional / three-dimensional driving is possible on the screen, and this could be confirmed by the above-described simulation.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Esau.
도 1은 종래의 액정 전계 렌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field lens
도 2는 도 1의 액정 전계 렌즈의 위치에 따른 광경로 길이(위상)를 나타낸 그래프FIG. 2 is a graph showing an optical path length (pha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역별 구동이 가능한 액정 전계 렌즈를 나타낸 개략도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field lens capable of driving by region in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액정 전계 렌즈의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5A and 5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wirings of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4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전계 렌즈와 이의 전압 인가부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a voltage applying uni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액정 전계 렌즈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과 이로 인해 나타나는 위상차를 도시한 그래프FIG. 8 is a graph showing an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field lens of FIG. 7 and the resulting phase difference
도 9는 입체 표시 구현 영역의 각 렌즈 영역의 거리별 인가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9 is a graph illustrating an applied voltage for each lens region of a stereoscopic display implementation region for each distance;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판(제 1 기판) 및 상판(제 2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10A and 10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lower plate (first substrate) and an upper plate (second substrate) in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a 및 도 10b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각 영역별 구동을 나타낸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each region of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10A and 10B.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각 영역별 구동시 인가 전압을 나타낸 도면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ed voltage when driving each region of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 구현시 각 영역별 액정의 배향을 나타낸 단면도13A to 13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in respective regions when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4a 내지 도 14d는 각각 도 13a 내지 도 13d의 대응되는 렌즈 모양을 나타낸 그래프14A to 14D are graphs showing corresponding lens shapes of FIGS. 13A to 13D,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입체 표시 장치 110 : 이차원 표시 영역100: stereoscopic display device 110: two-dimensional display area
120 : 3차원 표시 영역 151 : 액티브 영역120: three-dimensional display area 151: active area
152 : 패드부 160 : 분할전극 인가 전압 생성부152: pad portion 160: division electrode applied voltage generation unit
161 : 링크부 200, 300, 600 : 액정 전계 렌즈161:
210 : 액티브 영역 220 : 패드 영역210: active area 220: pad area
231~234 : 구동부 300 : 입체 표시 장치231 to 234: driving unit 300: stereoscopic display device
310, 500 : 제 1 기판 311, 501 : 제 1 전극(미세 분할전극)310, 500:
312 : 제 1 배향막 320, 550 : 제 2 기판312:
551 : 제 2 전극 511~513 : 제 1 기판(하판) 구동부551: 2nd electrode 511-513: 1st board | substrate (lower board) drive part
561~563 : 제 2 기판(상판) 구동부 330, 530 : 액정층561 to 563: second substrate (top plate)
700 : 광원700: light sourc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518A KR101419231B1 (en) | 2007-12-10 | 2007-12-10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518A KR101419231B1 (en) | 2007-12-10 | 2007-12-10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633A true KR20090060633A (en) | 2009-06-15 |
KR101419231B1 KR101419231B1 (en) | 2014-07-16 |
Family
ID=4099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7518A Active KR101419231B1 (en) | 2007-12-10 | 2007-12-10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923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086B1 (en) * | 2010-10-08 | 2013-02-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and local dimming control method of thereof |
KR20150074823A (en) * | 2013-12-24 | 2015-07-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mage controlling panel for display device |
US9420267B2 (en) | 2013-12-13 | 2016-08-1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device for the same |
US9686535B2 (en) | 2012-07-27 | 2017-06-20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2038A (en) * | 1998-09-18 | 2000-04-07 | Sanyo Electric Co Ltd | Two-dimensional video image and three-dimensional video image compatible type video display device |
KR100784080B1 (en) * | 2006-02-15 | 2007-12-10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2D image and 3D image display device |
-
2007
- 2007-12-10 KR KR1020070127518A patent/KR101419231B1/en active Active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086B1 (en) * | 2010-10-08 | 2013-02-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and local dimming control method of thereof |
US9686535B2 (en) | 2012-07-27 | 2017-06-20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US9924158B2 (en) | 2012-07-27 | 2018-03-20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US11196986B2 (en) | 2012-07-27 | 2021-12-07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US11785201B2 (en) | 2012-07-27 | 2023-10-10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US9420267B2 (en) | 2013-12-13 | 2016-08-1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device for the same |
KR20150074823A (en) * | 2013-12-24 | 2015-07-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mage controlling panel for display device |
US10162225B2 (en) | 2013-12-24 | 2018-12-25 | Samsung Display Co., Ltd. | Image controlling panel for display device displaying one of two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9231B1 (en) | 2014-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2989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1222990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1622650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1481671B1 (en) |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field lens | |
KR101362157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8305550B2 (en) | Electrically-driven liquid crystal lens and stereoscop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649234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1419234B1 (en) | Liquid crystal electric field len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658147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1274717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CN101458412B (en) | Electrically-driven liquid crystal len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10078788A (en) | Liquid Crystal Field Len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649235B1 (en) |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102134904B1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liquid crystal lens therefor | |
KR101677997B1 (en) |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20090056032A (en) | Stereoscopic display | |
KR101362160B1 (en) | Lens of Liquid Crystal electrically driv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
KR20170089472A (en) |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JP2015114661A (en) | LCD lens module | |
KR101419231B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KR101419243B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KR101362158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CN103576410B (en) |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unit | |
KR101675860B1 (en) |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 |
KR20120096194A (en) | Electrically-driven liquid crystal len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