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58116A - 전기 그리들 - Google Patents

전기 그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116A
KR20090058116A KR1020070124760A KR20070124760A KR20090058116A KR 20090058116 A KR20090058116 A KR 20090058116A KR 1020070124760 A KR1020070124760 A KR 1020070124760A KR 20070124760 A KR20070124760 A KR 20070124760A KR 20090058116 A KR20090058116 A KR 20090058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heating element
electric griddle
main body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언
Original Assignee
홍지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지언 filed Critical 홍지언
Priority to KR102007012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116A/ko
Publication of KR2009005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1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그리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부에 본체가 형성되고, 상부에 조리판이 적층되는 전기 그리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발열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기름받이가 마련되어 상기 조리판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기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발열체와 조리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열체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 됨에 따라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조리판에 신속하게 전달되고, 이를 통해 초기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열효율이 좋은 그리들의 구성이 가능해 지며, 배출구와 기름받이를 통해 조리판에서 발생되는 잉여 기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그리들에 관한 것이다.
그리들, 전기, 발열체, 기름배출.

Description

전기 그리들{Griddle}
본 발명은 전기 그리들(griddl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리판에 설치되는 발열체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 전달 효율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조리중 발생되는 조리판의 잉여 기름의 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그리들에 관한 것이다.
그리들은 통상 상부가 개구된 조리판 아래에 가스 버너나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을 설치한 것으로서, 조리판 내부 바닥면에 고기나 야채를 올려두고 구워 요리하거나 빈대떡, 파전 등과 같은 전류를 만들고 요리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조리장치이다. 특히 열선을 가열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전기 그리들은 통상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열을 발산하는 열선을 채택한 것으로서, 온도 조절이 자유롭고 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일반적인 종래 전기 그리들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 그리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 그리들의 조리판 하부면에 고정되는 발열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3 은 종래 전기 그리들의 조리판 하부면에 고정되는 발열체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전기 그리들은 온/오프 스위치(12)와 온도조절 스위치(14) 및 작동표시램프(16)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조리판(20)으로 구성되는데, 재질은 통상 금속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판(20)은 가열수단으로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40)를 채택하고 있는 바, 조리판(20) 하부면 표면에 전기가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40)를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한 다음 이를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고, 단열재를 충진한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발열체(40)가 조리판(20)의 모든 부분을 골고루 가열하여야 하므로, 발열체(40)를 균일하게 배치하는 패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 그리들은 사용이 편리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반면 열효율이 낮고 조리판의 잉여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첫째로, 상기 발열체(40)가 조리판(20) 하부면에 단순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선 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발열체(40)와 조리판(20)의 접촉면적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어서 발열체(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리판(20)으로 빠르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작동 초기 가열시간이 길게 걸리고 열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둘째로, 통상 그리들을 이용하여 조리를 할 때에는 조리판(20) 내부에 기름을 두르고 조리를 하게 된다. 이때, 조리중에 발생되는 기름과 최초의 기름 등 잉여 기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적절히 배출해 주어야 함은 필수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조리판(20)에 기름을 배출할 수 있는 적절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기름제거용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퍼내거나 종이 타월 등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방식으로 조리판(20) 내부에 있는 잉여 기름이나 폐 기름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조리판 하부면에 고정되는 발열체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초기 가열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열 효율을 좋게 하고, 조리판에 발생하는 잉여 기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그리들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판 하부면에 홈을 파서 발열체을 안착시킴으로써 발열체가 조리판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신속한 열전달을 가능케 하며, 아울러 조리판 가장자리에 기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을 형성하여 주는 한편 본체에는 배출구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을 저장하는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를 마련함으로써 조리판에서 발생하는 잉여 기름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리들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발열체가 조리판에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조리판에 신속하게 전달되고, 이를 통해 초기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열효율이 좋은 그리들의 구성이 가능해 지며, 배출구와 기름받이를 통해 조리판에 발생하는 잉여 기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그리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 그리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초기 가열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열 효율을 좋게 하고, 조리판에서 발생하는 잉여 기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본체가 형성되고, 상부에 조리판이 적층되는 전기 그리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발열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기름받이가 마련되어 상기 조리판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기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온/오프 스위치와 온도조절 스위치 및 작동 표시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는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깊이가 발열체의 반지름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판은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은 온/오프 스위치(12)와 온도조절 스위치(14) 및 작동 표시램프(16)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면에 발열체(40)가 배치되어 가열할 수 있게 구성된 평판 형상의 조리판(2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12)는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며, 온도조절 스위치(14)는 발열체(40)의 온도를 조절하고, 작동표시램프(16)는 전원이 인가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각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판 하부면에 발열체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해 발열체(40)가 고정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조리판(20)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40)는 조리판(20) 하부면에 배치되되, 상기 발열체(40)가 상기 안착홈(22)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발열체(40)는 종래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통상 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내부에 전열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발열체(40)의 형태를 고려하여 안착홈(22)의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 예시한 발열체(40)의 형태를 고려하면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파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22)의 깊이는 발열체(40)의 반지름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단면이 원의 형태로 구성된 발열체(40)의 특성상 깊이가 발열체(40) 지름의 반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안착홈(22)에 수용된 발열체(40) 부분 중 안착홈(22)의 벽면과 접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열체(40)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라고 가정하면 안착홈(22)의 깊이는 발열체(40)의 지름과 동일하게 파 주어야 접하는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으므로, 발열체(40)의 형태를 고려하여 안착홈(22)의 깊이를 조절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열체(40)가 안착홈(22)에 수용된 채 고정되게 되며, 발열체(40)의 외주면은 안착홈(22)의 벽면에 접하면서 수용되면 발열체(40)와 안착홈(22)의 접촉면적은 최대가 되어 발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4는 조리판(20) 내부에 있는 잉여 기름 또는 폐유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로서 후술하는 기름받이(30)로 기름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판(20)은 철판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조리판(20)의 표면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이 눌어붙지 않도록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팅층은 주방용품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라믹 코팅, 테프론 코팅 등의 처리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 그리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본체(10)의 상세 구성을 볼 수 있다. 일측 가장자리에 손잡이가 형성된 서랍 형태로 여닫을 수 있는 인출 구조로 기름받이(30)가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30)는 조리판(20)에 형성된 배수구(24)를 통해 흘러나오는 기름을 받아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받이(30)를 서랍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격벽(32)을 마련하고, 그 격벽(32) 사이로 기름받이(30)가 슬리이드되어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리판(20)에서 조리중 발생하는 잉여 기름이나 폐유를 일일이 제거하지 않아도 상기 배수구(24) 측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간편하게 배출하여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의 사용 예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을 구성하게 된다. 아래에는 본체(10)가 배치되며 그 위로 조리판(20)이 적층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2)를 조절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온도조절 스위치(14)를 조절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며, 작동표시램프(16)를 관찰하여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 중 발생되는 잉여 기름이나 폐유는 배출구(24)를 통해 흘려 보내 본체(10)에 마련되어 있는 기름받이(30)에 모이게 하여 저장한 후, 기름받이(30)에 기름이 어느 정도 차게 되면 기름받이(30)를 빼내어 비워준 후 계속 사용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 그리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기 그리들의 조리판 하부면에 고정되는 발열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종래 전기 그리들의 조리판 하부면에 고정되는 발열체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판 하부면에 발열체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 그리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그리들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온/오프 스위치,
14 : 온도조절 스위치, 16 : 작동표시램프,
20 : 조리판, 22 ; 안착홈,
24 : 배출구, 30 : 기름받이,
32 : 격벽, 40 : 열선.

Claims (5)

  1. 하부에 본체가 형성되고, 상부에 조리판이 적층되는 전기 그리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발열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기름받이가 마련되어 상기 조리판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기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온/오프 스위치와 온도조절 스위치 및 작동 표시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는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깊이가 발열체의 반지름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은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리들.
KR1020070124760A 2007-12-04 2007-12-04 전기 그리들 Ceased KR20090058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760A KR20090058116A (ko) 2007-12-04 2007-12-04 전기 그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760A KR20090058116A (ko) 2007-12-04 2007-12-04 전기 그리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116A true KR20090058116A (ko) 2009-06-09

Family

ID=4098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760A Ceased KR20090058116A (ko) 2007-12-04 2007-12-04 전기 그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11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98B1 (ko) * 2009-11-05 2011-09-15 (주)엠에스티테크놀로지 면상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3408U (ko) 2015-03-25 2016-10-06 박성진 만두 조리용 그리들 장치
WO2019207325A1 (en) * 2018-04-26 2019-10-31 LAMBRIANIDIS, Panagiotis Portable dual function barbeque
KR20200032836A (ko) * 2018-09-19 2020-03-27 이글스톤주식회사 구이용 불판
FR3087331A1 (fr) * 2018-10-17 2020-04-24 Eric Pierre Guy Cousse Dispositif de cuisson d'aliment par contact bi-energie electrique/gaz de type plancha ou teppanyaki
KR102205797B1 (ko) 2020-03-09 2021-01-21 최윤수 그리들
US20220022688A1 (en) * 2020-07-21 2022-01-27 Nexgrill Industries, Inc. Outdoor griddle station with grease management system
KR102492198B1 (ko)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리들 냉각장치
KR200496574Y1 (ko) * 2021-09-27 2023-03-06 주식회사 셰프라인 팬 교체형 양면 전기그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98B1 (ko) * 2009-11-05 2011-09-15 (주)엠에스티테크놀로지 면상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3408U (ko) 2015-03-25 2016-10-06 박성진 만두 조리용 그리들 장치
WO2019207325A1 (en) * 2018-04-26 2019-10-31 LAMBRIANIDIS, Panagiotis Portable dual function barbeque
KR20200032836A (ko) * 2018-09-19 2020-03-27 이글스톤주식회사 구이용 불판
FR3087331A1 (fr) * 2018-10-17 2020-04-24 Eric Pierre Guy Cousse Dispositif de cuisson d'aliment par contact bi-energie electrique/gaz de type plancha ou teppanyaki
KR102205797B1 (ko) 2020-03-09 2021-01-21 최윤수 그리들
US20220022688A1 (en) * 2020-07-21 2022-01-27 Nexgrill Industries, Inc. Outdoor griddle station with grease management system
US11980322B2 (en) * 2020-07-21 2024-05-14 Nexgrill Industries, Inc. Outdoor griddle station with grease management system
KR102492198B1 (ko)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리들 냉각장치
KR200496574Y1 (ko) * 2021-09-27 2023-03-06 주식회사 셰프라인 팬 교체형 양면 전기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8116A (ko) 전기 그리들
CN107006080B (zh) 高性能电气烤炉、方法及热辐射模块
US6686569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CA2769072C (en) Electric patio bistro
US6624392B2 (en) Multifunctional cooking system
US6509550B1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CN205410953U (zh) 烹饪器具
US6884971B2 (en) Slow cooker with dual heating elements
US6867394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US2147319A (en) Electric culinary appliance
US1717269A (en) Electric cooking device
KR200325441Y1 (ko) 전기구이기용 불판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US1077866A (en) Electrically-heated cooking device.
JP5896951B2 (ja) 加熱調理容器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JP3111795U (ja) フライヤー用プレート
CN111449541A (zh) 一种电器
KR20050075235A (ko) 튀김용 가열탱크
CN102309259B (zh) 具有碗状物和反射器的电烹饪设备
JP2003347020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1325895B (zh) 具有并列布置的蒸煮篮的蒸汽蒸煮组件
JP2004065536A (ja) 加熱調理器
JP2000210202A (ja) 電気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