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56301A -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301A
KR20090056301A KR1020070123387A KR20070123387A KR20090056301A KR 20090056301 A KR20090056301 A KR 20090056301A KR 1020070123387 A KR1020070123387 A KR 1020070123387A KR 20070123387 A KR20070123387 A KR 20070123387A KR 20090056301 A KR20090056301 A KR 2009005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henyl
moisturizing
skin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철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2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301A/ko
Publication of KR2009005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 낫토 검(Natto gum)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2)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부가된 메치콘(methicone)을 일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매끄러운 사용감을 가지며 제형 안정성과 함께 도포 후에는 촉촉한 보습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를 보이는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습 *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 * 낫토 검(natto gum) *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 페닐기 부가 메치콘(methicone) * 화장료

Description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high moisturization}
본 발명은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 낫토 검(Natto gum)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2)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부가된 메치콘(methicone)을 일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매끄러운 사용감을 가지며 제형 안정성과 함께 도포 후에는 촉촉한 보습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를 보이는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는데,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일차 방어막 기능을 한다. 그러나 외부의 온도와 습도의 변화, 자외선 및 공해물질 등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과 함께 인체 내부에서의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면 피부의 보습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시켜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각종 동물, 식물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함유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피부는 인체가 가지고 있는 약 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활성 물질들을 운반한다. 이러한 수분은 피부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피부는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을 하여 피부장벽을 구성한다(J. Invest.Dermatol.80(Suppl.) 44-49, 1983).
고보습 화장료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성 성분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유상에 포함되는 오일이나 왁스의 함량을 늘리는 것으로, 이 방법을 이용하면 유성 성분의 유연 효과와 오일/왁스 성분에 의한 유성 막의 형성에 의해 보습력과 보습 지속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감 면에서 흡수가 느려지고, 끈적임 및 번들거림 등의 부정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기 쉽다. 또한 유화 입자의 형성으로 백색 계열의 유액이 형성되어 외관상 차별화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솔비톨과 같은 다가 알코올 등을 사용하여 이들이 수분과 결합 또는 둘러싸서 피부 내에 수분이 머무를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각질층에서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는 NMF(natural moisturizing factor) 역시 여기에 속한다. 이러 한 카테고리의 보습원료의 단점은 고보습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고함량을 사용할 시에 눅진함과 끈적임이 심하게 나타나 불쾌한 사용감을 보일 수 있으며 사용량의 한계로 수분을 함유하는 능력은 좋으나 보습감에 대한 지속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피부 장벽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이용한 보습이 있다.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와 같이 피부 장벽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라마이드(ceramide) 및 필라그린(filagrin) 등의 발현을 촉진하거나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등 세포간 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성분을 복합체의 형태로 제형 내에 함유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다(J. Invest. Dermatol. (5), 730-740, 1994). 이러한 방법뿐만 아니라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 등에 대한 보습 향상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제형을 사용하였을 때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보습감을 느끼기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마저 미약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용해도 문제로 시간이 지나면서 겔화(gelling)나 고체 상태로 석출되는 등의 경시 변화가 있어 제형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셀룰로오스 검, 낫토 검 및 히알루론산 중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1종 이상 함유하고,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부가된 메치콘을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경우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감과 도포 후 빠른 흡수와 함께 촉촉한 보습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형 안정성과 매끄러운 질감을 가지면서 보습 효과가 우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셀룰로오스 검, 낫토 검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2)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부가된 메치콘을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감과 도포 후 빠른 흡수와 함께 촉촉한 보습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 검, 낫토 검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검은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C6)당 글리콜산·에테르기를 가지며, 수용성(水溶性)인 셀룰로오스이다. 셀룰로오스는 분지형(branched type)이 아닌 직쇄상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분자량이 커서, 사슬 얽힘(chain entanglement)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물에 녹이면 계(system)의 점도를 향상시켜 젤 상의 화장료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직쇄상(linear type)의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검의 예로는 로베코 사(Robeco Inc.)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허큘리스 사(Hercules Incorporated)의 아 쿠아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Aqualon Carboxymethylcellulose) 및 아쿠아론 셀룰로오스검(Aqualon Cellulose Gum); 램버티 사(Lamberti S.p.A)의 카르보셀(Carbocel) AM 75 XXF 및 카르보셀 AM250 XXF; 씨피 켈코 사(CP Kelco)의 세콜 셀룰로오스검(Cekol Cellulose Gum), 티아이씨 검스 사(TIC Gums, Inc.)의 타카로오스(Ticalose) 15및 티카로오스 2500(TIC Gums, Inc.)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검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1 중량% 미만의 함량에서는 제품 내에서 사용했을 때 유효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10.0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에서는 물에 완전히 용해되기가 힘들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내므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낫토 검은 대두(大豆)에 고초균을 배양하여 얻어진 천연고분자 성분으로, 글루탐산과 과당이 주성분이며 보습성이 우수하고 윤활성이 뛰어난 원료이다. 낫토 검은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9-53080호에 개시된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낫토 검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0 중량% 가 바람직하다. 0.0001 중량% 미만의 함량에서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유효한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우며, 10.0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에서는 끈적이는 사용감이 나타나므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히알루론산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천연 고분자 물질로서 유리산(free acid) 또는 염(salt)의 형태이며, 뮤코다당류의 일종으로 인체의 진피층의 결합조직에 존재하여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8.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1 중량% 미만에서는 피부에 대한 유효한 효과가 미약하며, 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는 끈적이는 사용감이 나타나므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고분자 중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투명∼반투명한 젤 타입의 네트워킹을 형성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고분자 성분들은 도포 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젤 네트워크 구조가 붕괴되면서 점도가 저하되어 매끄러운 질감을 부여하고 도포 후에는 유효성분들의 흡수 후 피부 위에 얇은 보습막을 형성하여 보습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와 함께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부가된 메치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하기 화학식 2에 해당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메치콘(dimethicone)이 사용되고 있다:
-R2SiO-
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메틸, 에틸, 프 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아밀, 헥실, 비닐, 알릴, 사이클로헥실, 페닐, 플루오로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복 단위 내의 R 부분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결합되고 25℃에서 액상인 메치콘을 사용하여 매끄럽고 실키한 발림성과 가볍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반복 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결합된 메치콘은 페닐기 이외에 다른 관능기들이 함께 부가될 수 있다. 예로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알킬기, 아미노기 또는 비닐 기 등이 함께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복 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결합된 메치콘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8로 표시되는 페닐 메치콘(PHENYL METHICONE), 페닐 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아미노프로필 페닐 트리메치콘(aminopropyl trimethicone), 디페닐 아미노디메치콘(Diphenyl Amodimethicone) 및 디페닐 디메치콘; 그 외에도 비스페닐헥사메티콘(Bisphenylhexamethicone), 비스-페닐프로필디메치콘(Bis-Phenylpropyl Dimethicone)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치콘(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2
(A) 페닐 메치콘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3
(B) 페닐 디메치콘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4
(C) 페닐 트리메치콘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5
(D) 아미노프로필 페닐 트리메치콘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6
(E) 디페닐 아미노디메치콘
Figure 112007086462636-PAT00007
(F) 디페닐 디메치콘
또한 반복 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결합된 메치콘으로 시판되는 제품은 디오우 프로덕츠(DIOW PRODUCTS) 사의 MAQISIL 시리즈; 신에츠(SHINETSU) 사의 KF-53, 54 및 56; 클라리언트(CLARIANT) 사의 SILCARE SILICONE 15Mxx시리즈; 다우코닝 사의 DC 556, DC 558 및 DC 2-2078; GE실리콘 사의 SF 1555; 로디아(RHODIA) 사의 Mirasil C-DPDM; 및 와커(WACKER CHEMIE) 사의 와커-벨실(Wacker-Belsil) PDM 시리즈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반복단위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포함된 메치콘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가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배합비에서 매끄럽고 실키한 발림성과 가볍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반복단위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가 포함된 메치콘을 0.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도포 시와 도포 후에서의 물성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아 효과를 볼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계 내에서의 상용성 및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시험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1∼8항까지의 수상파트와 9-13항까지의 알코올 파트를 각각 실온에서 용해한 후, 수상을 교반하면서 알코올 파트를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가용화하였다. 알코올 파트의 첨가가 완료된 후 3∼5분 가량 교반을 계속한 다음, 진공 탈기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를 완성하였다.
이 때, 사용한 셀룰로오스 검은 로베코 사의 CMC이며, 낫토검은 대한민국특허공보 특1999-0053080호에 공개된 제법에 의해 얻었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아모레퍼시픽 사의 BIO-HE를 사용하였으며, 페닐트리메치콘은 다우코닝 사의 DC 556을 사용하였다.
번호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4 카보머 0.2 0.2 0.2 0.8 0.2 0.2
5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8 0.2 0.2
6 셀룰로오스검 0.2 0.2 0.2 - - -
7 낫토검 - 0.4 0.2 - 0.2 0.2
8 히아루론산 0.5 0.1 0.3 - 0.5 0.5
9 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 페닐트리메치콘 3.0 3.0 3.0 - - 25.0
11 폴리옥시에틸렌 수화 피마자유 1.0 1.0 1.0 1.0 1.0 1.0
12 0.2 0.2 0.2 0.2 0.2 0.2
13 방부제 0.1 0.1 0.1 0.1 0.1 0.1
안정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분리
[시험예 1] 제형 안정성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상온, 37℃, 45℃, 60℃ 및 사이클링(보관온도를 -5℃와 45℃로 24시간마다 변경하여 3회 실시)의 냉장, 냉온 조건으로 1주일 동안 보관한 후 안정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 비교예 3은 내용물의 제조 직후 분리 현상이 일어나 안정도가 불량하여 더 이상의 테스트가 불가능하였고, 나머지 화장료는 모두 안정도가 양호하였다.
[시험예 2]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무모생쥐(hairless mouse)의 피부에 아세톤을 반복적으로 도포하여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후, 표피 수분 손실량(TEWL, transdermal water loss)을 서보메드(servomed; 스웨덴) 사의 증발계(evaporimeter) EP1으로 측정하여 4.0g/m2/h에 도달하면,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가 함유된 시료를 5cm2 면적으로 도포한 다음, 표피 수분 손실량을 1시간, 2시간, 4시간 및 8시간 경과 후에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공지의 지질혼합물(세라마이드:콜레스테롤:지방산의 2:1:1 혼합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초기 손상된 장벽 상태에서의 표피 수분 손실량을 기준(100%)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피 수분 손실량(%)
시료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
비교예 1 87 85 70 71
비교예 2 76 70 61 57
실시예 1 53 42 34 20
실시예 2 51 44 30 23
실시예 3 54 45 34 22
지질혼합물 (양성대조군) 63 45 39 28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화장료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3] 피부 각질상태 개선 효과
실시예 1∼3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각질량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위 시험과 동일한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1∼3의 화장료를 4주 사용 후 안면부 뺨 표면에 검은 테잎(black tape)을 붙였다 뗀 다음 Charmview(Moritex, Tokyo, Japan)를 이용하여 700배 확대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플러스 5.1(MediaCybernetics, Buckinghamshire, UK)을 이용하여 626×466 픽셀로 변환한 후 각질량 변화를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사진에서 실시예 1∼3의 화장료를 사용 후 0주, 2주 및 4주 후 각질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사용 전에 피부 표면에서 탈락되지 않고 남아 있던 다각형의 각질들이 4주차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각질세포는 완전하게 분화된 형태인 육각형의 모양을 갖게 되었다.
[시험예 4] 피부 거칠기 측정
실시예 3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거칠기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위 시험과 동일한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3차원 스캔하는 기기인 PRIMOS(GFMesstechnik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실시예 3의 화장료를 사용 후 0주, 2주 및 4주 후의 피부 표면의 거칠기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3D 입체 사진 분석에서 실시예 3의 화장료를 사용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의 주름진 부분의 깊이와 면적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실시예 1∼3과 비교예 1∼2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40명을 대상으로,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에 도포하게 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피부내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기기인 코니오미터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를 사용하여 안면부 뺨을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0주, 2주 및 4주 경과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증가율을 차이검증(paired-t test)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화장료가 비교예 1∼2 보다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장기적인 보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사용성 평가
20∼30대의 피부질환이 없는 80명의 시험대상자를 4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중 1가지씩을 선택하게 한 후 비교예 1의 화장료와 함께 4주 동안 사용하고 난 다음 사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제품의 효과에 대한 반응을 1∼5점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끈적임의 경우 점수가 낮을수록 좋은 결과이며, 보습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끈적임 2.5 2.1 1.88 4.95 4.8
보습감 4.81 4.78 4.90 3.72 4.26
사용성 평가 결과 (5점 만점, 실시예 1∼3, 비교예 2는 각 20명 평균, 비교예 1은 80명 평균)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1-3가 비교예 1- 2에 비해 끈적임이 월등하게 적고 보습력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6]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실시예 4∼6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단위: 중량%).
번호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3.0 3.0 3.0
3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4 카보머 0.2 0.2 0.2
5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6 셀룰로오스검 0.2 0.2 0.2
7 낫토검 - 0.4 0.2
8 히아루론산 0.5 0.1 0.3
9 에탄올 10.0 10.0 10.0
10-1 디페닐디메치콘1 ) 5.0 - -
10-2 디페닐아미노디메치콘2 ) - 7.0 -
10-3 디페닐디메치콘3 ) - - 3.0
11 폴리옥시에틸렌 수화 피마자유 1.0 1.0 1.0
12 0.2 0.2 0.2
13 방부제 0.1 0.1 0.1
1) 신에츠(shinetsu) 사의 KF-53
2) 다우코닝(Dow Corning) 사의 Dow Corning Toray SS-3553
3) 신에츠(SHINETSU) 사의 KF-54
도 1은 실시예 1∼3의 화장료를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 각질 면적을 이미지 프로플러스 5.1을 사용하여 700배 확대 촬영한 피부 표면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화장료를 사용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 거칠기 변화를 촬영한 3D 입체 사진이다(0, 2 및 4주 사용).
도 3은 실시예 1∼3과 비교예 1∼2의 화장료를 사용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Claims (6)

1)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 낫토 검(Natto gum)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및
2)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부가된 메치콘(methicone);
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검은 직쇄상의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낫토 검은 대두에 고초균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부가된 메치콘은 페닐 메치콘(PHENYL METHICONE), 페닐 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아미노프로필 페닐 트리메치콘(aminopropyl trimethicone), 디페닐 아미노디메치콘(Diphenyl Amodimethicone), 디페닐 디메치콘, 비스페닐헥사메티콘(Bisphenylhexamethicone), 비스-페닐프로필디메치콘(Bis-Phenylpropyl Dimethicone)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치콘(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반복단위 내에 하나 이상의 페닐기(PHENYL GROUP)가 부가된 메치콘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23387A 2007-11-30 2007-11-30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87A KR20090056301A (ko) 2007-11-30 2007-11-30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87A KR20090056301A (ko) 2007-11-30 2007-11-30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01A true KR20090056301A (ko) 2009-06-03

Family

ID=409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387A KR20090056301A (ko) 2007-11-30 2007-11-30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3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712A (ko) * 2015-08-31 2017-03-08 (주)아모레퍼시픽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348435A (zh) * 2016-09-28 2018-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矢车菊素-3-o-葡萄糖苷和纳豆胶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US10449138B2 (en) 2012-12-24 2019-10-22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9138B2 (en) 2012-12-24 2019-10-22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20170025712A (ko) * 2015-08-31 2017-03-08 (주)아모레퍼시픽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348435A (zh) * 2016-09-28 2018-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矢车菊素-3-o-葡萄糖苷和纳豆胶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CN108348435B (zh) * 2016-09-28 2022-02-2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矢车菊素-3-o-葡萄糖苷和纳豆胶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3863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の少なくとも2つの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AU702457B2 (en) Preparation process of biologically active silicon compounds in a concentrated form
US5919468A (en) Process for the cosmetic treatment of the skin comprising applying to the skin a skin care or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 solid organopolysiloxane elastomer enclosed in a fatty phase
JPH0344309A (ja) 美容組成物
WO2021109319A1 (zh)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CN110934763A (zh) 一种用于保湿滋润的护肤组合物
CN113181080A (zh) 磷酰胆碱聚合物的透明油溶液及其制法和应用
WO2019013670A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на кожу и способ ее нанесения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01A (ko)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JPH06157270A (ja) 化粧料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CN112274456A (zh) 多重保湿组合物及其应用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CN116509738A (zh) 一种复配抗衰面霜及其制备方法
JP3644565B2 (ja) W/o型乳化化粧料
JP7475018B2 (ja) 皮膚外用組成物
JP3766070B2 (ja) 紫外線防御効果を有する耐水性o/w型化粧料
DE212019000314U1 (de) Stabilisierte Emulsionen mit säurehaltigen Mitteln
KR20110073935A (ko)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함유한 모공 커버 화장료 조성물
KR10123383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CN111135114A (zh) 淡化细纹的眼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8401232A (zh) 高分子量的交联透明质酸和低分子量的非交联透明质酸的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1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