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56008A -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008A
KR20090056008A KR1020070122937A KR20070122937A KR20090056008A KR 20090056008 A KR20090056008 A KR 20090056008A KR 1020070122937 A KR1020070122937 A KR 1020070122937A KR 20070122937 A KR20070122937 A KR 20070122937A KR 20090056008 A KR20090056008 A KR 2009005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ubiquitous
user
home
slee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현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008A/ko
Publication of KR2009005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0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홈네트워크에서 수면모드로 설정할 경우,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에 맞도록 가전기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체온의 이상이 생기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기관에 알려서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은 체온을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 상기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제1데이터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버;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고, 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데이터통신부; 사용자의 수면시간, 체온의 관한 정보 또는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서버;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및 상기 영상정보를 기타 연락망에 전송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홈네트워크, 수면, 수면 환경, 응급상황

Description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leep environment using ubiquitous}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홈네트워크에서 수면모드로 설정할 경우,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에 맞도록 가전기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체온의 이상이 생기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기관에 알려서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특히 수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쾌적한 수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수면 시간과 수면의 깊이에 따라 그 성장이 좌우되는 성장기 아동이나, 수면 상태에 따라 회복 속도가 좌우되는 환자에게 상기 아동 또는 환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이를 위해 아동이나 환자의 보호자들이 주변에서 그들의 수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돕고 있지만, 심야시간과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잠자는 시간에는 보호자들에 의한 수면 환경 제어도 한계에 이르게 된다. 또한, 수면시 체온의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응급처치를 하지 않아서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사람이 있다면, 빠른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야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면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에 맞는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온의 이상이 생겼을 경우, 체온에 따라 환경을 제어하고, 응급상황이면 사용자, 주변사람들 또는 기관에 연락을 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체온을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 상기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제1데이터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버;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고, 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데이터통신부; 사용자의 수면시간, 체온의 관한 정보 또는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서버; 상기 제어신호 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및 상기 영상정보를 기타 연락망에 전송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저장된 수면시간을 통해 수면 모드가 설정되는 제 1단계;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가 선택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서버에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영상서버에 전송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기저장된 체온 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체온의 정상범위를 판별하는 제 4단계; 상기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기가 수신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수면 환경을 설정하며, 수면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타 연락망은 공공기관 또는 상기 홈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인 것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4단계에서 체온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기타 연락망에 상황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면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체온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여, 쾌적한 수면이 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온의 이상이 생겼을 경우, 체온에 따라 환경을 제어하며, 응급상황 발생시 사용자, 주변사람들 또는 기관에 연락함으로써, 빠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시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체온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 영상서버(120), 홈네트워크 서버(130), 사용자 단말기(140), 제어기(150), 가전기기(160), 홈게이트웨이(170), 기타 연락망(180)으로 구성된다.
또한, 영상서버(120)는 영상제어부(122), 저장부(124), 제1데이터통신부(126)로 구성되고,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제어부(132), 데이터베이스(134), 제2데이터통신부(136)로 구성된다.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고, 가정의 각 방 또는 거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는 사용자의 수면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측정한 영상정보는 영상서버(120)에 전송된다.
영상서버(120)의 영상제어부(122)는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저장부(124)에 저장하고, 제1데이터통신부(126)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30)에 전송한다.
제1데이터통신부(126)의 통신수단은 무선랜(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및 이더넷(Ethernet)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영상서버(1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134)는 기저장된 체온 정보와 수신된 영상정보의 체온을 비교하여 제어부(132)는 가전기기(16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발생한 제어신호는 제2데이터통신부(136)을 통해 제어기(150)로 전송하고, 제어기(150)는 가전기기(160)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는 한 대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서버(130)로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140)로도 제어가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134)에는 체온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160)를 제어하는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어, 그에 따라 가전기기(16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체온이 37℃ 이상일 경우, 정상적인 체온(36.5℃)보다 높으며, 약간의 미열로 판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위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온풍기 또는 난방을 가동시켜서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제어한다. 사람의 체온은 일반적으로 36.5℃가 정상적이며, 37℃이상이면 약간의 열이 있다고 판단하지만,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온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저체온일 경우나, 체온이 좀 높을 경우에 이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전기기(160)를 통해 환경을 제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40)에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이는 알람, 진동, 문자메세지 등을 포함한다.
고열로 인해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사용자라면,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영상서버(1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홈게이트웨이(170)를 통해 기타 연락망(180)에 연락하도록 한다.
기타 연락망(180)은 119와 같은 기관이나,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의 단말기로써, 이는 홈네트워크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134)에 미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연락망(180)은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또는 체온이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까지 올라가거나 내려갈 경우에 연락하도록 하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변경이 가능토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34)에는 사용자의 수면시간이 저장되어 있어, 수면시간에 해당할 경우, 제2데이터통신부(136)는 작동신호를 제1데이터통신부(126)으로 보내어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수면시간은 데이터베이스(134)에 기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해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수면시간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2데이터통신부(136)의 통신수단은 무선랜(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및 이더넷(Ethernet)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며, 홈네트워크 서버(130)에 수면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알람이 울리는 스피커부,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가 한 대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140)를 통하여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110)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40)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 변화를 지켜볼 수 있다. 이에 수면시 이상징후를 발견하거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제2데이터통신부(136)와 사용자 단말기(140)의 통신수단은 무선랜,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이더넷, 전력선통신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중 어느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제어기(150)는 홈네트워크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가전기기(160)를 작동시켜 환경을 제어하며, 가전기기(160)는 사용자의 체온에 의한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난방,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등이며, 가습기 등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150)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한 가전기기(160)의 작동 내역을 홈네트워크 서버(13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면 모드를 설정하거 나,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저장된 수면시간이 되면(S210), 작동될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선택하고(S220), 선택된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한다(S230).
카메라의 선택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한다.
촬영한 영상정보는 영상서버를 통해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고(S240), 홈네트워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체온에 따른 정보와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체온이 정상범위인지 정상범위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0).
체온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 알려주거나 기타 연락망에 연락을 하도록 한다(S260).
체온의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체온이 37℃ 이상일 경우, 정상적인 체온(36.5℃)보다 높으며, 약간의 미열로 판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위를 느낄 수 있다. 사람의 체온은 일반적으로 36.5℃가 정상적이며, 37℃이상이면 약간의 열이 있다고 판단하지만,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온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저체온일 경우나, 체온이 좀 높을 경우에 이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연락망은 119와 같은 기관이나,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의 단말기로써, 이는 홈네트워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연락망은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사용자 또는 체온이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까지 올라가거나 내려갈 경우에 연락하도록 하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변경이 가능토록 한다.
체온이 정상일 경우나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홈네트워크 서버는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270).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어기로 전송하고, 제어기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S280)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시 쾌적한 환경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의 체온에 의한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난방,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등이며, 가습기 등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포함하며, 체온이 높을 경우에는 추위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난방 또는 온풍기를 가동하여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가전기기는 체온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며, 이는 체온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의 상태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저장하여 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기는 제어한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송(S290)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에서 깨어났을 때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서버와 홈네트워크 서버 사이의 통신 모드는 무선랜, 블루투스, RFID, 지그비 및 이더넷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홈네트워크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드는 무선랜,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이더넷, 전력선통신 및 USB 중 어느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시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에 맞는 환경을 제어하도록 하며, 체온에 의해 응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있는 집이나 시설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 120 : 영상서버
130 : 홈네트워크 서버 140 : 사용자 단말기
150 : 제어기 160 : 가전기기
170 : 홈게이트웨이 180 : 기타 연락망

Claims (5)

  1.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체온을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
    상기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제1데이터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버;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고, 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데이터통신부; 사용자의 수면시간, 체온의 관한 정보 또는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서버;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및
    상기 영상정보를 기타 연락망에 전송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수면 환경을 설정하며, 수면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연락망은 공공기관 또는 상기 홈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인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4.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저장된 수면시간을 통해 수면 모드가 설정되는 제 1단계;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가 선택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서버에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영상서버에 전송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기저장된 체온 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체온의 정상범위를 판별하는 제 4단계;
    상기 체온에 대응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기가 수신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내역을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체온이 정상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기타 연락망에 상황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방법.
KR1020070122937A 2007-11-29 2007-11-29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090056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37A KR20090056008A (ko) 2007-11-29 2007-11-29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37A KR20090056008A (ko) 2007-11-29 2007-11-29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008A true KR20090056008A (ko) 2009-06-03

Family

ID=4098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937A Ceased KR20090056008A (ko) 2007-11-29 2007-11-29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0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251A (ko) 2016-02-25 2017-09-04 이선영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테라피 시스템
KR102031169B1 (ko) 2018-04-12 2019-11-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숙면 유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251A (ko) 2016-02-25 2017-09-04 이선영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테라피 시스템
KR102031169B1 (ko) 2018-04-12 2019-11-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숙면 유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2908B1 (en) Baby monitoring with intelligent audio cueing based on an analyzed video stream
CN111613001B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JP5726782B2 (ja) 緊急通報端末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宅内温度管理方法
CN109059183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106880A (ja) 検知対象物の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KR101729988B1 (ko) 수면관리베개를 이용한 응급상황 감지시스템
JP6649656B2 (ja) 非接触見守りシステム
JP6979597B2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見守り用プログラム
WO2018087912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JP2007120815A (ja) 空調システム
CN113375312A (zh) 用于空调控制的方法、装置及设备
KR101519469B1 (ko) 건강 감시 베개
JP2001034869A (ja) 行動判定装置、ケアシステム、ケア住宅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743523B1 (en) Pet monitoring system
JP4909143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90056008A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342141B2 (ja) 中央ゲートウェイ装置と通信する複数のセンサー装置を有する装置のシステム及び装置のシステムをインストールする方法
WO2022180879A1 (ja) 判定システム、センサ、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26470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infant bilirubin level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JP6982815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1122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면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52711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7323214B2 (ja) 所定場所における電気器具の使用に基づく所定場所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所定場所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16151838A (ja) 家電機器の音声ガイダン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Hercog et al. Smart home solutions using wi-fi-based hard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