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53571A -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571A
KR20090053571A KR1020070120461A KR20070120461A KR20090053571A KR 20090053571 A KR20090053571 A KR 20090053571A KR 1020070120461 A KR1020070120461 A KR 1020070120461A KR 20070120461 A KR20070120461 A KR 20070120461A KR 20090053571 A KR20090053571 A KR 2009005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ceiling
rotating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593B1 (ko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주)인익스
Priority to KR102007012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5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5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봉을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전개하거나 접을 수 있고, 또한 임의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천정에 부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힌지결합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건조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하회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경사, 전개, 스토퍼힌지.

Description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Hanger attached to ceiling for drying washes}
본 발명은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봉을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전개하거나 접을 수 있고, 또한 임의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세탁물을 옷걸이로 걸거나 직접 널어서 말리게 되는 세탁물 건조대 장치는, 바닥에 세워 놓는 구조로 된 입식형과, 천장에 설치하는 구조로 된 천장 설치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세탁물을 거는 행거(hanger) 구조물이 천장과 바닥 사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 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를 천장 쪽으로 완전히 상승시킨 상태로 두면 주변에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형 빨래 건조대는 작동 방식에 따라서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나뉘는데, 수동식은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를 승강시키는 로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승강하게 되며, 전동식은 천장의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수동식이든 자동식이든,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X"자 구조로 조립된 지지수단에 의해 천장 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시 지지수단이 접혀지거나 펴짐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고 있는 첨부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1)은 세탁물을 걸거나 널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여러 개의 세탁물 건조봉(1a)과 이 세탁물 건조봉(1a)을 좌우 양쪽에서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1b)에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상하 여러 단으로 조립된 지지수단(2)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수단(2)의 최상단부는 고정 프레임(3)에 조립이 되고, 고정 프레임(3)은 천장에 앵커볼트로 고정이 된다.
또, 고정 프레임(3)과 사이드 프레임(1b)을 연결하는 와이어(4)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와이어(4)가 견인되면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1)가 승강하게 되는데, 수동식의 경우에는 와이어(4)를 견인하기 위한 로프(5)가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로프(5)를 이용하여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1)를 승강시키게 되며, 전동식의 경우에는 와이어(4)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작동에 따라 견인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건조봉이 수평방향으로 고정 장착되어 있어서, 빨래를 적게 건조하고자 할 경우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건조봉이 수평방향으로 고정 장착되어 있는바, 경사지게 조사되는 햇빛에 대하여 빨래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빨래에 조사되는 햇빛의 양이 적어 보다 효율적으로 빨래를 건조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빨래 건조에 필요한 공간을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고, 빨래에 조사되는 햇빛의 양을 증가시켜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천정에 부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힌지결합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건조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하회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봉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봉이 장착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스토퍼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총너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의 총너비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도 록 상기 건조봉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단면이 다각형상인 힌지돌기가 형성된 스토퍼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힌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힌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전개된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가 배치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가 배치되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힌지는 상기 걸림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회전공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힌지는 상기 걸림공에 걸려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공은 상기 회전공의 측방향 하부에 연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공의 폭은 상기 회전공의 폭보다 작다.
상기 스토퍼힌지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공의 깊이와 폭은 상기 스토퍼힌지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다.
또한, 로프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에는 자석이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건조봉이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를 상하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어, 빨래량에 따라 건조대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를 상하회전시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하거나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하면, 건조봉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기 때문에 빨래에 조사되는 햇빛의 양을 증가시켜 빨래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스토퍼에 의해 회전플레이트가 임의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완전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일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완전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측면도 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힌지의 힌지돌기와 가이드공의 작동과정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고정프레임(10)과, 링크부재(20)와, 지지플레이트(30)와, 건조봉(50)과, 회전플레이트(40)와, 스토퍼힌지(60), 로프(72), 손잡이(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면이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부재(20)는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20)는 다수개의 링크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伸張)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상기 링크부재(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지지플레이트(30)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공(12,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재(20)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공(12,32)에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지지플레이트(30)는 각각 2개가 한 세트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총 4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는 상기 건조봉(50)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건조봉(5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 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건조봉(50)을 각각 하나씩 장착하였다.
상기 건조봉(5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건조봉(50)들 사이에서 상기 스토퍼힌지(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40)와 지지플레이트(30)의 힌지결합점인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장착위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의 일단과 타단에 장착되는 상기 건조봉(50) 중 어느 하나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은 상기 스토퍼힌지(6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모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하거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하고 나머지 한쪽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하거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모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40)를 상방향으로 접어 경사지게 고정함으로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와 지지플레이트(30)가 이루는 건조대의 총너비를 줄일 수 있고, 상기 회전플레이트(40)를 하방향으로 전개하여 경사지게 고정함으로서 건조대의 너 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플레이트(40)를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접으면 건조대의 너비를 줄일 수 있고, 회전플레이트(40)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전개하면 건조대의 너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방향으로 접혀질 경우와 하방향으로 전개될 경우 모두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건조봉(50)들은 상호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게 된다.
상기 스토퍼힌지(6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건조봉(50b)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플레이트(40)를 상방향으로 접은 경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의 무게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40)를 하방향으로 전개한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힌지(60)에 인접한 건조봉(50a)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하부와 접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하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하향경사지게 고정되도록 상기 건조봉(50a)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힌지(60)에는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돌기(6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각돌기(6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는 상기 사각돌기(65)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에 상기 스토퍼힌지(6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는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가이드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4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전개된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가 배치되는 회전공(46)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가 배치되는 걸림공(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공(47)은 상기 가이드공(45)의 측방향 하부에 연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공(47)의 폭은 상기 가이드공(45)의 폭보다 작다.
또한, 상기 걸림공(47)의 깊이와 폭은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장방향 길이, 자세하게는 상기 스토퍼힌지(60)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사각돌기(65)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전개된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상기 회전공(46)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상기 걸림공(47)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접으면, 상기 스토퍼힌지(60)는 회전하여 상기 사각돌기(65)가 상기 회전공(46)에서 상기 걸림공(47)으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 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즉 상기 건조봉(50b)을 하방향으로 힘을 가해 밀면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약간 회전하다가 폭이 좁은 상기 걸림공(47)에 걸려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즉 상기 건조봉(50a)을 상방향으로 힘을 가해 잡아당기면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공(47)을 이탈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공(46)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건조할 빨래가 적은 경우 사용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대가 완전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봉(50)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만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모두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건조봉(50)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기 스토퍼힌지(60)와 함께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회전하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공(46)에서 걸림 공(47)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공(47)의 폭은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약간 회전 후에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 결합되는 상기 건조봉(50)들 또한 경사지게 배치되어, 사용자는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건조봉(50)에 빨래를 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봉(50)들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바, 경사지게 조사되는 햇빛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어 빨래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조할 빨래가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스토퍼힌지(6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건조봉(50b)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봉(50b)을 잡아당긴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건조봉(50b)을 위로 약간 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공(47)에서 이탈하여 상기 회전공(46)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은 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도중 상기 건조봉(50a)이 걸림홈(34)에 삽입되면 회전이 멈추게 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전개되어 고정된다.
이때에도, 상기 건조봉(50)들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0)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바, 경사지게 조사되는 햇빛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어 빨래를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40)가 상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상기 건조봉(50a)에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는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공(47)에 걸려 회전되는 것이 저지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봉(50a)에 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힌지(60)는 아래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공(47)의 폭이 상기 스토퍼힌지(60)의 사각돌기(65)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힌지(60)가 약간 회전되다가 저지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 구조에 의해 사용자 건조봉(50)을 무의식으로 누르더라도,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이 하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플레이트(40) 및 건조봉(50)이 회전되어 사용자에게 타격을 가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는 로프(7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프(72)의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7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70)에는 자석(75)이 내장되어 있어, 자성체로 이루어진 건조대에 부착함으로서 로프(7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완전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일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가 완전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힌지와 가이드공의 작동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프레임, 12,32 : 슬라이드공, 20 : 링크부재, 30 : 지지플레이트, 34 : 걸림홈, 40 : 회전플레이트, 45 : 가이드공, 46 : 회전공, 47 : 걸림공, 50, 50a, 50b : 건조봉, 60 : 스토퍼힌지, 65 : 사각돌기, 70 : 손잡이, 72 : 로프, 75 : 자석.

Claims (9)

  1. 천정에 부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힌지결합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건조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하회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봉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봉이 장착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스토퍼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총너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의 총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상기 건조봉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단면이 다각형상인 힌지돌기가 형성된 스토퍼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힌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힌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전개된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가 배치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스토퍼힌지가 배치되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힌지는 상기 걸림공에서 이탈되어 상기 회전공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힌지는 상기 걸림공에 걸려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상기 회전공의 측방향 하부에 연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공의 폭은 상기 회전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힌지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공의 깊이와 폭은 상기 스토퍼힌지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9. 제 1항에 있어서,
    로프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에는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KR1020070120461A 2007-11-23 2007-11-23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Active KR10090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61A KR100909593B1 (ko) 2007-11-23 2007-11-23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61A KR100909593B1 (ko) 2007-11-23 2007-11-23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71A true KR20090053571A (ko) 2009-05-27
KR100909593B1 KR100909593B1 (ko) 2009-07-24

Family

ID=4086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61A Active KR100909593B1 (ko) 2007-11-23 2007-11-23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836A (ko) * 2010-12-21 2012-06-29 박지훈 빨래건조대
CN113584819A (zh) * 2021-07-23 2021-11-02 广州晒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晾衣杆可变形的晾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64B1 (ko) 2019-09-16 2019-12-02 김관중 빨래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491Y1 (ko) * 2003-07-11 2003-11-05 김승환 빨래 건조장치
KR200361295Y1 (ko) * 2004-06-08 2004-09-07 육동욱 세탁물 건조대의 행거 구조
KR200436434Y1 (ko) * 2006-10-19 2007-08-16 한준석 빨래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836A (ko) * 2010-12-21 2012-06-29 박지훈 빨래건조대
CN113584819A (zh) * 2021-07-23 2021-11-02 广州晒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晾衣杆可变形的晾衣机
CN113584819B (zh) * 2021-07-23 2024-03-26 广州晒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晾衣杆可变形的晾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593B1 (ko)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63B1 (ko) 베란다용 빨래 건조대
KR100909593B1 (ko) 천정 부착식 빨래 건조대
KR200457494Y1 (ko) 다단식 세탁물 건조대
KR101269840B1 (ko) 벽면 접철식 다단 세탁물 건조대
KR101656215B1 (ko)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100511755B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260225B1 (ko) 천정 빨래 건조대
US6951064B2 (en) Clothes drier
KR1011306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빨래건조대
KR102145936B1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KR101609537B1 (ko) 천장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
KR101327143B1 (ko) 자석 접철식 다단 세탁물 건조대
KR102070550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CN109881450B (zh) 一种晒衣服用的晾衣架
KR101267975B1 (ko) 길이가 가변되는 천정형 빨래 건조대
KR20110007989U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0694884B1 (ko) 빨래건조대
KR200349479Y1 (ko) 천장 빨래 건조대
CN102704249B (zh) 收折式多功能晾衣架
KR200279119Y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KR200493701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0799173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JP3249822U (ja) 直立昇降式衣類乾燥装置
JPH06292791A (ja) 物干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