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861A -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1861A KR20090051861A KR1020070118289A KR20070118289A KR20090051861A KR 20090051861 A KR20090051861 A KR 20090051861A KR 1020070118289 A KR1020070118289 A KR 1020070118289A KR 20070118289 A KR20070118289 A KR 20070118289A KR 20090051861 A KR20090051861 A KR 20090051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equipment
- transmission
- cdma network
- diagnosis terminal
- fail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 H04L2012/5676—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운용시 필요한 전송 장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격에서 전송 장비의 상태와 빠른 복구 처리를 할 수 있는 CDMA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은 복수의 전송 장비, 복수의 전송 장비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각 전송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점검하고, 복수의 전송 장비에 장애 이벤트 발생시 원격으로 응급 복구 처리하는 망 관리 센터, 및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와 망 관리 센터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CDMA망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 CDMA network that can perform a remote recovery and the status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the transmission equipment required for network operation. The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n each transmission device by wireles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 plurality of failure diagnosis terminals performing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a plurality of failure diagnosis terminals. And a CDMA network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and the network management center by receiving and inspecting and remotely recovering and emergencyly processing a fault event i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s.
CDMA, 망 운용, 원격, 응급 복구 CDMA, Network Operation, Remote, Emergency Recov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망 운용시 필요한 전송 장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격에서 전송 장비의 상태와 빠른 복구 처리를 할 수 있는 CDMA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 CDMA network that can perform a remote recovery and the status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the transmission equipment required for network operation.
최근, 인터넷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하는 가입자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더욱이 회선의 고속화로 다량의 장비가 구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장비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ubscribers joining the Internet service has been increasing in the Internet service, and a large amount of equipment has been constructed due to the high speed of the line. Accordingly, the need for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large amount of equipment is increasing.
도 1은 종래 망 운용시 전송장비에 대한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ilure handling method for a transmission device in the conventional network operation.
도시된 전송 장비(2)는 각 원격지의 전주나 벽, 아파트, 빌딩 등에 설치된 통신 장비로, 최상의 망 운용을 위해서는 고장이 없어야 하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빠른 시간 내에 복구할 수 있어야 하며, 속도가 빨라야 하는 조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transmission equipment shown in FIG. 2 is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electric poles, walls, apartments, buildings, etc. of each remote site, and there should be no breakdown for the best network operation, and if a breakdown occurs, it should be able to recover it quickly. Conditions must be established that must be fast.
이중, 속도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비를 공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장비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결국은 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철저히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Of these, in order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speed,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receive data by supplying new equipment, but this also leads to an increase in equipment, and eventually, a necessity of thorough management of equipment maintenance and repair is emerging.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중앙 관리 센터(1)에서 이를 접수하여 담당자와 전화 상의 통화로 장애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러한 방법으로 해결되지 못한 경우에는 관련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여 해당 전송 장비를 점검하는 형태로 수행되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 received this and solved the problem of disability by a telephone call with the person in charge, and if not solved in this way, the person in charge is sent to the site directly to check the transmission equipment It was done in the form of.
이와 같이, 종래에는 관련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서 원격으로 고장의 원인을 파악하기엔 불가능하며, 더욱이 원격으로 제어가 불가능하다.As such, in the related art, it is impossible to remote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failure without the person in charge directly dispatching to the site, and furthermore, the remote control is impossible.
그런데,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입자의 수 및 장비의 수에 비해 실무 담당자는 턱없이 부족하고, 실무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는 데에도 시간이 지연되어 즉각적인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간단한 장애가 아닐 경우에는 실무 담당자가 전송 장비를 수거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mpared to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using the Intern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staff is inadequate, and the working staff directly delays the time of dispatching to the field, making it difficult to immediately process. In particular, if it is not a simple obstacle, the practitioner has to collect and process the transmission equipment, which inevitably causes a time delay,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휴일이나 야간 등에 실무 담당자가 근무지를 이탈한 경우에는 장애 발생의 근본적인 조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damental measures of the occurrence of disability is impossible wh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work leave the working place, such as holiday or nigh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원격지의 전송 장비를 운영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is to enable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visit the remote transmission equipment directl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DMA 무선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은, 복수의 전송 장비;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에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 상기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점검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에 장애 이벤트 발생시 원격으로 응급 복구 처리하는 망 관리 센터; 및 상기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와 상기 망 관리 센터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CDMA망을 포함한다.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using a CDM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 A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for performing serial communication to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 network management cente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to receive and check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remotely recover an emergency when a failure event occurs i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And a CDMA network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and the network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는, DSLAM (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FTTH(Fiber To The Home), 광홈랜, 집선장치, FES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s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DSLAM), a fiber to the home (FTTH), an optical home LAN, a concentrator, and an FES.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may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이때, 상기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ault diagnosis terminals may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
또는, 상기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에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 확장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s may correspond to the one failure diagnosis terminal. In this case, the one fault diagnosi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ulti-expansion pack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망 관리 센터는,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 및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 각각에 대응하는 장애 진단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총 괄 관리하며, 상기 장애 진단 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분배 서버; 상기 복수의 장애 진단 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복수의 전송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분석 및 진단하는 진단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management center collectively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s and the failure diagnosis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s, and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s received from the end of the failure diagnosis. A distribution server configured to store stat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of the database; It may include a diagnostic server for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cause of the failure event by analyzing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failure diagnosis.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진단 단말기는, CDMA망 또는 장애 진단 대상인 전송 장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코딩 또는 인코딩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각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의 동작을 각기 제어하며, 상기 전송 장비에 대한 장애 점검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전송 장비로부터 상기 전송 장비의 상태 정보를 마운트하는 동작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diagnosi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equipment that is the target CDMA network or failure diagnosis; A data processing module for coding or encod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each module; And an operation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operations of the interface, the data processing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and mounts stat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from the transmission equipment when a failure check request is generated for the transmission equipment. .
여기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CDMA망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송 장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DMA network; And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장애 진단 대상인 전송 장비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equipment that is the object of diagnosis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one by one.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 진단 대상인 전송 장비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 장비와 상기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 확장팩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equipment that is the object of diagnosis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In this case, a multi-expansion pack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devices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interface.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DMA 무선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방법은, (a) 원격지에 구비된 전송 장비를 장애 진단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전송 장비에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CDMA망에 이용하여 상기 장애 진단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장애 진단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 장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 이벤트의 원인을 분석하고 점검하는 단계; (d) 상기 장애 이벤트에 대한 복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복구 제어 명령을 상기 장애 진단 단말기로 전송하여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복구 완료 후, 상기 망 관리 센터에 로그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CDMA망으로부터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method using a CDM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 remotely monitoring the transmission equipment provided in a remote location via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b) communicating with the failure diagnosis terminal using a CDMA network when a failure event occurs in the transmission equipment; (c)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from the failure diagnosis terminal to analyze and check the cause of the failure event; (d) performing recovery by transmitting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to the failure diagnosis terminal when recovery of the failure event is required; And (e) after the restoration is completed, storing a log file in the network management center and disconnecting from the CDMA network.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거리에 있는 장비에 실무 담당자가 직접 출동하지 않더라도 원격지에서 장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나 능률면에서 효율적이고, 장애 발생시에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원격으로 응급 복구가 가능하므로 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a person in charge is not directly dispatched to a remote device, since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control the equipment at a remote location, it is efficient in terms of work environment and efficiency, and remote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even when a failure occurs. Emergency recovery is possible, so the immediate effect is possible.
또한, 안정성이 검증된 CDMA망을 활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망 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CDMA network with proven stability, not only can network quality be improved, but also stability and durability can be secured.
본 발명은 빠른 상태 파악과 원격 제어를 위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망을 이용하며, 이러한 CDMA 무선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reless network for fast state identification and remote control. The CDMA wireless network has the following features.
1)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1) High quality service is available.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다중 경로로 들어오는 신호들이 통화에 상당히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CDMA망은 이러한 다중 경로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양호한 신호를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아날로그 방식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핸드오프시 통화의 절단이 없는 소프트 핸드오프 방식을 사용하므로 통신의 품질이 양호하다.In the analog approach, signals coming in multiple paths have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the call. However, the CDMA network separates these multipath signals and selects a good signal, so that the quality is better than the analog method,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s good because it uses a soft handoff method without disconnection of a call during handoff.
2) 대용량이다. 2) Large capacity.
동일한 주파수를 많은 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타방식보다 간섭이 적고 통화자가 침묵하고 있는 시간동안 전송을 중지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보다 수용 용량을 10배 이상 높일수 있다. The same frequency can be used in many cells, with less interference than other methods, and the transmiss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more than 10 times compared to the analog method by stopping transmission while the caller is silent.
3) 고품질의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3) Provide high quality data service.
디지털 방식에서는 모든 신호가 디지털 포맷으로 처리되므로 통화 절단 현상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데이타 서비스를 하기가 쉬워진다. 특히, 팩스 등의 데이타 서비스에서는 통화 절단 현상이 없으므로 데이타 서비스 등에 상당히 우수한 방식이다. In digital mode, all signals are processed in digital format, so there is no currency truncation. Therefore, using such a digital system makes it easy to provide data services. In particular, data services, such as fax, have no call disconnection, which is a very good method for data services.
4) 이동국의 소비 전력이 적게 들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4) The mobile station consumes less power and can be made smaller and lighter.
CDMA망은 인접 셀이나 섹터(Sector)에서도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주파수 재배치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인접 셀간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파수 계획이 간단하다. 반면, 아날로그 시스템은 인접 셀에서는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어 주파수 계획이 복잡하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전화망이나 지그비 등에 비해 활용도가 높다. Since the CDMA network uses the same frequency in adjacent cells or sectors, problems such as frequency relocation do not occur, thereby minimiz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ells. Thus, frequency planning is simple. Analog systems, on the other hand, can't use the same frequency in adjacent cells, which complicates frequency planning. In addition, because it is easy to carry, it is highly utilized compared to a telephone network or Zigbee.
5) 시간, 장소, 거리에 구애없이 원격으로 장비 접속이 가능하며, 별도의 망 구성없이 설치가 용이하다.5)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equipment remotely regardless of time, place and distance, and it is easy to install without a separate network configu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 제어시 상기와 같이 검증된 CDMA 무선망을 적용함으로써 망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복구 및 제어가 가능하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network quality by applying the CDMA wireless network verified as described above when remote control, as well as stable and efficient system recovery and contro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무선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mergency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quipment using a CDM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mergency Repair System for Transmission Equipm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의 네트워크 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의 통신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mmunication logic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은 크게, 망 관리 센터(100)와 CDMA망(200), 복수의 전송 장비(400),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이때, 망 관리 센터(100)는 CDMA망(200)을 통해 복수의 전송 장비(400)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망 운용을 관리하며, 복수의 전송 장비(400)는 곳곳의 원격지에 설치되어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At this time, the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상기한 복수의 전송 장비(4700)와 각각 연결되어 전송 장비(400)의 콘솔을 제어한다. The plurality of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망 관리 센터(100)는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분석 및 점검하여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 서버(120)와,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분배 서버(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애 진단 단말기(500)간 전화 접속을 위한 SMS 서버 호스팅(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se components, the
특히, 분배 서버(140)는 전송 장비(400)의 장애 발생시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세션(session)을 생성하며, 필요에 따라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보안 접속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원격지에 설치된 전송 장비(400)의 위치와, 전송 장비(400)와 대응되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를 관리하고,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받은 각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In particular, the
진단 서버(120)는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받은 각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 이벤트의 원인을 분석 및 진단한다. 이를 통해 전송 장비(4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송 장비(400)에 응급 복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200)은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망 관리 센터(100)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러한 CDMA망(200)은 기본적으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iever Center: BTS)(도 4의 210)과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도 4의 220),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도 4의 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간 동작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복수의 전송 장비(400)는 기능별로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 FTTH(Fiber To The Home), 광홈랜, 집선장치, FES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설치 형태에 따라 전주형(BBP), 벽걸이형(BBW), 아파트나 빌딩내 설치 박스에 구비되는 비치형(BBC)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진단 단말기(500)을 매개로 전송 장비(400)와 망 관리 센터(100)간 상호 연관되어 원격으로 전송 장비(400)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the
즉, 전송 장비(400)에서 장애 이벤트가 발생(①)하게 되면,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망 관리 센터(100)에 이를 알린 후 CDMA망을 통해 망 관리 센터(100)와 접속한다(②, ③). 이후, 망 관리 센터(100)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진단함으로써 원격에서 전송 장비(400)를 모니터링 및 제어한다. That is, when a failure event occurs in the transmission device 400 (①), the
이때, 전송 장비(400)와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며,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망 관리 센터(100)는 CDMA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일 실시예로,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망 관리 센터(100)는 CDMA망을 이용 한 TCP/IP 접속이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에서 장애 진단 단말기와 망 관리 센터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일 예이다. 4 is an example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and a network management center in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망 관리 센터(100)에는 SMS 서버 호스팅(160)이 구비되고, CDMA망(200)은 기지국(BTS: 210)과 제어국(BSC: 220), 교환국(MSC: 230)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HLR: 240), 단문 서비스 시스템(SMSC: 250), 무선데이터 시스템(260)으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여기서, 기지국(210)은 전송 장비(400)와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전송 장비(400)를 제어하고 통화채널을 연결시켜 주는 시스템이고, 제어국(220)은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하는 시스템이며, 교환국(230)은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타 통신망과 접속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홈 위치 등록기(240)는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서비스의 종류와 홈 교환국(230)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다. Here, the
홈 위치 등록기(240)에서, 홈 위치란 장애 진단 단말기(500)의 위치를 찾을 때 맨 처음으로 검색하게 되는 위치를 의미하는데, 이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의 전화번호를 통해서 간단히 체크하기도 한다. 011의 경우 서울지역 이용자는 9xxx-xxxx 번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9xxx 등이 바로 홈 위치를 찾는 데이터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일반적으로, 장애 진단 단말기(500)를 가입한 곳에서 제일 가까운 기지국이 홈 위치로 등록된다. 따라서,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맨 처음 전화를 걸게 되면, 홈 위치 등록기(240)에 등록된 교환국 ID를 추적해 해당 교환국 관할 기지국 내에 위치해 있는지를 찾게 된다.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망 관리 센터(100)의 SMS 서버 호스팅(160)에서 CDMA망(200)의 단문서비스 시스템(SMSC: 250)으로 단문 요청을 하고, 이에 응답하여 CDMA망(200)의 홈 위치 등록기(240)에 등록된 해당 전송 장비(400)의 기지국(210)으로 SMS가 송출된다. 이후, 해당 전송 장비(400)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접속 요청에 대한 SMS가 수신되면 CDMA망(200)으로 전화 접속을 하여 무선 데이터 시스템(260)에서 IP를 할당하게 된다. IP를 할당받은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망 관리 센터(100)의 분배 서버(140)로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MS server hosting 160 of the
<장애 진단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fault diagnosis terminal>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 장비와 장애 진단 단말기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진단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ransmission device and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진단 단말기(500, 500')는 각 전송 장비(400, 400'-1 내지 400'-8)의 콘솔에 접속되거나 콘솔 외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시리얼 통신을 수행한다. 5A and 5B,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복수의 전송 장비(400)와 일대일 대응된다. 즉,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에 하나의 전송 장비(400)가 접속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주형이나 벽걸이형 등과 같이 원격지에 단독으로 설치된 전송 장비(400)를 원격 모니터링하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아파트나 빌딩내 설치 박스에 복수 개 구비된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를 원격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복수의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 사이에 멀티 확장팩(4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mote monitoring of the transmission equipment (400'-1 to 400'-8) provided 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oxes in the apartment or building, as shown in Figure 5b, fault diagnosis terminal The
멀티 확장팩(450)은 복수의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를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에 동시에 연결하되, 연결된 복수의 전송장비(400'-1 내지 400'-8) 각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기능을 한다. The
도 5b에는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를 8개로 구비하고, 8개의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가 멀티 확장팩(450)을 통해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송 장비(400'-1 내지 400'-8)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FIG. 5B, eight transmission equipments 400'-1 to 400'-8 are provided, and eight transmission equipments 400'-1 to 400'-8 are equipped with one fault diagnosis terminal through the
이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송 장비와 연결되어 전송 장비(400, 400'-1 내지 400'-8)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 5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도 6을 참조하면,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512) 또는 시리얼 통신(514)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510), 데이터 처리 모듈(520), 동작 제어 모듈(530), 전원 공급 모듈(5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인터페이스(510)의 무선 통신(512)은 무선 연결 포트(512a)를 통해 응급 복구 시스템의 CDMA망(20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모듈이고, 시리얼 통신(514)은 시 리얼 연결 포트(514a, 514b)를 통해 전송 장비(400) 또는 멀티 확장팩(45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모듈이다. The
예컨대, 인터페이스(5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송 장비와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가 대응되는 경우 시리얼 통신(514)에 전송 장비(400)가 연결되지만, 복수의 전송 장비와 하나의 장애 진단 단말기가 대응되는 경우는 시리얼 통신(514)에 멀티 확장팩(450)이 연결될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데이터 처리 모듈(520)은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즉,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제어하기에 용이한 포맷으로 코딩 또는 인코딩한다.The
전원 공급 모듈(540)은 구동에 필요한 전원(POWER)을 공급한다. 전원(POWER)은 전원 공급 모듈(540)내 자체에 탑재된 메인 전원 외에,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동작 제어 모듈(530)은 인터페이스(510)와 데이터 처리 모듈(520) 및 전원 공급 모듈(540)의 동작을 각기 제어하며, 전송 장비(400)에 대한 장애 점검 요청이 발생하면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마운트(mount)한다. 그리고, CDMA망(200)을 통해 수신한 제어 명령을 전송 장비(400)에 전송하여 장애 이벤트에 대한 응급 복구 기능을 수행한다. The
<원격 제거 및 응급 복구 방법><Remote removal and emergency repair metho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mergency repair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a CDM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망 관리 센터(100)에는 원격에서 전송 장비(4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장애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엔진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어 있고, CDMA망(200)을 통해 장애 진단 단말기(5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마련된다.First, an engine or an application for remotely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그리고,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각 전송 장비(400)의 콘솔 또는 인터페이스 포트에 연결되어 시리얼 통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평상시 망 관리 센터(100)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를 통해 원격지에 설치된 전송 장비(4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1). Therefore, the
그런데, 전송 장비(400)에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전송 장비(400)는 자신과 시리얼 통신을 하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에 이를 표시하고, 이에 응답하여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망 관리 센터(100)에 장애 발생을 알린다(S2 내지 S4). However, when a failure event occurs in the
알림과 동시에, 망 관리 센터(100)는 장애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전송 장비(400)로 접속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notification, the
도 4와 연계하여 이의 접속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망 관리 센터(100)에서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 전송 장비(400)로 접속 요청을 실행하면 분배 서버에 등록된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SMS가 전송되는데, 먼저 망 관리 센터(100)의 SMS 서버에서 CDMA망(200)의 단문서비스 시스템(SMSC: 250)으로 단문 요청을 한다(S5).Referring to the connection proces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when the
이에 응답하여 CDMA망(200)는 홈 위치 등록기(240)에 등록된 해당 전송 장비(400)의 기지국(210)으로 SMS를 송출한다(S6).In response, the
이후, 해당 전송 장비(400)의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접속 요청에 대한 SMS가 수신되면 CDMA망(200)으로 전화 접속을 하여 무선 데이터 시스템(260)에서 IP를 할당하게 된다. IP를 할당받은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망 관리 센터(100)의 분배 서버(140)로 TCP/IP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SMS for the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by the
이후, 망 관리 센터(100)는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부터 해당 전송 장비(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점검한다(S11).Thereafter, the
점검 후,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경우 복구 제어 명령을 장애 진단 단말기(500)로 전송하여 응급 복구를 수행한다(S12, S13).After the check, if the emergency recovery is necessary to transmit a recovery control command to the
이후, 복구가 완료되면, 망 관리 센터(100)에 로그 파일을 저장하고 CDMA망(200)으로부터 접속을 해지한다(S14, S15).After the restoration is completed, the log file is stor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장애 진단 단말기(500)는 각 전송 장비(400)와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복수의 전송 장비(400)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멀티 확장팩(도시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 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a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망 운영시 전송장비에 대한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ilure handling method for a transmission device in a conventional network ope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의 네트워크 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의 통신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logic of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 응급 복구 시스템에서 장애 진단 단말기와 망 관리 센터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일 예이다. 4 is an example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and a network management center in a transmission equipment emergency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 장비와 장애 진단 단말기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ransmission device and a failure diagnosis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진단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ault diagnosi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망을 이용한 전송 장비 응급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mergency repair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a CDM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망 관리 센터 120: 진단 서버100: network management center 120: diagnostic server
140: 분배 서버 160: SMS 서버 호스팅140: distribution server 160: SMS server hosting
200: CDMA망 300: 인터넷망200: CDMA network 300: Internet network
400, 400'-1 내지 400'-8: 전송 장비400, 400'-1 to 400'-8: transmission equipment
450: 멀티 확장팩 500, 500': 장애 진단 단말기450:
510: 인터페이스 512: 무선 통신510: interface 512: wireless communication
514: 시리얼 통신 520: 데이터 처리모듈514: serial communication 520: data processing module
530: 동작 제어 모듈 540: 전원 공급 모듈530: motion control module 540: power supply module
POWER: 전원POWER: power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8289A KR20090051861A (en) | 2007-11-20 | 2007-11-20 |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8289A KR20090051861A (en) | 2007-11-20 | 2007-11-20 |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1861A true KR20090051861A (en) | 2009-05-25 |
Family
ID=408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8289A KR20090051861A (en) | 2007-11-20 | 2007-11-20 |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186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8286B1 (en) * | 2010-05-18 | 2010-10-18 | (주)리테크 | Remot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telediagnosis and telerecovery |
KR101224163B1 (en) * | 2012-07-12 | 2013-01-21 | 엠티디아이 주식회사 |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est-device remotel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
2007
- 2007-11-20 KR KR1020070118289A patent/KR2009005186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8286B1 (en) * | 2010-05-18 | 2010-10-18 | (주)리테크 | Remot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telediagnosis and telerecovery |
KR101224163B1 (en) * | 2012-07-12 | 2013-01-21 | 엠티디아이 주식회사 |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est-device remotely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1474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access terminal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5211779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on management maintenance method, and operation management maintenance apparatus | |
US6163595A (en) | Way finding with an interactive faceplate | |
US20020098859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nding messages for reporting power turn-off events | |
US20160066171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Gathering Data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 |
WO2020063833A1 (en) | Network device detachment repor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20090051861A (en) | Emergency recovery system of transmission equipment using CDMA network and its method | |
CN102595455B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test module in automatic road test system | |
KR20070076332A (en) | Remote recovery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remote control server and system performing same | |
CN113810797B (en) | Intelligent OD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port state monitoring | |
EP2445188A1 (en) | Customer service system and cross-platform monitoring method thereof | |
CN102238587A (en) | Neighboring cell optimiz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06603965A (en) | Remote real-time safety supervision method suitable for power construction site | |
JP2008125092A (en) | Diagnosti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1064506B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abnormity of optical fiber link | |
CN1992954A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CN108696645A (en) | Monitoring system | |
CN114222321A (en) |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network | |
CN101051932A (en) | Method for realizing management of multistag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21336B1 (en) | Digital line distribution system that connects the switching center and the base station at E1 level | |
CN116668350B (en) | Communication terminal of digital private network and matched encryption compon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KR100726573B1 (en) | Control informatio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onitoring method i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DCS server | |
KR100311311B1 (en) | Method for testing set up and release of voice call in radio network controller for broadband wireless mobile station | |
JP2007311877A (en) | Channel allocation method in pon system | |
KR20010059551A (en) | Combined type basestation apparatus and its operationa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