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45560A -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560A
KR20090045560A KR1020070111445A KR20070111445A KR20090045560A KR 20090045560 A KR20090045560 A KR 20090045560A KR 1020070111445 A KR1020070111445 A KR 1020070111445A KR 20070111445 A KR20070111445 A KR 20070111445A KR 20090045560 A KR20090045560 A KR 2009004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t surface
cut
cutt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루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루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루목
Priority to KR10200701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5560A/ko
Publication of KR2009004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56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재활용 집성재는 집성재층을 구비한다. 집성재층은 복수의 목편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편들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기 갖는다. 복수의 목편들은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다. 이에 따라, 자원의 낭비와 높은 재가공 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저비용으로 집성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방부 방염 처리와 관련하여 향상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재활용, 집성재

Description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RECYCLED LAMINATION WOOD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성이 저하되거나 폐기될 집성재를 재활용한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성재(lamination wood)란 판재(板材) 및 소각재(小角材) 등을 섬유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접착시켜 만든 접착 가공목재를 말한다. 집성재는 제재, 목공 후의 잔재를 집성 가공하여 목재로 재활용할 수 있고, 뒤틀림과 같은 결점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므로, 건축 및 토목 산업과 외장재, 가구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집성재는,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원목을 건조한 후 이들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집성재는 일정기간 사용되면 그 일부가 손상되며, 손상된 집성재는 상품성이 저하되어 폐기되거나 보다 낮은 품질의 목재로 가공된다. 또한, 상기 집성재는 제조 과정에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제품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폐기되는 경우와 제조 과정에서 파생되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는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고 폐기물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저품질의 목재로 가공되는 경우는 규격이 일정하지 않아 가공상 어려움과 규격화된 시장에서의 유통 곤란의 문제점과 가공비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집성재가 갖는 장점 상실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폐기 목재를 재활용한 재활용 집성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재활용 집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는 집성재층을 구비한다. 집성재층은 복수의 목편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편들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기 갖는다. 상기 복수의 목편들은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집성재층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집성재층들은 상기 절단면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는 제1 목편 및 제2 목편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목편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제1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제1 비절단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목편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제2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비절단면과 접합된 제2 비절단면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편들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복수의 목편들을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을 서로 접합한다. 이어서, 상기 접합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을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한다. 이 때, 상기 절단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은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목편들은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가 소정의 용도로 사용 후 손상 등을 이유로 폐기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복수의 목편들을 형성 하되,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상기 목편들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재활용 집성재를 제조한다.
따라서, 폐기되어 버려지거나 보다 낮은 품질의 목재로 가공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와 높은 재가공 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폐기되거나 재가공의 모재가 되는 손상된 판형 목재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서 상기 재활용 집성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폐기 판형 목재를 일정한 규격으로 재생산할 수 있다.
또한, 방부 또는 방염 물질에 대하여 종래의 집성재에 비해서 높은 확산율을 가지므로, 방부 방염 처리와 관련하여 향상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집성재는 종래의 집성재와는 다르게 원목에 간직된 나이테 문양과 유사한 다양한 무늬가 뒤섞여 재배치되어 있으므로 향상된 외관 품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재활용 집성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다양한 무늬를 현출시킬 수 있어서 인테리어 소품, 장식재 등은 물론 조각가의 소재로도 활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 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술하고 있는 재활용 집성재는 통상의 집성재 뿐만 아니라, 실시예로서 기술하고 있는 집성판재를 포함한다.
재활용 집성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다수의 목편들 중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100)는 복수의 목편(木片;110)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편(110)들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목편(110)들이 차례로 접합되어 형성된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평면은 Y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Y 방향은 상기 X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상면에 대한 법선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두께 방향에도 해당한다.
상기 목편(110)들은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경사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경사 방향은 상기 너비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너비 방향은 상기 목편(110)들의 연장 방향인 X 방향에,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목편(110)들이 형성하는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두께 방향인 Y 방향에 각각 해당하게 된다. 이하, 원목의 너비 방향과 길이 방향을 각각 X와 Y로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이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재활용 집성제의 제조 방법'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편(110)은 절단면(111) 및 비절단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면(111)은 상기 판형 목재가 절단될 때 절단되는 면이고, 상기 비절단면(112)은 상기 절단면(111)과 인접하며, 상기 판형 목재가 절단될 때 절단되지 않는 면이다.
상기 목편(110)들은 상기 비절단면(112)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다. 즉, 상기 목편(110)들은 각기 구비하는 상기 비절단면(1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된다.
상기 목편(110)들은 각각 제1 모서리(114) 및 제2 모서리(116)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서리(114)는 상기 절단면(111)의 단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모서리(116)는 상기 비절단면(112)의 단부에 대응한다. 상기 목편(110)들은 각각의 상기 제1 모서리(114)가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접합되며, 이로써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모서리(114)의 길이는 상기 절단된 판형 목재의 두께에 해당하며,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상기 접합된 목편(110)들 각각의 제1 모서리(114)의 총 합에 해당하는 길이가 한 변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모서리(116)의 길이는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두께가 된다.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비절단면(112)은 상기 판형 목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해당하고,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절단면(111)은 상기 판형 목재의 측면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래의 판형 목재가 원목의 길이 방향(Y)으로 상면 또는 하면이 형성되고, 원목의 너비 방향(X)과 길이 방향(Y)에 모두 수직한 방향(Z)이 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반면,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원목의 너비 방향(X)과 길이 방향(Y)에 모두 수직한 방향(Z)으로 상면 또는 하면이 형성되고, 원목의 길이 방향(Y)이 두께 방향에 해당한다. 즉,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모재에 해당하는 상기 판형 목재에 대해서 상하면 및 측면이 서로 뒤바뀐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원목의 길이 방향(Y)으로 방부 또는 방염 물질이 확산되므로,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에 방부 또는 방염 물질을 주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재활용 집성재(100)는 원목의 길이 방향(Y)이 두께 방향에 해당하므로, 방부 또는 방염 물질이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표면 상에 코팅 처리된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막은 질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재 활용 집성재(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 보강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 부재는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휨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가 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의 복수의 목편(110)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 부재는 열 등의 외부 영향에 의해 야기되는 이웃한 목편(110)들 사이의 상이한 변형률에 의한 크랙(crack)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활용 집성재(100)는, 너비 방향(X) 및 길이 방향(Y)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가 손상 등을 이유로 폐기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복수의 목편(110)들을 형성하되, 상기 비절단면(112)을 접합면으로 하여 상기 목편(110)들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폐기되어 버려지거나 보다 낮은 품질의 목재로 가공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와 높은 재가공 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기되거나 재가공의 모재가 되는 손상된 판형 목재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건조 과정 등의 종래의 집성재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파손된 원목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폐기 판형 목재를 일정한 규격으로 재생산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제조된 재활용 집성재(100)는 방부 또는 방염 물질에 대하여 종래의 집성재에 비해서 높은 확산율을 가지므로, 방부 방염 처리와 관련하여 향상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종래의 집성재와는 다르게 원목에 간직된 나이테 문양과 유사한 다양한 무늬가 뒤섞여 재배치되어 있으므로, 향상된 외관 품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평면 가공에 따른 직선 무늬를 곡선 가공을 함으로써 연출될 수 있는 곡선의 다양성, 홈 가공 등으로 연출되는 원형 등 보다 다양한 무늬를 현출시킬 수 있어서 인테리어 소품, 장식재 등은 물론 조각가의 소재로도 활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102)는 복수의 재활용 집성재층(1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집성재층(100)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층(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의 집성재층(100)들은 상기 절단면(111)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적층된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재활용 집성재층(100)들이 적층되어 상기 재활용 집성재(102)를 형성하지만, 그 이상의 재활용 집성재층(100)들이 적층되어 상기 재활용 집성재(102)를 형성할 수 있다.
재활용 집성재의 제조 방법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너비 방향(X) 및 길이 방향(Y)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절단하여 판형 목재(10)를 형성한다. 상기 원목이 대체로 원 형상을 가질 때, 상기 너비 방향(X)은 반경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길이 방향(Y)은 반경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해당한다.
상기 판형 목재(10)는 산업체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가, 파손 등에 의해 더 이상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판형 목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목재(10)가 상기와 같은 파손부(12)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파손된 상기 판형 목재(10)를 이용하여 재활용 집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손부(12)를 포함하는 판형 목재(10)를 상기 원목의 길이 방향(Y)과 경사지도록 절단한다. 도 5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경사각을 90도로 설정하여 너비 방향(X)으로 차례로 절단하여 복수의 목편(110)들을 형성한다.
상기 목편(110)들 각각은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111)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면(111)은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에 평행하고, 상기 원목의 길이 방향(Y)을 법선 방향으로 갖는다. 상기 비절단면(112)은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에 평행하고,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 및 길이 방향(Y)에 수직한 방향(Z)을 법선 방향으로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목편(110)들을 상기 절단면(1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차례로 배치시키고, 상기 비절단면(112)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목편(110)들은 가압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방법, 고주파 접합 방법, 순차적 접합 방법, 이소시안 메이트 접합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접합된 목편(110)들은 재활용 집성재(100)를 형성한다.
결국,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최초 원목으로부터 절단하여 모재를 형성하는 제1차 가공 후, 상기 모재를 이용하여 합판과 같은 판형 목재(10)를 형성하는 제2차 가공에 의해 완성된 제품을 소정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파손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상술한 공정과 같은 제3차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층(100)도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102)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재활용 집성재층(100)들을 제조한 후, 이들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손된 상기 판형 목재(10)를 이용하여 재활용 집성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파손부(12)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형 목재(10)들을 상 기 원목의 너비 방향(X) 및 길이 방향(Y)에 수직한 방향(Z)으로 서로 접합한다.
상기 파손부(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의 사용 결과에 따라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판형 목재(10)들은 가압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방법, 고주파 접합 방법, 순차적 접합 방법, 이소시안 메이트 접합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된 복수의 판형 목재(10)들을 상기 원목의 길이 방향(Y)과 경사지도록 절단한다. 도 8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경사각을 90도로 설정하여 너비 방향(X)으로 차례로 절단하여 복수의 재활용 집성재(100)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들 각각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재활용 집성재(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들 각각은 복수의 목편(110)들을 포함하고, 상기 목편(110)들 각각은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111)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112)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면(111)은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에 평행하고, 상기 원목의 길이 방향(Y)을 법선 방향으로 갖는다. 상기 비절단면(112)은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에 평행하고, 상기 원목의 너비 방향(X) 및 길이 방향(Y)에 수직한 방향(Z)을 법선 방향으로 갖는다.
결국, 상기 재활용 집성재(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재활용 집성재(100)와 마찬가지로, 최초 원목으로부터 절단하여 모재 를 형성하는 제1차 가공 후, 상기 모재를 이용하여 합판과 같은 판형 목재(10)를 형성하는 제2차 가공에 의해 완성된 제품을 소정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파손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상술한 공정과 같은 제3차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다수의 목편들 중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집성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집성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2 : 집성재 110 : 목편
111 : 절단면 112 : 비절단면
114 : 제1 모서리 116 : 제2 모서리

Claims (5)

  1.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기 갖는 복수의 목편들을 포함하는 집성재층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목편들은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집성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재층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집성재층들은 상기 절단면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집성재.
  3.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제1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제1 비절단면을 포함하는 제1 목편; 및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제2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비절단면과 접합된 제2 비절단면을 포함하는 제2 목편을 포함하는 재활용 집성재.
  4.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판형 목재를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목편들을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집성재의 제조 방법.
  5.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갖는 원목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접합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을 상기 길이 방향과 경사지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된 복수의 판형 목재들은 절단된 면에 대응하는 절단면 및 절단되지 않은 면에 대응하는 비절단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목편들은 상기 비절단면을 접합면으로 하여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집성재의 제조 방법.
KR1020070111445A 2007-11-02 2007-11-02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eased KR20090045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45A KR20090045560A (ko) 2007-11-02 2007-11-02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45A KR20090045560A (ko) 2007-11-02 2007-11-02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560A true KR20090045560A (ko) 2009-05-08

Family

ID=4085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445A Ceased KR20090045560A (ko) 2007-11-02 2007-11-02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5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4384A (zh) * 2019-11-05 2020-02-11 苏师大半导体材料与设备研究院(邳州)有限公司 一种二代胶合板的制备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4384A (zh) * 2019-11-05 2020-02-11 苏师大半导体材料与设备研究院(邳州)有限公司 一种二代胶合板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9238C2 (ru) Внутренний слой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композита, имеющий деревянные элементы
KR101481751B1 (ko)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KR20090045560A (ko) 재활용 집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094497A (ja) 単板集成材積層体
JP4699627B2 (ja) 集成材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集成材
JPH09187806A (ja) 幅はぎ方式による建築用板材
CN220374058U (zh) 一种再生复合木方结构
JP4225173B2 (ja) 床材の製造方法
KR100638110B1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KR100336651B1 (ko) 집성무늬목시트의 제조방법
CN222245208U (zh) 一种带皮质包覆的木板
CN218643762U (zh) 一种宽幅锯切芯层的三层实木复合地板
CN108316604A (zh) 一种实木复合地板基材结构及制作方法
CN213703775U (zh) 一种lvb结构型胶合板
CN220117660U (zh) 一种基于劣质材的竹木饰面复合地板
CN212899281U (zh) 一种通用型可重复拆装的家具构件榫卯连接结构
JP2008093936A (ja) 木質材料の製造方法
KR102483411B1 (ko) 집성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20160147A1 (en) Composite woo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7182255B2 (ja) 木質床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建物用床
JP5667274B1 (ja) 丸棒手摺
JP4958198B2 (ja) 化粧板
JP2004082588A (ja) 木質面材
RU211858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ревянных плит из отходов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FI116210B (fi) Menetelmä liimapuurakenteen valmistamiseksi, liimapuurakenne ja sekundapuuaineksen käyttö liimapuurakentees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