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45183A -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183A
KR20090045183A KR1020090032858A KR20090032858A KR20090045183A KR 20090045183 A KR20090045183 A KR 20090045183A KR 1020090032858 A KR1020090032858 A KR 1020090032858A KR 20090032858 A KR20090032858 A KR 20090032858A KR 20090045183 A KR20090045183 A KR 2009004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aging
macro base
mobile terminal
femto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475B1 (ko
Inventor
김남기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6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multi-step notification by changing the notification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단말이 최근 등록한 페이징 그룹 번호에 해당하는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페이징 제어기, 상기 이동단말이 탐색한 펨토 기지국을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된 펨토 기지국으로 중계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펨토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셀, 매크로셀, 페이징

Description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AGING METHOD USING FEMTOCELL}
본 발명은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페이징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펨토셀(Femto cell)은 반경 30m 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소형 기지국으로서 홈 노드-B(Home Node-B)라고도 한다. 펨토셀은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이동통시 서비스의 품질을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펨토셀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의 통신에 범용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 회선이 설치된 어느 지역이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동단말은 수시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위치 변경 시 페이징 제어기 로 위치 등록을 해야 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은 특정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이동단말이 등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페이징 그룹 번호가 될 수 있으며, 이동단말은 페이징 신호 수신 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그룹 번호를 전달받는다. 이동단말은 전달받은 페이징 그룹 번호와 마지막으로 위치 갱신을 한 페이징 그룹 번호가 다를 경우, 현재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제어기로 현재 위치로 위치 갱신을 수행한다.
페이징 그룹의 크기가 커지면, 위치 갱신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줄어들어 위치 갱신 부하가 감소한다. 하지만, 페이징 그룹 크기가 커지면, 페이징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 기지국의 개수가 증가하여 페이징 부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페이징 그룹 크기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능 결정 사항이 된다.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의 페이징 그룹 관리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페이징 부하나 위치 갱신 부하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페이징 그룹를 매크로셀의 크기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페이징 제어기는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수많은 펨토셀의 펨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해야 한다. 이것은 페이징 제어기가 관리해야 하는 기지국 수의 증가를 의미하며, 페이징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이징 그룹을 펨토셀 단위로 설정할 경우, 이동단말이 펨토셀들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펨토셀들 사이를 이동할 때 마다 위치 갱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페이징 제어기는 위치 갱신의 따른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부하 및 위치 갱신 부하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이 펨토셀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페이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단말이 최근 등록한 페이징 그룹 번호에 해당하는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페이징 제어기, 상기 이동단말이 탐색한 펨토 기지국을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된 펨토 기지국으로 중계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펨토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은 주변 기지국을 탐색한 결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 로부터 상기 페이징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탐색된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로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저장된 상기 펨토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해제 요청을 한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송신 시 상기 페이징 그룹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그룹 번호와 등록된 페이징 그룹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위치 갱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수행하는 페이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관리하는 펨토 기지국의 목록이 저장된 중계 대상 목록에 이동단말로부터 등록요청을 받은 펨토 기지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페이징 기능을 제어하는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대상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신호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주변 기지국 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의 탐색 결과, 페이징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탐색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 기지국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저장된 상기 펨토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해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송신 시 페이징 그룹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그룹 번호와 등록된 페이징 그룹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제어기로 위치 갱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부하 및 위치 갱신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이 펨토셀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페이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율적인 페이징을 통해 이동단말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단말(10), 펨토셀(200)을 운용하는 펨토 기지국(20), 매크로셀(300)을 운용하는 매크로 기지국(30), 인터넷망(40), 기지국 제어기(50), 페이징 제어기(60),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을 적용한 것이며, 펨토 기지국을 운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성부가 추가되거나 기존 구성부를 활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펨토셀(200)은 현재 IEEE 802.16m의 요구사항 분석 문서(System Requirement Description)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만족해야 한다.
- 단말은 10cm에서 30m 안에 존재한다.
- 매크로셀과 펨토셀 사이, 펨토셀과 펨토셀 사이에서 끊김없는 핸드오버가 지원되어야 한다.
- 매크로셀과 펨토셀 사이, 펨토셀과 펨토셀 사이의 동기화가 복잡하지 않고 가능해야 한다.
- 매크로셀과 펨토셀 사이, 펨토셀과 펨토셀 사이의 간섭 감지(interference detection)와 간섭 상쇄(interference migration)가 가능해야 한다.
- WiFi와 Bluetooth와 공존 가능해야 한다.
- 펨토셀과 WiFi 사이의 핸드오버 시 세션 연결이 유지되어야 한다.
- 펨토 기지국의 위치 정보가 파악되어야 한다.
- 펨토셀을 밀도 높게 설치해도 실행이 가능해야 한다.
이동단말(10)은 펨토 기지국(20) 또는 매크로 기지국(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른 이동단말 또는 유선 전화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동단말(10)은 대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이동단말(10)은 평소에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다가 주기적으로 깨어나 페이징 채널을 통해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동단말(10)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시 휴지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주기까지 전력소모를하지 않게 된다. 이동단말(10)이 주기적으로 깨어나는 때를 감시 구간(Listening Interval)이라 한다.
이동단말(10)은 감시 구간에 깨어나 주변 기지국을 탐색한다. 이때, 이동단말(10)은 탐색 결과, 매크로 기지국(30)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는 수신되지 않고, 펨토 기지국(2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이동단말(10)이 펨토 기지국(20)의 영역인 펨토셀(200) 내에 위치하고, 현재 펨토 기지국(20)은 매크로 기지국(30)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중계받아 전송하고 있지 않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단말(10)은 탐색된 펨토 기지국(20)을 매크로 기지 국(30)이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하도록 등록 요청을 한다. 이때, 이동단말(10)은 펨토 기지국(20)을 통해 등록 요청을 하고, 매크로 기지국(30)은 이동단말(10)에 해당하는 펨토 기지국(20)을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에, 페이징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동단말(10)은 펨토 기지국(20)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30)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은 펨토셀(200)내의 이동단말(10)로 페이징 신호를 방송한다. 펨토 기지국(20)은 매크로 기지국(30)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중계받아 이동단말(10)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은 펨토셀(200) 내의 이동단말(10)를 관리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은 이동단말(10)이 일정 시간이상 펨토셀(200)을 벗어난 경우, 매크로 기지국(30)으로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된 펨토 기지국(20)에 대한 등록 해제 요청을 한다.
펨토 기지국(20)은 인터넷망(4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7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펨토 기지국(20)은 범용의 인터넷망(40)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펨토 기지국(20)은 코어 네트워크(70)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페이징 방법은 적용되지 아니한다.
매크로 기지국(30)은 일반적인 기지국(Node-B)으로써, 이동단말(10)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단말(10)을 제어하고 통화 채널을 연결시킨다. 매크로 기지국(30)은 이동 단말(10)로부터 발신 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50)로 전송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0)은 페이징 제어기(60)로부터 매크로셀(300) 내의 이동단말(10)에 해당하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중계 대상 목록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펨토 기지국(20)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한다. 중계 대상 목록은 이동단말(10)로부터 등록 요청받은 펨토 기지국(20)에 대한 목록 정보를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30)은 이동단말(10) 또는 펨토 기지국(20)의 요청에 따라 중계 대상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10)은 주변 기지국 탐색을 하여 탐색된 펨토 기지국(20)을 매크로 기지국(20)에 등록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20)은 관리하고 있는 이동단말(10)이 펨토셀(200)을 벗어나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펨토셀(2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신을 중계 대상 목록에서 제외시키기 위하여 등록 해제 요청을 매크로 기지국(30)에 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30)은 페이징 제어기(60)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신호를 펨토 기지국(20)으로 중계할 뿐만 아니라, 페이징 채널을 통해 페이징 신호를 매크로셀(300) 내의 이동단말(10)로 방송한다.
기지국 제어기(50)는 매크로 기지국(30)을 제어하며, 이동단말(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단말(10) 및 매크로 기지국(30)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매크로 기지국(30)에 대한 운영 유지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페이징 제어기(60)는 이동단말(10)이 등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신호를 해당하는 이동단말(10)의 매크로 기지국(30)으로 송신한다. 페이징 제어기(60)는 매크로 기지국(30)을 통해 이동단말(10)로 페이징 신호 및 페이징 그룹 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동단말(10)은 페이징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위치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위치 갱신을 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70)는 이동통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upport GPRS Serving Node) 등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장치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는 펨토 기지국(20)을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0)은 주변 기지국을 탐색한다(S210). 이동단말(10)은 주기적으로 깨어나는 감시 구간에 기지국 탐색을 수행한다. 이동단말(10)은 페이징 채널을 통해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기지국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단말(10)은 페이징 신호 탐지 유무를 판단한다(S220).
페이징 신호를 탐지하면, 이동단말(10)은 S250 단계를 수행한다.
페이징 신호가 탐지되지 않으면, 이동단말(10)은 펨토 기지국(20)의 존재 유무를 탐지한다(S230).
펨토 기지국(20)이 탐지되지 않는 경우, 이동단말(10)은 기지국과의 연결이 종료된다.
펨토 기지국(20)이 탐지되는 경우, 이동단말(10)은 탐색된 펨토 기지국(20)을 매크로 기지국(30)의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시킨다(S240). 이동단말(10)은 탐색된 펨토 기지국(20)을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시켜 달라는 등록 요청을 매크로 기지국(30)에 한다. 이때, 이동단말(10)은 탐색된 펨토 기지국(20)을 통해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0)은 장치 내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에 중계 대상 목록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단말(10), 펨토 기지국(20) 및 매크로 기지국(30)은 페이징 신호가 발생하면, 페이징 동작을 수행한다(S250). 즉, 중계 대상 목록에 펨토 기지국(20)이 등록된 이후, 펨토 기지국(20)은 다음 페이징 신호부터 매크로 기지국(30)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중계받아 해당하는 이동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0)이 중계 대상 목록에 펨토 기지국(20)을 등록한 이후의 페이징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펨토 기지국(20)이 중계 대상 기지국으로 등록된 이후의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30)은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다(S310). 페이징 신호는 페이징 제어기(6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 이동단말(1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페이징 제어기(60)는 이동단말(10)이 마지 막으로 등록한 페이징 그룹 번호에 해당하는 매크로 기지국(30)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매크로 기지국(30)은 중계 대상 목록에서 등록된 펨토 기지국(20)을 확인한다(S320). 중계 대상 목록은 등록된 펨토 기지국(20)에 대응하는 이동단말(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10)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30)이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가입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매크로 기지국(30)은 등록된 펨토 기지국(20)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한다(S330). 매크로 기지국(30)은 중계 대상 목록을 이용하여 페이징 신호가 필요한 펨토 기지국(20)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한다. 매크로 기지국(30)은 중계 대상 목록에 포함된 이동단말(10)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단말(10)를 관리하는 펨토 기지국(20)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받은 펨토 기지국(20)은 자신의 페이징 채널을통해 페이징 신호를 펨토셀(200)로 방송한다(S340). 이때, 매크로 기지국(30)은 페이징 신호를 자신의 페이징 채널을 통해 매크로셀(3000로 페이징 신호를 방송한다. 이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30)이 펨토 기지국(20)과 함께 페이징 신호를 방송하는 것은 이동단말(10)이 매크로셀(300) 내에서 펨토셀(200)이 없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는 펨토 기지국(20)의 등록 해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20)은 이동단말(10)로 페이징 신호를 방송한다(S410).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페이징 방법에 따라 펨토 기지국(20)은 이동단말(10)로 페이징 신호를 방송한다.
다음으로, 펨토 기지국(20)은 펨토셀(200) 내에 이동단말(1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이동단말(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단말(10)이 일정 시간 이상 비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판단 결과, 이동단말(10)이 일정 시간 이상 펨토셀(200) 내에 비존재하는 경우, 펨토 기지국(20)은 매크로 기지국(30)으로 펨토 기지국(20)에 대한 등록 해제 요청을 한다(S430). 등록 해제 요청을 받은 매크로 기지국(30)은 저장된 중계 대상 목록에서 해당 펨토 기지국(20)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30)은 펨토 기지국(20)에 대한 중계 대상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페이징 제어기(60)는 해당 매크로 기지국(30)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고, 매크로 기지국(30)은 해당 펨토 기지국(20)으로만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 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 단말 20: 펨토 기지국
30: 매크로 기지국 40: 인터넷망
50: 기지국 제어기 60: 페이징 제어기
70: 코어 네트워크

Claims (10)

  1.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최근 등록한 페이징 그룹 번호에 해당하는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페이징 제어기;
    상기 이동단말이 탐색한 펨토 기지국을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등록된 펨토 기지국으로 중계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펨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주변 기지국을 탐색한 결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페이징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탐색된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단 말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저장된 상기 펨토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해제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송신 시 상기 페이징 그룹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그룹 번호와 등록된 페이징 그룹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위치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펨토셀을 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수행하는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관리하는 펨토 기지국의 목록이 저장된 중계 대상 목 록에 이동단말로부터 등록요청을 받은 펨토 기지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페이징 기능을 제어하는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대상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신호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주변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의 탐색 결과, 페이징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펨토 기지국이 탐색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 기지국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펨토셀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계 대상 목록에 저장된 상기 펨토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등록해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송신 시 페이징 그룹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그룹 번호와 등록된 페이징 그룹 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제어기로 위치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KR1020090032858A 2009-04-15 2009-04-15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58A KR101032475B1 (ko) 2009-04-15 2009-04-15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58A KR101032475B1 (ko) 2009-04-15 2009-04-15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183A true KR20090045183A (ko) 2009-05-07
KR101032475B1 KR101032475B1 (ko) 2011-05-03

Family

ID=4085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8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475B1 (ko) 2009-04-15 2009-04-15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7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69A2 (en) * 2009-06-09 2010-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for femto base station
WO2010147386A2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femtocell
WO2011002262A2 (ko) * 2009-07-02 2011-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WO2011005662A2 (en) * 2009-07-06 2011-01-13 Intel Corporation Low duty mode for femtocell base stations
KR101018695B1 (ko) * 2009-07-29 2011-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펨토셀 기지국 및 펨토셀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
KR20110034827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등록된 단말의 접속을 지원하는 펨토 셀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306559B2 (en) 2009-12-15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optimization of base station supporting hybrid cell
US8346286B2 (en) 2009-08-25 2013-01-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ging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7795B2 (en) 2009-10-23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r-cell coordination
KR101328169B1 (ko) * 2009-08-26 2013-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US8738095B2 (en) 2009-07-02 2014-05-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operation of femto base station based on radio access system
US8737921B2 (en) 2009-10-22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of detecting victim terminal and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multi-cell environments
KR101448316B1 (ko) * 2009-12-07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망에서 매크로 망과 펨토 망 연계 지역에서의 페이징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WO2017217697A1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44697B2 (en) 2017-03-23 2021-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aging method and paging appara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972A (ja) * 2005-10-04 2009-03-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ピコ基地局を有する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呼び出し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69A3 (en) * 2009-06-09 2011-0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for femto base station
US8811277B2 (en) 2009-06-09 2014-08-1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for femto base station
WO2010143869A2 (en) * 2009-06-09 2010-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for femto base station
WO2010147386A3 (en) * 2009-06-16 2011-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femtocell
WO2010147386A2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femtocell
WO2011002262A2 (ko) * 2009-07-02 2011-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WO2011002262A3 (ko) * 2009-07-02 2011-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US8738095B2 (en) 2009-07-02 2014-05-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operation of femto base station based on radio access system
WO2011005662A2 (en) * 2009-07-06 2011-01-13 Intel Corporation Low duty mode for femtocell base stations
WO2011005662A3 (en) * 2009-07-06 2011-03-31 Intel Corporation Low duty mode for femtocell base stations
US8219086B2 (en) 2009-07-06 2012-07-10 Intel Corporation Low duty mode for femtocell base stations
KR101356373B1 (ko) * 2009-07-06 2014-01-27 인텔 코오퍼레이션 펨토셀 기지국을 위한 저부하 모드
KR101018695B1 (ko) * 2009-07-29 2011-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펨토셀 기지국 및 펨토셀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
US8346286B2 (en) 2009-08-25 2013-01-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ging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28169B1 (ko) * 2009-08-26 2013-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34827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등록된 단말의 접속을 지원하는 펨토 셀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38680B2 (en) 2009-09-29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femto base station of user equipment registered to femto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37921B2 (en) 2009-10-22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of detecting victim terminal and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multi-cell environments
US8437795B2 (en) 2009-10-23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r-cell coordination
US8855702B2 (en) 2009-10-23 201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r-cell coordination
KR101448316B1 (ko) * 2009-12-07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망에서 매크로 망과 펨토 망 연계 지역에서의 페이징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8306559B2 (en) 2009-12-15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optimization of base station supporting hybrid cell
WO2017217697A1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99367B2 (en) 2016-06-13 2019-1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p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1044697B2 (en) 2017-03-23 2021-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aging method and paging appara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475B1 (ko)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475B1 (ko) 펨토셀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CN101765189B (zh) 家用蜂窝式网络的呼叫方法及系统
JP5116509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681289B2 (ja) マクロセル基地局、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フェムトセル基地局、ならびに休眠モードとアクティブ・モードの間でフェムトセル基地局を切り替える方法
KR1013368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연속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404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방법
KR101206432B1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EP2912901B1 (en) Method,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ssigning a unique location area code in a network comprising small cells served by home node b&#39;s (hnb) underlying a macrocell
KR2010003260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접속 가능한 초소형 기지국 자동 탐색 장치 및 방법
US20140378125A1 (en)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015017B1 (ko) 위치 관련 고유 식별정보를 자동 설정 등록하기 위한 펨토 셀 기지국 및 그 방법
KR20110059733A (ko) 기지국 및 기지국의 제어 방법
KR101007767B1 (ko)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2408B1 (ko) Home (e)NodeB에 대한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US89298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femtocell base station
JP2012070074A (ja) 隣接セル処理装置および隣接セル処理方法
US88741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djacent radio sites
KR101594392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92537B1 (ko) 단말,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20110028174A (ko) 위치 등록 메시지 과부하 방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98460B2 (ja)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KR101288937B1 (ko) 펨토셀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22996A (ko)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717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 페이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1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413

Appeal identifier: 2011101001859

Request date: 2011030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0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