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44598A -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 Google Patents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598A
KR20090044598A KR1020070110744A KR20070110744A KR20090044598A KR 20090044598 A KR20090044598 A KR 20090044598A KR 1020070110744 A KR1020070110744 A KR 1020070110744A KR 20070110744 A KR20070110744 A KR 20070110744A KR 20090044598 A KR20090044598 A KR 2009004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here
vent
lining
l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홍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표 filed Critical 홍영표
Priority to KR102007011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598A/ko
Publication of KR2009004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59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17/06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made-up of plural spherical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A63B2039/006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pressur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자연 승압 기능과 압력 유지 기능을 갖는 단방향 기류 통로를 구비한 구가 제공된다. 구(100)가 일정한 조건하에서 구체를 유지하려는 형상복원력을 가지는 벽(110)과, 벽(110)에 형성된 통기공(120)과, 벽(110)의 내측에서 통기공(120)을 포함하여 벽(1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라이닝(130)을 포함하며, 라이닝(130)은 적어도 일부가 벽(110)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구, 압력, 승압, 유지, 통기공, 라이너

Description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 구비한 구 {Ball Having Unidirectional Air Passages For Rising And Keeping Pressure Naturally}
이 발명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유출을 차단하는 단방향 통과공을 구비한 중공형 구에 관한 것이다.
외부와 내부를 격리하는 벽으로 둘러싸인 구는 가장 자연스럽고 흔한 입체이며 산업용 스포츠용 등 많은 인공 구체들이 있다. 구는 흔히 중공부에 외부보다 큰 압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압력은 구체의 형성시에 공기 등을 주입하고 밀봉하거나, 구체를 형성한 후에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는 물론이고, 주입구를 가진 구인 경우에도, 내부의 공기가 구의 벽을 이루는 재료의 미세 간극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압력이 손실되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외부의 공기가 자연적으로 내부로 유입되어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경우에 따라 그러한 사례가 있을 수 있지만, 의도적이고 적극 적이며 신속하게 그러한 유입을 허용하게 구성된 것은 아니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외부의 압력이 내부의 압력보다 조금이라도 큰 경우에는 공기 등의 매체가 신속하게 내부로 유입되어 내압과 외압이 평형을 이루고, 외부의 압력이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공기 등의 매체가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차단하게 구성된 구가 있다면, 산업용이나 스포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발명은 단방향 통과공을 구비한 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단방향 통과공을 구비한 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구는 일정한 조건하에서 구체를 유지하려는 형상복원력을 가지는 벽과, 벽에 형성된 통기공과, 벽의 내측에서 통기공을 포함하여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라이닝을 포함하며, 라이닝은 적어도 일부가 벽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벽의 내면과 벽의 내면에 접한 라이닝의 표면이 서로 밀착하는 표면 친화성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벽이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다공질 재료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의 정해진 위치를 가압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덮고 있는 라이닝이 벽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면서 내부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의 통기공이 공기의 신속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통공이 다.
양호하게는, 벽의 통기공이 원통공이고, 원의 지름이 벽 두께의 1/3 이상이다.
양호하게는, 벽의 통기공이 다각통공이고, 다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벽 두께의 1/4 이상이다.
양호하게는, 라이닝이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로 되어 있고, 각각의 통기공은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의 각각에 의해 완전히 덮이며, 각각의 라이너의 면적은 그 것이 덮는 통기공의 총 단면적의 10배 이하이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통기공이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가 중첩된 다층 라이너에 의해 덮여 있다.
양호하게는, 벽이 상온에서는 형상복원력이 약하고 상온보다 높은 정해진 온도 이상에서는 형상복원력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이 상온에서는 형상복원력이 약하고 상온보다 낮은 정해진 온도 이하에서는 형상복원력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의 신장 변형률이 정해진 값 이하인 재료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이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벽의 재료가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벽의 재료가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에 고장력 섬유소가 혼입된 복합재료이다.
양호하게는, 라이닝의 재료는 벽의 재료에 밀착하는 표면 친화력을 가지는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이 발명에 따른 구가, 벽의 재료로 반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반구체의 내부에 라이닝 재료를 부착하는 단계와, 두개의 반구체를 서로 접합하여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 발명에 따른 구를 일정한 조건의 환경, 즉 정해진 온도 이상 또는 정해진 온도 이하의 환경에 두면, 구의 벽은 구체를 유지하려는 형상복원력을 나타낸다. 즉, 구체의 형태가 찌그러져 체적이 작은 상태에 있었다면, 구체가 복원되면서 체적이 커진다. 또한, 완전한 구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벽의 외면에 가해지는 외압이 벽의 내면에 가해지는 내압과 벽의 형상복원력을 합한 힘보다 크지 않는 한, 구체는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구체의 외부에서 통기공을 통해 라이닝에 가해지는 외압이 구체의 내부에서 라이닝에 가해지는 내압보다 큰 경우에는, 라이닝이 구체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면서 구체 외부의 공기가 구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내압과 외압이 평형을 이룬다.
또한, 구체의 외부에서 통기공을 통해 라이닝에 가해지는 외압이 구체의 내부에서 라이닝에 가해지는 내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라이닝이 구체의 내면에 밀착하면서 구체 내부의 공기가 구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압의 강하에도 불구하고 내압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이점, 장점,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기술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보이듯이, 구(100)는 구체의 외부와 구체의 내부를 구분하는 벽(110)으로 이루어지며, 벽(100)에는 구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는 다수의 통기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의 수는 구(100)의 크기와 통기공(1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 임의의 수로 정해질 수 있다.
구(100)의 벽(110)을 이루는 재료는 이 발명에 따른 구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지만, 적어도 정해진 압력 이하에서는 구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경도 또는 탄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용도에 따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파열되지 않고 납작해지거나 찌그러지는 변형이 가능할 정도로 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온도 및/또는 압력 조건하에서 납작해지거나 찌그러진 상태로부터 완벽한 구체로 회복되는 형상복원력을 가져야 한다.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구의 벽(110)이 고분자 화합물과 섬유소, 섬유사 또는 와이어가 혼합된 복합재료로 구성된다. 이 복합재료의 구조는 고분자 화합물 층과 섬유층이 적층된 형태일 수도 있고, 섬유 직물에 고분자 화합물이 함침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섬유층 또는 직물은 구(100)에 외력이 가해져 납작해질 때, 구체 내부의 체적감소로 인한 공압 증가에도 불구하고 벽의 선형 변형, 즉 연신 변형이 거이 없거나 가능한 한 작게 하는 보강층의 역할을 한다.
벽(110)에 형성된 통기공(120)의 크기는 구체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기 인한 기류의 원활한 통과를 허용할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기류의 신속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통공인 것이 양호하다. 통기공(1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벽(110)이 강한 장력에 견뎌야 하는 용도에서는, 응력집중점이 없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양호하다. 통기공(12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원의 지름이 벽(110) 두께의 1/3 이상, 다각형인 경우에는, 다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벽 두께의 1/4 이상인 것이, 기류의 원활하고 신속한 흐름을 보장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100)를 절단한 반구체에서 벽(110)의 내면를 도시한 것이다. 벽(100)의 내면(111)은 가능한 한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벽(110)의 내면(111)에 라이닝(130)이 덧대어진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라이닝(130)은 일측의 접합부(131)를 제외하고는 벽(110)의 내면(1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라이닝(130)은 횡단선(132)과 종단선(133)에서 분리된 여러 조각의 라이너들로 구성되며, 통기공(120)은 적어도 한 조각의 라이너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도 4는 이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닝(140)이 벽(110)의 내면(111)에 덧대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통기공(120)이 타원형 라이너 3매가 적층되어 3중으로 덮여 있다. 각각의 타원형 라이너는 일측의 접합부에서만 벽(110)의 내면(111)에 부착되어 있을 뿐이고, 다른 부분은 벽(110)의 내면(111) 및 다른 라이너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라이닝(130 또는 140)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라이너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조상의 편의나 다른 목적상 불규칙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각각의 통기공(120)이 적어도 한 조각의 라이너로 완전히 덮일 수만 있다면, 라이너 조각들의 배열이나 접합 구조는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라이닝(130 또는 140)을 이루는 라이너 조각들은 말랑말랑하고 탄력이 있으며 벽(110)의 내면(111) 및 라이너 조각들 상호간에 표면 친화성을 갖는 시트 재료인 것이 양호하다.
이 발명의 목적상, 표면 친화성이라고 하는 용어는 계면에서의 접합력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계면은 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세한 힘만 가해져도 곧 분리되지만, 분리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계면의 밀착력이 우수하여 계면 사이로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의 외압이 구체의 내압보다 높으면 통기공(120)을 통해 라이너에 가해진 외압이 벽(110)의 내면(111)으로부터 라이너를 분리시키면서 기류 통로를 형성하여 외기가 구체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통기공(120)의 단면적이 작고 라이너의 면적이 크더라도, 외압과 내압의 차가 그에 비례할 정도로 커야 기류 통로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라이너의 면적이 통기공(120)의 10배에 달한다고 할지라도, 외압이 내압의 10배 이상이어야 기류 통로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라이너가 말랑말랑한 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이므로, 외압과 내압 사이에 미세한 차이만 있어도 통기공 근처의 라이너 부분이 변형되면서 벽(110)의 내면(111)과 라이너 사이의 계면에 공극이 생기고, 그 공극 사이에 외압이 채워져 외압의 작용면적이 넓어져 결국 벽(110)의 내면(111)으로부터 라이너를 분리시키기고 기류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구(100)의 용도에 따라서는, 외기가 구체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라이너의 면적이 그 것이 덮는 통기공의 총 단면적의 10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라이닝(130, 140)이 연성 고분자 화합물 시트로 구성되며, 그 표면은 매끈하고, 구김이나 접힘 등으로부터 시트 형상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탄성 및 형상복원력을 가진다.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구(100)를 절단한 반구체에서 벽(110)의 내면를 도시한 것이다. 이 벽(100)의 내면(111) 중 일부에는 길쭉한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3)는 벽(110)의 변형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발명에 따른 구(100)는 외압이 내압보다 클 때는 외기가 구체의 내부로 자연적으로 유입되지만, 내압이 외압보다 클 때는 벽(110)의 내면(111)과 라이너의 계면 사이의 기밀작용으로 인해 내기가 구체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 것이 바로 이 발명에 따른 구(100)에서 얻고자 하는 핵심적인 작용효과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내기를 구체의 외부로 방출하고자 할 수 있다.
통기공(120)을 통해 로드를 쑤셔넣어 라이너를 일어냄으로써 기류 통로를 형성하고 내기를 구체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것은 매우 번거로운 방법이다.
돌출부(150)는 벽(110)의 내면(111)으로부터 라이너를 신속하게 용이하게 분 리시켜 내기를 구체의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수단이다. 즉, 돌출부(15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벽(110)의 외면에 집중 하중을 가하면, 벽(110)의 구체의 안쪽으로 우그러들면서 변형하는데, 이 때 돌출부(150)로 인해 그 변형면에 불연속부가 형성되게 되고, 이 불연속부가 인접한 통기공(120)까지 이어지면서 벽(110)의 내면(111)으로부터 라이너를 분리시켜 배기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돌출부(15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곳이 아닌 벽(110)의 외면의 다른 곳에 집중 하중이 가해지거나 전면에 걸친 균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벽(110)의 변형면에 불연속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기가 구체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배기수단을 돌출부(150)로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돌출부가 아닌 요홈, 또는 외면은 평면이지만 벽(110)의 특정부분의 물성을 달리하는 방법 등으로 배기수단이 구현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구체 내부의 공압을 제거하고 벽(110)을 우그러뜨리거나 구체를 납작하게 해두면, 이 상온에서는 벽(110)의 형상복원력이 없거나 미약하여 변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다가, 상온보다 높은 정해진 온도 이상에서 벽(110)의 형상복원력이 강해지면서 구체를 회복하여 체적을 늘리고 외기가 구체 내부로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벽(110)이 상온에서는 형상복원력이 미약하여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온보다 낮은 정해진 온도 이하에서 형상복원력이 강해지면서 구체를 회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구(100)는 별도의 수단이나 조치가 없이 방치해두면, 구체의 외압, 즉 환경의 기압이 구체의 내압보다 큰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외기를 흡입하 여 외압과 평형을 이룰 때까지 내압이 승압하는 자연 승압 기능을 갖는다.
역으로, 구체의 외압, 즉 환경의 기압이 구체의 내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구체의 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작용에 의해 내압을 유지하는 압력 유지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자연 승압 기능과 압력 유지 기능은 아래의 산업상 이용분야에 대한 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벽(110)을 이루는 재료의 물성은 이 발명에 따른 구(100)의 이용분야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될 수 있지만, 압력 유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구체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구체 내의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해야 하므로, 벽(110)의 신장 변형률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양호하다.
한편,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인접한 구체들 상호간의 마찰 등 마모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므로, 벽(110)의 물성이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양호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화합물 복합 재료로 구(100)의 반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반구체의 벽(110)에 다수의 통기공(120)을 형성하는 단계와, 고분자 화합물 시트 재료로 다수의 라이너 조각을 형성하는 단계와, 다수의 통기공의 각각이 적어도 한 조각의 라이너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라이너 조각들을 반구체의 벽(100)의 내면(111)에 부착하는 단계와, 두개의 반구체를 서로 접합하여 완전한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이 발명에 따른 구(100)가 제조된다.
이 발명에 따른 구는 런플랫(runflat) 타이어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적정한 수의 이 발명에 따른 구를 타이어의 내부에 장입하고, 타이어를 림에 장착한 후에, 타이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적정한 압력을 생성한다. 구체의 외압, 즉 타이어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구체의 내압보다 클 것이므로,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구의 벽의 통기공을 통해 구체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타이어의 내압과 각각의 구체의 내압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구체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타이어 내부의 압력이 적정한 압력보다 낮아졌다면, 공기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고,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될 것이다. 이렇게 수회 반복하면, 타이어 내부와 각각의 구체 내부의 압력이 모두 정해진 적정한 압력에서 평형을 이룰 것이다.
통기공들의 총 단면적이 충분히 커서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각각의 구체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면, 타이어 내부에 대한 공기 주입을 수회 반복할 필요 없이, 한번의 주입과정에서 타이어 내부와 각각의 구체 내부의 압력이 모두 정해진 적정한 압력에서 평형을 이룰 것이다.
한편, 타이어 내부에 구체를 장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상온에서 구체가 쭈그러진 상태로 체적이 축소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온도가 상승하면 형상복원되는 구체를 이용한다면, 타이어 내부에 고온의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타이어 내부에 저온의 공기를 주입한 경우에는, 주행에 의해 타이어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구체의 온도도 상승하여 형상복원될 것이다.
구체 내에 적정한 공압이 형성된 상태에서, 타이어에 펑크가 나서 타이어 내부의 공압이 모두 손실되더라도, 구체의 내압이 그대로 유지되어 지탱하므로, 타이어는 플랫되지 아니하며 주행이 가능한 런플랫(runflat)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렇게 런플랫 타이어에 이용되는 경우에, 차체의 무게로 인해 구체의 벽에 상당히 큰 압력이 걸릴 수 있으므로, 구체의 벽은 가능한 한 인장강도가 강해야 하고, 벽의 신장 변형률이 정해진 값 이하인 것이 양호하다. 바람직하게는, 구체가 고장력 섬유소 또는 실이나 와이어가 혼입된 고분자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또한, 주행과정에서 구체끼리 서로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벽이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구는 정구, 농구, 배구, 축구 등 각종 구기종목 스포츠용 볼(ball)로 이용될 수 있다.
현재의 구기종목 볼은 하나의 공기주입구를 가지므로, 각각의 볼마다 적정한 양의 공기를 주입하여 공압을 맞추어야 하는데, 그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모든 볼에 대해 균등한 공압을 맞추기도 어렵다. 이 발명에 따른 구를 이용하면, 모든 볼을 등압을 유지하는 공압조에 넣었다가 꺼내면, 각각의 볼마다 공기를 주입하는 번거로움 없이 모든 볼에 균등한 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구는 포장용 충진재로 이용될 수 있다.
포장할 상품을 포장용 박스에 넣고, 빈 공간에 이 발명에 따른 구를 채우고 포장한 상태에서, 포장물을 고압조에 넣었다가 꺼내면, 빈 공간에 충진된 각각의 구체 내에 고압이 형성되어, 상품을 박스 안에서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상품이 고온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고 저온에서도 구체가 적정 압력을 가져야 한다면, 저온에서 형상복원력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특정한 사례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지만, 이 발명의 이용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보호범위를 정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는 기술된 실시예나 예시된 이용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모든 변형, 변경, 응용예를 포함할 것을 의도하고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를 절단한 반구체에서 벽의 내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벽의 내면에 라이닝이 덧대어진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닝이 벽의 내면에 덧대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구를 절단한 반구체에서 벽의 내면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7)

  1. 벽과, 벽에 형성된 통기공과, 벽의 내측에서 통기공을 포함하여 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라이닝을 포함하며, 라이닝은 적어도 일부가 벽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내면과 벽의 내면에 접한 라이닝의 표면이 서로 밀착하는 표면 친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이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다공질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정해진 위치를 가압하면 구체 내부의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가 형성되게 하는 배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통기공이 공기의 신속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통기공이 원통공이고, 원의 지름이 벽 두께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통기공이 다각통공이고, 다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벽 두께의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이닝이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로 되어 있고, 각각의 통기공은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의 각각에 의해 완전히 덮이며, 각각의 라이너의 면적은 그 것이 덮는 통기공의 총 단면적의 1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통기공이 한 조각 이상의 라이너가 중첩된 다층 라이너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이 상온에서는 형상복원력이 약하고 상온보다 높은 정해진 온도 이상에서 는 형상복원력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이 상온에서는 형상복원력이 약하고 상온보다 낮은 정해진 온도 이하에서는 형상복원력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신장 변형률이 정해진 값 이하인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이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재료가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재료가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에 고장력 섬유소가 혼입된 복합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이닝의 재료는 벽의 재료에 밀착하는 표면 친화력을 가지는 고무, 수지 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
  17. 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벽의 재료로 반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반구체의 내부에 라이닝 재료를 부착하는 단계와,
    두개의 반구체를 서로 접합하여 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70110744A 2007-10-31 2007-10-31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Withdrawn KR20090044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44A KR20090044598A (ko) 2007-10-31 2007-10-31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44A KR20090044598A (ko) 2007-10-31 2007-10-31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598A true KR20090044598A (ko) 2009-05-07

Family

ID=4085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744A Withdrawn KR20090044598A (ko) 2007-10-31 2007-10-31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7808B2 (ja) 履物又は頭、肩、ひざ等身体の一部を防御する製品に使用されるクッション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132703B1 (en) Cushioning element for sports apparel
US10995868B2 (en) Valve assembly for inflatable blad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351931B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arti
CN105797330B (zh) 具有保持充气的球胆的运动球
US5542662A (en) Sports bal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SE469590B (sv) Trycksaettbart, elastiskt hoelje, utgoerande en inlaeggssula till en sko,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hoeljet
CN104302254A (zh) 具有通过负压控制的刚度可变的元件
EP2704804B1 (en) Sport ball with an inflation-retention bladder
CN1127101A (zh) 包括改进的柔性隔离膜的缓冲装置
US20110183791A1 (en) Inflatable ball
US10465809B2 (en) Valve assembly for expandable blad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44598A (ko) 자연적 압력 상승 및 유지를 위한 단방향 기류 통로를구비한 구
CN112617350A (zh) 充气式组装弹力鞋
US6966857B2 (en) Sport ball with self-contained dual action inflation mechanism
CN206198605U (zh) 一种新型实心贴皮球
US20090137352A1 (en) Padded sports ball
US6935977B2 (en) Sport ball with pump having pressure relief and/or pressure indication capability
MXPA04011748A (es) Pelota deportiva con mecanismo autocontenido de inflamiento de doble accion.
CN2743613Y (zh) 复合缓冲元件的改良结构
US20080233321A1 (en) Inflatable structure
CN2580794Y (zh) 一种运动鞋缓冲装置
TWM382144U (en) Forming structure for air-filling valve of tenn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