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683A -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0683A KR20090040683A KR1020070106152A KR20070106152A KR20090040683A KR 20090040683 A KR20090040683 A KR 20090040683A KR 1020070106152 A KR1020070106152 A KR 1020070106152A KR 20070106152 A KR20070106152 A KR 20070106152A KR 20090040683 A KR20090040683 A KR 20090040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pivot assembly
- bracket
- fixed
- flat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전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와 무관하게 기기의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틸트각이 안정되게 유지되고,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각의 조절 시에 그 조절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조절시에 발생하게 되는 충격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역학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로서, 수평축은 상부 회동 어셈블리가 펼쳐지는 각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그 각도에 따라서 발생되는 힘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5는 고정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구간 스프링의 사시도.
도 8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의 이동에 따른 힘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로서, 수평축은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펼쳐지는 각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그 각도에 따라서 발생되는 힘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트 2 : 세트 브라켓 3 : 고정 브라켓
5 : 상부 회동 어셈블리 6 : 하부 회동 어셈블리
53 : 탄성부재 63 : 구간 스프링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0061761호(인용발명)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대하여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면서, 고화질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래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상치형 스탠드와,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벽걸이형 스탠드가 있으며, 본 발명은 벽걸이형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벽걸이형 스탠드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0061761호로 출원한 바가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조절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이 극대화 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개시된 문헌에 제시되는 벽걸이형 지지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와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되는 인용발명의 지지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 및 무게와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 지지장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절간의 마찰력이 상당히 크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는 이유는, 마찰력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설치각을 유지하지 못하고,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처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찰력이 크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지장치를 움직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은 대략 40kg 정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 정도의 힘은 사용자가 조절하기는 무리라고 아니할 수 없다. 물론,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내부에 마련되어 와셔등의 조임상태를 조절하여 그 힘을 조절할 수 있으나, 그러한 조작동작은 사용자에게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도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틸트각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하방으로 틸트시킬 때에는 기기의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서 작은 힘으로 틸트가 가능하고, 기기를 상방으로 틸트시킬 때에는 기기의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서 큰 힘이 가하여져야만 틸트가 가능한 것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전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세트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암;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암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이 겹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 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 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세트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 시에, 상기 고정 브라켓과 연결된 지점은 고정 브라켓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세트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지지아암; 및 상기 스페이서의 이동에 대하여 일정 구간에 대해서만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되는 스프링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틸트의 조절시에 기기에 가하여지는 충격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그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측면도로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에는, 세트(1)가 거치되는 세트 브라켓(2)과, 벽등과 같은 고정위치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3)과, 상기 고정 브라 켓(3)과 세트 브라켓(2)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힌지등으로 연결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5)와 하부 회동 어셈블리(도 4의 6참조)가 포함된다. 또한, 좌우 간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5)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6)는 각각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5)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정도에 따라서 탄성력을 일정 정도 점진적으로 더 부여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서, 하방으로 회동되어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방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서 더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의 균형을 맞추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그와 같은 구조를 웨이트 벨런서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트 벨런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부 회동 어셈블리(5)에는, 탄성부재(53)가 개재되는 세트측 아암(51)과 벽측 아암(52)이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세트측 아암(51)은 세트측 지지구(54)에 의해서 세트 브라켓(2)에 지지되고, 상기 벽측 아암(52)은 벽측 지지구(55)에 의해서 고정 브라켓(3)에 지지된 다. 물론, 상기 지지구(54)(55)는 회동이 자유롭게 마련되어 아암(51)(52)의 회동은 자유롭다. 그리고, 상기 세트측 아암(51)과 상기 벽측 아암(52)은 힌지축(56)의 개입에 의해서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56)은 볼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볼트의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와셔(57)가 개입된 상태로 너트(58)에 의해서 조여진다. 상기 너트(58)에 의해서 힌지축(56), 와셔(57)등에서 발생되는 정지마찰력 및 운동마찰력이 조절된다. 상기 힌지축(56)의 머리부에는 렌치홈이 마련되어 더 편리하게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56)의 외주에는 탄성부재(53)가 말려 있어서, 상기 아암(51)(52)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서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는 항상 상방으로 올려지려는 힘-즉, 링크구조가 포게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상부 회동 어셈블리(5)의 구성에 의해서 의한 역학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의 수평축은 상부 회동 어셈블리가 펼쳐지는 각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그 각도에 따라서 발생되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도 22는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서 발생되어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의 세기, f1를 나타내고, 선도 21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가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기기의 자중에 의해서 더욱 더 하방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의 세기, f2를 나타내고, 선도 23은 그 두 힘의 합력을 나타낸다.
결국, 도 3에서 사용자가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상단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은, 상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도 23과 정지마찰력의 범위를 나타내는 W의 상측 범위를 넘는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반대로 하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도 23과 정지마찰력의 범위를 나타내는 W의 하측 범위를 넘는 정도의 힘을 하방으로 가하여야 한다. 또한, 정지마찰력 W의 하측범위를 넘어서는 지점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외부힘이 없더라도 자중의 모멘트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동하기 시작하는, 다시 말하면 오토 틸트가 개시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범위를 키우기 위하여 종래에는 정지 마찰력 W의 범위를 넓게하고, 그 만큼 마찰력의 크기를 크게 하였던 것이다.
물론, 상기되는 모멘트 선도는 개략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스프링은 변위가 없을 때에도 어느 정도의 모멘트를 보일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서 선도 22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를 단순화하여 보이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작동은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도 3을 해석하면, 탄성부재(53)가 없는 상태에서는 선도 21와 정지마찰력의 상측 범위 W와의 간격에 해당하는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가 더해 짐으로써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이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정지 마찰력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오토 틸트 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가 L2만큼 증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 동각도를 일정 정도 확보하기 위하여 정지 마찰력을 크게 해야 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와 같이 할 필요가 없이 정지 마찰력의 크기를 작게 해도 되는 장점이 있고, 정지 마찰력이 작아짐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측면도로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6)는 세트 브라켓(2)과 고정 브라켓(3)을 연결하는 스페이서(61)와, 상기 스페이서(61)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61)와 고정 브라켓(3)을 연결하는 지지아암(62)이 마련된다. 즉,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6)는 스페이서(61)를 지지아암(62)이 받혀주는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도 5는 고정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6)는, 스페이서(61) 및 지지아암(62)에 의해서 주된 구성부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1)는, 스페이서 안내축(75)에 의해서 고정 브라켓(3)에 대한 스페이서(61)의 상대적인 이동이 안내되고, 세트측 지지구(71)에 의해서 세트 브라켓(2)과 스페이서(61)의 힌지동작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안내축(75)은 고정 브라켓(3)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 롯(64)에 따라서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지지아암(62)은 일단부는 상기 스페이서(75)에 힌지축(68)에 의해서 연결되고, 타단부는 벽측 지지구(72)에 의해서 고정 브라켓(3)에 대하여 힌지운동한다. 상기 힌지축(68)은 볼트의 형상으로서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와셔(69)가 개입된 상태에서 너트(70)가 조여져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축(68)의 머리부에는 렌치홈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안내축(75)에는 상측 스프링 가이드 부재(74)가 설치되고, 상기 벽측 지지구(72)에는 하측 스프링 가이드 부재(73)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가이드 부재(73)(74)에는 구간 스프링(63)이 안정되게 걸려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간 스프링(63)은 도 7에 그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간 스프링은 권선되는 부재로서 스프링부(65)와, 스프링으로서의 작용이 없이 스페이서 안내축(75)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66)가 제공된다.
상기 구간 스프링(63)은 상기 스페이서 안내축(75)의 이동에 따라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구간과, 탄성력의 작용이 없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완전히 벽측에 붙어 있는 때에는 스페이서 안내축(75)이 가이드부(66)의 끝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부(65)를 어느 정도 신장시키는 정도까지 이동해 있다(신장상태). 이 상태에서 서서히 평면 디스프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페이서 안내축(75)도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때에는 서서히 상기 스프링부(65)가 수축하기 시작하고 최종적으로 스프링부(65)가 완전히 수축하게 된다(수축상태). 이후 에 계속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더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부(65)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상기 스페이서 안내축(75)은 상기 가이드부(66)의 내부를 단순히 이동하는 상태로 된다(아이들 상태).
즉, 상기 신장상태에서 상기 수축상태로 이동하는 구간에는, 구간 스프링의 탄성력이 발휘되는 구간이고, 반대로 수축상태에서 신장상태로 이동하는 구간은, 구간 스프링의 탄성력이 축적되는 구간이 된다. 그리고, 아이들 상태는 전혀 구간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과는 무관하다.
이와 같은 구간 스프링(63)의 작용을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이동시키는 동작과 연관시켜 설명한다.
먼저, 벽에 완전히 붙어 있던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당기기 시작하면, 구간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에 의해서 쉽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축상태에 이르고 난 다음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은 전부 소진되고, 스프링의 탄성력과는 무관하게 힌지축(68)의 정지마찰력에 의해서만 동작된다.
도 8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의 이동에 따른 힘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수평축은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펼쳐지는 각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그 각도에 따라서 발생되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도 32는 상기 구간 스프링(63)에 의해서 발생되어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의 세기, f1을 나타내고, 선도 31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기기 의 자중에 의해서 더욱 더 하방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의 세기 f2를 나타내고, 선도 33은 그 두 힘의 합력을 나타낸다.
결국, 도 8에서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은, 상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도 23이 정지마찰력의 범위를 나타내는 W의 하측 한계 선을 넘는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반대로 하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도 23과 정지마찰력의 범위를 나타내는 W의 상측 한계 선를 넘는 정도의 힘을 하방으로 가하여야 한다. 또한, 정지마찰력 W의 상측범위를 넘어서는 지점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외부힘이 없더라도 자중의 모멘트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동하기 시작하는, 다시 말하면 오토 틸트가 개시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상기되는 모멘트 선도는 개략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서 선도 32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를 단순화하여 보이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작동은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도 8을 해석하면, 구간 스프링(63)이 없는 상태에서는 선도 31와 정지마찰력의 하단범위 W와의 간격에 해당하는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구간 스프링이 더해 짐으로써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초기에 상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힘이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밀어 넣을 때에는, 상기 수축상태에서 상기 신장상태로 구간 스프링을 팽창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 때에는 사 용자는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어느 정도 벽과 근접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누르는 힘의 세기를 조절해서 서서히 밀어 넣기 때문에, 기기와 벽과의 충격을 방지해서 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구간 스프링이 이용되어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빼거나 넣을 때에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은, 실제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과량으로 빼내어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가 실제로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주된 문제는 사용자가 처음에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빼기 시작할 때 가하여야 하는 힘이 과도한 문제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밀어 넣을 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의해서 힘이 과도하게 걸리게 되는 문제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밀어 넣을 때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의한 힘이 동시에 가하여 지기 때문에, 가속도가 붙고 그렇게 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및 여타의 부품에 충격이 발생되어 고장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일정 정도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밀어 넣고 난 다음에는, 구간 스프링이 수착상태에서 신장상태로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넣어지는 힘이 일단 스토핑되기 때문에,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기기에 가하여지는 충격은 거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회동 어 셈블리와 하부 회동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동일한 부분은 상기 원 실시예를 원용하고 특별히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중점적으로 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 안내축(75)에는 미는부(8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미는부(82)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고정 브라켓(3)의 위치에는 판 스프링(8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81)은 상기 미는부(82)가 미는 작용에 의해서 판 스프링이 펼쳐지거나 말려지게 되고, 이로써 미는부(82)를 하방으로 미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전 회동 구간에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전 구간 탄성 메카니즘을 적용하고,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일정한 구간에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구간 스프링을 이용하는 일부 구간 탄성 메카니즘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도 전 구간 탄성 메카니즘을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를 알 수 없어 힘을 조절하는 시기를 알 수 없는 단점은 있으나, 그 경우라도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빼내기 시작하는 초기에 주어야 하는 힘이 줄어드는 장점과,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단부를 과도하게 빼어 내는 경우에도 오토 틸트가 없이 안정되게 평면 디 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펼쳐질 때 탄성력이 발휘되어야 해서 상부 회동 어셈블리와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재가 작용되도록 장착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 구간 탄성 메카니즘과 일부 구간 탄성 메카니즘을 동시에 채용할 수도 있어서, 전 구간에 대하여 탄성력은 작용하지만, 구간 별로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를 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밀어 넣을 때,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가하여야 하는 힘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 구간에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만 탄성부재가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만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대해서만 회동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와 무관하게 기기의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틸트각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트각의 조절 시에 그 조절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조절시에 발생하게 되는 충격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또는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 전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의 회동 전 구간에 대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의 초기 회동시에만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동 어셈블리를 이루는 링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는 마찰력을 일으키는 와셔가 구비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상기 상부 회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세트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암; 및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암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이 겹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세트 브라켓;상기 세트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상부 회동 어셈블리; 및상기 세트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부가 상하로 회동하도록 하는 하부 회동 어셈블리가 포함되고,상기 하부 회동 어셈블리에는,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세트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 시에, 상기 고정 브라켓과 연결된 지점은 고정 브라켓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스페이서;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세트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지지아암; 및상기 스페이서의 이동에 대하여 일정 구간에 대해서만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이 탄성력을 발휘하는 구간은,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고정부에서 이격되기 시작하는 구간인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152A KR20090040683A (ko) | 2007-10-22 | 2007-10-22 |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EP08843219A EP2206339A4 (en) | 2007-10-22 | 2008-10-15 |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
CN200880112799A CN101836437A (zh) | 2007-10-22 | 2008-10-15 | 用于显示设备的支承装置 |
PCT/KR2008/006088 WO2009054645A1 (en) | 2007-10-22 | 2008-10-15 |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US12/738,922 US20100207006A1 (en) | 2007-10-22 | 2008-10-15 |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152A KR20090040683A (ko) | 2007-10-22 | 2007-10-22 |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0683A true KR20090040683A (ko) | 2009-04-27 |
Family
ID=4057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6152A Withdrawn KR20090040683A (ko) | 2007-10-22 | 2007-10-22 |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07006A1 (ko) |
EP (1) | EP2206339A4 (ko) |
KR (1) | KR20090040683A (ko) |
CN (1) | CN101836437A (ko) |
WO (1) | WO200905464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9104A (ko) * | 2021-01-28 | 2022-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33355B2 (en) | 2010-02-12 | 2012-12-18 | Peerless Industries, Inc. | Adjustable display mount |
US8724037B1 (en) | 2010-06-04 | 2014-05-13 | Kurt William Massey | Mounting system |
USD659698S1 (en) | 2011-06-06 | 2012-05-15 | Peerless Industries, Inc. | Mounting system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
USD659689S1 (en) | 2011-06-06 | 2012-05-15 | Peerless Industries, Inc. | Mounting system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
US8746642B2 (en) | 2012-02-15 | 2014-06-10 | Peerless Industries, Inc. | Mounting system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
CN103677091B (zh) * | 2012-09-11 | 2016-12-21 | 宏碁股份有限公司 | 旋转机构与电子装置 |
CN103277649A (zh) * | 2013-05-23 | 2013-09-04 | 裴旭波 | 棘轮调节电视机架 |
US10533702B2 (en) * | 2015-09-09 | 2020-01-14 | Peerless Industries, Inc. | Video wall mount |
CN105402574B (zh) * | 2015-11-14 | 2018-03-02 | 合肥骇虫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液晶显示屏固定装置 |
CN105371077B (zh) * | 2015-11-14 | 2018-05-25 | 合肥骇虫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液晶显示屏定位装置 |
KR102214298B1 (ko) | 2016-10-06 | 2021-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12152720B1 (en) * | 2017-04-17 | 2024-11-26 | Manehu Product Alliance, Llc | Adjustable mounting systems for televisions |
CN110388546B (zh) * | 2019-08-23 | 2024-04-30 | 神华(福建)能源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射线仪的托架装置 |
EP3795881B1 (en) * | 2019-09-23 | 2021-12-29 | Axis AB | Installation hinge and installation method |
WO2021159112A1 (en) | 2020-02-08 | 2021-08-12 |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b/a MANTELMOUNT | Display mounting system with adjustable weight counterbalance |
CN112374370A (zh) * | 2020-11-14 | 2021-02-19 | 徐州长航科技有限公司 | 一种多角度旋转能自动调节亮度的吊车显示器 |
KR20220096060A (ko) * | 2020-12-30 | 2022-07-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 |
US11708938B2 (en) * | 2021-09-21 | 2023-07-25 | Gem Products, Llc | Foldable bracket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3875A (ko) * | 2001-03-16 | 2002-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용 모니터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
KR100406487B1 (ko) * | 2001-06-05 | 2003-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
KR200256422Y1 (ko) * | 2001-07-06 | 2001-12-24 | 곽수만 | 피디피 텔레비젼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
US6758585B1 (en) * | 2002-05-29 | 2004-07-06 | Erik S. Chan | Articulated, adjustable stand |
KR100499035B1 (ko) * | 2003-03-24 | 2005-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
KR100753607B1 (ko) * | 2003-10-27 | 2007-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KR100968455B1 (ko) * | 2004-01-09 | 2010-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US6964399B1 (en) * | 2004-04-22 | 2005-11-15 | Lucasey Manufacturing Co. | Appliance mounting device |
JP4277754B2 (ja) * | 2004-07-12 | 2009-06-10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の壁掛け支持装置 |
KR100643914B1 (ko) * | 2004-10-18 | 2006-11-10 | (주)세아메카닉스 |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
KR100743746B1 (ko) * | 2005-07-08 | 200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
-
2007
- 2007-10-22 KR KR1020070106152A patent/KR2009004068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8
- 2008-10-15 WO PCT/KR2008/006088 patent/WO200905464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0-15 US US12/738,922 patent/US2010020700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10-15 EP EP08843219A patent/EP220633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10-15 CN CN200880112799A patent/CN101836437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9104A (ko) * | 2021-01-28 | 2022-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54645A1 (en) | 2009-04-30 |
CN101836437A (zh) | 2010-09-15 |
EP2206339A1 (en) | 2010-07-14 |
EP2206339A4 (en) | 2011-10-19 |
US20100207006A1 (en) | 2010-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40683A (ko) |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
JP3411515B2 (ja) | 可搬式スクリーン | |
KR20110016909A (ko) | 운반가능식 스크린 장치 | |
US7694919B2 (en) | Stand for display device | |
US9911369B2 (en) | Rollable display device | |
KR100705063B1 (ko)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 |
EP1832801A2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 |
KR100765242B1 (ko) |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 |
JP7110752B2 (ja) |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及び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システム | |
JP2007283963A (ja) | 車両用シート | |
CN111412355A (zh) | 一种升降结构及显示设备支架 | |
KR100841319B1 (ko) | 영상표시장치 | |
WO2008061460A1 (fr) | Mécanisme de liaison orientable pour un support de fixation de paroi avec deux bras | |
CN110381403B (zh) | 一种麦克风支架 | |
KR100486344B1 (ko) | 휴대용 영사막 | |
JP3093127U (ja) | 可搬式スクリーン | |
JP2010168821A (ja) | クロスゲート | |
EP2141302A1 (en) | A stair arrangement | |
JP4205446B2 (ja) | 折引戸 | |
WO2012157109A1 (ja) | 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
JP4072004B2 (ja) | 構築物における免震床構造 | |
JPH02500456A (ja) | テレスコープ型ステー | |
KR200349009Y1 (ko) | 스프링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접이식 침대의 작동제어장치 | |
JP2006311936A (ja) | ハンガースタンド | |
JP2007064291A (ja) | 台部材の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