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03A -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9903A KR20090039903A KR1020070105386A KR20070105386A KR20090039903A KR 20090039903 A KR20090039903 A KR 20090039903A KR 1020070105386 A KR1020070105386 A KR 1020070105386A KR 20070105386 A KR20070105386 A KR 20070105386A KR 20090039903 A KR20090039903 A KR 20090039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load
- support plate
- composite beam
- loa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프리플렉스 합성보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조방법은 거더에 캠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의 캠버가 형성된 반대측을 거치대에 거치하고, 지지판으로 지지하는 적치단계와, 상기 지지판으로 거더를 지지한 상태에서, 거더의 양단에 지지판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재하단계와, 하중이 재하된 상기 거더의 캠버 반대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거더로부터 재하된 하중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거더에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replex composite bea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reflex composite beam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camber on the girder, mounting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camber of the girder is formed on a cradle, and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with a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the girder with the support plate. A step of applying a load to both ends in a support plate direction, plac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mber of the loaded girder, and introducing a prestressed load to the girder by releasing the loaded load from the girder; It inclu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합성보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버가 형성된 합성보에 수평형상의 지지판을 설치하여 하중을 재하함으로써, 지지판에 최대한 밀착시켜 휨모멘트를 도입함으로써 거더의 변형오차를 최소화하고 인장측 콘크리트에 설계치에 근접한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프리플렉스 합성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lex composite be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plate on a camber-formed composite beam to load a load, to close the support plate as close a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error of the girder by introducing a bending mo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lex composite bea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generate a compressive force close to a design value in tension-side concrete.
일반적으로,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거더에 하중을 가하여 휨모멘트를 발생시킨뒤 인장측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하중을 제거하여 반대의 휨모멘트를 발생시켜 인장측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기 위한 구조물이다.In general, preflex composite beam generates a bending moment by applying a load to the girder and then pours the concrete on the tension side, removes the load, generates the opposite bending moment, and introduces prestress into the tension-side concrete. It is a structure to effectively resist.
이러한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하부플렌지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형전체가 콘크리트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같은 주형높이의 다른 형식과 비교하여 강성이 크고, 또한 처짐도 작아진다. Such preflex composite beams not only have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lower flange concrete, but because the entire mold is surrounded by concrete, the rigidity is larger and the deflection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the same mold height.
이러한 종래의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제조하는 과정은 도1과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버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거더(1,2)를 1조로 하여 지지대(3)에 거치하고, 상부 및 하부거더(1,2)의 양단부에 유압잭과 같은 하중 재하 장치로 하중을 재하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거더(1,2)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도입한다.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ventional preflex composite beam,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upper and lower girders (1, 2) having a camber is mounted on the support (3) as a pair, the upper and lower girders Preflection loads are introduced into the upper and lower girders 1 and 2 by applying a load to a load device such as a hydraulic jack at both ends of (1, 2).
그리고, 상부 및 하부거더(1,2)의 인장측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상부 및 하부거더(1,2)의 단부에 재하했던 하중을 제거한다.Then,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on the tensil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irders (1, 2), the loads loaded on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girders (1, 2) are removed.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거더(1,2)에 재하된 하중을 제거하면 콘크리트에는 압축력이 작용함으로써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프리플렉스 합성보가 제조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ads loaded on the upper and lower girders 1 and 2 are removed, the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concrete, so that the preflex composite beams into which the preflex load is introduced can be manufactured.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프리플렉스 합성보에 있어서는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점(P1,P2)에서 하중을 재하하므로 이 2개의 재하점(P1,P2)에서 휨모멘트가 최대 휨모멘트가 된다. In the conventional preflex composite beam, as shown in FIG. 2, since the load is applied at two points P1 and P2, the bending moment becomes the maximum bending moment at the two loading points P1 and P2.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지지대에 거치된 거더의 자중에 의하여 사전에 변형이 일어나므로 소정의 프리플렉션 하중에 의한 이론치와 다른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거더에 설계치 만큼의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되지 않고 인장측 콘크리트에 소요의 압축력이 도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eflex composite beam is deformed in advance by the weight of the girders mounted on the support, so that the deformation and the theoretical value by a predetermined preflection load occur, so that the preflection load as designed value is not introduced into the gir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quired compressive force is not introduced to the tension-side concrete.
또한,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휨모멘트를 상회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인장측 콘크리트의 일부에서 과다한 압축력이 도입되어 필요량보다 많은 소요재료량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is error, the preflex composite beam has a portion exceeding the bending moment,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an excessiv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 a part of the tension-side concrete, so that the required amount of material is larger than necessary.
즉, 종래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프리플렉스 합성보는 2개의 지점에서 하중을 재하하므로 재하점에서 휨모멘트가 최대 휨모멘트가 되는 반면 최대 단면력 이 발생하는 지점의 인장측 콘크리트에는 소요의 압축력이 도입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reflex composite beam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loads at two points, so the bending moment becomes the maximum bending moment at the loading point, while the required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on-side concrete at the point where the maximum cross-sectional force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fficiently produce a preflex composite beam because it is no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캠버가 형성되어 있는 거더에 평면형상의 지지판을 적용하여 합성거더를 제조함으로써 거더의 자중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여 휨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인장측 콘크리트에 설계치에 근접한 압축력을 도입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evitably occur by the weight of the girder by manufacturing a composite girder by applying a flat support plate to the girder camber is formed It is to provide a preflex composite beam that can generate bending moment by minimizing error and introduce compressive force close to design value in tension side concre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면형상의 지지판을 적용하여 거더를 제조함으로써 거더 전체에 걸쳐 소요 휨모멘트에 부합하는 단면력을 도입함으로 합성보의 단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과 재료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합성보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ross-sectional force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bending moment throughout the girder by applying a planar support plate can be used to effectively use the cross-section of the composite beam and to achieve structural safety and material saving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lex composite bea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거더에 캠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거더의 캠버가 형성된 반대측을 거치대에 거치하고, 지지판으로 지지하는 적치단계; 상기 지지판으로 거더를 지지한 상태에서, 거더의 양단에 지지판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재하단계; 하중이 재하된 상기 거더의 캠버 반대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더로부터 재하된 하중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거더에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camber on the girder; A loading step of mounting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camber of the girder is formed on a holder and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A loading step of applying a loa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both ends of the girder while supporting the girder with the support plate; Plac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mber of the loaded girder; And it provides a preflex composite beam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troducing a pre-stress load to the girder by releasing the load loaded from the gird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조방법은 프리플렉스 합성보에 프리플렉션 하중 재하시 지지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지지판을 설치하고 하중을 재하하여 상,하 강형을 지지판에 최대한 밀착시켜 휨모멘트를 도입하므로 상,하 강형에 균일한 변형을 일으켜 프리플렉션 하중 도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거더의 변형오차를 최소화 하고 인장측 콘크리트에 설계치에 근접한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eflex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points when the preflex load is applied to the preflex composite beam, and the load is loaded to make the upper and lower rigid shapes as close to the support plate as possible. Since the moment is introduce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eformation error of the girder which can occur during the preflection load introduction process by generating uniform deformation in the upper and lower dies and generating compressive force close to the design value in the tension-side concrete.
또한, 최대 솟음량과 지지점 사이의 변위차를 이용하여 거더에 휨모멘트를 발생시킴으로 길이방향으로 전단면에 공용중 소요 휨모멘트에 근접한 휨모멘트를 발생시켜 인장측 콘크리트에 소요 압축력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합성거더 제작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girder by using the displacement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mount of the lift and the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bending moment that is close to the required bending moment during common use in the shea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tension-side concre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nufactured more secure composite gird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plex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조방법은 거더(10)의 캠버형성단계(S100)와, 거더(10)의 거치단계(S110)와, 거더(10)에 하중을 가하는 재하단계(S120)와, 하중이 재하된 거더(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S130)와, 거더(10)로부터 재하된 하중을 해제함으로써 거더(10)에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는 단계(S1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lex composite bea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ber forming step S100 of the
이러한 프리플렉스 합성보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캠버형성단계(S100)에 있어서는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거더(10)에 외력을 가하여 거더(10)의 일측에 캠 버(C)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거더(10)는 바람직하게는 I형 단면의 거더(10)를 포함한다.In such a preflex composite beam, in the camber forming step S100 of the girder, an camber C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거더의 거치단계(S110)에서는 캠버(C)가 형성된 2개의 거더(13,15)를 상하 1조로 하여 거치대(21)에 적치한다. 즉, 거치대(21)의 상측에 상부거더(13)를 적치하고, 거치대(21)의 하측에 하부거더(15)를 적치한다. In the mounting step S110 of the girder, two
이때, 거치대(21)에 의하여 지지되는 거더(10)상의 지지점은 바람직하게는 거더 길이의 L/4 지점에 위치되도록 적치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int on the
상기 상부 및 하부거더(13,15)는 캠버(C)가 형성된 반대 방향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적치한다.The upper and
그리고, 이러한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사이에는 지지판(23)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23)은 수평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 지지판(23)은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거더(13,15)를 지지한다.And, the
이 상태에서, 거더(10)에 하중을 도입하는 재하단계(S120)가 진행된다. 이 재하단계(S120)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1)에 적치된 상하부 거더(13,15)의 양단부에 각각 하중을 재하한다. 즉,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양단부에 유압잭을 장착하고, 이 유압잭을 작동시킴으로써 하중을 재하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loading step (S120) for introducing a load to the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양단부에 하중을 재하하면, 지지판(23)에 의하여 지지된 상하부 거더(13,15)의 중간부가 지지판(23)의 상하면에 밀착된다.In this way, when loads ar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upper and
따라서, 상부 및 하부거더(13,15)에는 프리플렉션 하중이 재하되고, 이러한 프리플렉션 하중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거더(13,15)가 지지판(23)의 상하면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휨모멘트가 도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flection loads are loaded on the upper and
결과적으로, 상,하부 거더(13,15)가 지지판(23)에 밀착될 때 까지 하중을 도입하므로 지지판(23)에 밀착한 부분은 직선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이론치에 근접한 변형이 일어난다. As a result, since the load is introduced until the upper and
그리고, 결국 도8(a)에 도시된 선도와 같이, 설계치에 근접한 휨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n, as shown in the diagram shown in Fig. 8A, a bending moment close to the design value can be generated.
그리고, 상하부 거더(13,15)가 지지판(23)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하중을 재하하면 상부 및 하부거더(13,15)가 지지판(23)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두 개의 지점(P3,P4)에서 하중을 재하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upper and
따라서,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중간부가 지지판(2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the middle portions of the upper and
이때, 상부 및 하부거더(13,15)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도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bending moments generated in the upper and
이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양단부를 클램핑 부재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거더(10)의 양단부가 하중이 재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upper and
그리고, 거더(1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130)가 진행된다. 즉, 하중이 재하된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각각 타설한다. 그 리고, 일정 시간 동안 증기 방식 혹은 살수 방식에 의하여 양생시킨다.Then, the concrete placing and curing step (S130) for the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단계(S130) 후,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14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양단부에 장착된 클램핑 부재를 분리한다. As such, after the curing step (S130) of the concrete, the prestress introduction step (S140) proceeds. In this step, after curing the concrete, the clamping members mounted at both ends are separated.
상부 및 하부거더(13,15)의 양단부로부터 클램핑 부재를 분리하면, 상부 및 하부거더(13,15)에 재하된 프리플렉션 하중이 제거됨으로써 하중재하시와 반대 부호의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즉,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휨모멘트가 발생한다.When the clamping members are separate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and
이러한 휨모멘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프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할 경우 이론치에 의하면 지지점과 지지점 사이에서 일정한 크기의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한다.The bending mo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value, the maximum bending moment of a certain magnitude is generated between the support point and the support point when the preflection load is load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경우, 거더(10)의 공용중 중앙지점에서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실제 소요의 휨모멘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부 구간에서 과다한 휨모멘트를 도입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excessive bending moments are introduced in some sections in order to generate a required bending moment that resists the maximum bending moment occurring at the center point of 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경우, 평평한 형상의 지지판(23)에서 지지하고 솟음량을 이용하여 하중을 재하하면 도8(b)와 같은 형상의 휨모멘트가 먼저 발생하므로 이 휨모멘트 양만큼 지지점에서 발생하여야 하는 휨모멘트가 줄어들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flex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oment of the shape as shown in Fig. 8 (b) occurs first when the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휨모멘트는 합성거더(10) 공용중 실제 발생하는 휨모멘트형상에 근접하는 것이며 인장측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압축력을 길이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발생시킬수 있다.The bending moment generated by the above method is close to the shape of the bending moment actually generated during the use of the
상기와 같은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140) 후, 프리플렉스 합성보를 현장에 시공하게 된다.After the prestress introduction step (S140) as described above, the preplex composite beam is constructed on site.
즉,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보를 턴오버휠 장치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한 상태로 차량등에 적치한다.That is, the composite beam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s loaded on the vehicle with the torsional deformation minimized by using a mechanism such as a turnover wheel device.
그리고, 이 프리스트레스 합성보를 현장으로 운반하고, 양 지지대에 적치한다. 이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 합성보에 바닥판, 헌치, 복부, 가로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함으로써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transported to the site and placed on both supports. In this state,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finished by placing bottom plate, haunch, abdomen, cross beam concrete, etc.
도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더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gir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도1 의 도시된 거더에 의한 휨모멘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bending moment by the girder shown in Figure 1;
도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더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i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도4 에 도시된 거더를 거치대에 적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girder shown in FIG. 4 is placed on a holder; FIG.
도6 은 도4 에 도시된 거더에 하중을 재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the girder shown in FIG. 4.
도7 은 도4 에 도시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girder shown in FIG. 4.
도8(a)는 도4 에 도시된 거더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선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8(b)는 거더의 휨모멘트와 솟음량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8(c)는 거더에 도입된 프리플렉스 하중을 해제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휨모멘트 선도이다.Figure 8 (a) is a view showing the bending moment diagram acting on the girder shown in Figure 4, Figure 8 (b) is a view showing the bending moment and the amount of rise of the girder, Figure 8 (c) is introduced into the girder This is the bending moment diagram that occurs when the preplex load is releas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386A KR20090039903A (en) | 2007-10-19 | 2007-10-19 |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5386A KR20090039903A (en) | 2007-10-19 | 2007-10-19 |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903A true KR20090039903A (en) | 2009-04-23 |
Family
ID=4076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5386A Ceased KR20090039903A (en) | 2007-10-19 | 2007-10-19 |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3990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499B1 (en) * | 2013-10-31 | 2014-01-22 | 이경표 |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e-moment gir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715753B1 (en) * | 2016-09-20 | 2017-03-14 | 서영미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reflex steel girder and a preflex steel girder manufactured by the same |
KR102613254B1 (en) * | 2023-02-15 | 2023-12-14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Self-standing fixing ty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facilities including it |
-
2007
- 2007-10-19 KR KR1020070105386A patent/KR2009003990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499B1 (en) * | 2013-10-31 | 2014-01-22 | 이경표 |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e-moment gir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715753B1 (en) * | 2016-09-20 | 2017-03-14 | 서영미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reflex steel girder and a preflex steel girder manufactured by the same |
KR102613254B1 (en) * | 2023-02-15 | 2023-12-14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Self-standing fixing ty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facilities including 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1062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girder and steel girder manufactured using same | |
KR101203815B1 (en) | Method for strengthening girder using prestressed steel plate | |
KR101244219B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 steel confin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63744B1 (en) | Segmental type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for uniform preflexion | |
KR100500156B1 (en) | Prestress composit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90039903A (en) | Preflex composite be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29770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girder using jack-up beam | |
KR20090068526A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structure and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 |
KR101359884B1 (en) | Method for loading pre-flex load | |
KR101209063B1 (en) | Pre-stressed girder by plate and method thereof | |
KR101069095B1 (en) | Prestressed Steel Pipe by Preflection and Steel Plate Reinforcement | |
KR102076549B1 (en) | CPI Steel girder fabrication method | |
CN209836805U (en) | Transverse linear matching adjusting device and system for steel box girder cantilever assembly | |
KR20180110251A (en) |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and prestressing appratus | |
KR102491179B1 (en) | Preflex steel gird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369860B1 (en) | Steel Plate Girder for Bridge | |
KR101839791B1 (en) | Fabrication method for horizontal preflex girder and the curved girder with non-uniform normal stresses equilibrated | |
JP6574375B2 (en) | Hollow girder manufacturing method | |
KR100700916B1 (en) | Preflex type loading device with three loading points | |
KR101367919B1 (en) |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e-moment gir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10093158A (en) | Steel composite girders using concrete pour lo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14811B1 (en) | Method for strengthening girder using steel plate | |
KR10248584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flex composite beam that causes bulging due to plastic deformation of steel beam | |
KR20130127310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e girder | |
KR100555625B1 (en) | How to make preflex gir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