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33283A -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283A
KR20090033283A KR1020070098486A KR20070098486A KR20090033283A KR 20090033283 A KR20090033283 A KR 20090033283A KR 1020070098486 A KR1020070098486 A KR 1020070098486A KR 20070098486 A KR20070098486 A KR 20070098486A KR 20090033283 A KR20090033283 A KR 2009003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solenoid valve
reservoir
measurement
op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102007009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283A/ko
Publication of KR2009003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2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관측용의 강우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의 환경변화에 대비하고자 3개의 저수통을 내장한 강우량 측정장치를 구성하여, 하절기의 국지성 기습 폭우인 시간당 250mm까지도 강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강우량 측정장치내에 히팅장치를 구성하여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동절기의 기습적인 폭설에도 동파 우려와 폭설량의 측정불가 상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저수탱크, 강우수집부, 강우량 측정부,

Description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guided precipitation guage circulation auto weighting and auto d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기상관측용의 강우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관측용 3개의 저수통을 교대로 활용함으로써 강우량의 측정을 보다 정교하게 측정함과 동시에, 대기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량계는 대기 중에 일어나는 기상 현상 중 강우현상(예; 비, 눈 등)과 대기온도를 측정하는 우량계의 기구로서, 보통 20cm 내외의 원통에 비 또는 눈을 받아 그 깊이를 측정하여 mm단위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강우량을 측정하는 우량계는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 우량계,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 셀(load cell)형 우량계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관측원리에 따라 무게에 의한 방법과 부피에 의한 측정 방법으로 분류된다.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동기상 관측장비의 관측 데이터에 대해 우량 관측의 최소 단위를 0.2mm를 권장하고 있으며, 0.1mm 를 권고하고 있다.
이에따라 기상청에서 설치 및 운영중인 자동기상 관측장비의 우량관측은 0.1mm, 0.5mm급의 전도형 우량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002년 01월 23일부터는 누적 강우량이 0.5mm 미만은 0.1mm급의 우량계를 사용하고, 그 이상은 0.5mm급의 우량계를 사용하여 관측하고 있어, 세계기상기구의 권고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전도형 우량계와 저수형 우량계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각의 관측장비의 장점을 지닌 우량계를 개발하여 보다 더 정확한 강우량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의 환경변화에 대비하고자 3개의 저수통을 내장한 강우량 측정장치를 구성하여, 하절기의 국지성 기습 폭우인 시간당 250mm까지도 강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강우량 측정장치내에 히팅장치를 구성하여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동절기의 기습적인 폭설에도 동파 우려와 폭설량의 측정불가 상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의 상단에 형성되고, 유입구와 유도관을 마련한 강우 수집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강우 수집부의 유도관에서 분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강우 수집부에 의해 유도되는 강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배출하도록 배수구가 마련되는 제 1,2,3 저수통; 상기 유도관과 분기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3 저수통 중 어느 하나에 일정시간동안 선택적으로 강우를 공급하도록 개폐동작하는 관개폐부; 상기 제 1,2,3 저수통의 배수구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에서의 강우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동작하는 탱크개폐부; 상기 본체부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3 저수통내에 강우 저장시, 그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량 측정부; 상기 강우량 측정부의 강우량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강우량 측정단위(mm)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관개폐부와 탱크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원격으로 추운 겨울철 강우량 측정시 동파 우려 및 측정불가를 대비한 것으로, 일정온도 유지를 위해 자동 히팅장치를 적용함은 물론, 본체부내에 허용오차가 ±0.1g인 정밀한 강우측정부인 로드셀을 설치함으로써, 강우량 측정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대기온도와 습도의 실시간 측정으로부터 신속한 강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저수통의 자동 세정을 통해 항상 깨끗한 상태에서 강우량 측정을 정밀하게 진행시키면서 정확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개략도이며, 도 3은 블럭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량 측정장치는 본체부(10), 강우수집부(20), 제 1,2,3 저수통(T1)(T2)(T3), 관개폐부, 탱크개폐부, 강우량 측정부(30), 제어부(40), 센서부(50), 히터부(60), 그리고 펌프(70)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강우수집부(20)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유입구(21)와 유도관(22)을 마련한 것으로, 상기 유입구(21)와 유도관(22)의 사이에는 강우의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깔때기 형상의 관로(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에는 대기중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부(50)가 구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40)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측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부(60)의 히팅동작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로(23)에는 상기 히터부(60)가 구성되며, 상기 히터부(60)는 특히 우박이나 동절기에 폭설이 내릴 때, 우박이나 눈을 녹이기 위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그 히팅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은 상기 본체부(1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관(22)에 각각 분기관(P1)(P2)(P3)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강우수집부(20)에 의해 강우 유도가 이루어질 때 그 강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배출하도록 하면에 각각 배수구(U1)(U2)(U3)가 구성된다.
상기 관개폐부는 상기 유도관과 분기관에 각각 형성되는 메인 전자밸브(V1)와, 제 1,2,3 전자밸브(V2)(V3)(V4)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 중 어느 하나에 일정시간동안 선택적으로 강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그 개폐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전자밸브(V1)는 유도관(22)에 마련되어, 강우수집이 이루어질 때 열림의 동작을 한다.
상기 제 1 전자밸브(V2)는 제 1 저수통(T1)으로 분기되는 분기관(P1)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전자밸브(V1)의 열림상태에서 제 1 저수통(T1)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할 때까지 열림되고,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시에는 닫힘의 동작을 하며, 그 열림 및 닫힘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제 2 전자밸브(V3)는 제 2 저수통(T2)으로 분기되는 분기관(P2)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전자밸브(V2)의 닫힘과 동시에 열림되면서 그 열림상태가 제 2 저수통(T2)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할 때까지 유지되고,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시에는 닫힘의 동작을 하며, 이 또한 그 열림 및 닫힘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제 3 전자밸브(V4)는 제 3 저수통(T3)으로 분기되는 분기관(P3)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전자밸브(V3)의 닫힘과 동시에 열림되면서 그 열림상태가 제 3 저수통(T3)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할 때까지 유지되고, 기준 저장량(약 80%)을 초과시에는 닫힘의 동작을 하며, 이 또한 그 열림 및 닫힘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탱크개폐부는 강우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의 배수구(U1)(U2)(U3)에 각각 형성되는 제 4,5,6 전자밸브(V5)(V6)(V7)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전자밸브(V5)는 상기 제 1 전자밸브(V2)의 닫힘상태에서 제 1 저수통(T1)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U1)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의 동작을 하며, 그 닫힘과 열림은 제어 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제 5 전자밸브(V6)는 상기 제 2 전자밸브(V3)의 닫힘상태에서 제 2 저수통(T2)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U2)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의 동작을 하며, 이 또한 닫힘과 열림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제 6 전자밸브(V7)는 상기 제 3 전자밸브(V4)의 닫힘상태에서 제 3 저수통(T3)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U3)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의 동작을 하며, 이 또한 닫힘과 열림은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강우량 측정부(30)는 상기 본체부(10)내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내에 강우 저장시 그 강우량을 측정하며, 이는 바람이나 조그만 압력에도 강우량 측정의 허용오차가 ±0.1g로서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키는 로드셀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강우량 측정부(30)의 강우량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강우량 측정단위(mm)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한편, 상기 관개폐부와 탱크개폐부를 이루는 메인 전자밸브(V1)는 물론, 제 1 내지 제 6 전자밸브(V2)(V3)(V4)(V5)(V6)(V7)의 열고 닫음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신호, 그리고 히터부(60)와 세정용의 펌프(70)에 대한 동작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열고 닫음의 제어신호는 대기중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상기 센서부(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의 하단부에 있는 강우량 측정부(30)인 로드셀의 측정값을 사전에 정하여 준 값의 단위인 mm로 환산하여 저장한 후 그 변환된 측정값을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외부의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측정되어 변환된 강우량 데이터를 외부(예;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6 전자밸브(V7)는 강우량 측정이 종료된 후 제 1,2,3 저수통(T1)(T2)(T3)에 대한 세정작업이 진행될 때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그 열림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의 세정작업은 강우량 측정이 종료되고 제 6 전자밸브(V7)의 열림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3 저수통(T3)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 펌프(70)의 펌핑동작시에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나 우박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 이는 강우 수집부(20)에 마련된 유입구(21)와 깔때기 형상의 관로(23)을 통해 유도관(22)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눈이 오는 경우에는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는 히터부(60)가 동작하면서 눈을 녹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초기에 본체부(10)에 형성된 센서부(50)의 감지정보인 대기중의 온도와 습도를 토대로 유도관(22)에 형성된 메인 전자밸브(V1)를 여는 동시에, 제 1 저수통(T1)에 연결되는 분기관(P1)의 제 1 전자밸브(V2)를 열림 제어하고, 제 2,3 저수통(T2)(T3)에 연결되는 분기관(P2)(P2)의 제 2,3 전자밸브(V3)(V4)는 닫힘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유도관(22)으로 안내되는 강우는 분기관(P1)을 통해 제 1 저수통(T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저수통(T1)에 정량의 물(저수용량의 약 80%)이 유입되면, 상기 제 1 저수통(T1)의 하단부에 마련된 강우량 측정부(30)인 로드셀이 유입된 강우의 무게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의 무게를 강우량 측정단위(mm)로 변환하나 후 이를 저장하는 한편, 외부 열람이 가능하도록 표시창에 표시하면서 그 데이터를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저수통(T1)에서의 강우량 측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강우의 유입이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즉시 제 1 저수통(T1)에 연결되는 분기관(P1)의 제 1 전자밸브(V2)를 닫힘 제어하는 한편, 제 2 저수통(T2)에 연결되는 분기관(P2)에 형성된 제 2 전자밸브(V3)를 열림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유도관(22)으로 안내되는 강우는 분기관(P2)을 통해 제 2 저수통(T2)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저수통(T2)에 정량의 물(저수용량의 약 80%)이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제 2 전자밸브(V3)를 닫힘 제어하면서 제 2 저수통(T2)의 하단부에 마련된 강우량 측정부(30)인 로드셀이 유입된 강우의 무게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의 무게를 강우량 측정단위(mm)로 변환한 후 이를 저장하는 한편, 외부 열람이 가능하도록 표시창에 표시하면서 그 데이터를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2 저수통(T1)(T2)의 강우량 측정신호가 모두 발생될 때, 이를 합산하여 저장하는 한편,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2 저수통(T1)(T2)의 합산을 통해 강우량 측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제 3 저수통(T3)에 연결되는 분기관(P3)에 형성된 제 3 전자밸브(V4)를 열림제어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3 저수통(T3)으로도 빗물이나 우박이 녹은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 3 저수통(T3)에 정량의 물(저수용량의 약 80%)이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제 3 전자밸브(V4)를 닫힘 제어하면서 제 3 저수통(T3)의 하단부에 마련된 강우량 측정부(30)인 로드셀이 유입된 강우의 무게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의 무게를 강우량 측정단위(mm)로 변환한 후 이를 저장하는 한편, 외부 열람이 가능하도록 표시창에 표시하면서 그 데이터를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에 유입되는 각각의 강우량 데이터를 합산한 후 저장하면서, 이를 기상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기상관제센터에서는 현재의 강우량을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강우량 측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2 저수통(T1)(T2)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배수구(U1)(U2)에 설치된 제 4,5 전자밸브(V5)(V6)를 열림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저수통(T1)(T2)에 저장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게 되며, 그 배수로부터 강우량 측정부(30)의 값이 제로로 전환되 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4,5 전자밸브(V5)(V6)를 닫힘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 3 저수통(T3)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배수구(U3)에 설치된 제 6 전자밸브(V7)는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닫힘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어부(40)는 제 1,2,3 저수통(T1)(T2)(T3)에 대한 세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강우량 측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2,3 저수통(T1)(T2)(T3)에 대한 세정작업을 진행하도록, 먼저 제 4,5,6 전자밸브(V5)(V6)(V7)를 닫힘 제어한 후 제 1 전자밸브(V2)를 열림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가 제 3 저수통(T3)내에 형성된 펌프(70)를 동작시키면, 상기 펌프(70)의 펌핑동작으로부터 상기 제 3 저수통(T3)내의 물은 제 1 저수통(T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저수통(T1)에 마련되는 강우량 측정부(30)로부터 일정 저수량(저수용량의 약 30%)이 감지되고, 그 감지정보가 제어부(40)에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 저수통(T1)의 배수구(U1)에 마련된 제 4 전자밸브(V5)를 열림 제어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저수통(T1)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U1)를 통해 배수되면서, 상기 제 1 저수통(T1)의 세정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수통(T2)에 대한 세정작업을 진행하도록, 먼저 제 4,5,6 전자밸브(V5)(V6)(V7)를 닫힘 제어한 후 제 2 전자밸브(V3)를 열림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가 제 3 저수통(T3)내에 형성된 펌프(70)를 동작시키면, 상기 펌프(70)의 펌핑동작으로부터 상기 제 3 저수통(T3)내의 물은 제 2 저수통(T2)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저수통(T2)에 마련되는 강우량 측정부(30)로부터 일정 저수량(저수용량의 약 30%)이 감지되고, 그 감지정보가 제어부(40)에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2 저수통(T2)의 배수구(U2)에 마련된 제 5 전자밸브(V6)를 열림 제어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2 저수통(T2)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U2)를 통해 배수되면서, 상기 제 2 저수통(T2)의 세정작업이 완료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제어부(40)가 제 3 저수통(T3)의 배수구(U3)에 마련되는 제 6 전자밸브(V7)를 열림제어하면, 상기 제 3 저수통(T3)에 대한 세정도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량 측정장치의 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량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블럭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부 20; 강우수집부
30; 강우량 측정부 40; 제어부
50; 센서부 60; 히터부
70; 펌프 T1,T2,T3; 제 1,2,3 저수탱크
V1; 메인 전자밸브
V2,V3,V4,V5,V6,V7; 제 1,2,3,4,5,6 전자밸브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의 상단에 형성되고, 유입구와 유도관을 마련한 강우 수집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강우 수집부의 유도관에서 분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강우 수집부에 의해 유도되는 강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배출하도록 배수구가 마련되는 제 1,2,3 저수통;
    상기 유도관과 분기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3 저수통 중 어느 하나에 일정시간동안 선택적으로 강우를 공급하도록 개폐동작하는 관개폐부;
    상기 제 1,2,3 저수통의 배수구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탱크에서의 강우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동작하는 탱크개폐부;
    상기 본체부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3 저수통내에 강우 저장시, 그 강우량을 측정하는 강우량 측정부;
    상기 강우량 측정부의 강우량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강우량 측정단위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관개폐부와 탱크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대기중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센서부가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수집부에는 동절기에 눈을 녹여 폭설량을 관측하는 히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센서부에 의한 측정신호로부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개폐부는,
    유도관에 마련되는 메인 전자밸브;
    제 1,2,3 저수통으로 분기되는 각각의 분기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자밸브의 열림상태에서 제 1 저수통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을 초과할 때까지 열림되고, 기준 저장량을 초과시에는 닫힘되는 제 1 전자밸브;
    상기 제 1 전자밸브의 닫힘과 동시에 열림되면서 그 열림상태가 제 2 저수통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을 초과할 때까지 유지되고, 기준 저장량을 초과시에는 닫힘되는 제 2 전자밸브; 및,
    상기 제 2 전자밸브의 닫힘과 동시에 열림되면서 그 열림상태가 제 3 저수통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이 기준 저장량을 초과할 때까지 유지되고, 기준 저장량을 초 과시에는 닫힘되는 제 3 전자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개폐부는,
    제 1 전자밸브의 닫힘상태에서 제 1 저수통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되는 제 4 전자밸브;
    제 2 전자밸브의 닫힘상태에서 제 2 저수통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되는 제 5 전자밸브; 및,
    제 3 전자밸브의 닫힘상태에서 제 3 저수통내의 강우량 측정시 닫힘되고, 강우량 측정 종료시에는 배수구를 통해 강우의 외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열림되는 제 6 전자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전자밸브는 강우량 측정이 종료된 후 제 1,2,3 저수통에 대한 세정작업이 진행될 때 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저수통의 세정작업은 강우량 측정이 종료 되고 제 6 전자밸브의 열림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펌프의 펌핑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제 3 저수통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KR1020070098486A 2007-09-29 2007-09-29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Ceased KR20090033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86A KR20090033283A (ko) 2007-09-29 2007-09-29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86A KR20090033283A (ko) 2007-09-29 2007-09-29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283A true KR20090033283A (ko) 2009-04-02

Family

ID=4075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486A Ceased KR20090033283A (ko) 2007-09-29 2007-09-29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328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48B1 (ko) * 2010-10-11 2011-03-23 양미영 자동 시험이 되는 강수량계
CN102749663A (zh) * 2012-07-20 2012-10-24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一种降水天气现象采集器
KR101249032B1 (ko) * 2011-03-16 2013-04-01 주식회사 카스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101359397B1 (ko) * 2013-12-04 2014-02-10 이문기 센서형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385123B1 (ko) * 2013-05-08 2014-04-14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 급배수형 무게식 강수량계
KR101448885B1 (ko) * 2013-10-16 2014-10-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강수조절 시스템
CN109146338A (zh) * 2018-10-22 2019-01-04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生产调度系统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48B1 (ko) * 2010-10-11 2011-03-23 양미영 자동 시험이 되는 강수량계
KR101249032B1 (ko) * 2011-03-16 2013-04-01 주식회사 카스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CN102749663A (zh) * 2012-07-20 2012-10-24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一种降水天气现象采集器
KR101385123B1 (ko) * 2013-05-08 2014-04-14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 급배수형 무게식 강수량계
KR101448885B1 (ko) * 2013-10-16 2014-10-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강수조절 시스템
KR101359397B1 (ko) * 2013-12-04 2014-02-10 이문기 센서형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CN109146338A (zh) * 2018-10-22 2019-01-04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生产调度系统及方法
CN109146338B (zh) * 2018-10-22 2023-09-12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生产调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502B1 (ko)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20090033283A (ko)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CN201449459U (zh) 一种雨量传感器
CN107402041B (zh) 一种用于检测生物滞留设施运行效能的试验装置
JP6860898B2 (ja) 初期雨水除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雨水タンク装置、雨水タンク装置の通信ネットワーク、初期雨水除去方法
CN108416049B (zh) 一种高寒山区流域雨雪混合产流计算方法
CZ306905B6 (cs) Způsob pro stanovení vodní hodnoty sněhu sněhové vrstvy a zařízení pro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2009108537A (ja) 雨水貯留設備
Fausto et al. Assessing the accuracy of Greenland ice sheet ice ablation measurements by pressure transducer
CN206832320U (zh) 全自动蒸渗测坑水位控制与计量装置
CN203519852U (zh) 自动蒸发器
Cui et al. Freshwater ice thickness apparatus based on differences in electrical resistance and temperature
JP2009102820A (ja) 雨水貯留設備
KR101088728B1 (ko) 저류조 수문 관리 시스템
CN109375288B (zh) 一种雨、雪和沙尘暴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05263335U (zh) 一种温控型称重式雨量计
CN112763373A (zh) 一种智能远程称重式蒸渗仪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20105711A (ko)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CN202048955U (zh) 一种水位观测装置
JP2009185496A (ja) 雨水貯留設備
JP2007126939A (ja) 雨水貯留設備
KR101748199B1 (ko) 건물화분 lid 시설 맞춤형 샘플링박스
CN108332999A (zh) 一种露水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1152908B1 (ko) 증발량, 결빙량, 해빙량 측정장치 및 방법
CN206960182U (zh) 树冠雨水收集自动记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8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