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31909A -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 Google Patents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909A
KR20090031909A KR1020097001080A KR20097001080A KR20090031909A KR 20090031909 A KR20090031909 A KR 20090031909A KR 1020097001080 A KR1020097001080 A KR 1020097001080A KR 20097001080 A KR20097001080 A KR 20097001080A KR 20090031909 A KR20090031909 A KR 2009003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eard
edge
cutting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사토
šœ스케 코모리
쥬자에몬 이와사키
타케시 시바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567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3190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9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베이스(20)에 지지된 복수의 블레이드(30)를 구비하며, 수염도입공(11)을 갖는 바깥칼날(10)에 대해 평행으로 왕복구동됨에 의해, 바깥칼날(10)과의 사이에서 수염을 절단하는 전기면도칼용의 안칼날(5)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한 쌍의 칼날끝엣지(32)가 각 블레이드(30)의 상부(31)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칼날끝엣지(32)는, 블레이드(30)의 상면(31)과, 상면(31)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scoop surface)(33)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은 곡률반경 R(㎛)을 갖도록 둥글게 되어 있으며, 상면(31)에 대한 경사면(33)의 각도 α(도)로서,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이, R≤-0.02ㆍ칼날끝각도 α+1.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기면도기

Description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INNER BLADE FOR ELECTRIC RAZOR}
본 발명은,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보다 자세하게는, 왕복구동식(往復驅動式)의 전기면도기에 사용되는 복수의 평행으로 배열된 블레이드를 구비한 안칼날에 관한 것이다.
전기면도기의 절단헤드는, 다수의 수염도입공이 형성된 바깥칼날과,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안칼날로 구성되고, 안칼날은 구동원(驅動源)에 연결되어 바깥칼날에 대하여 왕복구동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6-142347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안칼날에 사용된 블레이드(30)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 근방의 측면에 언더컷이 행해지는 소정 각도의 칼날끝엣지(32)를 갖고 있다. 수염을 절단할 때에는, 바깥칼날(10)에 형성된 수염도입공(11)으로부터 도입된 수염(H)을 바깥칼날(10)의 칼날가장자리와 블레이드(30) 상단의 칼날끝엣지(32)의 사이에 끼워, 블레이드(30)를 바깥칼날(10)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수염(H)을 절단한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염(H)이 수염도입공(11)의 중앙부분에 도입되었다고 가정한다. 수염(H)은, 블레이드(30)의 동작에 따라,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칼날(10)의 칼날가장자리에 도달하기까지 블레이드(30)의 칼날끝엣 지(32)에 의해 밀려서 넘어져, 바깥칼날(10)의 칼날 단연에 달한 상태에서, 넘어진 수염(H)이 바깥칼날(10)의 칼날가장자리와 블레이드(30)의 칼날끝엣지(32)의 사이에 끼워져서, 절단된다. 그 때문에,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넘어진 상태로 절단된 수염(H)의 첨단(尖端)부분이 비스듬해져서, 절단후의 수염(H)이 짧게 마무리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WO2003/016000호는, 수염도입공(11)의 중앙부분에 도입된 수염(H)을 절단할 때에, 수염(H)을 넘어뜨리지 않고, 수염(H)을 안칼날의 블레이드(30)만으로 절단할 수 있는 안칼날을 개시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WO2003/016000호에 나타난 안칼날(30)은, 블레이드(30)의 상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날끝엣지(32)를 갖고 있다. 이 칼날끝엣지(32)는, 블레이드(30)의 상면과,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규정되어 있다.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은 곡률반경 R(㎛)을 갖도록 둥글게 되어 있으며, 상면에 대한 경사면의 각도 α(도)로서,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은, R<-0.067·칼날끝각도 α+4.7(㎛)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염도입공(11)의 중앙부분에 도입된 수염(H)은, 안칼날의 블레이드(30)의 동작에 따라 이동을 시작하지만, 바깥칼날(10)의 칼날가장자리에 달하기 전부터, 안칼날의 블레이드(30)에 의해, 그 뿌리부근에서 절단이 개시된다. 그렇지만, 블레이드(30)만에 의해 절단됨에 따라서, 피부(S)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수염(H)은, 블레이드(30)의 칼날끝엣지(32)에 밀려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금 경사되게 절단된다. 그 결과, 일본 특허공개 평6- 142347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 예의 것보다도 짧게 절단되지만,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염(H)의 절단면은 경사지게 된다. 도 12(c)에 있어서, 부호 h로 나타내는 경사부(傾斜部)의 높이는, 수 시간에 걸쳐서 수염(H)이 자라는 양에 상당한다. 수염(H)의 뿌리부분에 있어서, 절단면을 수염(H)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절단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30)에 의한 절단을 몇번이나 되풀이해서 행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수염의 뿌리부분에 있어서, 수염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절단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은, 베이스에 지지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수염도입공을 갖는 바깥칼날에 대하여 평행으로 왕복구동됨에 의해, 바깥칼날과의 사이에서 수염을 절단하는 것이며, 복수의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한 쌍의 칼날끝엣지가 각 블레이드의 상부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칼날끝엣지는, 블레이드의 상면과,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칼날끝엣지의 첨단은 곡률반경 R(㎛)을 갖도록 둥글게 되어 있으며, 상면에 대한 경사면의 각도 α(도)로서,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은, R≤-0.02·칼날끝각도 α+1.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염의 절단시에, 바깥칼날의 수염도입공의 중앙부분에 도입된 수염은, 안칼날의 블레이드의 동작에 따라 이동을 시작하지만, 바깥칼날의 칼날가장자리에 도달하기 전부터, 안칼날의 블레이드에 의해, 그 뿌리부근에서 절단이 개시된다.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은, 상기WO2003/016000호에 나타난 종래 예의 그것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수염이 기울지 않고 절단이 계속된다. 그 결과, 수염의 뿌리부분에 있어서, 절단면을 수염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절단할 수 있어, 종래 예와 같이 몇번이나 되풀이해 절단하지 않고, 수염을 짧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을 사용하는 전기면도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안칼날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다른 형상의 블레이드의 칼날끝엣지의 곡률반경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수염절단저항이 0.2(N)이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칼날끝각도와 칼날끝엣지의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칼날끝엣지의 각도 α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첨단의 곡률반경 R과 수염절단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수염절단저항과 수염절단면각도 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수염절단면각도 θ의 정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a) 및 도 9(b)은, 각각 안칼날에 의한 수염의 절단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에 경화층을 구비한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은, 각각 종래 예에 있어서, 수염을 바깥칼날의 칼날가장자리와 블레이드의 칼날끝엣지에 끼워 절단할 때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은, 각각 다른 종래 예에 있어서, 수염을 안칼날 만으로 절단할 때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면도기의 안칼날(5)은, 왕복구동식의 전기면도기(1)에 적용되는 것이며, 합성수지제의 베이스(20) 상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장의 블레이드(30)를 구비하고 있다. 왕복구동식의 전기면도기(1)는, 하우징(4) 안에 수납된 모터 등으로 구성된 구동기구(2)와, 예를 들면 충전식의 배터리(3) 등을 갖고 있다. 안칼날(5)의 베이스(20)는 구동기구(2)에 결합되어, 그에 의하여, 안칼날(5)이 하우징(4)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을 향하도록 돌출한 상태로 보유지지된다. 바깥칼날(10)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 다수의 수염도입공(11)을 갖고 있으며, 바깥칼날(10)은 하우징(4)의 상단에 설치된다. 안칼날(5)은, 상기 구동기구(2)에 의해 바깥칼날(10)에 대하여 평행으로 왕복구동되어, 수염도입공(11) 안에 잡은 수염을 블레이드(30)에서 절단한다. 또 한, 특별히 도시되지 않고 있지만, 하우징(4)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보유지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30)는, 역 U자형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兩端)이 베이스(20)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30)의 중앙의 활모양부(弧部)에는, 소정의 각도범위 X(예를 들면, 약 100도)에 걸쳐서 칼날끝엣지(32)가 형성되어, 이 활모양부가 같은 형상으로 만곡한 바깥칼날(10)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하면측의 중앙에는 리브(34)가 하향(下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리브(34)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칼날끝엣지(32)가 돌출하여 있다. 칼날끝엣지(32)는, 블레이드(30)의 상면(31)과, 상면(31)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33)의 사이에 형성(규정)되어 있으며,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은 곡률반경 R(단위:㎛)을 갖도록 둥글게 되어 있으며, 상면(31)에 대한 경사면(33)의 각도 α(단위:도)로서,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은, R≤-0.02·칼날끝각도 α+1.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칼날끝엣지(32)는, 그 마무리정도에 따라,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하는 칼날끝엣지(32)의 곡률반경 R은, 칼날끝의 유효최소두께 L로부터 근사하게 구했다(R=L/2). 다시 말해,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형상에 대해서는, 경사면(33)의 연장선과, 블레이드(30) 상면의 칼날끝엣지(32)측에 있어서의 변곡점(變曲点) V를 지나가고, 또한, 경사면(33)의 연장선과 평행한 선과의 간격을 유효최소길이 L 로 간주하고, 곡률반경 R을 R=L/2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염(H)의 피부(S)로부터의 돌출방향에 대한 절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수염절단면각도 θ(단위:도)로 정의한다. 그리고, 수염절단면각도 θ가 수염(H)의 돌출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 다시 말해, 수염절단면각도가 85도 이상이 되도록, 칼날끝각도 α(단위:도)와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단위:㎛)의 관계를 구했다.
우선, 칼날끝각도 α를 여러가지 각도로 설정하여, 수염절단저항(단위:N)과 칼날끝엣지첨단의 곡률반경 R(단위:㎛)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구했다. 실험에 있어서는, 칼날끝각도 α=15˚, 30˚, 45˚ 및 60˚의 각 경우에 대해서,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과 수염절단저항과의 관계를 구했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날끝각도 α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가 작을수록, 수염절단저항도 작아진다. 또한,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을 일정하게 했을 경우, 칼날끝각도 α가 작을수록, 수염절단저항도 작아진다.
다음으로, 칼날끝각도 α와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이라는 2개의 파라메타를 수염절단저항으로 치환할 경우에 있어서의, 수염절단저항과 수염절단면각도 θ의 관계를 구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면도기의 안칼날의 절단속도는 0.5m/초 이상(즉, 일반적인 전기면도기 중, 가장 느린 안칼날의 절단속도는 약 0.5m/초이다)이므로, 안칼날의 절단속도는 0.5m/초로 설정해서 수염의 절단을 행했다.
실험에 의해, 수염절단면각도 θ가 90˚, 85˚, 80˚, 70˚, 60˚인 경우에 있어서의 수염(H)의 절단에 의한 경사의 높이 h(단위:mm)를 구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θ= 90˚ 의 경우는 h=0(mm)이며, 85˚의 경우는 h=0.001(mm)이며, θ=80˚의 경우는 h=0.03(mm)이며, 70˚의 경우는 h=0.06(mm)이며, θ=60˚의 경우는 h=0.09(mm)이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염(H)이 자라는 데 걸리는 시간은, 0.03mm 자라는데 2시간, 0.06mm 자라는데 4시간, 0.09mm 자라는데 6시간 걸린다. 그 때문에, θ=80˚의 경우는 수염의 자란 량의 2시간분이 깎이지 않고 남겨지고,θ=70˚의 경우는 수염의 자란 량의 4시간분이 깎이지 않고 남겨지며, θ= 60˚의 경우는 수염의 자란 량의 6시간분이 깎이지 않고 남겨지게 된다. 따라서, θ=85˚이상이 되지 않으면, 1시간분 이상의 수염(H)의 자란 량이 깎이지 않고 남겨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염절단면각도 θ가 85˚ 이상으로 되기 위한 조건은, 수염절단저항이 0.2(N)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수염절단저항이 0.2(N) 이하라면, 수염절단면각도 θ가 85˚ 이상으로 되어, 수염(H)이 돌출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절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6에 있어서 수염절단저항이 0.2(N)이하의 영역(도 6에 있어서의 해칭영역)에 포함되는 칼날끝각도 α와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의 조건을 만족하는 블레이드(30)를 구비한 안칼날이면, 수염(H)을 수염절단면각도 θ가 85˚이상이 되도록 절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수염절단저항이 0.2(N)이하라면, 수염절단면각도 θ가 85˚이상이 됨에 착안하여, 수염절단저항이 0.2(N)이하를 충족시키는 칼날끝각도 α(단위:도)와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단위:㎛)의 관계를 구한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R≤-0.02·칼날끝각도 α+1.1(㎛)로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도 5에 있어서, R≤-0.02·칼날끝각도 α+1.1(㎛)로 표시되는 라인보다도 아래의 영역에 포함되는 칼날끝각도 α와 칼날끝엣지(32)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블레이드(30)를 구비한 안칼날이면,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염(H)의 절단시에 수염도입공(11)의 중앙부분에 도입된 수염(H)이라도, 안칼날의 블레이드(30)의 동작에 따라 이동을 시작하지만, 바깥칼날(10)의 칼날가장자리에 달하기 전부터, 블레이드(30)에 의해, 그 뿌리 부근에서 절단이 개시되어, 그대로, 수염(H)이 기울지 않고 절단이 계속된다. 그 결과, 안칼날의 블레이드(30)만에 의해, 수염(H)의 뿌리부분에서, 수염(H)의 절단면이 피부(S)로부터 수염(H)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즉, 절단면각도가 85˚이상)이 되도록 절단할 수 있어, 종래 예와 같이 몇 번이나 되풀이해 절단하지 않고, 수염을 짧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과 같이 절단저항은 안칼날의 절단속도가 커지는 동시에 감소해 가는 것이므로, 안칼날의 절단속도가 0.5m/초 이상인 경우에는 절단저항은 더 저감되는 경향이며, 상기 관계를 충족시킴은 명백하다. 그 결과, 일반적인 절단속도를 갖는 전기면도기 모두에 있어서, 안칼날만으로 수염(H)의 절단면이 돌출방향에 대 하여 대략 수직(절단면각도가 85˚이상)이 되도록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칼날 끝 각도 α=60˚의 경우는, 수염절단저항이 0.2(N) 이하가 안되므로, 칼날끝각도 α <60˚, 바람직하게는 α≤45˚이다.
또한, 절단저항(N)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블레이드(30)의 제조상의 제약을 고려하면, 0.02(N)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상면 양측의 칼날끝엣지(32)는, 리브(34)로의 돌출량 P를 0.05mm이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거한다. 일반적인 수염(H)의 지름 D는 거의 0.1mm이다. 이 수염(H)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칼날끝엣지(32)로 절단할 때, 수염(H)을 그 지름방향에 1/2이상 절단할 때까지는 리브(34)가 수염(H)에 닿지 않도록, 다시 말해, 수염(H)이 1/2이상 절단되기 전에 리브(34)가 수염(H)에 닿아 밀려서 수염(H)을 넘어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30)의 상면 양측의 칼날끝엣지(32)의 리브(34)로부터의 돌출량 P는 0.05mm이상 필요하다. 이 조건을 충족시킴에 의해, 수염(H)을 그 직경방향으로 1/2이상 절단한 후에, 리브(34)가 수염(H)에 닿으므로, 수염(H)을 쓰러뜨리지 않고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날끝엣지(32)를 형성하는 경사면(33)에, 경화층(35)을 형성해도 좋다. 그에 의해, 칼날끝엣지(32)의 마모를 방지하여, 칼 날이 잘 들게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경화층(35)으로서는, 예를 들면 Ti나 Al 등의 클래드재(材)를 블레이드(30)의 소재에 중첩하여 일체화함에 의해 형성할 수 있 다. 혹은, 블레이드(30)의 소재의 표면에 레이저담금질이나, 충격담금질 등의 열처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해도, 경화층(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의 소재의 표면에 TiN, TiC, CrN, 경질카본막 등을 코팅처리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화층(35)을, 경사면(33)에 더해서 블레이드(30)의 상면(31)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칼날에 사용하는 블레이드는, 왕복구동식의 전기면도기뿐만 아니라, 그 외의 형식의 전기면도기의 안칼날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독특한 칼날끝엣지가 블레이드에 형성됨에 의해, 수염의 절단효과를 향상시킴이 가능하다.
본 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6-199953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의 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확할 것이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베이스에 지지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수염도입공을 갖는 바깥칼날에 대하여 평행으로 왕복구동됨에 의해, 바깥칼날과의 사이에서 수염을 절단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한 쌍의 칼날끝엣지가 상기 각 블레이드의 상부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비되고,
    상기 칼날끝엣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끝엣지의 첨단은 곡률반경 R(㎛)을 갖도록 둥글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에 대한 경사면의 각도 α(도)로서, 상기 칼날끝엣지의 첨단의 곡률반경 R은,
    R ≤- 0.02·칼날끝각도 α+1.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면측의 중앙에 리브가 하향(下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상기 칼날끝엣지가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양측의 칼날끝엣지의 상기 리브로의 돌출량 P가 0.0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끝엣지를 형성하는 경사면에, 경화층(硬化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끝엣지를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에도 경화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KR1020097001080A 2006-07-21 2007-07-09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Ceased KR20090031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9953 2006-07-21
JP2006199953A JP4775152B2 (ja) 2006-07-21 2006-07-21 電気かみそり用の内刃及びその形状決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909A true KR20090031909A (ko) 2009-03-30

Family

ID=3895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080A Ceased KR20090031909A (ko) 2006-07-21 2007-07-09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307909A1 (ko)
EP (1) EP2047956B1 (ko)
JP (1) JP4775152B2 (ko)
KR (1) KR20090031909A (ko)
CN (1) CN101489736B (ko)
RU (1) RU2423226C2 (ko)
WO (1) WO2008010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71B1 (ko) 2002-06-26 2012-09-27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폴리프로필렌/올레핀 탄성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배향된필름
JP4862768B2 (ja) * 2007-07-12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N104602874B (zh) 2012-12-13 2017-07-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动剃刀
JP6436330B2 (ja) * 2013-12-04 2018-1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20150314461A1 (en) * 2014-05-02 2015-11-05 Raymond Industrial Ltd. Hybrid Shaving System
US9713877B2 (en) 2014-11-12 2017-07-2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ith drag reduction
USD779123S1 (en) 2014-11-12 2017-02-14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O2018054664A1 (en) * 2016-09-20 2018-03-29 Koninklijke Philips N.V. A cutting assembly for a hair cutting device
EP3871847A1 (en) * 2020-02-25 2021-09-01 Koninklijke Philips N.V. Razor comprising a hair-sever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awing teet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175A (ja) * 1981-09-19 1983-03-23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の製造方法
JP3470339B2 (ja) 1992-11-13 2003-11-25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H08196752A (ja) * 1995-01-25 1996-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JPH0938349A (ja) * 1995-05-19 1997-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用の刃組み合わせ体
JPH10328434A (ja) * 1997-05-29 1998-12-15 Tec Corp 往復動式切断手工具
WO2003016000A1 (fr) * 2001-08-10 2003-0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nite a lames internes pour rasoir electrique
US7022195B2 (en) 2001-09-10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blade for electric razor
JP2005237787A (ja) 2004-02-27 2005-09-08 Izumi Products Co 往復式電気かみそり、内刃および内刃製造方法
JP4817837B2 (ja) 2004-12-24 2011-11-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未燃カーボンを高濃度で含有するフライアッシュ用の混和剤及びコンクリ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07909A1 (en) 2009-12-17
EP2047956A1 (en) 2009-04-15
CN101489736B (zh) 2012-02-08
RU2423226C2 (ru) 2011-07-10
JP4775152B2 (ja) 2011-09-21
EP2047956B1 (en) 2016-08-31
RU2009102520A (ru) 2010-08-27
EP2047956A4 (en) 2011-06-29
JP2008023122A (ja) 2008-02-07
WO2008010431A1 (fr) 2008-01-24
CN101489736A (zh)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1909A (ko) 전기면도기용의 안칼날
RU24988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лезвий,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улучшение их режущих свойств
RU2630092C2 (ru) Бритвенное лезвие, бритвенный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ритвенного лезвия
KR100586783B1 (ko) 전기 면도기 내부 블레이드 유닛
RU2446938C2 (ru) Безопасный бритвенный прибор с улучшенным защитным элементом
US20210229304A1 (en) Electric beard trimmer
US7313867B2 (en) Inner cutter of a reciprocating electric shaver
US20080072431A1 (en) Ergonomically arcuate multi-blade razor
CN1039634C (zh) 往复移动式电动干剃刀
US20070175042A1 (en) Electric shaver
EP4324608A1 (en) Razor blade
CN205521524U (zh) 一种新型剃须刀网罩
KR20240008271A (ko) 면도기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JPH0217544Y2 (ko)
JP3454619B2 (ja) 電気かみそり
JPS63311989A (ja) 往復動式かみそりの外刃
JPH04352988A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S5980281A (ja) 電気かみそりの外刃
JPS62224391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外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014

Appeal identifier: 2011101006815

Request date: 2011092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11014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1101006815

Request date: 2011092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