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29367A -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367A
KR20090029367A KR1020070094539A KR20070094539A KR20090029367A KR 20090029367 A KR20090029367 A KR 20090029367A KR 1020070094539 A KR1020070094539 A KR 1020070094539A KR 20070094539 A KR20070094539 A KR 20070094539A KR 20090029367 A KR20090029367 A KR 2009002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bait
fishing
present
bai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천
Original Assignee
박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천 filed Critical 박세천
Priority to KR102007009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367A/ko
Publication of KR2009002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로 이루어지지 않은 덩어리형태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를 알코올에 30분~3시간 동안 침지시켜서 조직이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쉬 훼손되지 않도록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사들이 선호하는 덩어리 형태의 미끼(분말상태는 제외)라면 어떤 종류라도 낚시용 미끼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재료를 냉동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직(육질과 섬유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미끼재료의 조직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까지 이르게 하여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기존에는 아무리 고가의 낚시용 미끼라 할지라도 1회 사용에 불과하던 것을 오랫동안 여러 번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사들의 경제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어류들이 선호하는 발효성 곡물 주정을 사용함으로써 선호어종의 유인성이 양호해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알코올, 낚시미끼, 포장

Description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Manufacturing method or packing method of bait for fishing}
본 발명은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의 조직을 보다 단단하게 하여 잡어들의 미끼 포식을 견제함으로써 해저에 사는 선호어종을 낚을 수 있도록 하고, 냉동하지 않아도 오랫동안 부패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낚시의 즐거움과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 있어서 조사(釣師)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종은 민물낚시의 경우 붕어나 잉어, 향어이고, 바다낚시의 경우는 감성돔이나 참돔이며 이들은 대개 물밑에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미끼가 물밑까지 이르도록 하여야 하는데 미끼가 미처 물밑에 가라앉기도 전 물의 표면이나 중간 부분에서 살고 있는 잡어들 에게 먼저 포식(捕食)되어지고 결국 물밑에 도착했을 무렵에는 미끼가 훼손되거나 없어져 버려 선호하는 어종을 잡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성의 경우 섬유질이 질긴 덩어리(분쇄되지 않은 상태)형태의 미끼재료를 사용하고, 동물성의 경우 육질이 질긴 덩어리형태의 미끼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이 덩어리형태의 낚시용 미끼재료들은 냉동시키게 되면 조직이 물러져서 흐물거리게 되고, 또 부패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이들을 단순히 제조하거나 포장하는 경우는 포장 내부에서 쉽게 부패하여 포장지가 팽창하거나, 심지어는 포장수단이 폭발하기도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민물새우와 같이 고기들이 매우 선호하고, 따라서 조사들도 매우 선호하는 동물성 덩어리 미끼재료의 경우는 생육도 힘들뿐만 아니라 보관도 곤란하여 매우 고가에 팔리고 있다. 물론 생존해 있는 상태가 최적의 미끼상태이긴 하나 생존율이 높지않고 쉬 죽어버리는 특징을 갖는 미끼재료여서 현재는 주로 냉동시켰다가 낚시터로 이동해 해동시켜서 미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냉동시켰다가 해동시킨 동물성 미끼재료는 육질 조직이 훼손될 수밖에 없고 상온에서 금방 부패하게 되므로 고기들도 선호하지 않게 되며 고가의 미끼를 한번 사용하고 버려야 하는 낭비적 요소를 갖는 것이어서 조사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종래에도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냉동시키지 않고 이산화염소 및 과산화수소와 같은 화학약품에 침지시켜 미끼재료의 부패방지를 위한 노력들을 시도한 예들도 있었으나, 이들은 화학약품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성분들이 식물성 미끼재료의 경우는 섬유질을 파괴하고, 동물성 미끼재료의 경우는 육질을 파괴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선호어종을 낚기 위한 낚시용 미끼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조사들이 선호하는 미끼라면 어떤 종류라도 낚시용 미끼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이처럼 선택된 미끼재료는 냉동보관하지 않고 오랫동안 상온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미끼재료의 육질과 섬유질을 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까지 이르게 하여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분말로 이루어지지 않은 덩어리형태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를 알코올에 상당시간 동안 침지시켜 조직(식물성의 경우 섬유질, 동물성의 경우 육질)을 단단하게 하여 잡어들의 입질에 쉬 훼손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낚시미끼용 재료들을 상당시간 알코올에 침지시켜 내부까지 알코올이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냉동보관하지 않아도 오랜 시간 상온에서 부패되지 않도 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낚시미끼용 재료들을 포장함에 있어 알코올과 함께 충진하여 포장되도록 함으로써 오랜 기간 보관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조사들이 선호하는 덩어리 형태의 미끼(분말상태는 제외)라면 어떤 종류라도 낚시용 미끼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재료를 냉동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직(육질과 섬유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미끼재료의 조직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까지 이르게 하여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기존에는 아무리 고가의 낚시용 미끼라 할지라도 1회 사용에 불과하던 것을 오랫동안 여러 번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사들의 경제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어류들이 선호하는 발효성 곡물 주정을 사용함으로써 선호어종의 유인성이 양호해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분말로 이루어지지 않은 덩어리형태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이하 '낚시용 미끼재료'라 한다)를 알코올에 30분~3시간 동안 침지시켜 알코올이 조직 내부로 침투하여 조직(식물성의 경우 섬유질, 동물성의 경우 육질)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까지 이르게 하여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낚시용 미끼재료의 조직이 경화(硬化)되는 것은 삼투압에 의해 낚시용 미끼재료의 조직 내부까지 침투한 알코올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 낚시용 미끼재료는 냉동보관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처럼 본 발명 낚시용 미끼재료는 냉동보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직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낚시용 미끼재료를 알코올에 30분~3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이유는 충분한 시간을 주어 낚시용 미끼재료의 조직 내부까지 알코올이 충분히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30분 이하의 경우는 육질이 단단해지지 않아 잡어들의 입질에 의해 미끼들이 훼손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며, 3시간 이상의 경우는 이미 미끼의 내부까지 충분하게 알코올이 침투된 상태여서 더 이상의 침지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때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2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어종의 선호도 및 육질의 단단함, 부패되는 시간 등을 감안하였을 때 가장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조직의 경화와 소독 및 살균력을 감안하였을 때 65~85%의 농도범위가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75%의 농도가 가장 적당하였다.
또한 알코올은 인체에 해가 없는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곡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즉 발효 주정을 사용하는 이유는 곡물을 발효하여 제조한 천연재료여서 인체에 무해하며, 어류는 발효된 것을 선호하고, 증발력이 우수하여 향을 잘 발산하며, 맛이나 냄새는 나지않아 우수한 집어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재료를 밀폐된 포장용기에 넣고 포장함에 있어 포장용기 속에 80~95% 농도의 알코올과 낚시용 미끼재료의 중량비를 70:30~98:2의 비율로 함께 충진하도록 하였다.
이는 미끼의 장기보존을 위한 것으로, 포장시 80~95%의 고농도 알코올을 사용하는 이유는 장기간 보관에 의해 낚시용 미끼재료로부터 상당량의 수분이 누출되며 이처럼 누출된 수분에 의해 알코올의 농도가 희석될 것을 미리 감안하여 높은 농도의 주정을 충진한 것이며, 이로 인해 포장용기 내부의 발효 주정 농도는 조직의 경화 및 살균력이 가장 강한 상태인 75%정도의 알코올 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장시 고농도 알코올의 충진함에 있어 2~30% 범위로 조절되는 이유는 포장되는 낚시용 미끼재료의 종류에 따라 누출되는 수분량이 다르기 때문으로, 결국 수분의 누출량이 많은 낚시용 미끼재료는 알코올의 양을 많이 충진하여야 하고, 수분의 누출량이 적은 낚시용 미끼재료는 알코올의 양을 적게 충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미리 75%정도의 알코올 농도에 의해 조직의 경화 및 소독, 살균된 낚시용 미끼재료를 고농도의 알코올과 함께 충진하여 포장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한 구성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낚시용 미끼재료의 종류로는 분말상태만 아니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동물성의 경우는 새우(껍질을 깐 새우도 포함), 게, 지렁이, 오징어, 애벌레, 구더기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식물성의 경우는 옥수수, 콩, 겉보리, 감자, 고구마 등을 삶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Claims (6)

  1. 분말로 이루어지지 않은 덩어리 형태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미끼재료를 알코올에 30분~3시간 동안 침지시켜서 조직이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잡어들의 입질로부터 쉬 훼손되지 않도록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65~85%의 농도를 갖는 알코올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알코올은 발효 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미끼재료로는 새우(껍질을 깐 새우도 포함), 게, 지렁이, 오징어, 애벌레, 구더기, 옥수수, 콩, 겉보리, 감자, 고구마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5. 낚시용 미끼재료를 밀폐된 포장용기에 넣고 포장함에 있어 포장용기 속에 80~95%농도의 알코올과 낚시용 미끼재료의 중량비를 70:30~98:2의 비율로 함께 충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미끼재료로는 새우(껍질을 깐 새우도 포함), 게, 지렁이, 오징어, 애벌레, 구더기, 옥수수, 콩, 겉보리, 감자, 고구마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KR1020070094539A 2007-09-18 2007-09-18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KR20090029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39A KR20090029367A (ko) 2007-09-18 2007-09-18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39A KR20090029367A (ko) 2007-09-18 2007-09-18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88A Division KR20090043478A (ko) 2009-03-24 2009-03-24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367A true KR20090029367A (ko) 2009-03-23

Family

ID=4069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539A KR20090029367A (ko) 2007-09-18 2007-09-18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096B1 (ko) * 2022-06-24 2023-05-18 조영일 바다낚시용 미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다낚시용 미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096B1 (ko) * 2022-06-24 2023-05-18 조영일 바다낚시용 미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다낚시용 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289B2 (en) Method for preparing edible aquatic animals for storage
ES2397050T3 (es) Composición de ácaros, método de cría de una especie de ácaro depredador fitoseido, y uso de la composición para el control de plagas en cultivos
BRPI0713081A2 (pt) preservação de produto para colheita de frutas e vegetais
KR101044673B1 (ko) 수생 동물의 배란난자를 진미로 가공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된 배란난자
CN101081083A (zh) 鱼肉色泽处理方法
KR20090055265A (ko) 재사용 가능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JP6786625B2 (ja) フジツボの幼生期の冷凍保存
KR20090029367A (ko)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및 그의 포장방법
KR20090043478A (ko)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US2007022431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eed comprising artemia nauplii
JP5685530B2 (ja) 海ぶどうの加工処理方法及び海ぶどうの加工処理品
CN115997845A (zh) 一种带内脏的完整动物饲料常温保存加工方法
US7429398B1 (en) Method of preserving live Ceratomia catalpae larvae for use as fishing bait
US20110189365A1 (en) Product and process for cryopreservation of marine aquarium foodstuffs
KR20070026966A (ko) 복어의 가공방법
KR100604137B1 (ko) 게를 이용한 바다낚시용 미끼 제조방법
KR100721680B1 (ko) 옥수수를 이용한 바다낚시용 미끼제조방법
Alam Low-cost processing of fish in coastal Bangladesh
JP7096280B2 (ja) 常温保存可能な釣り餌の製造方法
KR100611054B1 (ko) 오징어살을 이용한 바다낚시용 미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6867B1 (ko) 콩을 이용한 낚시용 미끼제조방법
KR100928251B1 (ko)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낚시용 미끼 제조방법
KR101287148B1 (ko)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JP2002078437A (ja) 釣餌用養殖虫及び同釣餌用養殖虫の混入容器
JP4306523B2 (ja) フグ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3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