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27826A -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 Google Patents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826A
KR20090027826A KR1020070092926A KR20070092926A KR20090027826A KR 20090027826 A KR20090027826 A KR 20090027826A KR 1020070092926 A KR1020070092926 A KR 1020070092926A KR 20070092926 A KR20070092926 A KR 20070092926A KR 20090027826 A KR20090027826 A KR 2009002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reeding
water
filtration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9497B1 (en
Inventor
박주형
Original Assignee
박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형 filed Critical 박주형
Priority to KR102007009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4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2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4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류식 사육수조, 여과조 및 양수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 circulating breeding tank, a filtration tank and a pumping pump,

본 발명의 사육수조는 양끝단이 연통된 두개의 내부수로로 구성되고, 사육수조의 중앙격벽 양끝 뒤편 바닥에는 오물흡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조는 침지식 생물여과조로서, 여과조 아래로 유입되어 위로 배출되고, 여과조 바닥면은 경사지고, 경사면 아랫쪽에는 여과조청소용 배출구가 있으며, 바닥 경사면 위에는 골판 지지대가 구비되고, 골판 지지대 위에는 골판들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되, 골판들의 골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세워져 있는 구조이고, 상기 양수펌프는 축류식 펌프(axial flow pump)이고, 펌핑되는 사육수가 아래쪽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Breed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inner channels communicating both ends,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central bulkhead of the breeding tank is provided with a dirt suction port, the filtration tank is an immersion-type biofiltration tank, introduced under the filtration tank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s inclined, the bottom of the slope has a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and on the bottom slope, a corrugated support is provided, and on the corrugated support, the corrugated plates are erected vertically. The upright structure, the pump pump is an axial flow pump (axial flow pump), the pumped breeding water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downward,

종래 유수식 양어시설에 비교하여 새 물의 유입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원형수조에 비교하여 공간효율이 매우 좋으며, 양질의 물고기를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육수조 내 오물의 배출이 매우 쉬워 청소비 등 관리비용 및 관리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Compared to conventional oil farms, the inflow of new water is greatly reduced, and space efficiency is very good compared to the circular tank,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 quality fish, and it is very easy to discharge the waste water in the breeding tank, so it is easy to manage the management costs such as cleaning costs. And management time is saved.

Description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RECIRCULATING FISH CULTURE SYSTEM INCLUDING WATER CIRCULATING TANK}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a return breeding tank {RECIRCULATING FISH CULTURE SYSTEM INCLUDING WATER CIRCULATING TANK}

본 발명은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사육수가 사육수조 내에서 회류(순환)하는 회류식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일정량의 사육수가 양수펌프를 통하여 여과조로 이송되고, 생물여과방식에 의하여 사육수가 여과 및 정화되어 사육수조로 재투입되어 종래 기술에 비해 매우 적은 량의 용수 공급만으로도 대량의 물고기를 사육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a circulating breeding tank, and more particularly, a certain amount of breeding water used in a circulating breeding tank and a breeding tank where a certain amount of breeding water is circulated (circulated) in the breeding tank. Regarding the circulating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which is transported to the filtration tank through the pumping pump, the breeding water is filtered and purified by the bio filtration method, and re-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to breed a large amount of fish with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ll be.

물고기를 인공적으로 사육하기 위하여는 사육하고자 하는 물고기의 자연 그대로의 서식환경에 가까운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대부분의 물고기, 특히 민물고기를 사육하는 데 있어서는 적당한 수온은 물론, 적당한 수질뿐 아니라 적당한 유속 즉, 지속적으로 물이 흐르는 조건을 필수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In order to raise fish artificially, it is natural to provide an environment close to the natural habitat of the fish. In raising most fish, especially freshwater fish, it is essential to meet not only the proper water temperature, but also the proper water quality, and the proper flow rate, that is, the condition of continuously flowing water.

현재 이용되고 있는 양어 시설, 특히 민물고기 사육시설로는 내륙 산간에 용수가 풍부한 적지를 찾아 이곳에 사육지 또는 사육수조를 만들어 물고기를 넣고 물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사육하는 단순 유수식 양어 시설이 일반적인 형태이며, 나아가 용수를 절약하기 위하여 이러한 단순 유수식 사육수조에 별도의 여과시설을 추가하여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여과 및 정화하여 사육수조로 재투입(재주수)시켜 사육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이 있다.Currently used fish farming facilities, especially freshwater fish breeding facilities, are simple types of fish farming facilities that search for abundant water reserves in inland mountains, create breeding areas or breeding tanks, place fish and keep the water flowing. In addition, in order to save water, a circular filtration fish farm is added to the simple flowing breeding tank to filter and purify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and re-introduce the fish into the breeding tank. have.

이러한 양어 시설은 사육수조의 구조에 따라 수로식 사육수조와 원형 사육수조로 구분되는데, 수로식 사육수조는 말그대로 긴 수로(폭이 약 2 ~ 3 m, 길이가 약 30 m 정도)를 여러개 병렬로 배치하여 한쪽 끝에서는 다량의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흘려보내고 다른 한쪽 끝에서는 이미 사용된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방식이고, 원형 사육수조는 원형 공간에 물고기를 넣고 순환수단(일반적으로 수차)을 이용하여 물을 사육수조내에서 순환시키는 방식이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reeding tank, the fish farming tank is divided into a channel breeding tank and a round breeding tank, and the channel breeding tank literally arranges several long channels (about 2 to 3 m in width and about 30 m in length) in parallel. One end continuously sends a large number of breeding water, and the other end continuously discharges the already used breeding water. A circular breeding tank uses fish in a circular space and uses circulation means (usually aberration). It is a way to circulate water in a breeding tank.

수로식은 여러개의 긴 수로의 사육수조를 병렬로 배치하므로 원형 사육수조에 비하여 공간활용이 매우 뛰어나며, 원형 사육수조에 비하여 한방향으로 일정하게 물의 흐름을 유지시켜 자연환경에 최대한 가깝기 때문에 원형 사육수조에 비해 물고기의 사육상태(발육, 상처 감소)가 좋은 장점이 있다.Waterway type has several long channel breeding tanks arranged in parallel, so the space utilization is much better than the round breeding tank, and it keeps constant water flow in one direction compared to the round breeding tank, so it is clos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s much as possible. The breeding status of fish (development, wound reduction) has a good advantage.

그러나, 수로식 사육수조는 수로의 한쪽에 사육수를 흘려보내고 다른 한쪽 끝에서는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물고기의 사육조건 상 빠른 유속(약 20 cm/sec)을 유지시켜야 하므로 매우 많은 양의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흘려보내야 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용수의 낭비가 심하다.However, the channel breeding tank has to maintain a high flow rate (about 20 cm / sec) under the conditions of fish breeding by sending the breeding water to one side of the channel and draining the breeding water to the outside. It is a waste of reusable water because of the continuous flow of breeding water.

또한, 물고기를 사육할 때 해결해야만 하는 중요 문제는 사육수조에 쌓이는 사료 찌꺼기 및 물고기 배설물, 미세 부유물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한된 공간에서 다량의 물고기를 사육하기 때문에 수조내 물고기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물고기에서 배출되는 배설물 및 암모니아 가스, 기타 미세 부유물의 양이 상당하고, 특히 송어의 경우 바닥에 떨어진 사료(먹이)는 먹지 않는 습성이 있어서 사료 찌꺼기들이 쌓여 빈번하게 바닥 청소를 하지 않으면 수질이 오염되어 사육 중인 물고기의 건강을 해치게 되고 또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 항생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송어의 경우에는 1급수에서만 서식하므로 사육수조의 수질을 항상 최상으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사육수조 내의 오염을 저감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의 양어 시설에 비해 적어도 10배 내지 수십배에 이르는 다량의 용수를 지속적으로 주입 통과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만족시킬 정도로 용수가 풍부한 사육지를 찾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뿐 아니라, 하천의 이용 및 지하수의 사용량에 대한 정부 규제가 강화되어 적절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사육지를 찾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In addition, an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when raising fish is to remove dirt, such as food waste and fish droppings, fine suspended matter, etc. that accumulate in the breeding tank. Due to the large density of fish in the confined space, the fish have a high density, and the amount of excretion, ammonia gas and other fine suspended solids from the fish is significant. Due to its wet nature, food residues are piled up and the floors are not cleaned frequently, which contaminates the water quality and damages the health of the fish they breed. In addition, many medicines, including antibiotics, are used to treat disea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rout, only the first grade water lives, so the water quality of the breeding tank must always be made the bes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contamination in the breeding tank, at least 10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amount of water must be continuously injected through the fish farm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s it difficult to find a land rich in water to satisfy this, but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find a new breed of land that satisfies appropriate conditions due to tightened government regulations on the use of rivers and groundwat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여과시설을 설치하더라도 양어 시설의 사육수조에서 소요되는 대량의 사육수를 충분히 여과시키기 위해서는 사육수조 규모에 비해 훨씬 대규모의 여과시설이 필요하며, 고효율의 여과시설이 필요하므로 그 시설비용 및 유지비용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충분한 여과를 위해 여과조내에서 유속은 매우 느릴 수 밖에 없는데(일반적 여과시설에서 유속은 5mm/sec 정도), 수로식 사육수조내 유속은 여과조에 비해 매우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이들 수량을 맞추기는 매우 어려우며, 여과조가 사육수조에서 배출되는 사육수를 소화하기란 매우 어렵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ven if a separate filtration system is installed, a much larger filtration system is needed than the size of the breeding tank in order to sufficiently filter the larg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of the fish farm, and a highly efficient filtration facility is required. Therefore, the facility cost and maintenance costs are very big problem. In particular, the flow rate in the filtration tank is very slow (about 5mm / sec in the general filtration facilities) for sufficient filtration, the flow rate in the channel breeding tank flows much faster than the filtration tank, it is very difficult to match these quantitie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filtration tank to digest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reeding tank.

원형 사육수조는 원형 사육수조 내에서 수차 등을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어느 정도 와류가 형성되어 중앙에 고형 오물이 모이게 되어 이곳에 오물배출구를 설치하게 되면 수로식 보다는 쉽게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로식에 비해 공간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부지 대비 생산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조의 안쪽과 바깥쪽의 유속이 서로 다르고, 물고기간 접촉빈도가 높아 수로식에 비해 피부 상처가 많이 나고, 발육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수로식에 비해 사육수조의 규모에 한계가 있다.The circular breeding tank circulates water using aberrations, etc. in the circular breeding tank, so that some vortices are formed and solid wastes are collected in the center, so if the waste outlet is installed here, it is easier to remove the dir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the channel type, and the production volume is lowered compared to the site, the flow rate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an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act frequency between the fish is high, resulting in more skin wounds than the channel type. There is a disadvantage of poor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size of the breeding tank compared to the chann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로식 사육수조와 원형 사육수조의 장점 만을 동시에 가지며, 종래 기술보다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 등의 고형 오물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사육수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ving only the advantages of a waterway breeding tank and a circular breeding tank at the same time, breeding tank to discharge solid wastes such as feed waste and excreta more effectively than the prior a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사육수를 여과, 정화할 수 있는 여과조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ration tank structure capable of filtering and purifying breeding water at a lower cost and efficiency tha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저양정에 의한 전력량 절약)으로 사육수를 펌핑하고 충분한 산소의 공급을 제공하는 양수펌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mping pump for pumping breeding water at low cost (saving the amount of power due to a low head lift) and providing a sufficient oxygen supp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어 시설은 사육수가 내부적으로 회류하는 수로형 사육수조와 침지식 생물여과조 및 양수펌프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로 등으로 구성된다.The fish farm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channel breeding tank, an immersion type biofiltration tank, a pump pump and a water channel connecting them, and the like.

본 발명의 양어 시설은 물고기가 사육되는 하나 이상의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여과시켜 사육수조로 재투입시키는 여과조와,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여과조로 이송시키는 양수펌프를 포함하는 데,The fish farm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breeding tanks in which fish are bre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and re-feeding the breeding tank, and a pumping pump for transporting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to the filtration tank. To include,

상기 사육수조는 긴 수로를 가지고, 상기 수로의 중앙에는 수로길이보다 짧은길이의 중앙격벽이 수로와 평행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로를 양끝단이 연통된 두개 의 내부수로로 분리시키고,The breeding tank has a long channel, a central bulkhea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channel length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hannel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to separate the channel into two internal channels communicating with both ends,

상기 각각의 내부수로 내에는 내부수로 간에 사육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사육수 순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Inside each of the inner channel is provided with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breeding water between the inner channel,

상기 사육수 순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중앙격벽 끝단의 내부수로간 연결통로를 통과하는 사육수의 와류에 의하여 모여지는 오물이 배출되도록 오물흡입구가 중앙격벽 양끝 뒤편 바닥에 구비되어 있고,Soil su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both rear end of the central bulkhead so that the dust collected by the breeding water vortex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inner channel of the center bulkhead end by the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상기 오물흡입구에 모여진 오물이 오물배출관을 통하여 사육수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te collected in the waste suc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pipe is provided with a stand pipe for discharging the discharge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outside the breeding tank.

본 발명의 사육수조의 주요특징은 물이 내부적으로 회류(순환)할 수 있는 긴 수로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수로간 연결통로를 돌아가는 사육수의 강한 와류에 의하여 오물이 모여지는 곳에 오물흡입구가 설치되어 와류에 의하여 농축된 오물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데 있다. 사육수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feature of the breed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ng channel type in which water can be internally circulated (circulated), and a dirt suction port is installed where the dirt is gathered by the strong vortices of the breed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inner channels. This is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dirt concentrated by the vortex to the outside. At least one breeding tank is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상기 내부수로 폭은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나 1.5 m ~ 4 m 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3 m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중앙격벽 양끝의 내부수로간 연결통로의 폭은 유속을 빠르게 하여 강한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내부수로 폭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내부수로 폭의 약 1/3 내지 2/3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2배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inner channel width is adjustable as necessary, but preferably 1.5 m to 4 m, more preferably about 3 m, and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inner channels at both ends of the central bulkhead is fast to increase the flow velocity. In order to generate the vortex, it is preferable to be designed smaller than the inner channel width, preferably about 1/3 to 2/3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and more preferably about 1/2 the width.

내부수로를 흐르는 사육수의 방향은 연결통로에서 90도로 바뀌고, 다음 내부수로에서 또 다시 90도로 바뀌어 회전함과 동시에, 내부수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 은 연결통로를 지나게 되므로 유속이 빨라져서 강한 와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종래 원형 사육수조식에 비해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유속변화가 더욱 크기 때문에 원형 사육수조보다 더욱 강한 와류가 발생한다. 연결통로를 지나는 사료 찌꺼기나 배설물 등의 고형 오물은 와류에 의하여 중앙격벽 뒤편에 잘 모이게 된다. 이러한 중앙격벽 뒤편 바닥에 오물흡입구를 설치함으로써 농축된 오물을 효과적으로 사육수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농축 오물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개방에 의하여 오물흡입구에 강한 압력이 걸릴 때 매우 빠르게 배출된다.The direction of the breed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inner channel is changed to 90 degrees in the connecting channel and then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next inner channel, and it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channel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inner channel, so the strong vortex flows efficiently. Occurs. This is made in a narrower spa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und breeding tank, and because the flow rate is larger, the vortex is stronger than the circular breeding tank. Solid dirt, such as feed debris and feces, which pass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collects well behind the central bulkhead by vortices. By installing a waste suction port at the bottom of the central bulkhea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concentrated soil to the outside of the breeding tank. Concentrated waste is not discharged continuously but is discharged very quickly when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ste inlet by external opening.

오물흡입구는 사육수조 바닥 아래에 매설된 오물배출관을 통하여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로 배출된다. 오물흡입구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들이 있어 물고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오물만이 오물배출관으로 빠져나가게 한다.The waste suction port is discharged into the stand discharge pipe for waste discharge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buried under the bottom of the breeding tank. The dirt suction port has a number of small holes that prevent the fish from escaping and only the dirt drains into the waste discharge pipe.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상기 오물배출관에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다.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를 별도로 설치하는 이유는 사육수조의 수위차에 의하여 지하에 매설된 오물배출관에 가해지는 강한 수압을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를 오물배출관에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사육수조의 수위와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의 수위를 비슷하게 하여 사육수조에 새롭게 유입되는 수량정도 만큼(별도의 여과조가 있어 양어시설 규모에 비해 매우 적은 량이 외부에서 유입됨)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를 통하여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평소에는 외부에서 사육수조로 유입되는 양 정도의 사용된 사육수를 계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사육수조의 수위를 일정하 게 유지하나, 농축 오물의 빠른 배출시에는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를 오물배출관에서 뽑아 한꺼번에 오물을 배출시킨 다음, 다시 오물배출관에 끼워넣어 수압 및 사육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농축 오물의 배출 횟수는 상황에 따르나 보통 1일 2~3회 정도면 충분하다.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is fixed to or detachable from the waste discharge pipe. The reason why the sewage discharge stand pipe is separately installed is to offset the strong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sewage discharge pipe buried underground due to the water level difference of the breeding tank. The water level and the level of the waste pipe are similar to the water level newly 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there is a separate filtration tank, so a very small amoun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wast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lowly discharge. In other words, the stand pipe for the waste discharge to keep the level of the breeding tank constant by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used breeding water to the outside about the amount that is usually 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from the outside, but when the rapid discharge of concentrated waste 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is removed from the waste discharge pipe at one time, and the waste is discharged at once, and then inserted into the waste discharge pipe to control the water pressure and the breeding water discharge. The number of discharges of concentrated waste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but usually two to three times a day is sufficient.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가장 단순하게는 오물배출홈이 없는 일반파이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이프의 높이는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약간 작아야 사육수조에 새로 유입되는 수량정도 만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may be the simplest pipe without a waste discharge groove, and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pip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much as the fresh water flows into the breeding tank only when the height of the pipe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level of the breeding tank.

한편, 바람직하게는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에는 별도의 오물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물배출홈을 통하여 사육수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를 좀 더 높게 할 수 있어 작업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a separate waste discharge groove is formed in the stand discharge pipe so that the breed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discharge groove. In this case, the pipe can be made higher, which makes the work easier.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서로 밀착된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가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중 어느 한 파이프에는 상하로 여러개의 오물배출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상하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파이브는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배출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한쌍의 파이프가 가장 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inner pipes and outer pipe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ne of the pipes has a plurality of waste discharge grooves formed up and down, or the groove is vertically long. The other five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o adjust the discharge level. This pair of pipes is the most efficient.

본 발명의 사육수조는 수로의 모서리 부분에 유체가이드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가이드벽은 내부수로의 코너를 부드럽게 마감처리하여 내부수로간 물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한편, 내부수로의 코너에 오물이 쌓이는 것을 막고(수로 코너의 와류 방지), 병렬 배치, 즉 옆에 위치한 다른 사육수조와 공동의 삼각형 모양의 별도 공간을 제공, 이곳에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사육시설 의 공간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유체가이드벽 및 중앙격벽, 수로벽은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발명의 특징이 수조의 구조에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재질에 제한은 없다.Breed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luid guide wall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waterway. The fluid guide wall smoothly finishes the corners of the inner channel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water between the inner channels, while preventing dirt from accumulating at the corners of the inner channel (preventing vortices at the corners of the channel), that is, arranged in parallel, It provides a separate triangular space with a breeding tank and installs a stand pipe for waste discharge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of the breeding facility. The fluid guide wall, the central bulkhead, and the waterway wall are all made of concrete, but the material of the invention is in principle not limited to the material because of the structure of the tank.

사육수조의 대부분의 사육수는 내부수로 내에서 회류하는 한편, 나머지 일부 사육수는 사육수조를 나와 또 다른 수로를 통하여 여과조로 이송된다. 상기 사육수조와 별도의 수로사이에는 작은 구멍이 뚤린 스크린망이 구비되어 있어 물고기는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다. 상기 스크린망은 사육수조에 탈착가능하여 사육수조의 청소시에는 막음판으로 대체되어 다른 사육수조와 사육수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Most of the breeding water in the breeding tank is returned in the internal channel, while the remaining part of the breeding tank leaves the breeding tank and is transferred to the filtration tank through another channel. Between the breeding tank and a separate channel is provided with a screen net with a small hole, the fish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The screen net is detachable to the breeding tank is replaced with a blocking plate when cleaning the breeding tank can be restrained movement of other breeding tank and breeding water.

본 발명의 사육수조와 여과조의 수위차는 종래 양어 시설에 비하여 작으므로 종래 사용되는 휴갈펌프(fugal pump) 대신 저양정 대용량의 축류식 펌프(axial flow pump)[프로펠러(propeller)형의 날개차의 회전으로 물을 축방향으로 보내는 저양정 펌프]로도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수펌프의 펌핑배출구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방향으로 물을 강하게 펌핑하게 되면 물의 마찰력에 의해 상당량의 거품이 일게 되고 이때 사육수에 산소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사육수의 재사용 수명을 증가시킨다.Since the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breeding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fish farming facility, a low-pumping large-capacity axial flow pump (propeller type vane wheel rotation) is used instead of a conventional fugal pump. Low pump for pumping wat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pumping outlet of the pump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to face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f water is pumped strongly downward, a considerable amount of foam is generat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water, and the oxygen supply is smoothly supplied to the breeding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reuse life of the breeding water.

본 발명의 여과조는 침지식 생물여과조로서 여과조 아래로 사육수가 유입되어 여과재료를 거쳐 여과조 상단에서 배출되는 방식이다.The filt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merged biofiltration tank in which breeding water is introduced under the filtration tank and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filtration tank via the filtration material.

이러한 여과조의 구조는 여과조벽 일측 하단에 사육수가 여과조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6개 정도)의 여과조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 조유입구 반대벽 상단에는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6개 정도)의 여과조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과조 바닥면은 사육수배출구 방향에서 여과조유입구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 아랫쪽에는 여과조청소용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사면 위에는 여과재료인 골판들을 지지하도록 골판 지지대의 표면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골판들은 상기 골판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되, 골판들의 골방향이 서로 순차적으로 교차밀착되어 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preferably about six) filtration tank inlet so that breeding water flows into the filtration tank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wall, and at least one (preferably six at the top of the opposite wall of the filtration tank inlet). Filtration tank outle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reeding water outlet direction toward the filtration tank inlet direction, and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with a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and on the inclined surface to support the corrugated plates, which are filtration materials. The surface of the support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corrugated plate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rrugated plat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direction of the corrugated plate is erected in cross contact with each other sequentially.

여과조유입구를 하단에 배치하고, 여과조배출구를 상단에 배치하는 것은 여과재료 전체에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여과된 맑은 물만을 여과조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Arranging the filtration tank inlet at the bottom, and disposing the filtration tank outlet at the top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filtration effect on the entire filtration material, and has the effect of discharging only the filtered clear water out of the filtration tank.

여과조의 바닥은 여과조유입구쪽에서 여과조배출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육수의 이동흐름을 고려하는 한편, 여과재료의 청소시 부유물이 한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여과조청소용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여과조 청소를 원할히 하는 데 있다.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s inclined toward the filtration tank discharge port from the filtration tank inlet side. This is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filtration tank by considering the flow of the breeding water, while collecting the suspended matter to one side when cleaning the filtration material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여과조 바닥이 경사져 있으므로 여과재료인 골판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골판 지지대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골판 지지대는 골판을 지지하기만 하면 되므로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Since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s inclined, the corrugated support is horizontally installed for smooth installation of the filtration corrugated plate. The corrugated support is not limited in shape since it only needs to support the corrugated plate.

상기 골판 지지대 위에 여과재료인 골판을 촘촘히 세워 여과조를 완성한다.The corrugated plate, which is a filtering material, is densely placed on the corrugated plate support to complete the filtration tank.

여과재료로는 주로 골판 형태의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나, 본 여과재료의 주요특성은 골판 형태에 있는 것이어서 재질에는 크게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건축 자재(주로 건물의 빗물가리개)로 널리 이용되는 종래의 PVC 골판이 범용적으로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여과조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골판의 길이를 정해서 주문 생산한다. 이렇게 하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가격에 비하여 절반정도에 지나지 않는다.As the filtration material, a plastic sheet in the form of a corrugated sheet is mainly used, bu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filtration material is that in the form of a corrugated sheet, and thus the material is not greatly limit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VC corrugated sheet wide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mainly rain shade of a building) is commercially available, it is preferable to use it. According to the necessity, the length of the corrugated board is determined to meet the specification of the filtration tan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ade to order. This is only about half of what is on the market.

PVC 골판은 여과조유입구 방향에서 여과조배출구 방향으로 세워서 있는 구조로, 골판 끼리 서로 골이 교차되고 끝이 닿도록 세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판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겹치게 하면 내부 공간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로 골판을 설치하게 되면, 별도의 적층 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구조의 설치도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여과조는 여러 개의 여과조(일반적으로 10개 전후)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조를 여러 개의 여과조로 분리배치하게 되면 여과조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여과 침전 효과가 대단히 높아진다. 여과조의 구조는 사용되는 여과재료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여과재료를 잘라낼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된 여과재료에 유입되는 사육수는 골판끼리 교차되어 형성된 골을 통하여 흐르므로 매우 저속(약 5 mm/sec 정도)으로 이동하고, 형성된 골판의 면적이 바닥 면적의 약 40배에 이르기 때문에 여과재료가 없는 단순 침전지에 비해 동일 면적당 약 40배의 월등한 침전효과를 가진다. 또한, 여과조로 유입되는 분해된 사료 찌꺼기, 분해된 배설물, 기타 미세 오염물 및 암모니아와 아질산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박테리아 등의 분해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발생, 증식되어 골판에 부착, 형성되므로 생물여과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육수의 정화능 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조는 약 90% 정도의 부유 오물침전 여과효율을 가지며, 4 ~ 5 개월간 청소가 필요없으며, 청소시 적층된 골판을 분리할 필요없이 위에서 물을 뿌려주는 것만으로 오물 또는 오니가 아래로 흘러내려 경사면에 의해 한곳으로 모이고 여과조청소용 배출구을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과조청소용 배출구는 여과조 하단에 있기 때문에 용이한 개방을 위하여 여과조청소용 배출구에 스탠드파이프를 끼워 개폐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VC corrugated plate is e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outlet from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inle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ugated plates are erected so that the bones cross each other and reach the ends. This is because when the corrugates overlap in the same direction, no internal space is generated. When the corrugated plate is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since a separate laminated member is not required, the cost is greatly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is very eas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ration tank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filtration tanks (generally around 10 pieces) are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Separation of the filtration tank into several filtration tanks can slow down the flow rate in the filtration tank,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filtration precipitation effect.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tank is preferab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iltration material used so that the filtration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cut out. The breeding water flowing into the installed filtering material flows through the bones formed by crossing the corrugated sheets so that they move at a very low speed (about 5 mm / sec), and because the area of the formed cardboard reaches about 40 times the floor area, the filtering material Compared with simple sedimentation basins without sediment, it has an excellent sedimentation effect of about 40 times per area. In addition, decomposing microorganisms such as decomposed feed residues, decomposed feces, other micro-contaminants, and bacteria that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ammonia and nitrite are naturally generated, multiply, adhere to, and form, as biofiltration tanks. By playing a role, you can maximize the purifying power of breeding water. The fil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bout 90% of suspended sedimentation filtration efficiency, and does not need to be cleaned for 4 to 5 months. It flows down and gathers in one place by the inclined surface,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Since the outlet for filtration tank cleaning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by inserting a standpipe to the outlet for filtration tank cleaning for easy opening.

여과조에서 정화된 사육수는 사육수조로 곧바로 재투입되거나 사육수조 주수전에 별도의 수로 또는 공간을 통과하여 사육수조로 재투입될 수 있다.Breeding water purified in the filtration tank may be re-introduced directly into the breeding tank or re-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through a separate channel or space before the breeding tank main water.

별도의 수로 또는 공간이 있으면 사육수의 유속을 조절하여 여과조와 사육수조간의 사육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여과조 및 사육수조 각각을 별도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미세 부유물을 한번더 침전시키는 효과가 있다.If there is a separate channel or space, the flow rate of the breeding water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breeding water between the filtration tank and the breeding tank, and each of the filtration and breeding tanks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separately, and the effect of precipitating fine suspended matter once more There is.

본 발명의 사육수조는 수로식 사육수조와 원형 사육수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는 한편, 종래 수로식 사육수조에 비해 최소한 약 10 배 이상의 용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농축 오물의 배출이 쉽고 효율이 좋아 막대한 양의 노동력을 절약하면서도 아주 건강한 물고기를 고밀도로 사육시키는 효과가 있다.Breed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channel breeding tank and the circular breeding tank as it is, can save at least about 10 times more water than the conventional channel breeding tank, the discharge of concentrated waste is easy and the efficiency is good It saves labor and has the effect of raising very healthy fish at high density.

또한, 시설규모에 비해 여과재료 등의 재료비가 크게 절감되며, 전력량에서도 비용이 매우 절감되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st of materials such as filtration material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size of the facility, the cost is very reduced in the amount of power, it is very economically excellent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양어 시설을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fish farm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어 시설의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sh farm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수조 1개의 상세 구조도이다.Figure 2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one breed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양어 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긴 수로형 사육수조(1)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육수조(1)의 길이는 약 30 m로 이루어져 있고, 사육수조(1)의 폭은 약 6 m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로 길이는 약 30 m 정도로 이루어지나, 사육부지의 상황 또는 사육수조(1)의 수 등 필요에 따라 어느 정도 더 길게 또는 더 짧게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수로의 길이를 너무 길게 하면 사육수조(1) 안에 생성된 고형 오물이 오물흡입구(16)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너무 길어져서 오물배출의 효과가 감소하므로 약 60 m 이상으로 너무 길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e fish farm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x long waterway breeding tanks 1 as shown in FIG. 1, and as shown in FIG. 2, the length of one breeding tank 1 is about 30 m. The breeding tank 1 has a width of about 6 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length is about 30 m, but may be designed to be longer or shorter to some ext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breeding site or the number of breeding tanks 1.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channel is too long, the distance of the solid waste generated in the breeding tank 1 to the waste suction port 16 becomes too long, so that the effect of the waste discharge is reduced. not.

사육수조(1)의 폭은 약 6 m로 구성되는 데, 사육수조(1)의 중앙에는 수로의 길이보다 짧은 중앙격벽(11)이 수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어 상기 사육수조(1)를 약 3 m 폭의 내부수로(12)로 분리시키고, 상기 2개의 내부수로(12)는 수로의 끝부분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수로간에 사육수가 회류(순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물고기가 생활하는 수로의 실질적인 폭은 약 3 m 이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수로(12)의 폭은 약 3 m 이나, 수로 폭은 필요에 따라 조절가능하고, 어류 사육량과 작업환경을 고려할 때 약 1.5 m ~ 4 m 정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eeding tank 1 has a width of about 6 m. At the center of the breeding tank 1, a central partition 11, which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hannel, is installed along the channel, so that the breeding tank 1 is about 3 m long. The inner channel 12 of the m width is separated into two, and the two inner channels 12 are designed so that the ends of the channe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breeding water can flow (circulate) between the inner channels. Thus, the actual width of the channel where the fish live is about 3 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12 is about 3 m, but the width of the channel can be adjusted as needed, and considering the fish breeding amou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12 is about 1.5 m to 4 m.

사육수조(1)의 내부수로(12) 각각에는 사육수 순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사육수를 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사육수 순환수단은 수로의 사육수를 흐르게 하는 통상의 수단이면 상관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차(14)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차(14)는 물레방아 형태를 띠고 수면에 떠서 가동되며, 사육수를 일정한 유속(약 20 cm/sec)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일부 사육수를 공중으로 흩뿌려서 사육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보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Each of the internal channels 12 of the breeding tank 1 is provided with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to move the breeding water in one direction. The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may be any conventional means for flowing the breeding water in the water channel, but aberration 14 may be preferably used. Such aberration 14 is floated on the surface in the form of a watermill, and moves the breeding water at a constant flow rate (about 20 cm / sec), while dispersing some breeding water into the air to supply oxygen to the breeding water. Play a role at the same time.

본 실시예에서 중앙격벽(11)은 수로 길이 보다 양 끝단이 약 1.5 m 씩 짧게 구성되어 내부수로간 연결통로(13)(중앙격벽(11) 양쪽 끝의 물이 돌아가는 부분)의 폭(약 1.5 m)은 내부수로(12)의 폭(약 3 m)에 비해 약 1/2배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수로(12) 폭에 비하여 내부수로간 연결통로(13)를 작게 하는 이유는 중앙격벽(11) 끝의 물이 돌아가는 부분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중앙격벽(11) 바로 뒤에 와류가 잘 형성되도록 하여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 등의 고형 오물이 이곳에 잘 모이도록 하고, 이곳에 오물흡입구(16)를 설치하여 농축된 오물만을 배출함으로써 물의 불필요한 낭비없이 오물을 효과적으로 사육수조(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농축 오물은 지속적으로 소량씩 배출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스탠드파이프(18)를 뽑아서 오물흡입구(16)에 강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면 매우 빠르게 배출된다. 약 1 ~ 2 분 정도 개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bulkhead 11 is formed at both ends about 1.5 m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hannel, so that the width (about 1.5) of the connection passage 13 (the part where water at both ends of the central bulkhead 11 is turned) between the internal channels is about 1.5 m. m) is formed about 1/2 times of the width (about 3 m) of the inner channel 12. The reason why the connection passage 13 between the inner channels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12 is to speed up the flow rate of the water at the end of the central partition 11 so that the vortex is formed immediately behind the central partition 11. Solid wastes such as feed waste and excreta are collected well here, and the waste suction port 16 is installed here to discharge only the concentrated wastes, thereby effectively discharging the wastes out of the breeding tank (1) without unnecessary waste of water. Will be. Concentrated waste is continuously discharged in small amounts, and if required to pull out the standpipe (18) to take a strong pressure on the waste suction port 16 is discharged very quickly. It is enough to open about 1 to 2 minutes.

내부수로간 연결통로(13)의 폭은 내부수로(12) 폭에 대하여 약 1/2 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약 1/3 ~ 2/3 정도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인 오물 배출이 이루어짐을 여러 차례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ssage 13 between the inner channels is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12, but several times it is sufficiently effective to discharge the dirt even at about 1/3 to 2/3.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수로(12)의 코너에 유체가이드벽(15)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가이드벽(15) 및 중앙격벽(11), 수로벽은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칙적으로 재질에 제한은 없다. 상기 유체가이드벽(15)은 내부수로(12)의 코너를 부드럽게 마감처리하여 내부수로간 물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한편, 내부수로(12)의 코너에 오물이 쌓이는 것을 막고(수로 코너의 와류 방지), 병렬로 배치된 다른 사육수조(1)와 공동의 삼각형 모양의 공간을 제공하여, 이곳에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를 설치함으로써 사육시설의 공간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luid guide wall 15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inner channel 12. The fluid guide wall 15, the central partition wall 11, and the water channel wall are all made of concrete, but in principle,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 fluid guide wall 15 smoothly finishes the corners of the inner channel 12 to smoothly move the water between the inner channels, while preventing dirt from accumulating at the corners of the inner channel 12 (vortices at the corners of the channel). Prevention), by providing a triangular-shaped space in common with the other breeding tank (1) arranged in parallel, by providing a stand pipe 18 for waste discharge there is provided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reeding facility.

내부수로간 연결통로(13)를 돌아가는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 등의 오물들은 와류에 의하여 중앙격벽(11)의 바로 뒤편 바닥에 모이게 되는 데, 이곳에 오물흡입구(16)가 설치되어 있다. 오물흡입구(16)는 중앙격벽(11) 끝에서 약 10 ~ 50 cm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물흡입구(16)의 모양은 상관없으나 중앙격벽(11)과 나란한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고, 약 10 ~ 15 mm 정도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물고기는 나가지 못하게 하고 오물만 배출시키도록 한다. 오물흡입구(16)의 구멍 크기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Dirt, such as feed dregs and excreta, which pass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s 13 between the inner channels, are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wall of the central bulkhead 11 by vortices, and a waste suction port 16 is installed therein. The dirt suction port 16 is preferably installed at about 10 to 50 cm from the end of the central partition wall 11, and the shape of the dirt suction port 16 may be used, but a rectangular shape parallel to the central partition wall 11 is preferable, and about 10 Multiple holes of about 15 mm are formed, preventing fish from leaving and only draining dirt. The hole size and number of the dirt suction openings 16 can be changed suitably as nee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수조(1)로부터 오물이 배출되는 계통 표시도이다.3 is a system display diagram in which dirt is discharged from the breeding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오물흡입구(16)에 쌓인 농축 오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수 조(1)의 바닥 밑에 매설되어 있는 오물배출관(17)을 통하여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ncentrated waste accumulated in the waste suction port 16 is transferred to the stand discharge pipe 18 for waste discharge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17 buried under the bottom of the breeding tank 1 as shown in FIG. Discharged.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는 높이차에 의하여 오물배출관(17)에 가해지는 강한 수압을 상당히 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의 상단과 사육수조 내 수면과의 높이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압에 따라 오물이 오물배출관(17)과 오물배출용 스탠드파이프(18)를 통하여 사육수조 밖으로 배출된다.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를 오물배출관(17)에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사육수조(1)의 수위와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의 수위를 비슷하게 하여 사육수조(1)에 새롭게 유입되는 수량정도 만큼(별도의 여과조(3)가 있어 양어시설 규모에 비해 매우 적은량이 외부에서 유입됨)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를 통하여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에서 흘러나오는 사육수 또는 오물은 지하 오물 총배출관(19)을 통하여 오물 처리장으로 보내진다.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18 is intended to significantly weaken the strong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waste discharge pipe 17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18 and the water surface in the breeding tank. Soil is discharged out of the breeding tank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17 and the stand discharge pipe 18 for waste discharge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the water pressure. The amount of water newly 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1 by making the standing pipe 18 for waste discharge perpendicular to the waste discharge pipe 17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breeding tank 1 and the level of the stand pipe 18 for waste discharge are similar. As much as the degree (a separate filtration tank (3) has a very small amoun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fish farm size) serves to slowly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nd pipe 18 for the waste discharge. Breeding water or filth flowing out of each waste discharge stand pipe 18 is sent to the waste disposal plant through the underground waste total discharge pipe 19.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는 오물배출관(17)에 탈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를 오물배출관(17) 홈에서 분리하는 경우 사육수조(1) 수위와 오물배출관(17)의 높이차에 의한 강한 수압이 발생하여 오물배출구에 모인 농축 오물들이 매우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18 is detachable from the waste discharge pipe 17. When the sewage discharge stand pipe 18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waste discharge pipe 17, a strong water pressure is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level of the breeding tank 1 and the height of the waste discharge pipe 17, so that the concentrated wastes collected at the waste discharge outlet are very fast. It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8)는 하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바람직하게는 밀착된 두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 파이프 높이는 사육수조(1)의 수위보다 약간 작게 설치될 수 있고, 파이프상에 별도 의 오물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오물배출구멍이 사육수조(1)의 수위보다 약간 작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두개의 밀착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 이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 상에는 상하로 오물배출구멍이 길게 형성되고, 다른 파이프가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되어 파이프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오물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2개의 내피, 외피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조작 편리성이 매우 우수하다.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18 may consist of one pipe, or preferably two pipes in close contact. In the case of a single pipe, the pipe height may be set slightly small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breeding tank 1, and in the case where a separate wast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pipe, the waste discharge hole is great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breeding tank 1. It can be installed at a slightly smaller height. In the case of two tightly coupled pipes, one of the pipes may have a long length of the waste discharge hole formed up and down, and the other pip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adjust the level of the waste discharge by vertical movement of the pipe. Consisting of two inner and outer pipes with adjustable height, it is very convenient to operate.

사육수조(1) 내의 사육수는 내부수로(12)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회류(순환)하는 한편, 사육수 일부는 별도의 수로를 통하여 여과조(3)로 이송된다(도 2 참조).The breeding water in the breeding tank 1 is continuously circulated (circulated) through the internal channel 12, while a part of the breeding water is transferred to the filtration tank 3 through a separate channel (see FIG. 2).

상기 사육수조(1)와 별도의 수로사이에는 작은 구멍이 뚤린 스크린망(20)이 구비되어 있어 물고기는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다. 상기 스크린망(20)은 사육수조(1)에 착탈이 가능하여 사육수조(1)의 청소시에는 스크린망(20)을 막음판으로 대체하여 끼워 다른 사육수조(1)와 차단한 다음 지하 배수관(21)을 개방하여 사육수조(1)를 비우고 청소한다.Between the breeding tank (1) and a separate waterway is provided a screen net 20 with a small hole is not able to escape the fish to the outside. The screen net 20 is detachable to the breeding tank (1) when cleaning the breeding tank (1) by replacing the screen net 20 with a blocking plate sandwiched with other breeding tank (1) and then underground drainage pipe Open (21) to empty and clean the breeding tank (1).

그리고, 물고기 출하시에는 스크린망(20)을 개방하여 물고기를 포획수조(22)로 유인하여 작업을 한다.When the fish is shipped, the screen net 20 is opened to attract the fish to the catch tank 22 to work.

여과조(3)에서 여과된 사육수는 사육수조(1)로 재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육수조(1)와 여과조(3)의 수위차(약 50 cm)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육수조(1)에서 흘러나오는 사육수를 별도의 수로를 거쳐 여과조(3)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양수펌프(2)를 포함한다.Since the breeding water filtered in the filtration tank 3 must be re-injected into the breeding tank 1, a level difference (about 50 cm) between the breeding tank 1 and the filtration tank 3 occur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ing pump 2 to transfer the breeding water flowing out of the breeding tank 1 to the filtration tank 3 through a separate channel.

본 실시예의 사육수조(1)와 여과조(3)의 수위차는 종래 양어 시설에 비하여 작으므로 종래 사용되는 휴갈펌프(fugal pump) 대신 저양정 대용량의 축류식 펌프(axial flow pump)[프로펠러(propeller)형의 날개차의 회전으로 물을 축방향으로 보내는 저양정 펌프]로도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수펌프(2)의 펌핑배출구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방향으로 물을 강하게 펌핑하게 되면 물의 마찰력에 의해 상당량의 거품이 일게되고 이때 사육수에 산소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Since the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breeding tank 1 and the filtration tank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ish farming facility, a low-capacity large-capacity axial flow pump (propeller) is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ugal pump.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ow lift pump that sends water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a vane of a mold. The pumping outlet of the pump pump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to face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f the pump is strongly pump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 considerable amount of foam is generat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water, and oxygen is supplied to the breeding water smooth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생물여과조 1칸의 평면도이고,4 is a plan view of a submerged biofiltration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양수펌프(2)로 펌핑된 사육수는 여과조(3)로 유입되는 데, 본 실시예의 여과조(3)는 침지식 생물여과방식이다. 양수펌프(2)로 펌핑된 사육수는 여과조(3)벽의 하단에 구비된 여과조유입구(31)를 통하여 여과조(3)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사육수는 여과재료를 거처 여과되어 반대편 여과조(3)벽의 상단에 구비된 여과조배출구(32)를 통하여 여과조(3) 밖으로 배출된다.Breeding water pumped by the pump pump 2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3, the filtration tank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bmerged biofiltration. The breeding water pumped by the pumping pump 2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3 through the filtration tank inlet 3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of the filtration tank 3, and the introduced breeding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material and the opposite filtration tank ( 3) It is discharged out of the filtration tank 3 through the filtration tank discharge port 32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wall.

사육수가 여과조(3)의 아래로 유입되어 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은 여과재료 전체에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여과된 맑은 물만을 여과조(3)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Breeding water is introduced to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3) to be discharged upward has the effect that the filtration effect is made to the entire filtration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o discharge only the filtered clear water out of the filtration tank (3).

여과조(3)의 바닥은 여과조유입구(31)쪽에서 여과조배출구(32)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육수의 이동흐름을 고려하는 한편, 여과재료의 청소시 부유물이 한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여과조청소용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여과조(3) 청소를 원할히 하는 데 있다.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3 is formed inclined toward the filtration tank discharge port 32 from the filtration tank inlet 31 side. This is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filtration tank (3) by considering the flow of the breeding water, while allowing the suspended matter to collect to one side when cleaning the filtration material to discharge through the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여과조(3) 바닥이 경사져 있으므로 여과재료인 골판(34)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골판(34) 지지대(33)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골판(34) 지지대(33)는 골판(34)을 지지하기만 하면 되므로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Since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3 is inclined, the support plate 33 of the corrugated plate 34 is horizontally installed for smooth installation of the corrugated plate 34 which is a filtration material. Corrugated sheet 34 support 33 is not limited to the shape just because it supports the corrugated sheet 34.

상기 골판(34) 지지대(33) 위에 여과재료인 골판(34)을 촘촘히 세워 여과조(3)를 완성한다.The corrugated plate 34, which is a filtration material, is closely placed on the support plate 33 of the corrugated plate 34 to complete the filtration tank 3.

여과재료로는 주로 골판(34) 형태의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나, 본 여과재료의 주요특성은 골판(34) 형태에 있는 것이어서 재질에는 크게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건축자재(주로 건물의 빗물가리개)로 널리 이용되는 종래의 PVC 골판(34)이 범용적으로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PVC 골판(34)의 크기는 길이 127 cm, 너비 63 cm이고, 골의 수는 20골이다.As the filtration material, a plastic sheet mainly in the form of a corrugated sheet 34 is used, bu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filtration material is that in the form of a corrugated sheet 34, so that the material is not greatly limit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VC corrugated sheet 34 wide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mainly rain shade of a building) is commercially available, it is preferable to use it. The size of the PVC corrugated sheet 34 of this embodiment is 127 cm in length and 63 cm in width, and the number of bones is 20 bones.

PVC 골판(34)은 여과조유입구(31) 방향에서 여과조배출구(32) 방향으로 세워서 여과조(3) 내에 설치하는 데, 여과조(3)의 일측면에서부터 골판(34)의 골이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세운다. PVC 골판(34)의 설치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의 PVC 골판(34)은 길이가 너비의 2배이므로 일단 PVC 골판(34) 1장을 골이 수평방향으로 되게 여과조(3)벽에 붙여 수평거리 127 cm, 수직높이 63 cm 로 세운 다음에, 골판(34) 2장을 골이 수직방향으로 되게 수평거리 63 cm, 수직높이 127 cm 로 나란히 하여 수평거리 126 cm, 수직높이 127 cm 가 되도록 세운 다음, 다음 골판(34) 1장을 다시 골이 수평방향이 되게 붙이는 방식으로 여과조(3)에 빈틈없이 채워놓고, 수평방향으로 1장씩 세운 곳에 1장을 같은 방향으로 세워 넣는다.The PVC corrugated sheet 34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3 by sta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outlet 32 in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inlet 31, and the bones of the corrugated plate 34 are sequentially staggered from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3. More specifically,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PVC corrugated sheet 34, since the normal PVC corrugated sheet 34 is twice the width of the width of the PVC corrugated sheet (34) once on the wall of the filter tank (3) so that the bo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setting up the horizontal distance of 127cm and the vertical height of 63cm, put two corrugated sheets 34 in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63cm and the vertical height of 127cm so that the goal is in the vertical direction.The horizontal distance of 126cm and the vertical height of 127cm After setting up, the next corrugated sheet (34) is filled again in the filter tank (3) in such a manner that the bones are horizontally attached again, and one sheet is placed upright in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의 여과조(3)는 여러 개의 여과조(3)(일반적으로 10개 전후)가 병렬 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과조(3)를 여러 개의 여과조(3)로 분리배치하게 되면 유속을 극도로 느리게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미세 부유오물의 PVC골판(34)에의 침전 제거효과가 대단히 높아진다.The filtration tank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filtration tanks 3 (generally around 10) are arranged in parallel. Separation and placement of the filtration tank 3 into a plurality of filtration tanks 3 can control the flow rate extremely slowly, and thus the effect of sediment removal on the fine corrugated PVC sheet 34 is very high.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골판(34)이 적층구조는 별도의 적층 부재가 필요 없어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설치에 유리하다.The corrugated plate 3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a separate lamination member, thereby greatly reducing costs and is advantageous in installation.

여과조(3)에 유입된 사육수는 골판(34)끼리 교차되어 형성된 골을 통하여 흐르므로 매우 저속(약 5 mm/sec 정도)으로 이동하고, 형성된 골판(34)의 오물 침전 가능 면적이 바닥 면적의 약 40배에 이르기 때문에 여과재료가 없는 단순 침전지에 비해 동일 면적당 약 40배의 월등한 침전효과를 가진다. 또한, 여과조(3)로 유입되는 분해된 사료 찌꺼기, 분해된 배설물, 기타 미세 오염물 및 암모니아와 아질산과 같은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박테리아 등의 분해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발생, 증식되어 골판(34)에 부착, 형성되므로 생물여과조(3)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육수의 정화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조(3)는 약 90% 정도의 여과효율을 가지며, 4 ~ 5 개월간 청소가 필요없으며, 청소시 적층된 골판(34)을 분리할 필요없이 위에서 물을 뿌려주는 것만으로 오물 또는 오니가 아래로 흘러내려 경사면에 의해 한곳으로 모이고 여과조청소용 배출관(35)을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과조청소용 배출관(35)은 여과조(3) 하단에 있기 때문에 용이한 개방을 위하여 여과조청소용 배출관(35)에 스탠드 파이프(36)를 끼워 사용한다.The breeding 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tank 3 flows through the bone formed by crossing the bone plates 34 so that they move at a very low speed (about 5 mm / sec), and the sediment deposition area of the formed bone plate 34 is the floor area. Since it reaches about 40 times, it has about 40 times better sedimentation effect per same area than the simple sediment without filter material. In addition, decomposed microorganisms such as decomposed feed residues, decomposed feces, other fine contaminants, and bacteria that remove harmful gases such as ammonia and nitrite are naturally generated and propagated to adhere to the corrugated sheet 34. As it is formed, it can serve as a biological filtration tank (3), thereby maximizing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the breeding water. The filtration tank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tration efficiency of about 90%, does not need to be cleaned for 4 to 5 months, and the soil or sludge just by spraying water from above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stacked corrugated plates 34 during cleaning. Is flowed down and gathered in one place by the inclined surfac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discharge pipe 35 for cleaning the filtration tank. Since the filtration tank cleaning discharge pipe 35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3, the stand pipe 36 is fitted to the filtration tank cleaning discharge pipe 35 for easy opening.

여과조(3)에서 정화된 사육수는 사육수조(1)로 곧바로 재주수되거나 사육수조(1)로 주수되기 전에 별도의 수로 또는 공간을 통과하여 사육수조(1)로 재투입될 수 있다.Breeding water purified in the filtration tank (3) can be re-injected directly into the breeding tank (1) or re-injected into the breeding tank (1) through a separate channel or space before being fed into the breeding tank (1).

별도의 수로 또는 공간이 있으면 사육수의 유속을 조절하여 여과조(3)와 사육수조(1)간의 사육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여과조(3) 및 사육수조(1) 각각을 별도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re is a separate channel or space, the flow rate of the breeding water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breeding water between the filtration tank (3) and the breeding tank (1), and separate each of the filtration tank (3) and the breeding tank (1) There is a clean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어 시설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sh far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수조 1개의 상세 구조도이다.Figure 2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one breed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육수조로부터 오물이 배출되는 계통 표시도이다.3 is a system display diagram that the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breed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생물여과조 1칸의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of one submerged bio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생물여과조 1칸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merged bio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사육수조 2: 양수펌프 3: 여과조 1: breeding tank 2: pumping pump 3: filtration tank

11: 중앙격벽 12: 내부수로 13: 내부수로간 연결통로11: central bulkhead 12: internal channel 13: connecting passage between internal channels

14: 수차 15: 유체가이드벽 16: 오물흡입구14: aberration 15: fluid guide wall 16: dirt inlet

17: 오물배출관 18: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17: Waste discharge pipe 18: Stand pipe for waste discharge

19: 지하 오물 총배출관 21: 스크린망 22: 지하 배수관19: underground waste discharge pipe 21: screen net 22: underground drain pipe

23: 포획수조23: capture tank

31: 여과조유입구 32: 여과조배출구 33: 골판지지대31: filtration tank inlet 32: filtration tank outlet 33: corrugated support

34: 골판 35: 여과조청소용 배출구34: corrugated plate 35: filtration tank cleaning outlet

36: 여과조청소용 스탠드 파이프36: stand pipe for filtration tank cleaning

Claims (7)

물고기가 사육되는 하나 이상의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여과시켜 사육수조로 재투입시키는 여과조와, 사육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여과조로 이송시키는 양수펌프를 포함하는 양어 시설에 있어서,In a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t least one breeding tank in which fish are bre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and feeding back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and a pumping pump for transporting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breeding tank to the filtration tank. , 상기 사육수조는 긴 수로를 가지고, 상기 수로의 중앙에는 수로길이보다 짧은길이의 중앙격벽이 수로와 평행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로를 양끝단이 연통된 두개의 내부수로로 분리시키고,The breeding tank has a long channel, a central bulkhea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channel length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hannel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to separate the channel into two internal channels communicating with both ends, 상기 각각의 내부수로 내에는 내부수로 간에 사육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사육수 순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Inside each of the inner channel is provided with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breeding water between the inner channel, 상기 사육수 순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중앙격벽 끝단의 내부수로간 연결통로를 통과하는 사육수의 와류에 의하여 모여지는 오물이 배출되도록 오물흡입구가 중앙격벽 양끝 뒷편 바닥에 구비되어 있으며,Soil suction port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both ends of the central bulkhead so that the dirt collected by the breeding water vortice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inner channels of the central bulkhead end is discharged by the breeding water circulation means. 상기 오물흡입구에 모여진 오물이 오물배출관을 통하여 사육수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Fish farm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pipe is equipped with a stand pipe for waste discharge so that the waste collected in the waste suction po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reeding tank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로 폭은 1.5 m ~ 4 m 이고, 상기 중앙격벽 양 끝의 내부수로간 연결통로의 폭은 내부수로 폭의 1/3 내지 2/3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hannel width is 1.5 m ~ 4 m,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inner channel at both ends of the central bulkhead is characterized in that 1/3 to 2/3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channel. Fish farming facilit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상기 오물배출관에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에는 상하로 오물배출홈이 있고, 수위조절파이프가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밀착구비되어 수위조절파이프의 상하 이동으로 오물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is fixed or detachable to the waste discharge pipe, the waste discharge stand pipe has a waste discharge groove up and down,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is the waste discharge stand Fish farm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ipe to adjust the level of waste discharge by moving up and down the water level control pipe. 제3항에 있어서, 사육수의 순환을 원활히 하도록 사육수조의 모서리 부분에 유체 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물배출용 스탠드 파이프는 사육수조간 유체 가이드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4. The fluid guide wall of claim 3, wherein a fluid guide wall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breeding tank to facilitate circulation of the breeding water, and the stand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fluid guide wall between the breeding tanks. Fish farming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벽 일측 하단에는 양수펌프의 사육수가 여과조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여과조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조유입구 반대벽 상단에는 여과된 사육수가 사육수조로 재투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여과조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과조 바닥면은 사육수배출구 방향에서 여과조유입구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 아랫쪽에는 여과조청소용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사면 위에는 여과재료인 골판들이 지지되도록 골판 지지대가 수평으 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골판들은 상기 골판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되, 골판들의 골방향이 서로 순차적으로 교차밀착되어 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filter tank inl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wall breeding water flow into the filtration tank, One or more filtration tank so that the filtered breeding water is re-introduced into the breeding tank at the top of the opposite wall of the filtration tank inlet The outlet is provided, the bottom of the filter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tank inlet in the direction of the breeding water outlet, the outlet for the filter tank cleaning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rrugated support is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support the corrugated plates as the filter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the corrugated plate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rrugated support, the bone direction of the corrugated plate is fish farm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quential cross contact with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여과조와 사육수조 사이에는 별도의 수로 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사육수의 유속을 조절하는 한편, 여과조와 사육수조간의 흐름을 제어하고, 여과조 및 사육수조 각각의 별도 청소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separate channel o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ltration tank and the breeding tank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breeding water, control the flow between the filtration tank and the breeding tank, and separate cleaning of the filtration tank and the breeding tank is possible. A fish far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양수펌프는 축류식 펌프(axial flow pump)이고, 펌핑되는 사육수가 아래쪽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육수에 산소를 원활히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시설.The fish farming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pumping pump is an axial flow pump, and the pumping breeding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to smoothly supply oxygen to the breeding water.
KR1020070092926A 2007-09-13 2007-09-13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KR100889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26A KR100889497B1 (en) 2007-09-13 2007-09-13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26A KR100889497B1 (en) 2007-09-13 2007-09-13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826A true KR20090027826A (en) 2009-03-18
KR100889497B1 KR100889497B1 (en) 2009-03-19

Family

ID=4069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26A KR100889497B1 (en) 2007-09-13 2007-09-13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497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667A (en) * 2013-06-21 2013-09-11 江苏福瑞水产养殖有限公司 Circulating water high-density ecological breeding system
KR101330704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air lift apparatus
KR101330705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Apartment type and plant type farming-building using air lift apparatus
CN103651231A (en) * 2013-10-11 2014-03-26 福建省农业科学院中心实验室 Aquatic livestock breeding system and method
CN104221982A (en) * 2014-08-28 2014-12-24 中国农业大学 Fish, vegetable and edible fungus symbiotic system in greenhouse
CN108157271A (en) * 2017-11-30 2018-06-15 云南省渔业科学研究院(云南省渔业病害防治和质量检测中心) A ki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loatation type aquaculture system sewage collection system
WO2020197023A1 (en) * 2019-03-27 2020-10-01 주식회사 조인트리 Energy-independent smart aquaculture system
CN111919810A (en) * 2020-08-22 2020-11-13 朱剑文 Ecological three-dimensional planting and breeding device
WO2021088811A1 (en) * 2019-11-07 2021-05-14 京东数科海益信息科技有限公司 Underwater sewage suction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114772865A (en) * 2022-05-16 2022-07-22 安徽农业大学 Leiocassis longirostris breeding tail water purification method
CN115104569A (en) * 2022-08-08 2022-09-27 岳阳渔美康生物科技有限公司 Eddy current type recirculating aquaculture equipment
KR20220144984A (en) * 2021-04-21 2022-10-28 (주)아쿠아넷 Waterway Circulating Filter Fish Farm System Using Circulating Pumps
CN115462342A (en) * 2022-09-16 2022-12-13 关欣仪 Integrated fish farming system
CN115644119A (en) * 2022-11-17 2023-01-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Hierarchical gathering and bulkhead cleaning device for fishes in closed culture water tank
CN116420671A (en) * 2023-06-01 2023-07-14 惠州市海燕水产养殖科技有限公司 Efficient 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CN119184018A (en) * 2024-11-27 2024-12-27 山东简智机械制造有限公司 Fish seed breeding device convenient to trade water clear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08B1 (en) 2009-08-03 2011-06-21 주식회사 씨에버 Shellfish marine farming facility
CN103416344B (en) * 2012-05-23 2016-02-10 津伦(天津)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The purification of industrialized fish pond discharge cycle and drainage
KR101315624B1 (en) * 2013-01-10 2013-10-08 유병화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KR101318263B1 (en) * 2013-01-10 2013-10-15 유병화 A precipitator for a nursery to cycle filtration
KR101555134B1 (en) * 2014-02-20 2015-09-22 유병화 Recirculating aquacultural tank
KR101533189B1 (en) * 2014-02-20 2015-07-02 유병화 Sedimentation tank
KR101642663B1 (en) 2015-07-22 2016-07-27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Hygienic aquaculture tank system
KR102084318B1 (en) * 2018-07-27 2020-03-03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Apparatus for accommodation to sea water from fresh-water in trout fish
KR102102047B1 (en) * 2018-08-28 2020-04-17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The combinated farming way of fish
KR102489192B1 (en) 2020-06-12 2023-01-17 원진수산영어조합법인 Drum screen apparatus for fish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067A (en) * 1996-05-24 1997-12-09 Shigeru Masuda Structure of culturing pond
KR100393443B1 (en) * 2001-02-27 2003-08-02 주식회사 네가트론 Terrestrial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KR100461959B1 (en) * 2003-01-11 2004-12-18 민병서 An apparatus of multi-storied canal-type closed recirculating system for aquatic animal culture with mineral particles and foam fractionator
JP3964415B2 (en) 2004-09-01 2007-08-22 ▲隆▼ 桝井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704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air lift apparatus
KR101330705B1 (en) * 2011-10-24 2013-11-19 유병화 Apartment type and plant type farming-building using air lift apparatus
CN103283667A (en) * 2013-06-21 2013-09-11 江苏福瑞水产养殖有限公司 Circulating water high-density ecological breeding system
CN103651231A (en) * 2013-10-11 2014-03-26 福建省农业科学院中心实验室 Aquatic livestock breeding system and method
CN104221982A (en) * 2014-08-28 2014-12-24 中国农业大学 Fish, vegetable and edible fungus symbiotic system in greenhouse
CN108157271A (en) * 2017-11-30 2018-06-15 云南省渔业科学研究院(云南省渔业病害防治和质量检测中心) A ki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loatation type aquaculture system sewage collection system
CN108157271B (en) * 2017-11-30 2024-02-20 云南省渔业科学研究院 Environment-friendly floating type sewage collection device for aquaculture system
WO2020197023A1 (en) * 2019-03-27 2020-10-01 주식회사 조인트리 Energy-independent smart aquaculture system
WO2021088811A1 (en) * 2019-11-07 2021-05-14 京东数科海益信息科技有限公司 Underwater sewage suction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111919810A (en) * 2020-08-22 2020-11-13 朱剑文 Ecological three-dimensional planting and breeding device
KR20220144984A (en) * 2021-04-21 2022-10-28 (주)아쿠아넷 Waterway Circulating Filter Fish Farm System Using Circulating Pumps
CN114772865B (en) * 2022-05-16 2023-09-22 安徽农业大学 Leiocassis longirostris breeding tail water purification method
CN114772865A (en) * 2022-05-16 2022-07-22 安徽农业大学 Leiocassis longirostris breeding tail water purification method
CN115104569A (en) * 2022-08-08 2022-09-27 岳阳渔美康生物科技有限公司 Eddy current type recirculating aquaculture equipment
CN115462342A (en) * 2022-09-16 2022-12-13 关欣仪 Integrated fish farming system
CN115462342B (en) * 2022-09-16 2024-04-12 关欣仪 Integrated fish culture system
CN115644119A (en) * 2022-11-17 2023-01-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Hierarchical gathering and bulkhead cleaning device for fishes in closed culture water tank
CN115644119B (en) * 2022-11-17 2023-10-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Fish grading gathering and catching and bulkhead cleaning device in closed type cultivation water cabin
CN116420671A (en) * 2023-06-01 2023-07-14 惠州市海燕水产养殖科技有限公司 Efficient 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CN116420671B (en) * 2023-06-01 2024-04-26 惠州市海燕水产养殖科技有限公司 Efficient 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CN119184018A (en) * 2024-11-27 2024-12-27 山东简智机械制造有限公司 Fish seed breeding device convenient to trade water clea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497B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97B1 (en) Circulation filtration fish farming facility including return breeding tank
EA006534B1 (en) Aquaculture system
JP2005508644A (en) Aquatic aquaculture channels
KR101444206B1 (en) Multi -process system for aquaculture waste water with package type bio-filter
AU2002336790A1 (en) A raceway for cultivating aquatic organisms
KR101865618B1 (en)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of Block Module Type
CN217160830U (en) Pond engineering circulating water aquaculture sewage treatment auxiliary system
KR101774866B1 (en) The system for prevention of algae inflow to purification plant and the method using it
CN207811495U (en) A kind of simple fishpond sewage disposal system
CN215855659U (en) A kind of circulating aquaculture water treatment device
CN216808542U (en) Dirty transfer device of birds animal manure
JP3045661B2 (en) Breeding filtration equipment
CN210559962U (en) Rural domestic sewage&#39;s processing system
CN210505663U (en) Air floatation machine for treating papermaking wastewater
KR102081262B1 (en) Aquaculture tank for marsh snail
CN208898701U (en) Glass reinforced plastic biochemistry pool
KR102221507B1 (en) Fish farm having bubble separator
CN208509884U (en) Advective runway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CN205575885U (en) Integrated treating equipment is used in ecological lavatory of hydrologic cycle
KR20210074787A (en) Purification Tank
CN220788307U (en) High-efficient cyclic utilization equipment of polymerization waste water
CN104944586B (en) Cascade cultur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N222485801U (en) Circulating water culture pond
CN218218815U (en) Floating type soft gutter channel culture system
CN219373504U (en) Modularized movable culture p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P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