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004A - dish washer - Google Patents
dish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4004A KR20090024004A KR1020070089176A KR20070089176A KR20090024004A KR 20090024004 A KR20090024004 A KR 20090024004A KR 1020070089176 A KR1020070089176 A KR 1020070089176A KR 20070089176 A KR20070089176 A KR 20070089176A KR 20090024004 A KR20090024004 A KR 200900240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rack
- dish
- dishwasher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랙; 및 상기 식기랙의 일측에 장착되며, 안착되는 컵의 거치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여, 강한 세척수가 분사되더라도 컵이 뒤집힌 상태에서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고 최초의 거치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컵 내부의 세척 상태를 좋게 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comprising: a dish rack in which dishes are stored; And a cup hold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h rack and maintaining a mounted state or a mounted position of a cup to be seated, even if strong washing water is sprayed, the first mounted state or mounted without falling or moving in a cup inverted state. It provides a dishwasher that can maintain its position and improve the cleaning inside the cup.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중에서 컵의 고정 및 안착이 명확하면서도, 식기랙의 움직임이나 세척수에 의해 컵이 움직이거나 컵끼리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컵홀더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for fixing and seating cups in a tableware and preventing cups from moving or colliding with each other by movement of the dish rack or washing water. will be.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the dishwasher is a home appliance for cleaning the food residue on the surface of the dish by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도 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부 식기랙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상부 식기랙에 장착된 컵 랙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dish rack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rack mounted to the upper dish rack according to FIG. 2.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컵 랙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10)는 외관을 이루고 전방이 개구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개구된 전방을 밀폐시키는 도어(14)를 포함하며, 식기 세척기(1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터브(12)가 놓이고, 터브(12)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물을 걸러서 다시금 분사되도록 하는 섬프(17)가 놓여있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터브(12)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되며, 상/하측에 구비되어 터브(12)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부랙(20) 및 하부랙(40)과, 상/하부랙(20)(30)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5,16)이 형성되어 있다. Dishes are accommodated in the
상기 도어(14)는, 도어(14)의 하단부에서 힌지(미도시)에 의해서 케이스(11)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또한, 상기 상부랙(20)의 일측에는 컵이 수용되어 세척되도록 하는 컵 랙(40)이 구비되고, 상부랙(20)의 타측에는 나이프 등 길이가 긴 도구들이 수용되도록 하는 나이프 랙(5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컵 랙(40)이 장착된 상부랙(20)은, 상부랙(20)의 하측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부랙(20)에 수납되는 식기 등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상부노즐(15)과, 상부노즐(15)에 연결되어 상부랙(2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노즐홀더(18)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또한, 외곽프레임(23)의 일측에 구비되어, 컵이 수납되어 세척되도록 하는 컵 랙(40)과, 외곽프레임(23)의 타측에 구비되어 나이프 등 길이가 긴 도구들이 수납되어 세척되도록 하는 나이프 랙(50)이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knif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상기 외곽프레임(23)은 상부와 하부 틀을 이루는 폐곡선 형상의 수평프레임 (21)과, 양 끝단이 수평 프레임(21)에 결합되고,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상의 수직 프레임(22)과, 양측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랙(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랙롤러(25)가 포함된다. The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2)은 일측 끝단이 수평 프레임(21)의 전방에 결합 되고, 타측 끝단이 수평 프레임(21)의 후방에 결합되는 전후 랙프레임(22a)과, 일측 끝단이 수평 프레임(21)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수평 프레임(21)의 우측에 결합되는 좌우 랙프레임(22b)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전후 랙프레임(22a) 및 좌우 랙프레임(22b)이 다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상부랙(20)의 바닥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망 형상으로 되어 식기가 수납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front and
한편, 상기 컵 랙(40)은 수평프레임(2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컵 랙(4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컵 랙(40)은 수평 프레임 (21)에 장착시 소정 각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컵 랙(40)에 컵이 안착되어 세척될 때 세척수가 컵의 내부까지 분사되도록 하고, 컵에 세척수가 고이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컵 랙(40)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41)과, 프레임 (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21)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착탈부(42)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프레임(41)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컵이 안착되어 세척되도록 하고, 세척수는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프레임(41)의 상부면은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착탈부(42)가 형성되는 측의 제1면 (45)과, 컵이 안착되는 제2면(46)으로 구분된다. 착탈부(42)가 형성되는 측의 제1 면(45)은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컵이 안착되는 제2면(46)은 컵이 안착되는 각도를 더 형성하여 컵의 건조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제2면(46)의 일측 단부에서 제1면(45)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프레임(41)의 상면은 일측 단부에서 착탈부(42)가 형성되는 타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와 소정 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면(45)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46)으로 구분되고, 제1면(45)과 제2면(46)이 단차지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41)의 상면은 소정 길이만큼만 경사지도록 하여 제2면 (46)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상면이 소정 길이만큼만 경사지도록 하여 착탈부 (4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제2면(46)에 컵이 놓일 때 컵이 외곽 프레임(23)에 닿지 않게 된다.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4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컵이 컵 랙(40)에 더 많은 각도로 경사지게 놓일 수 있게 되어, 컵의 건조 성능이 향상되게 되고, 상기 단차에 의해 컵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된다.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랙(40)은 거치되는 컵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컵의 고정 및 안착이 명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이로 인해, 컵을 컵랙(40)에 거치한 후 컵랙(40) 내지 상부랙(20)을 인입출하는 과정에서 컵이 움직이거나 컵끼리 부딪혀서 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p is moved or collid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또한, 세척하고자 하는 컵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거치된 컵이 세척수의 강한 물살에 의해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움직여서 컵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not many cups to be washed, the mounted cups may not be in place by the strong water current of the washing water and move back and forth.
뿐만 아니라, 컵을 뒤집어서 컵랙에 안착한 상태로 컵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컵랙에 충분히 많은 컵을 거치하여 세척수의 물살에 의해 컵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세척하고자 하는 컵이 많지 않으면 컵이 뒤집힌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즉, 컵의 개구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컵랙에 거치하더라도 컵이 고정되지 못하여 세척수의 강한 물살에 의해 컵이 넘어지면서 컵을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wash the cup with the cup upside down and seated on the cup rack, it is necessary to mount enough cups on the cup rack to prevent the cup from falling over by the water of the washing water. It was hard to maintain. That is, even though the cup is mounted on the cup rack with the opening of the cup facing down, the cup could not be fixed and the cup could not be washed cleanly because the cup fell by the strong water of the wash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컵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컵의 고정 및 안착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eparate cup holder for fixing the cup to provide a dishwasher that the user can clearly know the fixing and seating of the cup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을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컵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컵홀더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up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cu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랙의 인입출 시에 컵끼리 부딪히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컵홀더 또는 컵랙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or a cup rack that can prevent cup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when taking out of the table rack.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끝부분에 고무재질의 컵고정부재가 형성된 컵홀더를 구비하여 강한 세척수가 분사되더라도 컵이 최초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having a cup fixing membe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t the end thereof so that the cup can be kept in the first mounting state even if strong washing water is spray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컵을 거치하더라도 컵이 뒤집힌 상태에서 세척수의 물살에 의해 컵이 넘어질 염려가 없는 컵홀더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that does not worry that the cup falls by the water of the wash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up is turned upside down even if one cup.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랙; 및 상기 식기랙의 일측에 장착된 컵랙;을 포함하며, 상기 컵랙은 안착되는 컵을 개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컵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tableware is a tableware is stored; And a cup rack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h rack, wherein the cup rack provides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for individually supporting a cup to be seated.
이와 같이, 각각의 컵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식기랙의 인입출시 또는 세척시에 컵끼리 부딪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us, by providing the cup holder which supports each cup individually, it can prevent that cups collide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taking out of the said dish rack or washing | cleaning.
또한,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랙; 및 상기 식기랙의 일측에 장착되며, 안착되는 컵의 거치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ableware rack is stored tableware; And a cup holder mounted to one side of the dish rack and maintaining a mounted state or a mounted position of the cup to be seat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의 사용 초기에 컵을 거치한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강한 물살에 컵이 뒤집히거나 상부 식기랙의 인입출시에 컵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hold the cup in the initial state of the dishwasher or maintain the mounting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cup from flipping over the stro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or moving the cup when the upper dish rack is pulled out. Can be.
여기서, 상기 컵홀더는 적어도 2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는 거치되는 컵의 깊이 또는 높이와 거의 대등한 길이를 가지며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바가 컵의 내부에 위치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의 끝단들의 둘레가 컵의 내경 보다 크더라도 컵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cup holder includes at least two support bars, and the support bars are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body that can be bent and have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depth or height of the cup to be mounted. As a result, the support bar is positioned inside the cup to stably support the cup, and can firmly support the cup even if the circumferences of the ends of the support bar ar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up.
또한,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는 안착되는 컵과 접촉하며 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컵고정부재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 의해 컵이 긁히는 등 컵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bar may further form a cup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cup to be seated to prevent the cup from moving. This may reduce damag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such as scratching the cup by the end of the support bar.
한편, 상기 컵고정부재는 고무로 형성되며 컵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 의해 컵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컵의 지지면적을 넓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p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ru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cup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is prevents the cup from being scratched by the end of the support bar and can increase the support area of the cup.
또한, 상기 지지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지지바들은 이웃하는 지지바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 지지바들의 하단이 한 곳에서 모이도록 형성하거나 상단의 간격을 하단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내경이 서로 다른 여러 형태의 컵이더라도 동일한 컵홀더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ar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toward the top, or the support bar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n inverted triangle with the neighboring support bar.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to be gathered in one place or by forming the intervals of the upper ends larger than the intervals of the lower ends, even cups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may be supported using the same cup holder.
한편, 상기 컵랙 또는 상기 컵홀더는 상기 식기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식기랙으로부터 장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컵랙 또는 컵홀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컵랙 또는 컵홀더를 회전시켜 세워 놓거나 상기 식기랙에서 상기 컵랙 또는 컵홀더를 분리함으로써, 식기랙에 더 많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p rack or the cup holder is rotatably mounted to the table rack 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from the table rack. Therefore, when the cup rack or cup holder is not used, the table rack or cup holder may be rotated to stand or the cup rack or cup holder may be separated from the table rack, thereby storing more dishes in the table rack.
또한, 상기 컵랙 또는 상기 컵홀더는 상기 식기랙 중에서 상부에 설치된 상부 식기랙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식기랙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하부 식기랙에는 접시 등의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식기랙과 식기 세척기의 터브 사이에 형성되어 버려지기 쉬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rack or the cup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upper table rack installed on the upper of the table rack. For this reason, large tableware, such as a plate, can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table rack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aid dish rack, and the narrow space formed easily between the upper table rack and the tub of the dish washing machine can be utilized efficient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컵을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컵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컵의 고정 및 안착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in which a user can clearly know the fixing and seating of the cup by providing a separate cup holder capable of individually fixing the cup.
또한, 본 발명은 컵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컵홀더에 사용자 가 컵을 뒤집어 걸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cup because the user only needs to turn the cup upside down to the cup hold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up.
또한, 본 발명은 식기랙의 인입출 시에 컵끼리 부딪히거나 컵이 움직여서 컵랙에서 떨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컵홀더 또는 컵랙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having a cup holder or a cup rack that can prevent cup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or falling from the cup rack when cups are drawn ou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끝부분에 고무재질의 컵고정부재가 형성된 컵홀더를 구비하여 강한 세척수가 분사되더라도, 컵이 뒤집힌 상태에서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고 최초의 거치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컵 내부의 세척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formed with a rubber cup fixing member at the end, even if the strong washing water is sprayed, the cup can be maintained in the original mounting state or mounting position without falling or moving in the inverted state, A dishwasher is provided that can improve the cleaning condition inside the cup.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several aspects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컵 랙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컵 홀더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First,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cup rack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랙(100)은 컵을 안치거나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컵을 개별적으로 지지하거나 거치되는 컵의 최초 거치 상태 내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컵 홀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 일측에는, 컵 랙(100)의 아래쪽에 있는 식기랙에 수납되는 식기의 일단과 접촉하여 그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식기지지 돌기 (111)가 형성되어 있다.Here,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컵 랙(110)을 상부 식기랙(도 1의 20,30 참조)에 장착하거나 탈착하기 위한 착탈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부(112)에는 식기랙에 걸릴 수 있도록 개구부(1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랙(100)이 식기랙에 걸린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컵 랙(100)이 식기랙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컵랙장착 돌기(112b)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상기 프레임(110) 상면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는 컵홀더(150)가 구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컵 랙(110)에 컵홀더(150)가 한 개만 형성되어 있으나, 컵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컵 홀더(150)는 하나의 뿌리에서 분지된 몇 개의 줄기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 컵 홀더(1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의 지지바(151)와, 지지바 (151)의 일단 즉 상단에 형성된 컵고정부재(152)를 포함하며, 지지바(151)는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3개로 형성한다.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바들(151)은 하단부가 하나의 연결접점(153)에 모여 있고, 상단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단부에는 컵고정부재(152)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upport bars 151 have lower ends gathered at one
이 때, 컵고정부재(152) 또는 지지바(151)들의 상단은, 도 5에서와 같이 대략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컵 홀더(150)에 거치되는 컵의 대부분이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도 5에서는, 지지바(151)가 3개인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였는데, 이와 같이 지지바(151)가 3개인 경우에는 지지바(151)의 상단이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컵의 지지 안정도를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이다.In FIG. 5, an example of three
또한, 상기 지지바(151)는 거치되는 컵의 깊이 또는 높이와 거의 대등한 길이를 가지며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지지바(151)가 컵의 내부에 위치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 (151)의 끝단들의 둘레가 컵의 내경 보다 크더라도 컵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복수개의 지지바(151)의 상단이 거치되는 컵의 내부에 들어가야 하는데, 만약 지지바(151)가 휘어지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으면, 지지바(151)의 상단을 연결한 원형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의 개구부를 가지는 컵을 거치할 수 없게 된다.That is,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51 should enter the inside of the cup, if the
한편, 상기 컵고정부재(152)는 지지바의 일단에 형성되어 안착되는 컵과 접촉하며 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지지바(151)의 끝단에 의해 컵이 긁히는 등 컵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컵고정부재(152)는 고무 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컵 과 접촉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지지바(151)의 상단에 의해 컵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컵과 컵고정부재(152)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즉, 상기 컵고정부재(152)가 거치되는 컵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바 (151)의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지지바(151)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힘이 컵의 내면에 가해지면, 컵고정부재(152)의 형태가 변하면서 컵의 내면과 거의 면접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지지바(151)들 사이의 간격은 지지바(151)의 하부에서 그 상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형성하거나, 각각의 지지바(151)가 이웃하는 지지바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 지지바(151)들의 하단이 한 곳에서 모이도록 형성하거나(도 5참조) 상단의 간격을 하단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의 지름이 서로 다른 여러 형태의 컵이더라도 동일한 컵홀더(150)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bars 151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즉, 컵이 직접 씌워지는 즉, 걸려지는 컵 홀더(150)의 상단이 하단 보다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을 모은 후 컵을 씌우게 되면 아주 작은 지름의 개구부를 가진 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컵을 거치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up is directly covere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hanging
한편, 상기 컵랙(100)은 식기랙(20,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식기랙 (20,30)으로부터 장탈착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컵랙(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컵랙(100)을 회전시켜 세워 놓거나 식기랙(20,30)에서 컵 랙(100)을 분리함으로써 식기랙에 더 많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랙(100)의 일측에는 개구부(112a)와 컵랙장착 돌기(112b)를 구비한 착탈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2a)와 컵랙장착 돌기(112b)의 내면이 대략 원형을 이루기 때문에 컵 랙(100)을 회전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at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중에서, 컵홀더(150)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면에는 스토퍼(1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13)는 컵홀더(150)에 거치하지 못한 컵을 프레임(110)의 상면에 안착하는 경우에, 컵이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
또한, 상기 컵랙(100)은 식기랙(도 1의 20,30 참조) 중에서 상부에 설치된 상부 식기랙(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식기랙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하부 식기랙(30)에는 접시 등의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 식기랙(20)과 식기 세척기(도 1의 10 참조)의 터브(도 1의 16 참조) 사이에 형성되어 버려지기 쉬운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컵을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지금까지는 컵 랙(100)과 일체로 형성된 컵홀더(15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컵 랙 없이 컵홀더만 식기랙에 장착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Until now,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식기랙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식기랙의 부분 측면도이다.6 is a partial front view of a dish rack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dish rack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FIG. 6.
도 6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랙(101)과, 식기랙(101)의 일측에 장착되며 안착되는 컵의 거치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하는 컵홀더(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컵홀더(250)를 제외한 식기 세척기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dishwasher which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의 사용 초기에 컵을 거치한 상태 또는 거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강한 물살에 컵이 뒤집히거나 식기랙(101)의 인입출시에 컵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ser can hold the cup at the initial use of the dishwasher or maintain the mounting position, the cup is turned upside down by the stro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or the cup is moved when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컵홀더(250)는, 일단이 식기랙(101)에 장착되는 와이어 형태의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에 지지바(251)의 하단이 결합되고, 지지바(251)의 상단에는 컵고정부재(252)가 장착된다.Referring to FIG. 6, the
한편,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의 타단은 와이어 형태로 생긴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타단은 식기랙(101)에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p
상기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의 일단에는 개구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253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링형상의 제2걸림부(253b)가 있다.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일단에는 개구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254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링형상의 제2걸림부(254b)가 있다.One end of the first cup
여기서,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의 제1걸림부(253a)는 식기랙(101)에 장탈착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고, 제2걸림부(253b)는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제2걸림부(254b)와 동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로드(255)를 끼워서 양자를 힌지체결한다.Here, the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제1걸림부(254a)는 식기랙(101)에 장탈착 가능한 상태로 체결된다.The
여기서,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의 제1걸림부(253a) 및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제1걸림부(254a)가 개구된 고리형상이기 때문에, 컵홀더(250)가 식기랙(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기랙(101)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컵홀더(2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컵홀더(250)를 회전시켜 세워 놓거나 식기랙(101)에서 컵홀더(250)를 분리하여 식기랙(101)에 더 많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Here, since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드(255)는 거치되는 컵의 직경 보다 길거나, 컵홀더(250)의 컵고정부재(252)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원의 직경 보다 긴 막대 형상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1컵홀더장착부재(253)의 제2걸림부(253b) 및 제2컵홀더장착부재(254)의 제2걸림부(254b)는 각각 연결로드(255)의 양측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1컵홀더장착부재(253) 및 제2컵홀더장착부재(254)는 각각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식기랙(101)은 식기 세척기의 터브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식기랙인 것이 효과적이다.Here, the
한편, 상기 식기랙(101)의 양측에는 수납바퀴(160)가 장착되며, 이 수납바퀴(1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컵홀더(250)에 거치되는 컵이 크거나 길다면 수납바퀴(160)의 높이를 낮게 하여 컵홀더(250)에 거치되는 컵이 식기세척기의 터브 천정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지금까지 설명한 컵홀더 또는 컵랙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컵의 안착위치와 거치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식기랙의 인입출이나 세척수의 강한 물살 로 인해 컵이 파손되거나 컵이 뒤집어서 세척상태가 나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By using the cup holder or cup rack described so far,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seating position and mounting state of the cup, and the cup is broken or the cup is inverted due to the strong water of the drawer rack or the washing water. Can be prevented.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설명한 식기세척기는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described so far should be understood a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minimum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grasped from various viewpoi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boundary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도 2는 도 1에 따른 상부 식기랙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able rack according to Figure 1,
도 3은 도 2에 따른 상부 식기랙에 장착된 컵 랙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p rack mounted to the upper table rack according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컵 랙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cup rack hav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컵 홀더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식기랙의 부분 정면도,6 is a partial front view of a dish rack provided with a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컵 홀더를 구비한 식기랙의 부분 측면도이다.7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dish rack with the cup holder according to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컵 랙 101: 상부 식기랙100: cup rack 101: upper tableware rack
110: 컵 랙 프레임 111: 식기지지돌기110: cup rack frame 111: dish support
112: 착탈부 113: 스토퍼112: detachable part 113: stopper
150,250: 컵 홀더 160: 랙 바퀴150,250: Cup Holder 160: Rack Wheel
151,251: 지지바 152,252: 컵고정부재151,251: support bar 152,252: cup fixing member
253: 제1컵홀더장착부재 254: 제2컵홀더장착부재253: first cup holder mounting member 254: second cup holder mounting memb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9176A KR20090024004A (en) | 2007-09-03 | 2007-09-03 | dish 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9176A KR20090024004A (en) | 2007-09-03 | 2007-09-03 | dish 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4004A true KR20090024004A (en) | 2009-03-06 |
Family
ID=4069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9176A Withdrawn KR20090024004A (en) | 2007-09-03 | 2007-09-03 | dish 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24004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11476A (en) * | 2018-08-13 | 2020-02-21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Bowl basket and dish washing machine |
KR102141318B1 (en) * | 2019-12-06 | 2020-08-04 | 정윤경 | Apparatus for washing tumblr |
CN111802999A (en) * | 2019-04-11 | 2020-10-23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Dishwasher rack and dishwasher |
CN111802997A (en) * | 2019-04-11 | 2020-10-23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Dishwasher rack and dishwasher |
-
2007
- 2007-09-03 KR KR1020070089176A patent/KR2009002400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11476A (en) * | 2018-08-13 | 2020-02-21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Bowl basket and dish washing machine |
CN111802999A (en) * | 2019-04-11 | 2020-10-23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Dishwasher rack and dishwasher |
CN111802997A (en) * | 2019-04-11 | 2020-10-23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Dishwasher rack and dishwasher |
KR102141318B1 (en) * | 2019-12-06 | 2020-08-04 | 정윤경 | Apparatus for washing tumbl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1912B1 (en) | Dish washer | |
US8714371B2 (en) | Dishwasher basket with a cup support | |
EP2898814A1 (en) |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 |
WO2008060029A1 (en) |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 |
EP3164045B1 (en) | Dishwasher comprising a wire rack with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 |
KR20100037460A (en) | Rack assembly of washing machine | |
KR20060100706A (en) | dish washer | |
KR20090024004A (en) | dish washer | |
US20060254627A1 (en) | Dishwasher with utensil basket | |
JP3188145B2 (en) | Dishwasher dishware basket | |
JP2015160028A (en) | dishwasher | |
CN217659717U (en) | Cleaning basket assembly and cleaning machine thereof | |
KR101240857B1 (en) | Rack structure of dishwasher | |
KR20170021600A (en) | Dishwasher | |
EP3302211B1 (en) | Bottle washing accessory for use on the article rack of a dishwasher | |
KR20130092484A (en) | Dish washer | |
JP4123367B2 (en) | Dishwasher tableware basket | |
KR20090054116A (en) | dish washer | |
KR200386351Y1 (en) | Rack of dish washer | |
KR20070008807A (en) | Rack structure of dishwasher | |
JP6111410B2 (en) | dishwasher | |
JP2003024264A (en) | Container for storing dishes and utensils | |
KR20230133660A (en) | Dish washer | |
CN111184489B (en) | Tableware cleaning machine | |
KR20070008808A (en) | dish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