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261A -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9261A KR20090019261A KR1020070083556A KR20070083556A KR20090019261A KR 20090019261 A KR20090019261 A KR 20090019261A KR 1020070083556 A KR1020070083556 A KR 1020070083556A KR 20070083556 A KR20070083556 A KR 20070083556A KR 20090019261 A KR20090019261 A KR 200900192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bracket
- retainer
- airbag housing
- moun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쿠션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쿠션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와; 일측이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된 브래킷을 포함함으로써, 헤드 임팩트 발생시 충격 흡수와 쿠의 전개시 지지 역할 간의 이율배반관계(trade off)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에어백, PAB, 인스트루먼트, 헤드 임팩트, 브래킷, 강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 임팩트(head impact) 상황에 대응하여 에어백과 차체의 장착 구조를 개선한 에어백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주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에 탑승한 승원을 보호하는 장치로서, 설치 위치에 따라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Bag, DAB)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PAB)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에어백 중 특히 조수석 에어백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도 2에 도시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A)은 에어백 하우징(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전개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수납되어 전개가스가 공급되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되는 쿠션(6) 등으로 이루어져서,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에 의해 차 실내의 탑승자를 안전 하게 보호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는 상기 쿠션(6)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져서 상기 쿠션(6)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될 수 있게 하는 테어 라인(1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A)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상부가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하부가 브래킷(14)을 통해 상기 엔진 룸 측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14)은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머리가 에어백 모듈(A) 측에 직접 충돌하되, 쿠션(14)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충돌인 경우를 헤드 임팩트라 하는데, 헤드 임팩트 발생시 조수석 승객의 상해를 가능한 줄이기 위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헤드 임팩트 발생시 상기 브래킷(14)의 강성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므로 상기 브래킷(14)의 강성을 약하게 설계해야되는데, 반대로 쿠션(6)의 전개시 인플레이터(4)의 폭발과 함께 가중되는 반작용으로 인한 하중을 상기 브래킷(14)이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14)의 강성이 커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 임팩트 발생시 충격 흡수와 쿠션(6)의 전개시 지지 역할 간의 이율배반관계(trade off) 때문에 상기 브래킷(14)의 설계가 어렵고, 헤드 임팩트 성능과, 쿠션(14)의 전개시 지지 성능을 모두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 임팩트 발생시 충격 흡수와 쿠의 전개시 지지 역할 간의 이율배반관계(trade off)가 생기지 않도록 개선하여, 브래킷의 설계가 용이해 질 수 있고, 헤드 임팩트 및 쿠션의 전개시 지지 성능이 모두 향상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쿠션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쿠션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와; 일측이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헤드 임팩트시 파단 가능한 간이 볼트로 에어백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간이 볼트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간이 볼트의 체결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와 브래킷의 결합 부분과 반대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리테이너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브래킷이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헤드 임팩트 발생 전에는 브래킷이 리테이너를 통해 에어백 하우징과 결속되어 에어백 모듈을 견실하게 지지하고, 헤드 임팩트 발생시에는 브래킷과 에어백 하우징의 결속이 해제되어 그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헤드 임팩트 발생시 충격 흡수와 쿠의 전개시 지지 역할 간의 이율배반관계(trade off)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브래킷의 설계가 용이하고, 헤드 임팩트 성능 및 지지 성능이 모두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 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는, 차체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50)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6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설치된 쿠션(6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설치된 인플레이터(64)와, 상기 인플레이터(64)와 쿠션(62)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66)와, 일측이 상기 리테이너(66)와 결합되고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52)와 결합된 브래킷(5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는 상기 브래킷(54)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66)와 용이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가능토록 슬릿(slit)(60A)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66)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장착되되, 헤드 임팩트 발생시 상기 에어백 하우징(60)과의 장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헤드 임팩트 발생시 파단 가능한 간이 볼트(67)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장착된다.
상기 간이 볼트(67)는 헤드 임팩트 발생시 파단 가능토록 강성이 크지 않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이 볼트(67)는 헤드 임팩트 발생시 파단 가능토록, 테어 라인(tear lin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이 볼트(67)는 헤드 임팩트 발생시 파단 가능토록, 상기 리테이너(66)와 브래킷(54)의 결합 부분과 반대쪽에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간이 볼트(67)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견실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54)은 상기 리테이너(66)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여러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특히 헤드 임팩트 발생시에도 상기 리테이너(66)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리테이너(66)와 용접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54)은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4)은 상기 쿠션(62)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모듈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큰 강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장착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임팩트 발생 전에는 상기 리테이너(66)가 상기 간이 볼트(67)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54)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0) 또한 상호 결속된 상태이다.
반면, 헤드 임팩트가 발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4)은 강성이 크기 때문에 변형되지 않고 버티기 때문에, 상기 간이 볼트(67)가 파단되어 상기 리테이너(66)와 에어백 하우징(60)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브래킷(54)과 에어백 하우징(60) 간 결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60)이 상기 브래킷(5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밀리면서 헤드 임팩트 발생으로 인한 충격이 흡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헤드 임팩트 발생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인스트루먼트 패널 52 ; 카울 크로스 멤버
54 ; 브래킷 60 ; 에어백 하우징
62 ; 쿠션 64 ; 인플레이터
Claims (6)
- 차체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쿠션과;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와;상기 인플레이터와 쿠션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와;일측이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리테이너는 헤드 임팩트시 파단 가능한 간이 볼트로 에어백 하우징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간이 볼트는 플라스틱 재질인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간이 볼트의 체결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와 브래킷의 결합 부분과 반대쪽에 위치된 에어백 장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은 리테이너와 용접 결합된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브래킷이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는 슬릿(slit)이 형성된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3556A KR20090019261A (ko) | 2007-08-20 | 2007-08-20 |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3556A KR20090019261A (ko) | 2007-08-20 | 2007-08-20 |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9261A true KR20090019261A (ko) | 2009-02-25 |
Family
ID=4068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3556A KR20090019261A (ko) | 2007-08-20 | 2007-08-20 |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926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15200A1 (en) * | 2009-11-13 | 2011-05-19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
KR101337804B1 (ko) * | 2011-11-29 | 2013-12-06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
CN109130807A (zh) * | 2018-07-31 | 2019-01-04 | 鲁东大学 | 一种家用汽车逃生车身装置 |
-
2007
- 2007-08-20 KR KR1020070083556A patent/KR200900192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15200A1 (en) * | 2009-11-13 | 2011-05-19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
US8246074B2 (en) * | 2009-11-13 | 2012-08-21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
KR101337804B1 (ko) * | 2011-11-29 | 2013-12-06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
CN109130807A (zh) * | 2018-07-31 | 2019-01-04 | 鲁东大学 | 一种家用汽车逃生车身装置 |
CN109130807B (zh) * | 2018-07-31 | 2021-08-27 | 鲁东大学 | 一种家用汽车逃生车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4448B2 (en) | Airbag arrangement | |
US6241278B1 (en) | Vehicle having a roof mounted inflatable cushion | |
CN107000669B (zh) | 用于车辆的乘客约束系统 | |
US7703797B2 (en) | Mounting bracket for rail mounted airbag inflator | |
JP2008137629A (ja) |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 | |
JP4811169B2 (ja) | 車体構造 | |
US6942241B2 (en) | Occupant protective arrangement and a vehicle therewith | |
JP3972765B2 (ja) | 乗員脚部保護装置 | |
JP5000279B2 (ja) |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 |
JP5208930B2 (ja) | 膝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 |
KR20090019261A (ko) |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 |
CN1638990A (zh) | 车辆用乘员膝部保护装置 | |
KR20120041505A (ko) | 후석 승객 보호를 위한 차량의 커튼에어백 장치 | |
KR101003899B1 (ko) | 커튼 에어백 모듈 | |
KR100990614B1 (ko) |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 |
KR101594774B1 (ko) | 커튼에어백 장치 | |
JP5229260B2 (ja) |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 |
KR100587407B1 (ko) |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 |
KR100563831B1 (ko) |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 |
JP2787347B2 (ja) |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 |
KR100622428B1 (ko) | 조수석 에어백 모듈 | |
KR102739786B1 (ko) |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 |
KR20060016405A (ko) |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 |
KR101329009B1 (ko) |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 |
KR100336363B1 (ko) |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