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4204A -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 Google Patents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204A
KR20090014204A KR1020087030176A KR20087030176A KR20090014204A KR 20090014204 A KR20090014204 A KR 20090014204A KR 1020087030176 A KR1020087030176 A KR 1020087030176A KR 20087030176 A KR20087030176 A KR 20087030176A KR 20090014204 A KR20090014204 A KR 20090014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cation table
allocation
users
portions
co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490B1 (ko
Inventor
유시 카타바
미카 피. 린네
올라브 티르코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1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5Transmission of coding parameters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분할되는 할당 테이블에 의해 공유 다운링크 제어 채널 상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제1 부분의 고정 길이 및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은 선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제2 부분의 제2 가변 길이 및 MCS는 제1 부분에서 주어질 수도 있다. 견고성은 동일한 할당 테이블의 서로 다른 제2 부분들 간에, 또는 할당들을 교부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서로 다르게 근접해 있는 사용자들을 고려하도록 단일의 제2 부분 내에서도 변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제1 부분에서 (예: 불변 수의 사용자들), 그리고/또는 제2 부분에서 (제1 부분이 사용자들을 식별하지 않으면 할당되어지는 모든 사용자들 또는 추가적인 할당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 식별될 수도 있다.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집적 회로 및 시스템들이 상술된다.

Description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partitioned 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having fixed and variable component parts}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대체로 무선 통신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기기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하게는,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비 간의 다운링크 시그널링(downlink signaling)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약어들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GPP ->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AT -> allocation table [할당 테이블]
C_RNTI ->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DL -> downlink (node B to UE) [다운링크(노드 B에서 UE로)]
FECC ->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
HO -> hand over [핸드오버]
HS -> high speed [고속]
HSDPA ->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고속 데이터 패킷 액세스]
L1 -> layer 1, physical(PHY) layer [제1계층, 물리(PHY) 계층]
LTE -> long term evolution [미래 장기 진화]
MCS -> modulation coding scheme [변조 코딩 방식]
Node B -> base station [기지국]
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시스템]
PSK -> 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방식]
PTCCH -> packet timing advance control channel [패킷 타이밍 어드밴스 제어 채널]
QAM ->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
RLID -> radio link identifier [무선 링크 식별자]
RNC -> radio network control [무선 네트워크 제어]
RRC -> 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자원 제어]
SCCH-> shared control channel [공유 제어 체널]
SFR -> soft frequency reuse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
STBC -> space-time block coding [시공간 블록 코딩]
TA -> timing advance [타이밍 어드밴스]
UE ->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
UL -> uplink (UE to Node B) [업링크(UE에서 Node B로)]
UMTS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 evolved UTRAN [진화된 UTRAN], 또한 UTRAN-LTE로서도 그리고 3.9G로서도 불려짐
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공통의 제어 시그널링을 위한 통합된 엔트리 포맷(entry foramat)의 구현예들은 공유재산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509,697에서 기술되어 있고 "UNIFIED ENTRY FORMAT FOR COMMON CONTROL SIGNALLING"으로 칭해지는데, 이것은 전체로써 이 문서 내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이 공유재산 특허 출원은 3G 시스템, E-UTRA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 이상에 있어서의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에 관한 것이고, 더욱 특히 공유 시그널링 채널(shared signaling channel), 공유 제어 채널(SCCH)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도 알려진, 할당 테이블(AT)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AT는 셀 내 모든 UE들에게 SCCH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E-UTRA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에서의 기지국(eNodeB)은 DL 및 UL 양쪽 모두에 대하여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고, 다운링크 SCCH 상에서의 UE에 대한 할당들을 표시한다. SCCH는 페이징 표시자들(paging indicators) 및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응답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모든 수신 UE들에게 공통적인 다른 정보를 운반한다. 추가적인 정보, 예컨대 할당된 자원들에 관한 UL 트래픽 및 전송 포맷들에 대한 이전의 전송된 업링크 패킷들의 수신확인(acknowledgement)들이 또한 SCCH 상에서 제공된다.
주어진 UE에 대한 자원 할당 엔트리는 미리정의된 구조(통합된 엔트리 포맷)를 가진다. 그러나, DL 및 UL에서 자원들이 할당되는 UE들의 개수는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고, 따라서 자원 AT 내 엔트리들의 개수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다운링크에서의 임의의 주어진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된 제어 시그널링의 양은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다.
HSDPA HS-SCCH, 즉 UE-특정(specific) 제어 시그널링의 사용은, 인코딩 블록들로부터의 꼬리 비트들(tail bits) 및 ACK/NACK 시그널링을 위한 비트-필드 예약들(reservations)에 기인한 원치않는 오버헤드를 도입할 것이다. E-UTRA에서는, HSDPA와 대조되게, UL 자원 할당들은 또한 DL SCCH에서 전송된다. 덧붙여서, 다른 UL 할당 관련 제어 정보, 예컨대 전력 제어 및 타이밍 어드밴스는, DL SCCH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징 표시자들(Paging indicators) - 이는 둘 이상의 UE들에 의해 공유된다 - 및 랜덤 액세스 응답 - 이는 네트워크로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랜덤 UE들 중에서 공유된다 - 과 같이, 존재할 수도 있는 어떤 특정 비트-필드들이 있다. 따라서, UE-특정 시그널링 방식의 사용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반면에, 오버헤드 및 프로세싱 관점에서 볼 때 동일한 블록에서 몇몇의 UE들에게 신호하는 것과 각각 다수의 UE들의 제어 신호들을 결합하여 인코딩하는 것이 좋다.
다운링크 공유 제어 신호의 결합 인코딩(joint encoding)에서, 제어 데이터의 다수 인스턴스들(시그널링 비트-필드들)은 FECC로써 인코딩되는 단일 블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제어 시그널링 필드의 인코딩된 블록 길이가 제어 데이터의 다수의 소스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 필드의 길이는 상기에서 언급되었던 것과 같이 가변적일 수 있고, SCCH를 디코딩하고 있는 UE는 인코딩된 블록의 길이에 관한 지식을 요구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맹목적으로(blindly) 디코딩하는 것이지만, 발생할 수 있는 경우들의 수가 너무 커서 이 방식은 실행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UE는 그 인코딩된 필드의 길이에 관하여 더 높은 계층의 시그널링으로써 통보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L1 시그널링을 위해서는 너무 느리고 유연성없을(inflexible)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실제로 L1 프로세싱의 레이턴시(latency)를 증가시키고 성능을 제한할 것이다.
DL SCCH의 균일(uniform) 인코딩 및 변조는 가장 낮은 인코딩 오버헤드를 제공하지만, 그것은 일정한 약점들을 노출한다. 셀 영역 내 모든 UE들이 SCCH를 탐지하고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채널 코딩률(coding rate)은 가장 곤란한 수신 상태들에 관하여 정의될 필요가 있고, 그 코딩률은 셀 가장자리에서조차도, 적당한 디코딩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낮을 것이 요구된다. 실제로, 인코딩률(encoding rate)은 총 DL 용량(capacity)의 SCCH 오버헤드가 유지될 수 없게 되도록 낮게 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있다.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은 사용자들의 개체집단(population)에게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그 할당 테이블들의 적어도 그 제1 부분을 위한 전송 포맷은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a priori) 알고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에게 자원들을 할당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그 명령들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일으킨다. 그 동작들은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그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 할당 테이블들의 적어도 그 제1 부분을 위한 전송 포맷은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송신기 및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있다. 그 프로세서는, 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송신기는 그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그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할당 테이블들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위한 전송 포맷은 그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가 있다. 그 제1 회로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회로는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그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신기 및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기기가 있다. 그 수신기는 분할된 할당 테이블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프로세서는 알려진 채널 코딩 블록 내에서 그 할당 테이블의 고정 길이 제1 부분을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 길이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여 그 가변 길이 제2 부분이 정확히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그 기기에 대한 자원들의 할당이 완전히 수신되는지를 그 할당 테이블에 의거하여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노드 및 휴대용 무선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그 네트워크 노드는, 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고; 그리고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그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 휴대용 무선 기기는 그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그 할당 테이블을 수신하고 그리고 알려진 채널 코딩 블록 내에서 그 할당 테이블의 고정 길이 제1 부분을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 길이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여 그 가변 길이 제2 부분이 정확히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그 기기에 대한 자원들의 할당이 완전히 수신되는지를 그 할당 테이블에 의거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및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더 기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된다.
도 1은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이 활용될 때 DL SCCH를 두 블록들로 나누거나(splitting) 또는 분할하는 것(partitioning)을 묘사한다.
도 2는,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이 활용되지 않을 때, 또는 그것의 존재가 제어 채널 설계에 의해 생략될 때, DL SCCH를 두 블록들로 나누는 것을 묘사한다.
도 3은 DL SCCH 채널의 제1의 고정 부분(바람직한 DL UE 자원 할당들을 포함)을 도해한다.
도 4는 DL SCCH 채널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을 도해한다.
도 5는 DL SCCH 채널의 제1의 고정 부분이 공통 정보(예: 순수한 페이징 표시자들)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두 부분들을 가진 DL SCCH 채널의 후자 부분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하나의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더 강건한(robust) 인코딩 및 변조 방식이 제공된다.
도 7은 DL SCCH 채널의 제1 부분을 도해한다 (거기에 포함된 모든 UE ID 들(C_RNTI)를 가짐).
도 8은 UE 엔트리들(C_RNTI들을 제외함) 및 다른 콘텐트를 가진 DL SCCH 채널의 후자 부분을 묘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실행하는데 활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기술하는 로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UE-실행(UE-executed) 방법을 기술하는 로직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DL 공유 제어 신호의 물리적 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개별적으로 인코딩되는 필드들로 그 제어 채널을 분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에서 논의된 문제들을 극복한다. 예를 들면, WCDMA HSDPA 시그널링에서 각 UE는 DL에서 이용가능한 다수의 HS-SCCH 채널화 코드들(channelization codes) 중에서 하나의 채널화 코드를 탐지하고, 따라서, 제어 신호가 하나씩 단일 UE에 특정되고 그것을 위해 정의되고 고정되기 때문에 HS-SCCH는 항상 고정 길이 채널 코딩 블록으로 된다. 다수의 UE들을 위해 결합하여 인코딩되는 제어 시그널링은 WCDMA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UTRAN-LTE의 상황(context)에 관련되고 이하 에서 그 UTRAN-LTE의 상황 내에서 기술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DL 시그널링 채널에 의해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전송을 위한 UE들의 자원 할당들 및 제어를 시그널링하는 것에 관한 영역을 다룬다. 이것은 기지국 노드가 양쪽 링크 방향들 모두에 대한 자원 할당 및 제어를 담당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적어도 어떤 측면들은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하는 노드들은 같은 유형의 기기들이지만, 그러나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자원 예약들을 정의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 책임이 그 기기들 중 하나만에게만 할당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실행하는데 활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기기들의 단순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해하기 위해 먼저 도 9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진다. 도 9에서, 무선 네트워크(1)는, 때때로 eNodeB로서도 언급되는, Node B(기지국)(12)를 거쳐 UE(1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네트워크(1)는 RNC(14),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어떤 서빙 제어 노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서빙 RNC(SRNC)로서, 또는 패킷 무선 서빙 노드(eGSN)로서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노드"로서 언급될 수 있다. UE(10)는 데이터 프로세서(DP)(10A), 프로그램(PROG)(10C)을 저장하는 메모리(MEM)(10B), 및 Node B(12)와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적합한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10D)를 포함하고, 그 Node B(12)도 또한 DP(12A), PROG(12C)를 저장하는 MEM(12B), 및 적합한 RF 트랜시버(12D)를 포함한다. Node B(12)는 DP(14A) 및 연관된 PROG(14C)를 저장하는 MEM(14B)을 또한 포함 하는 노드(14)에 데이터 경로(data path, 13)를 거쳐 연결된다.
전형적인 경우에서는, Node 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 내에 위치된 UE들(10)의 개체집단이 있을 것이다. 그 UE들은 전형적으로 수신에 대한 신호대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의 서로 다른 동적 상태들을 경험할 것이고, 특히 셀의 "가장자리"(edge)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도 있는 UE들(10)의 하나 이상에 있어서 그럴 것이다.
아래에서 기술될 바와 같이, 적어도 PROG들(10C, 12C)은, 연관된 DP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그 전자 기기가 동작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PROG(12C)는, 분할되고 개별적으로 인코딩되는 DL SCCH를 이용하여, Node B(12)로 하여금 UE(10) 및 같은 셀 내의 다른 UE들에게 신호하도록 지시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고, PROG(10C)는 UE(10)로 하여금 DL SCCH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그 동일한 DL SCCH의 다양한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디코딩하도록 지시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네트워크에서 DP와 협력하는 것과 같이, UE(10)의 DP(10A) 및 다른 DP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들, 무선 통신 성능들(capabilities)을 가진 PDA들(personal digital assistants), 무선 통신 성능들 을 가진 휴대용 컴퓨터들, 무선 통신 성능들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들과 같은 이미지 캡쳐 기기들, 무선 통신 성능들을 가진 게임용 기기들, 무선 통신 성능들을 가진 음악 저장 및 재생 기구(appliance)들,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브라우징(browsing)을 허용하는 인터넷 기구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는 휴대용 유닛들 또는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EM들(10B, 12B, 14B)은 로컬의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어떠한 유형으로 될 수도 있고 반도체-기반 메모리 기기들, 자기 메모리 기기들 및 시스템들, 광학적 메모리 기기들 및 시스템들, 고정식 메모리(fixed memory) 및 착탈식 메모리(removable momory)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DP들(10A, 12A, 14A)은 로컬의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으로 될 수도 있고,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및 멀티코어(multicore) 프로세서 구조에 기반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실행에 적합한 그러나 비제한적인 기술적 상황 상에서 도입하였을 때,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제 도 1 내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부분들로 분할되는 DL SCCH를 제공하고, 어떻게 그 DL SCCH가 물리적 자원들에 맵핑되는지를 정의한다. DL SCCH의 제1 부분은 채널 부호화된 변조 심볼들(symbols)의 단위들의 고정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선험적으로 알려진 변조 및 채널 인코딩으로, DL 물리적 공유 채널 서브-프레임의 기결정된 자원 위치에, 위치된다. 그 제1 부분은 후자 부분 (또는 후자 부분들)의 존재 (또는 부재) 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경우 그 후자 부분(들)의 자원 위치 및 구조를 표시하는 헤더 필드를 포함한다. 그 후자 부분의 물리적 구조에 관한 정보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방식 또는 적어도 인코딩 필드의 길이와 같은 형태의 전송 포맷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전송 포맷은 추가적으로,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시공간 블록 코드(Space Time Block Code; STBC),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또는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Cyclic Delay Diversity; CDD) 및/또는 빔형성(beamforming)과 같은 특별한 멀티-안테나 프로세싱 기술들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 부분의 채널 코딩 및 변조 방식은 제1 부분의 그것과는 다를 수도 있고, 그것은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후자 부분(들)이 고정된 전송 포맷으로 되고, 그 제1 부분은 이러한 후자 부분(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채널의 물리적 자원 분할의 상황에서 서로 다른 전송 전력들을 사용하는 특정한 예는 DL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 (SFR)을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SCCH의 제1 부분은 단지 높은 전송 전력 프로파일들(profiles)이 할당된 물리적 자원들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SFR의 사용으로써 제한되지 않고, 원한다면, 그 부분들 중 둘 이상이, 높은 전송 전력 프로파일들이 할당된 물리적 자원들을 차지할 수도 있다.
그 후자 부분은 둘 또는 임의의 수의 개별 필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하나에는 다른 것보다 더 견고한 인코딩 및 변조 방식 또는 더 높은 전송 전력을 제공된다. 그 부분들 중 어느 것도 SFR의 경우에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들의 주어진 부분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고, 전부가 오히려 그 높은 전송 전력 프로파일들의 서브-캐리어들을 점유할 수도 있다.
SFR의 개념에 관하여는, 예를 들어, 2005년 5월 9일-13일 그리스 아테네에서의 3GPP TSG RAN WG1 Meeting #41의 R1-050507, Source: Huawei인 "Soft Frequency Reuse Scheme for UTRAN LTE"라고 칭해진 문서를 참조할 수도 있고, 이는 이것에 Exhibit B로서 첨부되고 여기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SFR은,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폭의 일정한 일부(서브-캐리어들의 일정한 집합들)가 그 주파수 대역폭의 다른 일부들(서브-캐리어들의 다른 집합들)보다 더 높은 전력에 의해 전송되는 시스템, OFDM과 같이 멀티-캐리어에 적용되는 방식이다. 이 유형의 주파수 도메인 전력 프로파일링(profiling)은, 주파수의 함수로서, 수신된 신호대간섭 상태들을 변경시키고, 이득을 허용한다. SFR 기술은 또한 비동기 광역 네트워크에서 실시가능한데, 왜냐하면 주파수 플랜(frequency plan)이 안정되어 있고 일시적인 조정(coordination)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파일럿(도 1 및 도 2에서의 참조 또는 REF) 심볼들은 SCCH의 제1 부분으로 주파수 다중화되어 보인다. 따라서, 파일럿 심볼들의 실제 밀도(density) 및 위치들에 따라, SCCH에는, 변조 파일럿 심볼들을 운반하는 서브-캐리어들을 제외하고, 단일의 OFDM 심볼 자원들의 고정 길이 (또는 그 것의 SFR 전력 프로파일 소부(fraction))가 주어진다. 이것은, 파일럿 심볼 밀도가 서로 다른 셀 영역들에서 서로 다를 수도 있을지라도, 그것은 UE(10)가 구비한, SCCH의 제1 부분에 관한 선험적 지식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페이징 표시 필드 및 헤더 필드에 더하여, AT의 제1 부분에 할당된 고정된 개수의(도 3에서 제시된 예에서는 3개) DL UE 할당들이 있다. 모든 다른 DL 할당들, UL 할당들, ACK/NACK 필드 및 다른 공유 제어 시그널링은 SCCH의 제2 부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DL SCCH의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은 단지 헤더 필드 및 페이징 표시들을 운반한다. 후자 부분은 가변 길이의 적어도 두 필드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중 하나는 다른 것보다 더 낮은 인코딩률 및 더 낮은-차수의 변조 방식 또는 더 높은 전송 전력을 활용할 수도 있다. 그 후자 부분 내 양 필드들 모두는 DL 및 UL 자원 할당들을 운반한다. 이 실시예에서 Node-B 스케줄러(scheduler)는 셀 가장자리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 UE들(10)을 위해 계획된 제어 신호들을 더 낮은 률의 인코딩 및 더 낮은 차수의 변조 방식들 및/또는 더 높은 전송 전력을 가진 제어 신호 필드로 할당할 수도 있고, 반면에 셀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된 UE들(10)은 더 높은 률의 인코딩 및 가능한 한 더욱 더 높은 차수의 변조 방식 및/또는 더 낮은 전송 전력을 가진 제어 신호 필드에 두어지는 그들의 할당들을 가진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부분 코딩률은 1/8 내지 1/6 차수의 길쌈 코드(convolutional code)로 될 수도 있고, 더 낮은 코딩률의 뒤따르는 부분들은 1/6 내지 1/3 차수의 길쌈 코드의 범위에 있을 수도 있고, 더 높은 코딩률은 1/3 내지 1/2 차수의 길쌈 코드의 범위에 있을 수도 있다. 터보 코드들(turbo codes) 또는 연접 코드들(concatenated codes)이 대안들로서 비슷하게 이용가능한데, 이는 해당 시스템의 표준 명세에서 그렇게 결정된 경우에 그렇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더 낮은 차수의 변조 방식은 QPSK 변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더 높은 차수의 변조 방식은 8PSK, 16QAM, 64QAM 또는 임의의 멀티-안테나 변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두 부분들로, 즉, 두 개의 채널 코딩 블록들(SCCH 부분 Ⅰ 및 SCCH 부분 Ⅱ로서 언급됨)로 SCCH를 분류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도해한다. 제1 부분(부분 Ⅰ)은 고정된, 선험적으로 알려진 변조 및 코딩을 가진 고정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Physical Resource Blocks, 20)로 맵핑된다. 이 선험적으로 알려진 변조 및 코딩 포맷은 명세 내에 기록될 수도 있고 또는 그것은 예를 들어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상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로 통보될 수도 있다. 제2 부분(부분 Ⅱ)은 가변적인 변조 및 코딩을 가진 가변적인 개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22)로 맵핑된다. SCCH의 제2 부분의 물리적 자원들, 변조, 코딩, 빔형성 등 전송 포맷 파라미터들은 SCCH의 제1 부분에 기술된다. 이 도면은 SFR의 사용을 가정하고, 따라서 SCCH의 제1 부분은 단지 높은 전송 전력 프로파일들만의 물리적 자원들을 이용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파일럿(참조) 심볼들은 도 1의 왼쪽에 있는 OFDM 심볼들 중에 산재되어(interspersed)(주파수 또는 시간-주파수 다중화되 어) 보여진다.
도 2는 두 부분들로, 즉, 두 개의 채널 코딩 블록들(다시 SCCH 부분 Ⅰ 및 SCCH 부분 Ⅱ로서 언급됨)로 SCCH를 분류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SFR을 이용하지 않는 또는 현존하는 SFR을 생략하는 제어 채널의 맵핑 기술을 도해한다. 제1 부분(부분 Ⅰ)은 고정된, 선험적으로 알려진 변조 및 코딩을 가진 고정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20)로 맵핑된다. 제2 부분(부분 Ⅱ)은 가변적인 변조 및 코딩을 가진 가변적인 개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22)로 맵핑된다. SCCH의 제2 부분의 물리적 자원들, 변조, 코딩, 빔형성 등 전송 포맷 파라미터들은 SCCH의 제1 부분에 기술된다. 도 2에서의 방식에 따라, 비록 SFR이 이용되었을지라도, SCCH의 제1 부분은 그 SFR을 생략하고, 참조(파일럿) 심볼들을 제외하지만, 제1 OFDM 심볼의 물리적 자원들을 충분히 사용한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제어 채널인 DL-SCCH가 적어도 두 부분들(20, 22)로 분류되고, 그들의 각각은 주파수 차원에서 분배된다는 것을 명백하게 한다. 이 주파수 분배는 분배된 서브캐리어 그룹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예: OFDM)에 존재한다. 그러하여 AT의 부분들은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집합들로 맵핑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각각이 서브-캐리어들의 집합인 상기와 같은 고정된 개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로 이루어진 어떤 일부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맵핑된다. 셀 가장자리에서의 UE들 대(對) 내부에 더 가까이 있는 UE들 간을 구별하는 것과 같이, 적응성있게(adaptively) 그 부분들을 송신하기 위해, 그 부분들 중 하나는 더 높은 전력으로 (제1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일부의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다른 부분은 더 낮은 전력으로 (제2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다른 일부의 대역폭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DL SCCH 채널의 제1의, 고정 부분(20)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보여준다. 이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길이) 부분(20)은, 제2 부분(22)을 수신하고 정확히 디코딩하기 위해 UE(10)의 의해 필요로 되는, 길이, MCS, 빔형성, 멀티-안테나 전송 방식 등과 같은, 제2 부분(22)을 위한 전송 포맷을 상술하는 정보(30A)를 포함하는 AT 헤더(3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예: 고정된 개수)의 UE-특정 할당 엔트리들(32) 및 이전의 할당들의 수신확인들 또는 페이징 표시자들을 상술하는 다른 추가 정보(34)가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DL SCCH 채널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22)을 더 상세하게 보여준다. 이 경우에서, 또한 복수의 UE-특정 할당 엔트리들(36) (제1 부분(20)에서 전달되지 않은 것들) 뿐만 아니라 (부차적인) 전력 제어, 타이밍 어드밴스, 수신확인 정보 등을 포함하며 UE 엔트리들과 같은, 할당 테이블의 나머지 일부를 제공하는 정보(38)가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DL SCCH 채널의 제1 (고정) 부분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 경우에서 그것은 도 3에서처럼 단지 AT 헤더(30) 및 페이징 표시자들(34) (잠재적으로 또한 RACH 응답)만을 포함하지만, 어떠한 UE-특정 엔트리들(32)도 구비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서는 모든 UE 할당 엔트리들은 제2 부분(22)에서 운반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처럼).
도 6은 DL SCCH 채널의 제2 부분(38)의 실시예를 도해하고 있는데, 여기서 제2 부분(38)은 서로 다른 MCS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2개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38A, 38B)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MCS(예컨대 부분(38A)에 대한 것)는 다른 것보다 덜 견고한 인코딩 및/또는 변조 방식을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더 견고한 MCS는 셀 가장자리 근처의 UE들(10)(이 예에서는 UE들(1,2,3))에 대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반면에 덜 견고한 MCS는 Node B(12)에 더 가까운 UE들(10)(이 예에서는 UE들(4, 5, 6))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DL SCCH 채널의 제1 (고정) 부분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 경우에서 그것은 제2 부분에서 자원 할당들을 가지는 UE들(10)을 위해, C_RNTI들과 같은 ID(identification)들을 포함한다. 이 특정한 시그널링 구조는 넓은 대역폭 DL, 즉 거기에서 제1 부분(20)이 요구되는 시그널링을 운반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지는 넓은 대역폭 DL 상에서 사용하기에 상당히 적합하다.
C_RNTI는 서빙 기지국(Node B, 12)의 활동영역(scope) 내 UE(10)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이다. C_RNTI는, 예를 들어, UE(10)가 DL에서 수신할 자원 할당들(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을 알리는데, 그리고 UE(10)가 UL에서 전송할 자원 예약(업링크 스케줄링 승인(grant))을 하는데에 적용된다.
도 8은 DL SCCH 채널의 제2 부분(38)에 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해하고, 이 경우에서 그것은 UE(10) 할당들을 위한 모든 엔트리들을 운반한다.
시그널링 자원이 부족할 것이 예상될 수 있고, 그래서 비트-필드들의 양이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될 것이기 때문에, C_RNTI 시그널링은 실제로 대부분의 시그널링 용량을 소비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시간 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 (비록 때때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이기는 하지만, 전형적으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동안 신호하는 다수의 UE들(10)은 서브-프레임 패킹(packing)의 효율성, 멀티-사용자 스케줄링의 효율성, 및 반면에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효율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논의된 방식들 중 어느 것에도 적용가능한 것인 C_RNTI는 주어진 서브-프레임 내에서 동일한 UE(10)를 위한 다운링크 할당 및 업링크 할당이 있는 경우에서 단지 한 번 신호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운링크만의(downlink-only) 엔트리들, 업링크만의(uplink-only) 엔트리들 및 다운링크-업링크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할당 엔트리들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할당 기재(allocation description)가 다운링크에 관해, 업링크에 관해 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쪽 모두에 관해 적용되는지, 링크 방향에 관한 2-비트 표시자를 추가함으로써 쉽게 적응된다. 대안적으로, UL만의 엔트리들 및 DL만의 엔트리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고정 길이의 비트 필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시그널링 엔트리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양쪽 할당을 표시하는 경우에서, 엔트리 포맷 그 자체는 각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위한 독립적인 전송 포맷 필드들을 지원한다. 여분의 C_RNTI 시그널링의 부족에 기인한 비트들의 절약은 여전히 중요하다. 실제로, 할당 시그널링 엔트리들이 그들의 순서 그 자체가 일정한 할당 등급을 기술하도록 배열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호간에 순서화된 리스트에서 UE 할당들이 처음에 나타나고 다운링크 할당들이 그 상호간에 순서화된 리스트에서 다음에 나타나도록, 시그널링을 구성하는 것 이 적절할 것이다. 이 경우에, UL 할당 엔트리의 부분으로서, 또한 관련된 결합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DL 시그널링이 DL 할당 순서화 리스트에서 그것의 자리를 잃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결합 UL-DL 시그널링 엔트리 내에 다운링크 순서화 리스트에서의 그것의 위치에 대한 포인터(인덱스)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를 극복하는 단순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유형의 시그널링 리스트들에 관한 인덱싱은, 어느 경우에서도 모든 UE들(10)에 의해 디코딩되어질 결합-코딩된 블록 내에 그 정보 모두가 포함되기 때문에, UE들(10) 중 어느 것에 관해서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어떠한 UE(10)도 확실히 그 코딩 블록을 디코딩하고 그 자체에 관련된 시그널링 필드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순서화에 관하여는, 단지 업링크 할당 순서 (이웃 주파수 블록들이 할당된다)만이 그 순서화된 리스트로서 역할을 하고, 다운링크 순서 (임의의 유동적인 주파수 블록들이 할당된다)는 어떠한 역할도 가지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이러한 경우이면, 인덱스 그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고 단지 할당 링크-방향 표시자만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한 예로, 도 10을 참조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DL SCCH 채널을 분할하고 (단계 A), 그리고 분할된 SCCH를 DL 상에서 UE들(10)로 전송하는 것(단계 B)을 포함하는, Node 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UE들의 개체집단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제1 부분은 그 UE들에 의한 수신 및 디코딩을 위한 그 UE들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최소한 그 UE들이 그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그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적어도 길이 및 MCS와 같은 전송 포맷을 그 UE들의 개체집단에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제2 부분은 또한 하나 이상의 채널 코딩 블록들로 네스팅(nesting)될 수도 있고, 여기서 전자의, 잠재적으로 더 견고한 코딩 블록들의 각각은 다음의 덜 견고한 채널 코딩 블록(들)의 전송 포맷 및 자원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수신 UE(10)는 그것이 그것과 관련된 시그널링을 찾는 레벨로만 그 네스팅된 채널 코딩 블록들을 프로세싱하고, 그 네스팅된 구조 내 뒤따르는 블록들의 어느 것도 UE(10)에 의해 프로세싱될 필요가 없다.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그들은, 더 그리고 덜 견고한 MCS 및/또는 높거나 낮은 전송 전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것처럼, 서로 다른 전송 포맷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반복(repetition), 블록 또는 길쌈 코딩과 같은 부가적인 외부 코딩을 활용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선택된 정보 요소들을 위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C_RNTI와 같은, 상기 선택된 정보 요소들에 대한 일부분 내에서 견고성(robustness)이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할당 테이블 헤더, 제1 부분 내 페이징 표시자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 내 그 AT의 나머지를 전송하고, 여기서 그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개개의 UE 엔트리들, (부차적인) 전력 제어 및 (부차적인)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제1 부분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UE-특정 엔트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길이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전송 포맷은, 서브-프레임 기반 상에서처럼 동일한 종류의 인스턴스마다 변할 수도 있다.
제1 부분은, UE(10)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그것은 OFDM 심볼들의 서브-캐리어들로 변조된 복수의 참조(파일럿)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분할된 DL SCCH 채널은 SFR을 가지고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그것은 SFR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또한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분할된 DL SCCH 채널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것에 응하는 UE(10)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UE(10)는 시간-주파수 동기화 및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획득하고 (단계 A), 수신된 서브-캐리어 심볼들을 저장 및 디코딩하고 (단계 B), 선험적으로 알려진 채널 코딩 블록 내 할당 부분의 고정 부분을 프로세싱하고 (단계 C) 그리고 그 할당의 가변 길이 부분이 정확히 수신되는지를 알기 위해 그리고 UE(10)를 위한 모든 관련된 특정(specific) 정보가 완전히 수신되는지를 알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그 할당의 가변 길이 부분을 프로세싱한다 (단계 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면 또한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분할된 DL SCCH 채널을 구성하고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Node B(12)와 같은 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또한 분할된 DL SCCH 채널을 구성하고 전송하도록 그리고 그 분할된 DL SCCH 채널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도록 동작가능한, 각각 Node-B(12)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그리고 UE(10)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한다.
그 분할된 DL SCCH 채널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회로는 네트워크 노드 내에 설치되는 그리고/또는 UE(10)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또는 회로 모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집적 회로 또는 모듈은,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1에서 실질적으로 보여지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그들 도면들의 각 블록은 그 집적 회로 또는 모듈의 회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이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측면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반면에 다른 측면들은 콘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이 블록 다이어그램들, 신호 흐름 다이어그램들, 흐름도들 및 로직 흐름 다이어그램들로서 또는 어떤 다른 그림 표현을 이용하여 도해되고 기술될 수도 있지만, 이 문서에서 기술된 이들 블록들, 장치들, 시스템들, 기술들 또는 방법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들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콘트롤러 또는 다른 컴퓨팅 기기들 또는 그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다.
기재되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집적 회로 모듈들과 같은 다양한 콤포넌트들로 실행될 수도 있다. 집적 회로들의 설계는 대체로 고도로 자동화된 프로세스이다. 복잡하고 강력한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로직 레벨 설계를 반도체 기판 상에 에칭(etching)되고 형성되기 위해 준비되는 반도체 회로 설계로 변환하도록 이용가능하다.
프로그램들, 예컨대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Mountain View)에 있는 Synopsys, Inc 및 캘리포니아주 산 호세(San Jose)에 있는 Cadence Design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은 잘 확립된 디자인 규칙들 뿐만 아니라 미리저장된 설계 모듈들의 라이브러리들(libraries)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반도체 칩 상에 콤포넌트들을 위치시키고 도선들을 라우팅(routing)한다. 반도체 회로에 대한 설계가 완료되었으면, 설계 결과는, 표준화된 전자 포맷(예: Opus, GDSⅡ 또는 그와 동종의 것)으로, 반도체 제조 설비 또는 제조를 위한 "fab"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전술한 설명이 읽혀질 때, 그 전술된 설명에 비추어 관련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예들 및 개조예들이 명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들에 관한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형예들은 여전히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몇몇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에 관한 대응되는 사용 없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들, 교시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단지 예시하는 것으로서 고 려되어야 할 것이고, 그것들에 관해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6)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고; 그리고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a priori) 알고 있는 적어도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하나의 특정한 할당 테이블이 하나 이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의 제1 부분은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 내 제2 부분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자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개수를 표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변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코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하나 이상의 채널 코딩 블록들로 네스팅(nesting)되고, 그 채널 코딩 블록들 각각은 사용자 장비 특정(specific) 엔트리들의 자원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들을 분할하는 것이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로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변조,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부분들 중 한 부분의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의 제2 부분 내에 있고 서로 다른 반복 코딩(repetition coding)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할당 테이블 헤더 및 페이징 표시자들(paging indicators)을 포함하고 사용자들에 대한 어떠한 개별적인 엔트리들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에 대한 개별적인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할당 테이블 헤더와 페이징 표시자들 및 사용자들에 대한 고정 개수의 엔트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사용자들과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가변 개수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것은,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들 중 어느 것의 전송 전력보다도 더 높은 전력으로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전송 포맷은 제1 전송 포맷을 포함하고,
    전송하는 것은, 상기 할당 테이블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2 전송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은 그 할당 테이블 내에서 업링크만의(uplink only) 엔트리들의 개수 및 다운링크만의(downlink only) 엔트리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고정 길이의 비트 필드(bit field)를 또한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것은 각각이 서브-캐리어들의 집합인 고정 개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맵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것은 제1 전송 전력으로 제1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전송 전력과 다른 제2 전송 전력으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집합과 다른 제2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상기 제2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에 대해 자원들을 할당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로서,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고; 그리고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a priori) 알고 있는 적어도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0. 제19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1.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하나의 특정한 할당 테이블이 하나 이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의 제1 부분은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 내 제2 부분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자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3. 제22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개수를 표시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4. 제19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변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5. 제19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코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하나 이상의 채널 코딩 블록들로 네스팅(nesting)되고, 그 채널 코딩 블록들 각각은 사용자 장비 특정(specific) 엔트리들의 자원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들을 분할하는 것이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로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변조,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복 코딩(repetition coding)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부분들 중 적어도 한 부분의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29. 제19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것은,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들 중 어느 것의 전송 전력보다도 더 높은 전력으로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전송 포맷은 제1 전송 포맷을 포함하고,
    전송하는 것은, 상기 할당 테이블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2 전송 포맷을 사용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 포함 메모리.
  31.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메모리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a priori) 알고 있는 적어도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하나의 특정한 할당 테이블이 하나 이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의 제1 부분은 상기 특정한 할당 테이블 내 제2 부분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4. 제3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자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개수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기기.
  36. 제3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변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7. 제31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에서 사용되는 코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하나 이상의 채널 코딩 블록들로 네스팅(nesting)되고, 그 채널 코딩 블록들 각각은 사용자 장비 특정(specific) 엔트리들의 자원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할당 테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로 분할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송신기는 서로 다른 변조,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분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부분들 중 한 부분의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의 제2 부분 내에 있고 서로 다른 반복 코딩(repetition coding)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네트워크 기기.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들 중 어느 것의 전송 전력보다도 더 높은 전력으로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전송 포맷은 제1 전송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할당 테이블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2 전송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할당 테이블 내에 그 할당 테이블 내 업링크만의(uplink only) 엔트리들의 개수 및 다운링크만의(downlink only) 엔트리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고정 길이의 비트 필드(bit field)를 포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각각이 서브-캐리어들의 집합인 고정 개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맵핑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제1 전송 전력으로 제1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송 전력과 다른 제2 전송 전력으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집합과 다른 제2 서브-캐리어 집합을 통해 상기 제2 부분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기.
  47.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도록 이루어진 제1 회로; 및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이 선험적으로(a priori) 알고 있는 적어도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전송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상기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제2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48. 제47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49. 제47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자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50. 제47항에 있어서,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변조 또는 코딩 중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각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그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들 중 어느 것의 전송 전력보다도 더 높은 전력으로 상기 제1 부분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집적 회로.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에 대하여, 서로 다른 코딩 또는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부분들 중 한 부분의 서로 다른 정보 요소들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집적 회로.
  53. 휴대용 무선 기기에 있어서,
    분할된 할당 테이블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수신기; 및
    메모리에 연결되고 그리고 알려진 채널 코딩 블록 내에서 상기 할당 테이블의 고정 길이 제1 부분을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상기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 길이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가변 길이 제2 부분이 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에 대한 자원들의 할당이 완전히 수신되는지를 상기 할당 테이블에 의거하여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기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의 길이를 상기 제1 부분에 의거하여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길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디코딩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무선 기기.
  55.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다수의 자원 할당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가변 길이 부분으로 할당 테이블을 분할하도록; 그리고 분할된 할당 테이블들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사용자들의 개체집단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 및
    휴대용 무선 기기로서, 상기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할당 테 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할당 테이블을 수신하고 그리고 알려진 채널 코딩 블록 내에서 상기 수신된 할당 테이블의 고정 길이 제1 부분을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할당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 길이 제2 부분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가변 길이 제2 부분이 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에 대한 자원들의 할당이 완전히 수신되는지를 상기 수신된 할당 테이블에 의거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무선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제1의 고정 길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휴대용 무선 기기가 선험적으로 알고 있고 각각의 로컬 메모리에 저장되며; 그리고
    할당 테이블의 제1의, 고정 길이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변 길이 부분의 길이, 변조, 코딩 및 자원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는, 시스템.
KR1020087030176A 2006-05-12 2007-05-11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Active KR101082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992006P 2006-05-12 2006-05-12
US60/799,920 2006-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204A true KR20090014204A (ko) 2009-02-06
KR101082490B1 KR101082490B1 (ko) 2011-11-11

Family

ID=3869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76A Active KR101082490B1 (ko) 2006-05-12 2007-05-11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225856B2 (ko)
EP (1) EP2022220B1 (ko)
JP (1) JP4951062B2 (ko)
KR (1) KR101082490B1 (ko)
CN (1) CN101849423B (ko)
BR (1) BRPI0712242B1 (ko)
MX (1) MX2008014469A (ko)
MY (1) MY151793A (ko)
RU (1) RU2411647C2 (ko)
TW (1) TWI426730B (ko)
WO (1) WO2007132329A2 (ko)
ZA (1) ZA200809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6322C (zh) * 2004-12-13 2009-12-0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传输寻呼指示和告知指示的方法及相应调制和解调装置
CA2651229C (en) * 2006-05-01 2013-03-1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plink synchronization through use of dedicated uplink resource assignment
US9265063B2 (en) * 2006-06-21 2016-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to transmit downlink signaling message on cellular systems for packet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message
EP2109973B1 (en) * 2007-01-09 2013-01-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dynamic sharing of resources between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for separately coded users
CN101247171A (zh) * 2007-02-16 2008-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使用约定资源发送控制信道的设备和方法
US8948092B2 (en) * 2007-03-21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451915B2 (en) * 2007-03-2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uplink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44981B2 (en) * 2007-05-31 2011-05-17 Motorola Mobility, Inc. Data transmiss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37328A2 (en) * 2007-09-19 2009-03-26 Nokia Siemens Networks Oy Scalable control channel design for ofdm-based wireless systems
US20090109912A1 (en) * 2007-10-25 2009-04-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llocation of uplink channel resources
US8265639B2 (en) * 2007-12-26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on scheme changes
KR20090083265A (ko) * 2008-01-29 2009-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할당방법
WO2009096714A2 (en) * 2008-01-29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s
EP2245785A2 (en) * 2008-02-04 2010-11-03 Nokia Corporation Mapping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resources
US20110106953A1 (en) * 2008-07-03 2011-05-05 Shigeto Suzuki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US8249531B2 (en) * 2008-10-31 2012-08-21 Apple, Inc. Transmit power measurement and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8855191B2 (en) * 2008-11-24 2014-10-07 Broadcast International, Inc. Parallelization of high-performance video encoding on a single-chip multiprocessor
EP2230786A1 (en) 2009-03-16 2010-09-22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quality feedback signal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67642B2 (en) * 2009-12-18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implicit indication of the size of messages containing variable-length fields in systems employing blind decoding
EP2564653B1 (en) * 2010-04-27 2018-10-17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63148A4 (en) * 2011-01-07 2017-08-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2104974B (zh) * 2011-02-28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预调度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3870267B (zh) * 2012-12-17 2017-04-0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处理数据中心网络中的数据对象的在计算机系统中实现的方法和计算机实现的系统
US9397776B2 (en) * 2013-02-2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Constant-capacity physical resource blocks for upstream transmissions over coax
US9246514B2 (en) * 2013-03-06 2016-0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to support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US10075266B2 (en) * 2013-10-09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scheme with unequal code block sizes
CN108200000B (zh) 2015-09-01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无线局域网装置
US10448285B2 (en) 2015-12-22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handling in ultra dense networks
US20180041992A1 (en) * 2016-01-13 2018-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network
US10499381B2 (en) 2016-04-01 2019-1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open-loop multi-user co-operative multi-point (CoMP) scheduling and transmission
WO2017194176A1 (en) 2016-05-13 2017-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amble power level scaling
CN107666708B (zh) * 2016-07-27 2019-12-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4096572A1 (ko) * 2022-11-04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073A1 (de) * 1997-11-18 1999-06-02 Nokia Mobile Phones Ltd Verfahren zum Steuern der Sende- und Empfangsaktivitäten eines lokalen Radiokommunikationssystems
JP2002135273A (ja) * 2000-10-27 2002-05-10 Sony Corp 無線伝送方法および無線伝送装置
BR0210557A (pt) 2001-06-25 2004-05-25 Nokia Corp Método para usar um enlace de rádio em uma modulação adaptativa no sistema de comunicações móveis, método para selecionar um esquema de codificação e de modulação para uso no sistema de comunicações móveis, e, método para uso no sistema de comunicações móveis possuindo um canal de rádio com uma qualidade do canal de rádio variante-tempo
KR100459573B1 (ko) * 2001-08-25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7508804B2 (en) 2002-04-05 2009-03-24 Alcatel-Lucent Usa Inc. Shared signaling for multiple user equipment
US6847678B2 (en) * 2002-04-25 2005-01-25 Raytheon Company Adaptive air interface waveform
US20060013181A1 (en) * 2002-07-31 2006-01-19 Victor Stolpm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s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RU2327290C2 (ru) 2003-11-19 2008-06-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общей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06000094A1 (en) * 2004-06-24 2006-01-05 Nortel Networks Limited Efficient location updates, paging and short bursts
KR20060060382A (ko) * 2004-11-30 2006-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09734A1 (en) * 2005-03-09 2006-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nd indicating ranging reg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653087B2 (en) * 2006-01-06 2010-01-26 Fujitsu Limited Methods of synchronizing subscriber stations to communications networks
TW200733622A (en) * 2006-01-17 2007-09-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to a physical channel in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N101652904B (zh) 2007-03-29 2012-03-21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连接器端子以及具备该连接器端子的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1647C2 (ru) 2011-02-10
US10225856B2 (en) 2019-03-05
CN101849423B (zh) 2014-06-18
TW200807933A (en) 2008-02-01
BRPI0712242A2 (pt) 2012-02-14
JP4951062B2 (ja) 2012-06-13
EP2022220A2 (en) 2009-02-11
JP2009542042A (ja) 2009-11-26
KR101082490B1 (ko) 2011-11-11
TWI426730B (zh) 2014-02-11
EP2022220A4 (en) 2013-08-14
US20070265016A1 (en) 2007-11-15
CN101849423A (zh) 2010-09-29
WO2007132329A2 (en) 2007-11-22
ZA200809643B (en) 2010-10-27
WO2007132329A3 (en) 2010-04-22
EP2022220B1 (en) 2020-02-26
MX2008014469A (es) 2009-03-09
RU2008148558A (ru) 2010-06-20
BRPI0712242B1 (pt) 2020-09-15
MY151793A (en)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490B1 (ko) 고정 및 가변 콤포넌트 부분들을 구비한 분할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CN101809929B (zh) 对控制信道的时间频率资源的分配
KR101086742B1 (ko) 공유 제어 채널 구조
JP6298027B2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制御情報送信方法、および制御情報受信方法
US10348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ing information in a single carrier FDMA system
RU25011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US7940795B2 (en) Signaling limitation of multiple payload sizes for resource assignments
WO2007119148A2 (en) Method providing efficient and flexible control signal for resource allocation
KR20080053335A (ko) 제어 채널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64262B1 (ko)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101314616B1 (ko) 데이터 매핑 방법, 데이터 복호화 방법 및 제어 채널 전송방법
KR101451984B1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및 장치와 이를 위한 제어 채널 후보군의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805

Appeal identifier: 2011101004328

Request date: 2011062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5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