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4055A -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055A
KR20090014055A KR1020070078294A KR20070078294A KR20090014055A KR 20090014055 A KR20090014055 A KR 20090014055A KR 1020070078294 A KR1020070078294 A KR 1020070078294A KR 20070078294 A KR20070078294 A KR 20070078294A KR 20090014055 A KR20090014055 A KR 20090014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ump
heat exchanger
pump module
compressor
assemb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욱
박대윤
홍석기
김종석
유승규
박혜용
최창규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055A/ko
Publication of KR2009001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05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1Charging refrigerant to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연결하여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송풍덕트를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에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히트펌프를 모듈화하여 그 불량 여부를 미리 시험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의류처리장치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의 제조과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팀, 열풍, 의류처리장치, 히트펌프, 모듈, 검사, 조립

Description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ASSEMBLING METHOD OF THE HEAT PUMP MODULE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HEAT PUMP}
본 발명은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히트펌프란 대기 중의 열을 흡수하여 원하는 공조공간 내부로 열을 방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란 공기조화시스템이 공조공간의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조공간 내부에 설치된 실내기와 실외에 위치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저온의 실외 대기로부터 냉매의 증발과정을 통하여 열을 흡수한 뒤 실내기 내의 열교환기에서 응축과정을 통하여 열을 방출하는 것을 작동원리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히트펌프는 증발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응축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는 각각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며, 각각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연결을 위한 배관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실내기와 실외기의 설치 및 배관의 연결은 별도로 수행되며, 배관의 연결이 완료되어야 냉매의 누설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상가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히트펌프가 공기조화시스템으로서 공조공간의 난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고, 후술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히트펌프 내에서의 증발기와 응축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일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및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1회 이상 동일한 의류를 착용하면, 의류에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잔류하게 된다.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은 동일한 옷을 다시 착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의류를 불필요한 세탁과정을 수행하여,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의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세탁후 건조가 완료된 옷이라도 구김이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의류를 즉시 착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다림질 작업 등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및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수용된 의류의 냄새, 구김 및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고,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습기가 함유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 또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의류를 바람 또는 열풍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냄새, 구김 및 습기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면, 미세한 물입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잔류하는 냄새입자와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에서 수용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의류에 공급된 스팀은 건조과정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과정은 단순 송풍 또는 열풍 공급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및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의류의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상태로 의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납실(10)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캐비넷 내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납실(1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시키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구비된 전장실(20)이 위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전장실(20) 내부의 핵심부품들 의 배치도이다.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5)는 공급되는 물을 전기히터에 의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는 공기를 전열기로 가열하는 가열식 히터 또는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구비하는 히트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히트펌프가 사용된다. 히트펌프의 구성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22), 냉매의 증발과 응축과정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열교환기(23) 그리고 제습 뒤 가열된 공기를 다시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팬이 설치된 송풍덕트(24)로 구성된다.
냉매의 증발과정과 응축과정이 수행되는 열교환기(23)와 압축기(22)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된다. 의류처리장치의 수납실(10) 내에서 공급되는 습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3)를 통과하면서, 증발과정과 응축과정을 거치고, 팬이 장착된 송풍덕트(24)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 내로 공급된다. 냉매의 증발과정에서 습한 공기는 응축되고, 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수가 되어 집수된다. 응축된 오수는 별도로 구비되고, 착탈이 가능한 오수 회수통(미도시)에 집수된다.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전장실(20) 내에 설치하고, 각각의 부품들을 배관으로 연결하여 히트펌프를 완성한 뒤에, 히트펌프의 냉매가 누설되거나, 싸이클이 정상작동하지 않음이 판단되면, 어느 부품의 불량인지 또는 어느 부분에서 냉매가 누설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의류처리장치 제조공정 전체가 지연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히트펌프의 조립과정의 효율을 향상시켜, 전체 의류처리장치의 조립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과 그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연결하여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송풍덕트를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에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를 진공화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진공화된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에 냉매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에 충진된 냉매의 누설을 검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 모듈의 정상작동을 시험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에 의해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히트펌프를 모듈화하여 그 불량여부를 미리 시험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의류처리장치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정상작동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이 전장실 내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히트펌프 모듈을 조립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2),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23) 및 상기 열교환기(23)와 압축기(22)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연결하여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제1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는 열교환기(23)와 압축기(22)를 냉매배관의 연결에 의하여 조립한다. 이때 사용되는 냉매배관(25)은 주로 동관이 사용된다. 동관은 부식에 강하고, 연성이 있으므로 쉽게 원하는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
열교환기(23) 내에서 주위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냉매의 증발과정이 일어나는 증발변(미도시)과 주위 공기로 방열하여 냉매의 응축과정이 일어나는 응축변(미도시)은 압축기(22)를 사이에 두고 냉매배관(25)으로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의 기본적인 조립은 열교환기(23)와 압축기(22)와 냉매 배관(25)을 연결하는 것이다. 냉매 배관을 열교환기(23)와 압축기(22)에 연결하는 작업은 용접작업 등이 될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은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와 팬이 장착된 송풍 덕트(24)의 결합하는 단계(제2단계)에 의하여 완성된다.
상기 송풍 덕트(24)는 상기 열교환기(23)의 응축변을 통과하면서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 열풍을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의 수납실(10) 내부로 송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송풍덕트를 결합하는 제2단계에 의하여 히트펌프 모듈의 기본적인 조립은 완성된다.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은 독립적으로 히트펌프로 작용할 수 있으며 냉매가 충진시켜 압축기를 작동시키고, 송풍 덕트(24) 내의 팬을 가동시키면, 송풍 덕트(24)는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단계와 제2단계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는 것보다 후술하는 몇가지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은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를 진공화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진공화된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에 냉매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만 완성된 히트펌프 모듈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전제로서, 배관 내부를 진공화하는 제3단계와 냉매를 충진하는 제4단계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은 히트펌프 모듈은 냉매의 누설을 검사하는 제5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2)와 열교환기(23)를 연결하는 냉매배관(25)의 연결과정에서 용접 등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냉매가 누설된다. 냉매의 누설의 판단은 냉매가 누설되면서 발생하는 소음 등에 의하여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소음 이외에도 냉매의 누설을 검사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은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의 정상작동을 시험하는 제6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처리장치 내의 수납실(10)에 수용된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를 모듈화하는 이유는 충전된 냉매의 누설여부와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 등을 미리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수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의 정상작동을 시험하는 제6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의 정상작동을 시험하는 제6단계는 압축기(22)와 송풍 덕트(24) 내의 팬을 작동하여, 송풍 덕트(24)의 토출단에서 열풍이 토출되는지 여부를 시험하면 된다.
전술한 각각의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은 도 1의 전장실 내에 장착된다. 히트펌프 모듈 이외에도 스팀발생장치(30), 히트펌프 모듈 내의 열교환기(23) 내에서 수집되는 응축수 회수통(미도시),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30)에 물을 공급하는 수통(미도시) 등과 함께 조립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 내부의 핵심부품들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이 전장실 내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용공간 20: 전장실
22: 압축기 23: 열교환기
24: 송풍덕트 25: 스팀발생장치
30: 냉매배관 100: 의류처리장치

Claims (5)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연결하여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송풍덕트를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에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를 진공화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진공화된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 내부에 냉매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열교환기 조립체에 충진된 냉매의 누설을 검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모듈의 정상작동을 시험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조립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078294A 2007-08-03 2007-08-03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eased KR20090014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94A KR20090014055A (ko) 2007-08-03 2007-08-03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94A KR20090014055A (ko) 2007-08-03 2007-08-03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55A true KR20090014055A (ko) 2009-02-06

Family

ID=4068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94A Ceased KR20090014055A (ko) 2007-08-03 2007-08-03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4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140A (ko) * 2014-12-19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140A (ko) * 2014-12-19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U2011245855B2 (en) Control method of dryer
KR101989522B1 (ko) 의류건조기
US9207015B2 (en) Dryer having evaporator equipped with second condenser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KR10143582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US20100043245A1 (en) Home laundry drier
WO2008013382A2 (en) Laundry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593992A (zh)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及烘干方法
CN104727111B (zh) 一种干衣机及控制方法
US2011017402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29108B1 (ko) 의류처리장치
CN104593991A (zh)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
KR100826204B1 (ko) 건조기
KR1013875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14055A (ko) 히트펌프 모듈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방법으로 조립된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4619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33601B1 (ko) 열풍 공급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
JP2013081640A (ja) 衣類乾燥機
KR20090001073A (ko) 복합의류처리장치
KR100880641B1 (ko) 세탁기
CN213203544U (zh) 阳台衣物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