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3445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445A
KR20090013445A KR1020070077561A KR20070077561A KR20090013445A KR 20090013445 A KR20090013445 A KR 20090013445A KR 1020070077561 A KR1020070077561 A KR 1020070077561A KR 20070077561 A KR20070077561 A KR 20070077561A KR 20090013445 A KR20090013445 A KR 2009001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ontainer
main body
contain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7007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445A/ko
Priority to PCT/KR2008/004456 priority patent/WO2009017371A1/en
Priority to BRPI0814850-3A priority patent/BRPI0814850A2/pt
Priority to CN200880109005A priority patent/CN101855146A/zh
Priority to EP08792971.7A priority patent/EP2183168B1/en
Priority to US12/671,612 priority patent/US20110220651A1/en
Priority to CA2695290A priority patent/CA2695290A1/en
Publication of KR2009001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44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09Upper closure of the 1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되어, 마개를 개방하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어 용기마개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여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마개, 캡, 실링부재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방하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 약품용기 등에는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실링부재(152)가 부착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용기입구(160)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고, 그 실링부재(152)가 외부의 충격이나 물체간의 접촉에 의하여 무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마개(154)가 씌워진다.
상기 용기마개(154)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60)에는 수나사부(16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마개(154)를 돌리면 용기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되거나 용기입구(16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용기 마개(154)는 용기 마개(154)를 잡고 돌리면 용기 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실링부재(152)를 용기입구(160)에서 제거하고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입구(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와 용기입구 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를 개방하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어 용기마개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여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분리된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 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돌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누름 동작하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실링부재 걸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 및 상기 용기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용기입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는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 내부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마개를 개방하기 전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판을 누른 후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 수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장착된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18)와,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6)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18)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18)를 본체(1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음료수 용기, 약품용기 또는 오일용기 등에 사용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18)가 부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2)는 그 끝부분 외주면이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입구(12)의 끝단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20)가 형성된다. 따 라서, 상기 실링부재(18)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입구(12)의 그루브(20)를 덮는 형태로 위치된다. 즉, 상기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는 용기입구(12)의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배치되고 그 가장자리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의해 용기입구(12)에 부착되지 않는 형태로 된다.
상기 실링부재(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질 또는 합성부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12)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24)과, 상기 탄성 지지층(24)의 하면에 부착되고 금속재질 특히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26)와, 상기 금속층(26)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2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링부재(18)는 상기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한 상태로, 일정한 강도의 자기장을 가하면(인덕션 가열방식) 금속층(26)이 가열되면서 접착층(28)이 녹으면서 용기입구(12)에 부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본체(16)를 돌리면 마개가 용기입구(12)에 장착되거나,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의 하단에는 파단이 용이한 다수개의 브리지에 의하여 연결된 스커트(34)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커트(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걸림된 상태로 용기입구(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커트(34)는 본체(16)를 회전시키면 뜯겨지면서 본 체(16)와 용기입구(12) 사이를 분리시킨다.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는 본체(16)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요철 형태의 돌기들(36)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6)은 용기입구(12)와 나사결합 이외에, 누름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입구(12)의 끝단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가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될 때 실링부재(18)는 본체(16) 내에 내장된 상태로 용기입구(12)와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회전하여 미리 실링부재(18)를 용기입구(12)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본체(16)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는 링형태의 지지돌기(22)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는 플라스틱 재질을 고려하여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완만한 오목한 또는 볼록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2)는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18)는 본체(16)를 회전시킴에 따라 본체(16)가 상승될 때 지지돌기(22)에 걸림되어 용기입 구(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돌기(22)는 상기 본체(16)가 상승되면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18)를 상측방향으로 밀어주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의 층으로 적층된 실링부재(18)를 본체(16)의 내부에 삽입한다. 즉, 본체(16)의 내부에 실링부재(18)를 밀어 넣으면 상기 실링부재(18)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지지돌기(22)를 통과하여 본체(16)의 상측 내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지지돌기(22)에 의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18)가 삽입된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18)의 하단에 도포된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한 강도의 자기장을 가하면(인덕션 가열방식), 금속층(26)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금속층(26)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접착층(28)이 녹으면서 용기입구(12)의 상면에 부착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본체(16)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2)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는 상태로 되고, 지지돌기(22)의 상측에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가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용기입구에 장착된 마개를 용기입구에서 분리하는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도이다.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커트(34)가 뜯겨지면서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 것을 확인시키고 본체(16)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본체(16)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22)가 본체(16)와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18)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18)는 지지돌기(22)에 의해 걸림되어 본체(16)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본체(16) 내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실링부재(18)를 별도로 뜯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6)를 다시 용기입구(12)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밀착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 분리부와 실링부재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40)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 브(20)에 삽입되어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 돌기부(42)와, 상기 지지 돌기부(42)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46)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상기 실링부재(40)를 같이 회전시켜 실링부재(40)가 용기입구(12)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돌기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재(4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걸림돌기들(46)이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46)의 형태는 요철 형태 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40)는 회전 돌기부(44)가 삽입되어 실링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하면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42)가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6)와 걸림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40)의 걸림돌기(46)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40)의 걸림돌기(46)를 밀어준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40)가 회전 돌기부(44)의 미는 힘에 의해 실링부재(4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뜯겨진다. 그리고 본체(16)를 더 회전 시키면 지지 돌기부(42)가 상승되면서 실링부재(40)를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40)는 지지 돌기부(42)에 걸림된 상태로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고, 본체(16)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4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4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뜯겨지도록 하고, 지지 돌기부(42)가 실링부재(40)를 상승시켜 용기입구(12)에 분리시킨 후 본체(16) 내부에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실링부재(40)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60)를 용기입구(12)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60)를 용기입구(12)에서 들고 나오는 실링부재 걸림유닛(70)을 갖는다.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70)은 본체(16)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72)과, 상기 누름판(72)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을 누르면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60)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74)와, 상기 누름판(72)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7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72)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7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72)은 상기 본체(1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72)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72)을 누르면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80)와, 상기 지지로드(80)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실링부재(60)가 본체(16)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60)가 걸림되는 걸림돌기(8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80)는 상기 누름판(72)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8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2)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펀치부(84)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기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60)의 안쪽면에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돌기(82)는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2)는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6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지지층(24)과, 금속층(26)과, 접착층(28)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걸림부(74)가 뚫고 들어가기 쉽 도록 상기 탄성 지지층(24)에는 상기 걸림부(74)가 통과하는 관통홀(78)이 마련된다.
즉, 누름판(72)을 누르면 상기 걸림부(74)는 탄성 지지층(24)에 형성된 관통홀(78)을 통과하여 금속층(26)을 뚫고 들어간다.
상기 연결부(76)는 상기 본체(16)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72)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76)는 상기 누름판(72)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다. 즉, 누름판(72)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76)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누름판(72)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72)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72)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해준다.
상기 연결부(76)는 다른 실시예로서, 누름판(72)과 본체(16)의 내면 사이에 S자 형태의 가이드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누름판(72)이 상기 본체(1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누름판(72)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부(7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74)의 지지로드(80)가 실링부재(60)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실링부재(60)의 탄성 지지층(24)에는 관통홀(78)이 형성되어 걸림부(74)가 보다 쉽게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74)의 걸림돌기(82)는 상기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때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80)의 펀치부(84)가 뚫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2)가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원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60)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16)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22)가 본체(16)와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60)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6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실링부재(60)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60)는 지지부에 의해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16)와 같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고 본체(16)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a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18)는 용기입구(12)에 결합되어 용기(1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입구(12)를 실링하면서 용기마개가 회전될 때 용기입구(12)와 분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18)은 다양한 구조 및 방식에 의하여 용기입구(12)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결합면적을 최소화하면 실링부재(18)는 용기입구(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결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8)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와 결합되는 면에 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8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8a)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링 상태를 보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출부(18a)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되는 결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8)에 돌출부(18a)를 형성하지 않고 또는 돌출부(18a)를 형성하는 동시에 용기입구(12) 중 실링부재(18)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a)는 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링부재(18)에 형성된 돌출부(18a)와 마주보거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마개는 회전할 때 실링부재(18)를 함께 회전시켜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바, 상기 용기마개의 본체(16)의 저면에는 도 11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기부(16a) 또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6a) 또는 요홈부는 사각형, 원형, 쇄기모양 등 다양한 형상 및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8)와 용기입구(12)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8)는 본체(16a)에 형성된 돌기부(16) 또는 요홈부에 대응되는 요홈부(18b) 또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8)는 재질의 특성상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 밀착될 때 자연스럽게 본체(16a)에 형성된 돌기부(16) 또는 요홈부에 대응되는 요홈부(18b)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므로 반드시 본체(16a)에 형성된 돌기부(16) 또는 요홈부에 대응되는 요홈부(18b) 또는 돌기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걸림유닛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용기입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6 : 본체 18 : 실링부재
20 : 그루브 22 : 지지돌기
24 : 탄성 지지층 26 : 금속층
28 : 접착층

Claims (18)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열을 가하여 실링부재의 접착층이 용기입구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 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그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걸림돌기들이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들은 요철 형태 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누름 동작하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실링부재 걸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 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층에는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이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실링부재가 본체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6.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및 상기 용기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용기입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7.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1020070077561A 2007-08-01 2007-08-01 용기마개 Ceased KR20090013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61A KR20090013445A (ko) 2007-08-01 2007-08-01 용기마개
PCT/KR2008/004456 WO2009017371A1 (en) 2007-08-01 2008-07-31 Closure of vessel
BRPI0814850-3A BRPI0814850A2 (pt) 2007-08-01 2008-07-31 Fechamento de um recipiente
CN200880109005A CN101855146A (zh) 2007-08-01 2008-07-31 容器罩
EP08792971.7A EP2183168B1 (en) 2007-08-01 2008-07-31 Vessel
US12/671,612 US20110220651A1 (en) 2007-08-01 2008-07-31 Closure of vessel
CA2695290A CA2695290A1 (en) 2007-08-01 2008-07-31 Closure of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61A KR20090013445A (ko) 2007-08-01 2007-08-01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445A true KR20090013445A (ko) 2009-02-05

Family

ID=4030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561A Ceased KR20090013445A (ko) 2007-08-01 2007-08-01 용기마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20651A1 (ko)
EP (1) EP2183168B1 (ko)
KR (1) KR20090013445A (ko)
CN (1) CN101855146A (ko)
BR (1) BRPI0814850A2 (ko)
CA (1) CA2695290A1 (ko)
WO (1) WO20090173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5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밀봉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1441A1 (en) * 2010-11-10 2013-11-07 Hee Kwon Rho Sealing member for vessel
US10689164B2 (en) * 2014-01-03 2020-06-23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with heat-sealed composite plastic and metal screw closure
KR102479970B1 (ko) * 2020-09-10 2022-12-21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2325A (en) * 1968-06-19 1971-10-12 Dover Molded Products Co Plastic screwcap with rotatable washer
US4181232A (en) * 1977-03-14 1980-01-0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ealed closure for plastic container with interlocking protective outer closure
US4666052A (en) * 1985-05-23 1987-05-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mper indicating cap assembly
US4721221A (en) * 1987-01-20 1988-01-26 Owens-Illinois Closure Inc. Molded plastic closure with sealing liner
US5285913A (en) * 1992-11-24 1994-02-15 H-C Industries, Inc. Closure assembly with insert liner
GB9316264D0 (en) * 1993-08-05 1993-09-22 Metal Closures Group Ltd Container closure with liner
GB2322362B (en) * 1997-02-13 2001-01-10 Portola Packaging Ltd Closure with liner and improved secondary seal
FR2793216B1 (fr) * 1999-04-20 2001-06-08 Pechiney Emballage Alimentaire Capsule de bouchage composite
US6595395B2 (en) * 2000-05-31 2003-07-22 Valois S.A. Dispenser having a fix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for such a dispenser
US6491175B1 (en) * 2000-06-28 2002-12-10 Saad Taha Single piece closure for a pressurized container
US20040026422A1 (en) * 2002-07-09 2004-02-12 Technology Center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DE102004032100B4 (de) * 2004-07-01 2006-06-22 Rainer Ammann Verfahren zum Ablösen bzw. Abtrennen einer auf den Rand des Halses einer Flasche od. dergl. aufgesiegelten Siegelfolie und Schraubkappen zur Ausführung dieser Verfahren
US20060186081A1 (en) * 2005-02-21 2006-08-24 Penn-Wheeling Closure, Llc Bottle cap and method therefor
KR101302197B1 (ko) * 2005-06-14 2013-08-30 노희권 어린이 보호용 마개
FR2886275B1 (fr) * 2005-05-25 2010-08-13 Bernard Jean Cuccia Dispositif supplementaire d'ouverture, pour capsules en metal et en plastique, facilitant l'ouverture des recipients en verre ou en plastique, en depression.
KR100677922B1 (ko) * 2005-11-01 2007-02-05 노희권 용기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5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밀봉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3168A1 (en) 2010-05-12
BRPI0814850A2 (pt) 2015-07-07
WO2009017371A1 (en) 2009-02-05
CN101855146A (zh) 2010-10-06
EP2183168B1 (en) 2013-08-21
CA2695290A1 (en) 2009-02-05
EP2183168A4 (en) 2011-08-03
US20110220651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307A (ko) 용기용 실링부재
US5170905A (en) Tamper-evident thin-walled container package
RU2684391C2 (ru) Колпачок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US20080099481A1 (en) Tamper-Evident Lid
US20100059516A1 (en) Container
KR20150143815A (ko) 캡 조립체 및 그 타전 방법
KR101775809B1 (ko) 캡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UA124134C2 (uk)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з контролем першого відкривання для отвору контейнера, зокрема пляшки
JP6463836B2 (ja) 容器キャップ組立体
EA003682B1 (ru) Система закры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а
KR20090013445A (ko) 용기마개
KR20080009968A (ko) 용기마개
KR102539968B1 (ko) 금속 캔 뚜껑
JP6831267B2 (ja) 詰め替え容器
KR100655892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JP3654542B2 (ja) 広口瓶用のキャップ
WO2017078166A1 (ja) 口栓、および口栓を有するフィルム製容器
KR20130092521A (ko) 용기마개
JP681208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263230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2000103454A5 (ko)
JP2004238045A (ja) Te性を有するプレスオンツイストオフ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と容器との閉栓構造
JP4667563B2 (ja) 合成樹脂製の分別回収キャップ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