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42U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3042U KR20090013042U KR2020080008095U KR20080008095U KR20090013042U KR 20090013042 U KR20090013042 U KR 20090013042U KR 2020080008095 U KR2020080008095 U KR 2020080008095U KR 20080008095 U KR20080008095 U KR 20080008095U KR 20090013042 U KR20090013042 U KR 2009001304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ing unit
- light
- pole
- indirect light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대해 기립 배치되는 전주; 상기 전주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점등되는 직접조명부; 및 상기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직접조명부와는 별개로 점등되는 간접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로의 지면을 비추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간접조명부의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로등, 경관, 조명, LED, 직접조명, 간접조명, 반사, 장식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지면을 비추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간접조명부의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설치한 조명시설이다.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 설치장소에 따라 그에 알맞은 종류가 사용된다.
가로등 전주의 형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주의 끝부분을 구부려서 그 끝에 등을 다는 하이웨이형, 전주의 끝부분에 가로로 가지를 뻗게 하여 거기에 등을 다는 브래킷형, 전주의 꼭대기에 등을 다는 주두형 등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로등의 경우에는 형광등이나 고압수은등, 아니면 나트륨등으로 된 직접조명부가 갖춰진 것이 전부이고, 직접조명부에 의해 도로의 지면을 비추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도로를 밝히는 본연의 기능 외에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지면을 비추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간접조명부의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면에 대해 기립 배치되는 전주; 상기 전주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점등되는 직접조명부; 및 상기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직접조명부와는 별개로 점등되는 간접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접조명부는, 상기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를 구비한 반사갓;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단색 혹은 다색의 배열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주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간접조명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간접조명부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빛 방향 가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의 지면을 비추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간접조명부의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접조명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간접조명부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로등(100)은, 지면(E)에 대해 기립 배치되는 전주(110)와, 전주(110)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E)을 향해 점등되는 직접조명부(120)와, 전주(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직접조명부(120)와는 별개로 점등되는 간접조명부(130)를 포함한다.
전주(110)는 가로등(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일정한 강성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에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데, 습기나 물에 부식이 되지 않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주(110)의 내부는 각종 전선 등의 배선을 위해 파이프 형태로 개방되어 있다.
직접조명부(120)는 전주(110)에 결합되며, 지면(E)을 향해 점등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면(E)을 환하게 밝히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직접조명부(120)는 통상의 나트륨등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 외에도 고압수은등, 메탈할라이드램프, LED, 보통 전구 등이 적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의 가로등(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10)의 끝부분에 가로로 가지(122)를 뻗게 하여 거기에 직접조명부(120)를 설치하는 브래킷형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브래킷형 외에 하이웨이형이나 주두형 등에도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간접조명부(130)는 전주(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접조명부(120)와는 별개로 점등되면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부가 기능이란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접조명부(130)는, 전주(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132)를 구비한 반사갓(131)과, 반사갓(131)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133, Printed Circuit Board)과, 인쇄회로기판(133)에 결합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34, luminescent diode)를 구비한다.
반사갓(131)은 간접조명부(13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반구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반구 형태의 반사갓(131)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반사갓(131)의 형태 및 모양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반사갓(131)의 내면에는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의 빛을 지면(E)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필름(131a)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착탈결합부(132)는 반사갓(131)을 전주(110)에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단순한 형태의 착탈결합부(132)는 볼트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착탈결합부(132)와 전주(110)에 상호 연통되는 연통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연통공으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착탈결합부(132)를 전주(1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방식에서 벗어나 예컨대 착탈결합부(132)에 후크 구조를 적용하고 전주(110)에 후크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후크 결합 방식으로 착탈결합부(132)가 전주(110)에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착탈결합부(132)의 둘레 방향에 별도의 클램프를 감아 조임으로써 착탈결합부(132)가 전주(110)에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발광다이오드(134)는 반사갓(131)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반사갓(131)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33)에 결합되어 직접조명부(120)와는 별개로 점등되면서 실질적으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발광다이오드(134)란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再結合)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서, 소위 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한다. 발광파장은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인화갈륨인 경우, 아연 및 산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적색(파장 700nm)이고, 질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녹색(파장 550nm)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다. 또한 고속응답이라 현재,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발 광다이오드(134)를 본 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발광다이오드(134)를 반구 형태의 반사갓(131)의 내면에 배열시키는 경우, 도 1의 화살표와 같은 형태의 불빛이 더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단순 조명 외의 장식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발광다이오드(134) 중에서 일부는 직 하방으로, 나머지는 경사진 하방으로 발광됨으로써 단순 조명 외의 장식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34)는 적색과 녹색을 포함하여 대략 3~4가지의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반사갓(131)의 내부에 많은 수의 발광다이오드(134)가 마련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실시예의 경우 반사갓(131)의 내부에 단색의 발광다이오드(134)만을 배열할 수도 있고, 혹은 다색의 발광다이오드(134)를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배열할 수도 있게 된다.
만약, 다색의 발광다이오드(134)를 배열하는 경우에 있어, 발광다이오드(134)의 발광 방향과 그 방향성을 맞춘다면, 예컨대 도 3과 같이 동서방향으로 전개된 도로에서는 적색 및 파랑색의 빛이, 그리고 남북방향으로 전개된 도로에서는 녹색 및 노량색의 빛이 발광됨으로써 야간 보행자나 운전자가 방향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기존 가로등의 획일적인 조명을 개선하여 도시 경관은 미려하게 조성해주면서도 도로의 방향 안내기능 까지 겸할 수 있어 그 효과는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가로등(200)에는, 전주(110)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접조명부(13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간접조명부(130)의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빛 방향 가변판(140)이 더 마련되어 있다.
도 1의 경우, 단순하게 반사갓(131)의 내면에 발광다이오드(134)를 배열하면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의 빛의 방향은 도 1의 화살표 방향을 따르게 된다.
하지만, 도 4와 같이 간접조명부(130)의 하부 영역에 빛 방향 가변판(140)을 더 마련하게 되면, 발광다이오드(134)로부터의 빛이 빛 방향 가변판(140)에 부딪혀 직 상방이나 혹은 경사 상방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보다 아름다운 장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빛 방향 가변판(140)의 내면에는 빛의 손실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반사판이나 반사도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빛의 방향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라면 빛 방향 가변판(140)의 형상 및 모양을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로 만들면 된다.
빛 방향 가변판(140)을 전주(1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착탈결합부(132)의 내용을 그대로 도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지면(E)을 비추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간접조명부의 빛으로 방향성을 표시한다거나 혹은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접조명부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간접조명부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가로등 110 : 전주
120 : 직접조명부 130 : 간접조명부
131 : 반사갓 133 : 인쇄회로기판
134 : 발광다이오드 140 : 빛 방향 가변판
Claims (3)
- 지면에 대해 기립 배치되는 전주;상기 전주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점등되는 직접조명부; 및상기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직접조명부와는 별개로 점등되는 간접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간접조명부는,상기 전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를 구비한 반사갓;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단색 혹은 다색의 배열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주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간접조명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간접조명부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빛 방향 가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095U KR20090013042U (ko) | 2008-06-17 | 2008-06-17 | 가로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095U KR20090013042U (ko) | 2008-06-17 | 2008-06-17 | 가로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042U true KR20090013042U (ko) | 2009-12-28 |
Family
ID=4929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8095U KR20090013042U (ko) | 2008-06-17 | 2008-06-17 | 가로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3042U (ko) |
-
2008
- 2008-06-17 KR KR2020080008095U patent/KR2009001304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8247B1 (ko) |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 |
EP2058584B1 (en) | Lighting fixtures with LED lights for illumination of outside public areas | |
US20060056169A1 (en) | Light module using led clusters | |
KR100707874B1 (ko) | 발광다이오드형 가로등의 설치구조 | |
JP4277047B1 (ja) | Ledランプ | |
KR100983954B1 (ko) |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실외 조명장치 | |
MD2344C2 (ro) | Luminar impermeabil cu lămpi luminescente cu reflector integrat pentru direcţionarea fluxului de lumină | |
KR20090013042U (ko) | 가로등 | |
CN212029208U (zh) | Rgb和白光两用的线条灯 | |
KR200430630Y1 (ko) | 엘이디 표지함이 장착된 가로등 기구 | |
KR20090130967A (ko) | 엘이디 조명등의 효율성을 배가하는 배광 구조장치 | |
KR100552927B1 (ko) | 엘이디 조명등 | |
JP2002260434A (ja) | 電柱用照明具 | |
KR101456666B1 (ko) | 디밍모듈 장착형 led 등기구 | |
EP2803911B1 (en) |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distribution | |
CN101021303A (zh) | 一种发光的路灯杆 | |
CN209101204U (zh) | 一种led汽车前照灯 | |
KR101114510B1 (ko) | 수평/수직 암대 공용형 파워 led조명기구 | |
KR200297843Y1 (ko) | 상징조형등이 부가된 가로등 | |
CN2551860Y (zh) | 多光源凸透镜信号灯罩 | |
JPH0438531Y2 (ko) | ||
KR20100000972U (ko) | 엘.이.디 가로등 | |
KR200309295Y1 (ko) | 색광장식 가로등 | |
CN205956904U (zh) | 一种筒灯 | |
KR200454600Y1 (ko) | 엘이디조명이 구비된 광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61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412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