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39A -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 Google Patents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2739A KR20090012739A KR1020070076829A KR20070076829A KR20090012739A KR 20090012739 A KR20090012739 A KR 20090012739A KR 1020070076829 A KR1020070076829 A KR 1020070076829A KR 20070076829 A KR20070076829 A KR 20070076829A KR 20090012739 A KR20090012739 A KR 20090012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rator
- case
- charge
- power
- rechargeable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전기의 사용이 필요하거나 또는 비상시에 자연력 또는 인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와, 발전된 전력을 입력받아 배터리에 충전시키거나 부하측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PCB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발전기의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동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 핸들의 구동시 회전운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핸드 제너레이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별도의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 또는 솔라 제너레이터로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입력되도록 형성된 입력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해 형성된 출력단자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표시램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that requires the use of electricity in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not supplied 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o generate power using natural or manpower.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rechargeabl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a PCB board configured to receive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and charge the battery or output the load to the side of the portable generator. A charging controller box, comprising: a driving handle rotatably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case; A hand generator formed at one inner side of the case to convert rotational kinetic force into electrical energy when the driving handle is driven;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to input power generated from the module to a separate wind generator module or a solar generator on one side of the case; An output terminal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to output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load side; A charge display lamp for displaying a state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It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전기의 사용이 필요하거나 또는 비상시에 자연력 또는 인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use electricity in an area where electricity is not supplied, or to produce power using natural or human power in an emergency. It relates to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for allowing it to be stored.
전기는 인간이 개발한 대표적인 발명품 중의 하나로 현대생활에 없어서는 아니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전선을 통해서 각 가정이나 산업시설물에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Electric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nventions developed by human being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life. Electric power produced in power plants is generally supplied to households or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electric wires.
한편, 전력은 필요하지만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전력의 생산을 위한 이동식 발전기를 설치하여 필요한 전력을 현장에서 직접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식 발전기는 연료를 연소시켜 터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방식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발전기의 경우에도 연료가 없는 상태에서는 무용지물에 불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reas where power is required but power supply is not possible, a mobile generator for power generation is installed to produce and use the required power directly on site. Mobile generators, which are currently used mainly, use the method of burning fuel and converting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a turbine into electrical energy. However, even in the case of such a mobile generator is no use without fuel.
도 1 은 연료가 없이도 태양광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된 '태양열을 이용한 충전장치(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1259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device using the solar (Korean Utility Agency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1259) developed to produce the required power using the solar light without fuel.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태양열을 이용한 충전장치(100)는 상자형상의 케이스(110) 상부측에는 태양열을 모으기 위한 집열판(120)과, 집열판(120)에서 얻어진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주기 위해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된 솔라 모듈(130)과, 솔라 모듈에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솔라 모듈(130)에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140)에 충전되는 한편 전기장치로 공급되어 소비된다.Power generated by conversion into electrical energy in the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열을 이용한 충전장치는 오로지 태양열만을 전력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태양광이 충분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에는 전혀 사용을 기대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harging device using the solar he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o that only solar hea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so that it was not possible to use it in an environment where solar light was not sufficient,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expected to use at all at nigh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전기의 사용이 필요하거나 또는 비상시에 자연력 또는 인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o enable the use of electricity in an area where electricity is not supplied or to produce electricity using natural or manpower in an emerg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to allow the generated power to be stored.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와, 발전된 전력을 입력받아 배터리에 충전시키거나 부하측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PCB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발전기의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동 핸들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구동 핸들의 구동시 회전운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핸드 제너레이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별도의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 또는 솔라 제너레이터로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입력되도록 형성된 입력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해 형성된 출력단자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표시램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the portable generator charge controlle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including a case, a rechargeabl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a PCB substrate for receiving the generated power to charge the battery or output to the load side A charging controller box of a generator, comprising: a drive handle rotatably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case; A hand generator formed at one inner side of the case to convert rotational kinetic force into electrical energy when the driving handle is driven;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to input power generated from the module to a separate wind generator module or a solar generator on one side of the case; An output terminal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to output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load side; A charge display lamp for displaying a state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It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서 PCB기판은 핸드 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전력 및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전력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충전부와,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충전표시램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충전표시상태 제어부와,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하는 전압전류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CB substrate in the mobile generator charge controlle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the input terminal generated in the hand generator, the charging unit for adjusting the charge to be made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e display sta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to be displayed on the charge display lamp, and a voltage curren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는 사람이 휴대하기에 용이한크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으로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이나 천재지변 등으로 전력공급이 갑자기 차단된 지역 등에서도 생존에 필요한 전기를 직접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made of a size that is easy for a person to carry, but also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produce power, so that power supply is suddenly supplied to an area or natural disaster where power is not supplied. Even in blocked areas, there is a hug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and use electricity for surviv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는 별도의 연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인력이나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됨으로서 보다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power by using manpower or wind power and solar power without burning a separate fuel is not only eco-friendly but also economical in terms of cost can be reduced large There is an advanta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접속되는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접속되는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 내에 탑재되는 PCB기판의 회로구성을 보인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nd generator module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lar generator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e generato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mounted in the charge generato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s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CB.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 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의 몸체는 상자형상의 케이스(20)와 커버(30)로써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케이스(20)와 커버(30)가 결합된 몸체의 크기는 일반인이 쉽게 들어 옮길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한편 커버(30)의 상부측에는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2)가 형성된다.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발전되는 전기가 충전되기 위한 소정 용적의 충전용 배터리(40)가 수용된다. 또한, 케이스(20)의 내외측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로부터 입력되거나 생성된 전기를 충전용 배터리(40)에 안정된 상태로 충전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다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에 접속된 부하들로부터 요구되는 전기가 공급되도록 회로가 구성된 PCB기판(50)이 수용된다. 충전용 배터리(40) 및 PCB기판(50)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베이스(미도시) 또는 케이스의 벽변에 볼트 등으로써 고정장착되는데, 충전용 배터리(40)의 고정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42)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한편, 케이스(20)의 내부 일측에는 회전동력을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로 출력시키기 위한 핸드 제너레이터(60)가 구비된다. 케이스(20)의 외부 일측에는 핸드 제너레이터(60)로 회전동력을 입력시키기 위한 구동 핸들(62)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케이스(20) 외부에 노출형성된 구동 핸들(62)을 잡고 돌리게 되면, 구동 핸들(62)과 핸드 제너레이터(60)를 연결하는 축이 회전되면서 핸드 제너레이터의 내부장치에 의해서 전력이 생산되는 것이다. 핸드 제너레이터(60)의 동작에 의해서 생산된 전력은 PCB기판(50)을 구성하는 회로에 의해서 정류과정을 거친 후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그리고 핸드 제너레이터(60)를 통해서 사람의 힘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대신하여 태양광 또는 바람을 이용한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 또는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 등을 통해서 생산된 전력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케이스(20)의 일측에는 입력단자(12)가 마련된다. 입력단자(12)는 핸드 제너레이터(60)에서 생산된 전력이 흐르는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다.Instead of producing electric power by human power through the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 및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공급되는 것으로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 제너레이터에는 바람에 의한 회전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가 포함되는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에는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가 각각 포함된다.The
따라서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 및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각각의 모듈에 연장형성된 컨넥터(72,82)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의 입력단자(12)에 접속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ower output from the
입력단자(12)를 통해서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 및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에서 생산된 전력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 내의 충전용 배터리(40)에 안정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회로가 PCB기판(50)에 구성된다. 즉, 케이스(20)의 일측 면에 복수로 마련된 입력단자(12)를 포함하는 입력부(51)와 출력단자(14)로 이루어진 출력부(57)를 사이에 두고 PCB기판(50)에는 핸드 제너레이터(60)에서 생성된 전력 및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전력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52)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40)에 과충전이 이루어지거나 과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어하며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충전부(53)와, 충전용 배터리(40)의 충전상태를 충전표시램프(18) 등의 표시부(55)에 표시하도록 하는 충전상태표시 제어부(54)와, 출력단자(14)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하는 전압전류조정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wer generated by the
즉, 핸드 제너레이터(60)에서 생산되는 전력과, 입력단자(12)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력은 PCB기판(50)에 마련된 정류부(52)를 통과하면서 정류된 후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정도는 표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20)의 외측면에는 충전표시램프(18)가 형성된다. 충전표시램프(18)는 다수의 LED램프로써 이루어는데, PCB기판(50)에 마련된 충전상태표시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해서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된 전력에 해당되는 LED램프가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충전부(52)에 마련된 스위치가 동작되어 더 이상의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그리고 PCB기판(50)에는 출력단자(14)를 통해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압전류조정부(56)가 형성되는 한편 케이스(20) 외측에 마련된 파워 스위치(16)를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하는 상태에 따라 서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서 구성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바람의 세기 또는 태양광의 세기의 조건에 따라서 어느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할 지를 결정하게 된다.The user using the
예를 들어, 바람의 세기가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을 통해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충분하지 못하고, 태양광의 세기가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을 통해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케이스(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구동 핸들(6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wind strength is not sufficient to produce power through the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핸들(62)을 사용자가 직접 돌리게 됨으로서 케이스(20) 내측에 수용된 핸드 제너레이터(60)에서는 회전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시키게 된다. 참고로, 핸드 제너레이터(60)를 통한 전력생산과정에서의 스핀들의 회전속도는 180~220RPM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user directly rotates the
한편, 바람의 세기가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을 통해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충분할 경우에는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의 컨넥터(72)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12)에 꽂고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은 바람이 충분한 곳에 위치시켜 브레이드(7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입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후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을 통한 전력의 생산과정에서 스핀들은 400~850RPM으로 회전되는 것이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wind strength is sufficient to produce power through the
그리고 태양광의 세기가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을 통해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충분할 경우에는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의 컨넥터(82)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에 꽂고 솔라 패널(84)이 태양광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입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후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If the intensity of sunlight is sufficient to produce power through the
또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과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의 일측에 마련된 2개의 입력단자(12)에는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과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 측으로부터 출력이 이루어지는 컨넥터(72,82)가 각각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계절이나 일기의 변화에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전력의 생산 및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위와 같은 각각의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된 전력이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되는 과정에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상태는 충전표시램프(18)를 구성하는 해당 LED램프가 점등됨으로 외부로 표시된다.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displayed to the outside as the LED lamp constituting the charge display lamp 18 is turned on while the power generated by each generator is charged in the
이와 같이 핸드 제너레이터(60),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70),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80) 등을 통해서 생산된 전력은 충전용 배터리(40)에 충전되거나 혹은 직접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전기용품으로 공급되어 소비된다.As such,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는 그 크기가 사람이 휴대하기에 용이한 크기로 작게 형성됨으로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이나 천재지변 등으로 전력공급이 끊긴 지역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별도 연료의 연소없이 자연력 또는 인력으로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서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커다란 가치가 있는 것이다.The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10)의 출력단자(14)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전기용품으로는 조명등, 라디오, 휴대폰 등과 같은 주로 소형이면서 DC전원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Electrical appliances that are connected to and driven b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접속되는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wind generator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에 접속되는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lar generator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 내에 탑재되는 PCB기판의 회로구성을 보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CB board mounted in a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7 to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이동식 발전기용 충전 콘트롤러 박스 12 : 입력단자10: charge controller box for a mobile generator 12: input terminal
14 : 출력단자 16 : 파워 스위치14: output terminal 16: power switch
18 : 충전표시램프 20 : 케이스18: charge display lamp 20: case
30 : 커버 40 : 충전용 배터리30: cover 40: rechargeable battery
50 : PCB기판 60 : 핸드 제너레이터50: PCB 60: Hand Generator
62 : 구동 핸들 70 : 윈드 제너레이터 모듈62: drive handle 70: wind generator module
72 : 컨넥터 74 : 브레이드72: connector 74: braid
80 : 솔라 제너레이터 모듈 82 : 컨넥터80: solar generator module 82: connector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829A KR20090012739A (en) | 2007-07-31 | 2007-07-31 |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829A KR20090012739A (en) | 2007-07-31 | 2007-07-31 |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739A true KR20090012739A (en) | 2009-02-04 |
Family
ID=4068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6829A Ceased KR20090012739A (en) | 2007-07-31 | 2007-07-31 |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2739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4234B1 (en) * | 2011-10-07 | 2013-09-05 | (주)쿡스이엔씨 | Emergency power storage apparatus |
KR101369999B1 (en) * | 2012-05-11 | 2014-03-06 | 주식회사 하우스테크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using a sunlight |
US20140327247A1 (en) * | 2012-05-04 | 2014-11-06 | David Calabro | Multisourc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
KR101977547B1 (en) * | 2018-11-29 | 2019-05-10 | 이준혁 | Portable hybrid generation system |
CN110212635A (en) * | 2019-06-26 | 2019-09-06 | 上海空间电源研究所 | A kind of solar energy scientific experiment system |
KR20220063338A (en) * | 2020-11-10 | 2022-05-17 |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 Self-Generated Portable Ion Generator |
KR102784800B1 (en) * | 2024-06-01 | 2025-03-21 | 오영덕 | Portable emergency generator |
-
2007
- 2007-07-31 KR KR1020070076829A patent/KR2009001273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4234B1 (en) * | 2011-10-07 | 2013-09-05 | (주)쿡스이엔씨 | Emergency power storage apparatus |
US20140327247A1 (en) * | 2012-05-04 | 2014-11-06 | David Calabro | Multisourc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
US9683539B2 (en) * | 2012-05-04 | 2017-06-20 | David Calabro | Multisourc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
KR101369999B1 (en) * | 2012-05-11 | 2014-03-06 | 주식회사 하우스테크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using a sunlight |
KR101977547B1 (en) * | 2018-11-29 | 2019-05-10 | 이준혁 | Portable hybrid generation system |
CN110212635A (en) * | 2019-06-26 | 2019-09-06 | 上海空间电源研究所 | A kind of solar energy scientific experiment system |
KR20220063338A (en) * | 2020-11-10 | 2022-05-17 |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 Self-Generated Portable Ion Generator |
KR102784800B1 (en) * | 2024-06-01 | 2025-03-21 | 오영덕 | Portable emergency gene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12739A (en) | Charge Controller Box for Mobile Generator | |
KR101110042B1 (en) | Disassembling/assembling type generating apparatus using photovoltaic and wind energy | |
CN202511013U (en) | Solar hand generating type illuminating lamp | |
CN104763968A (en) | Multifunctional integrated solar energy and wind energy monitoring street lamp | |
KR101144936B1 (en) | Movable hybrid power supply | |
CN204159021U (en) | Multifunctional self-generating seesaw | |
JP3168977U (en) | Street lighting fixtures | |
EA201790873A1 (en) | ELECTROGENERATING DEVICE | |
CN202218053U (en) | Portable composite power supply device | |
KR200399617Y1 (en) | Handy Generator use the force of the wind | |
CN202819823U (en) | Multifunctional walking generate electricity shoe | |
WO2014199311A1 (en) | Lighting and power supply unit | |
KR20210030056A (en) | Photovoltaic device using artificial lighting | |
CN201339828Y (en) | Handheld rechargeable flashlight | |
CN201184284Y (en) | Spring force electric generating apparatus | |
CN203119566U (en) | Solar charger for converting polycrystalline silicon and amorphous silicon solar cell panels with each other | |
CN201706221U (en) | Portable flashlight device with manual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
CN201599709U (en) | Charging solar desk lamp | |
CN202048377U (en) | Small multifunctional outdoor light-emitting diode (LED) hand lantern | |
CN206586523U (en) | A kind of folding solar energy rest station | |
CN202403147U (en) | Multi-purpose manual power generation lighting device | |
JP3195242U (en) | Emergency power supply unit | |
TW201209257A (en) | Outdoor base station housing with thin film solar cell | |
CN202402960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solar illuminating device | |
CN218352244U (en) | Portable emergency energy storage charg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