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1002A -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002A
KR20090011002A KR1020087028881A KR20087028881A KR20090011002A KR 20090011002 A KR20090011002 A KR 20090011002A KR 1020087028881 A KR1020087028881 A KR 1020087028881A KR 20087028881 A KR20087028881 A KR 20087028881A KR 20090011002 A KR20090011002 A KR 2009001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solvent
fluid
propylene oxide
nitr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테오 세오
히로아키 아베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0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03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 C07D301/1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with hydrogen peroxide or inorganic peroxides or per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89Silicates, aluminosilicates or borosilicates of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04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oxy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4Palla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Compounds (AREA)

Abstract

과산화수소를 에폭시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액상 중, 프로필렌과 반응시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당해 공정에서 생성되는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에 흡수시켜 회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PROPYLENE OXIDE}
본 발명은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반응 프로필렌,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을 에폭시화하여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폭시화 반응 후의 분리 공정에서 나오는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분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메탄올 등의 알코올, 글리콜, 고리형 에테르, 글리콜에테르, 케톤에 접촉시키고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회수하여 프로필렌을 리사이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01/57009호 팜플렛) 참조).
발명의 개시
그 특허 문헌에는, 특히, 반응 용매로서 사용하는 메탄올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는데, 메탄올 용매에서는 미반응의 프로필렌 등의 흡수 효율이 반드시 충분한 것이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에폭시화 반응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효율적으로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를 에폭시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액상 중, 프로필렌과 반응시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당해 공정에서 생성되는 벤트 가스 중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에 흡수시켜 회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의 블록 플로우도의 일례이며, 과산화수소를 공급하여 에폭시화 공정에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흡수 공정에 있어서도 에폭시화 공정에서 사용한 용매와 동일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의 블록 플로우도의 일례이며, 수소와 산소에 의해 계 중에서 과산화수소를 합성하여 에폭시화 공정에서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흡수 공정에서는 용매 회수 공정에서 얻어지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로부터, 용매 정제 공정에서 물을 분리한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은, 과산화수소 혹은 반응계 내에서 수소와 산소로 생성된 과산화수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을 실시하기 위한 촉매로서 는 티탄실리케이트 촉매를 들 수 있다.
과산화수소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미리 제조한 과산화수소 용액을 공급하는 방법, 혹은 반응계 내에서 과산화수소를 합성하여 공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계 내에서 과산화수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수소 및 산소로부터 계 내에서 Pd, Au 등의 과산화수소를 합성하는 전이 금속 촉매를 에폭시화 반응의 촉매에 담지 혹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합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미리 제조한 과산화수소 용액을 공급하는 경우, 과산화수소 용액 중의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통상 0.1 ∼ 70 중량% 이다. 또, 과산화수소 용액으로서는 과산화수소 수용액 혹은 과산화수소, 물,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의 반응 온도는 0℃ ∼ 150℃ 정도, 반응 압력 0.1MPa ∼ 20MPa 정도로 실시된다.
반응 방법으로서는 고정상 유통 반응 방식 혹은 슬러리 반응 방식을 들 수 있다. 에폭시화 반응의 용매로서는 단독 종의 니트릴, 2 종 이상의 니트릴의 혼합 용매, 혹은 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 알코올, 알코올수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니트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의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수의 혼합 용매, 메탄올 혹은 메탄올수의 혼합 용매가 입수 용이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은 수용성이며, 액상이 균일해지므로, 프로세스 구축이 용이해지는 점에 서 바람직하다. 에폭시화 공정 후의 분리 공정에서 생성되는 벤트 가스에는,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인 미반응 프로필렌이 대표적인 성분으로서 함유되고, 반응 생성물인 프로필렌옥사이드가 함유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에폭시화 공정으로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이다. 벤트 가스 중에 함유되는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에 흡수시켜 회수함으로써, 당해 성분을 증류 분리하는 경우와 같은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저렴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프로필렌의 에폭시화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반응계 내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에 의해 산소가 부생성되고, 이것이 축적되어 농도가 높아져 유기 화합물과 폭발성의 혼합기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고, 불활성 가스를 반응계 내에 공급하면서 생성된 산소가 폭발성의 혼합기를 발생시킬 위험을 피하기 위해 반응계 내에 질소, 이산화탄소의 불활성 가스나 메탄, 에탄 혹은 프로판 등을 계 내에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벤트 가스 중에 이들의 불활성 가스 등이 함유되는 경우도 있다.
수소 및 산소로부터 과산화수소를 계 내에서 합성하여 에폭시화 반응에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나, 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로 합성한 소량의 질소를 함유하는 산소 등의 저렴한 산소원을 사용한 경우, 이들의 불활성 가스도 벤트 가스에 함유된다.
수소 및 산소로부터 과산화수소를 계 내에서 합성하고, 에폭시화 반응에 사용하는 경우, 프로필렌이 연소되어 이산화탄소가 부생되는 경우가 있다. 또, 산소의 공급원에 저렴한 공기를 사용한 경우, 벤트 가스 중에는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의 프로필렌의 에폭시화에 불활성인 불활성 가스나 프로필렌 중의 불순물이 축적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의 축적물이나 불활성 가스 등도 벤트 가스로서 계 외에 추출할 수 있다.
벤트 가스로부터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미반응 프로필렌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로서는, 단독 종의 니트릴, 2 종 이상의 니트릴의 혼합 용매, 혹은 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니트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을 들 수 있다. 용매 회수의 간편성으로부터 에폭시화 반응 용매와 동일한 용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로서 물과 균일상을 이루는 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통상, 회수 에너지 삭감의 관점에서, 공비 조성보다 물 함량이 많은 조성으로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흡수 공정에 있어서 물과 혼화하는 용매 (균일상을 형성한다) 를 사용하면, 니트릴 단독과 비교하여 융점이 높기 때문에, 흡수 공정에서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의 기상부에 대한 로스를 줄이기 위해 냉각시킬 때에 그 하한 온도가 한정되어 불리해진다.
그래서, 반응 용매로서 물과 균일상을 이루는 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먼저 용매 회수 공정에서 당해 혼합 용매로부터 용매를 회수하고, 이어서 회수된 용매의 일부를 용매 정제 공정에 제공하고 수분을 분리하여, 물 함량이 적은 조성의 용매로서 흡수 공정에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공정에 제공되는 용매의 물 함량은, 증류탑의 단수, 환류비, 및, 냉각 시의 융점에 의해 설정되는데, 통상 1 중량 퍼센트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퍼센트 이하이다.
흡수 공정에서 얻어지는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흡수한 니트릴을 함유하는 흡수액은, 흡수 공정과 에폭시화 공정의 용매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대로 에폭시화 공정에 공급된다. 흡수 공정과 에폭시화 공정의 용매가 상이한 경우에는,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증류 분리한 후, 당해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만을 에폭시화 공정에 제공하거나, 흡수액에 물을 추가 공급하여 용매 조성을 에폭시화 공정의 용매 조성에 맞춘 후에 에폭시화 공정에 제공된다. 물을 추가 공급하는 경우에는, 흡수액을 에폭시화 공정에 제공할 때에 에폭시화 공정의 반응 용매의 조성에 맞춰 수분을 조정하므로 부족한 수분을 추가 공급해도 상관없다.
반응 용매로서 물과 균일상을 이루는 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로부터 용매 정제 공정에 있어서 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몰레큘러시브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흡착제를 사용하거나, 증류에 의해 니트릴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아세토니트릴과 같이 물과 공비하고, 또한 계의 압력과 공비 조성에 상관 관계가 있는 니트릴류의 경우, 먼저 니트릴의 농도가 높은 공비 조성이 되는 압력으로 정류(精留)를 실시하여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탑정으로부터 유출(留出)시키고, 다음으로 니트릴의 농도가 낮은 공비 조성이 되는 압력으로 정류를 실시함으로써 탑저로부터 수분 농도가 낮은 니트릴을 얻는, 분리 방법을 들 수 있다.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를 반응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 되는 에폭시화 반응 촉매로는, MWW 구조를 갖는 결정성 티타노실리케이트나 MWW 구조를 갖는 결정성 티타노실리케이트의 층상 전구체 등의 티타노실리케이트가 예시된다. 티타노실리케이트 촉매로는,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 사용시에 높은 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산소 12 원자 고리 이상의 세공(細孔) 구조를 갖는 티타노실리케이트 촉매가 바람직하고, Ti-MWW 촉매, 층상 티타노실리케이트 촉매가 보다 바람직하다. Ti-MWW 란, IZA (국제 제올라이트 학회) 의 구조 코드로 MWW 구조를 갖는 결정성 티타노실리케이트이다. 층상 티타노실리케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Chemistry Letters, 774-775, (2000) 기재된 Ti-MWW 제올라이트의 층상 전구체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촉매, 158, vol.43, (2001) 에 Ti-MWW 제올라이트 전구체가 층 구조를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X 선 회절 피크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프로세스 플로우의 일례인 블록 플로우 도 1 및 도 2 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유체 1 은 프로필렌, 과산화수소수, 아세토니트릴, 불활성 가스이다. 유체 2 는 에폭시화 반응 유출물이다. 유체 2 는 분리 공정에서 가스 유체 3 과 액 유체 4 로 분리된다. 액 유체 4 는 분리·정제 공정에서 유체 5, 유체 6, 유체 7 로 분리되어 제품화, 리사이클, 퍼지된다. 제품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유체 5 로서 꺼낼 수 있다. 유체 6 은 주로 프로필렌과 프로판으로 이루어진다. 유체 6 은 일부가 에폭시화 공정으로 리사이클되고, 일부가 프로판 분리 공정으로 이송된다. 프로판 분리 공정에서는 통상, 탑정부로부터 프 로필렌을 회수 (유체 8) 하고, 탑저부로부터 프로판을 분리 (유체 9) 한다. 회수된 프로필렌 (유체 8) 은 다시 에폭시화 공정에 공급된다. 유체 7 은 주로 물,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지고,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그 올리고머 등이 함유되는 경우도 있다. 유체 7 은 일부가 에폭시화 공정으로 리사이클되고, 일부가 용매 회수 공정에 공급된다. 용매 회수 공정에서는, 공비 조성으로 아세토니트릴과 물이 탑정부로부터 회수 (유체 10) 되고, 물 및 프로필렌글리콜이나 올리고머 등의 고비점 화합물이 탑저부로부터 분리되어, 일부가 폐기 공정 (유체 11) 으로 이송되고, 나머지는 에폭시화 공정 (유체 12) 및 벤트 가스 중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회수하는 흡수 공정 (유체 l3) 에 공급된다.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가스 유체 (3) 는 불활성 가스, 프로필렌, 산소,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함유한다. 유체 3 의 일부는 벤트 라인으로부터 퍼지되고 나머지는 흡수 공정에 공급된다. 유체 3 은 흡수 공정에서, 용매 회수 공정에서 얻어진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물 (유체 13) 과 접촉하고,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회수되어 다시 에폭시화 공정에 공급된다.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회수한 후의 나머지 가스 유체는 계 외에 퍼지된다.
도 2 에 있어서, 유체 1 은 프로필렌, 수소, 산소, 질소, 아세토니트릴, 물, 불활성 가스이다. 유체 2 는 에폭시화 반응액이며, 유체 3 은 에폭시화 반응 가스이다. 유체 2 는 용매 분리 공정에 공급되고, 유체 3 은 흡수 공정에 보내진다. 유체 2 는 주로 아세토니트릴, 물, 프로필렌옥사이드, 프로필렌,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으로 이루어지고, 유체 3 은 주로 수소, 산소, 질소, 프로필렌옥 사이드, 프로필렌 및 프로판으로 이루어진다. 용매 분리 공정에서 유체 2 는 고비(高沸) 성분인 아세토니트릴, 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4 와, 경비(輕沸) 성분인 프로필렌옥사이드, 프로필렌, 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5 로 분리된다. 유체 5 는 비정제 프로필렌옥사이드 분리 공정에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6 과 프로필렌, 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7 로 분리된다. 유체 6 은 정제 공정에서 정제 프로필렌옥사이드로 정제되어 제품 (유체 8) 이 된다. 유체 7 은 일부가 에폭시화 공정으로 리사이클되고, 일부가 프로판 분리 공정으로 이송된다. 프로판 분리 공정에서는, 통상 탑정부로부터 프로필렌이 회수 (유체 9) 되고, 탑저부로부터 프로판이 분리 (유체 10) 된다. 회수된 프로필렌 (유체 9) 은 다시 에폭시화 공정에 공급된다. 아세토니트릴, 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4 는, 일부가 에폭시화 공정으로 리사이클되고, 일부가 용매 회수 공정에 공급된다. 용매 회수 공정에서는 공비 조성으로 아세토니트릴과 물이 탑정부로부터 회수 (유체 11) 되고, 물 및 프로필렌글리콜이나 올리고머 등의 고비점 화합물이 탑저부로부터 분리되어 폐기 공정 (유체 12) 으로 이송된다. 유체 11 은 일부가 용매 정제 공정 (유체 13) 으로 이송되고, 나머지는 에폭시화 공정 (유체 14) 에 공급된다. 용제 정제 공정에서는, 공급된 공비 조성인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물이 압력 스윙법에 의해 아세토니트릴 함량이 1 퍼센트 이하인 물 (유체 15) 과, 물 함량이 1 중량 퍼센트 이하인 아세토니트릴 (유체 16) 로 분리된다. 유체 15 는 폐기 공정으로, 유체 16 은 흡수 공정으로 보내진다. 흡수 공정에서는 수소, 산소, 질소, 프로 필렌옥사이드, 프로필렌, 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체 3 으로부터,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인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이, 유체 16 에 의해 흡수되어 회수된다 (유체 17). 유체 17 은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한다. 유체 17 은 다시 에폭시화 반응 공정에 공급된다.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을 회수한 후의 나머지 가스 유체는 계 외에 퍼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을 니트릴 용매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을 회수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니트릴 용매로서는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벤트 가스 중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을 니트릴 용매로 흡수하는 조건으로서는, 통상, 온도 0℃ ∼ 80℃ (흡수탑의 흡수액의 온도), 흡수탑의 압력 0MPa ∼ 2MPa (절대압) 이다. 온도는 너무 높으면 흡수 효율이 내려가고, 너무 낮으면 냉각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다대해진다. 압력은 너무 높으면 압축의 에너지 비용이 다대해지고, 너무 낮으면 흡수 효율이 내려간다. 벤트 가스 중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니트릴 용매로 흡수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스와 액의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니트릴 용매 중에 벤트 가스를 스파저(sparger) 등으로 분산시켜 흡수시키는 방법이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한 충전물이 충전된 흡수탑의 상부로부터 니트릴 용매를 공급하고, 하부로부터 가스를 공급하여 향류 접촉시켜 흡수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즉, 26℃, 대기압 하, 서멀 매스 플로우 컨트롤러를 이용하고, 프로필렌 가스 3.3×10-7㎥/s, 질소 가스 3.0×10-6㎥/s로 제어한 가스를 혼합하여 0.10㎏ 의 아세토니트릴 용매 중에 버블링시켰다. 흡수 개시 30 분 후에 용액을 꺼내어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위 용매 중량당 프로필렌 흡수량은 0.0477㏖/㎏ 이었다.
비교예 1
아세토니트릴 용매 대신 메탄올 용매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위 용매 중량당 프로필렌 흡수량은 0.0425㏖/㎏ 이었다.
프로필렌 가스 공급 속도 (×10-7㎥/S) 질소 가스 공급 속도 (×10-7㎥/S) 프로필렌 가스/질소 가스 체적비 프로필렌 흡수량 ㏖/㎏ - 용매
실시예 1 3.3 30 10/90 0.0477
비교예 1 3.3 30 10/90 0.0425
실시예 2 (블록 플로우도 2 의 실험의 예)
에폭시화 공정
300cc 오토클레이브에 중량비가 아세토니트릴/물 = 80/20 인 아세토니트릴수를 131g 과 Ti-MWW 촉매 2.276g, 팔라듐 1 퍼센트 담지 활성탄 촉매 1.056g 을 주입한 후, 압력을 질소를 사용하여 절대압 4MPa 로 조정하고, 재킷으로의 온수 순환에 의해 오토클레이브 내의 온도를 60℃ 로 조정하였다. 당해 오토클레이브에 수소 3.8 체적 퍼센트, 산소 8.9 체적 퍼센트, 질소 87.3 체적 퍼센트의 조성인 혼합 가스를 143NL/Hr, 안트라퀴논 0.7 밀리몰/㎏, 인산 2 수소 암모늄 0.7mmol/㎏ 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수 (아세토니트릴/물의 중량비는 80/20 이다) 를 90g/Hr, 프로판을 0.4 체적 퍼센트 함유하는 프로필렌액을 31.0g/Hr 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반응 중, 반응 온도는 60℃, 반응 압력은 4MPa 가 되도록 제어하였다. 고체 성분인 Ti-MWW 촉매, 팔라듐 담지 활성탄 촉매는 소결 필터에 의해 여과하여, 액 성분 91.9g/Hr 과 가스 성분 200.9g/Hr 을 연속적으로 빼내었다. 반응액 가스를 동시에 샘플링하여 대기압으로 복귀하고,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하여 각각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필렌옥사이드가 4.09g/Hr, 프로필렌글리콜이 0.68g/Hr, 프로판이 0.55g/Hr 생성되고, 프로필렌이 27.1g/Hr, 수소가 1.31NL/Hr, 산소가 9.92NL/Hr 미반응으로 남아 있었다.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12.5 퍼센트 (반응기에 공급된 프로필렌에 대하여) 이며, 전화된 프로필렌 기준의 선택률은 76.6 퍼센트였다. 또, 전화된 수소 기준의 선택률은 36.7 퍼센트였다.
분리·회수·흡수 공정
흡수 공정에서는 용매 회수 공정에서 얻어지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 용매로부터, 용매 정제 공정에서 물을 분리한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사용한다.
이들의 공정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물성 데이터 및 실시예 1 의 흡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실시한 계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반응기로부터 빼낸 액 성분과 가스 성분을 60℃, 4MPa 에서 기액 분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면, 프로필렌 24.1g/Hr, 프로판 0.6g/Hr, 프로필렌옥사이드 1.3g/Hr, 아세토니트릴 4g/Hr, 물 0.7g/Hr, 수소 0.1g/Hr, 산소 14.2g/Hr, 질소 156g/Hr 의 가스를 얻는다. 이 가스를 이론 단수 20 단인 탑의 탑저로부터 피드하고, 25℃ 의 아세토니트릴을 1000g/Hr 의 속도로 탑정으로부터 피드하여 교류 접촉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면, 탑정으로부터의 배출 가스에는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인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는 거의 함유되지 않고, 탑저로부터 프로필렌 24.1g/Hr, 프로판 0.6g/Hr, 프로필렌옥사이드 1.3g/Hr, 아세토니트릴 1002.748g/Hr, 물 0.7g/Hr, 산소 0.074g/Hr 의 회수액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과산화수소를 에폭시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액상 중, 프로필렌과 반응시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공정, 및 당해 공정에서 생성되는 벤트 가스 중의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에 흡수시켜 회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이 프로필렌옥사이드 혹은 미반응 프로필렌인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벤트 가스 중에 함유되는, 리사이클 가능한 성분을 흡수한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에폭시화 반응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니트릴 함유하는 용매가, 과산화수소를 에폭시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프로필렌과 반응시켜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제조하는 공정의 반응액으로부터 회수되는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인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수되는 니트릴을 함유하는 용매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화 촉매가 산소 12 원자 고리 이상의 세공을 갖는 티타노실리케이트 촉매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산소 12 원자 고리 이상의 세공을 갖는 티타노실리케이트 촉매가 MWW 구조를 갖는 결정성 티타노실리케이트 혹은 그 전구체인 방법.
KR1020087028881A 2006-04-27 2007-04-26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Ceased KR20090011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3128 2006-04-27
JPJP-P-2006-123128 200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002A true KR20090011002A (ko) 2009-01-30

Family

ID=3865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881A Ceased KR20090011002A (ko) 2006-04-27 2007-04-26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5434B2 (ko)
EP (1) EP2014654A4 (ko)
KR (1) KR20090011002A (ko)
CN (1) CN101432271A (ko)
BR (1) BRPI0710797A2 (ko)
WO (1) WO20071261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413A (ko) * 2017-05-22 2020-01-30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프로펜의 에폭시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8027A1 (en) * 2009-07-16 2012-03-29 Basf Se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acetonitrile from water
ES2662584T3 (es) * 2013-04-29 2018-04-09 Basf Se Destilación de corriente parcial
CN111116518B (zh) * 2018-10-30 2024-11-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环氧烷烃的回收利用方法
CN111116517B (zh) * 2018-10-30 2022-11-0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环氧丁烷回收方法
CN111116519B (zh) * 2018-10-30 2022-11-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环氧烷烃利用方法
CN111116516B (zh) * 2018-10-30 2022-10-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环氧烷烃的回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22A (ko) * 1999-12-07 2001-07-02 서평원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음성 인식률 향상 방법
EP1122246A1 (de) 2000-02-07 2001-08-08 Degussa AG Verfahren zur Epoxidierung von Olefinen
FR2824558B1 (fr) 2001-05-14 2005-05-06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un oxiranne
WO2003074506A1 (fr) * 2002-03-04 2003-09-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de de preparation d'oxyde de propylene
US7531674B2 (en) 2003-03-06 2009-05-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oxide
JP2004269380A (ja) 2003-03-06 2004-09-30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WO2004078740A1 (ja) 2003-03-06 2004-09-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DE10320635A1 (de) 2003-05-08 2004-11-1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pylenox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413A (ko) * 2017-05-22 2020-01-30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프로펜의 에폭시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0641A1 (en) 2009-10-29
CN101432271A (zh) 2009-05-13
BRPI0710797A2 (pt) 2011-08-09
WO2007126138A1 (ja) 2007-11-08
EP2014654A1 (en) 2009-01-14
US7915434B2 (en) 2011-03-29
EP2014654A4 (en)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240B2 (ja) 酸化オレフィン類の一体化製造方法
TWI717418B (zh) 丙烯之環氧化方法
RU2322442C2 (ru) Способ эпоксидирования олефинов
RU227666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пиленоксида
US6646141B2 (en) Process for the epoxidation of olefins
EP2323999B1 (en) Process for preparing propylene oxide
US20040181081A1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n olefinic oxide
KR20090011002A (ko)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EP202817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methyl ether
KR101086597B1 (ko)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올레핀을 분리하는 방법
JPH11228555A (ja) エピクロロヒドリン主体生成物及びその生成物の製造方法
JP2013049726A (ja) 反応媒体からオキシランを分離する事を含むオキシランの製造方法
JP2013079259A (ja) 過酸化物化合物を用いたオキシランの製造方法
RU2357963C2 (ru) Выделение пропиленоксида из смеси, содержащей пропиленоксид и метанол
EP1419146B1 (en) Process for the epoxidation of olefins
JP2004506626A (ja) エポキシドの一体化製法
RU245627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пихлоргидрина
US10870631B2 (en) Process for the epoxidation of propene
US20040000473A1 (en) Process of separating 1-methoxy-2-propanol and 2-methoxy-1-propanol from aqueous compositions
JP2007314525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EP1375462A1 (en) Process of separating 1-methoxy-2-propanol and 2-methoxy-1-propanol from aqueous compositions
JP2005097208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KR101188038B1 (ko) 산화프로필렌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산화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KR101786910B1 (ko)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제조 방법
CN113968768A (zh) 丙烯回收方法和设备以及环氧化反应产物分离方法和装置以及环氧化方法和环氧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