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88U -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 Google Patents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0788U KR20090010788U KR2020080005169U KR20080005169U KR20090010788U KR 20090010788 U KR20090010788 U KR 20090010788U KR 2020080005169 U KR2020080005169 U KR 2020080005169U KR 20080005169 U KR20080005169 U KR 20080005169U KR 20090010788 U KR20090010788 U KR 2009001078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discharge
- touch cap
- stopper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에 장착 사용되는 원터치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샴푸와 린스와 같이 함께 쓰여지는 내용물을 하나의 원터치캡을 통해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ap mounted on a container to easily discharge and us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use the one-touch cap to discharge the contents written together, such as hair shampoo and rinse. It is about design.
본 고안은 점성이 있는 내용물을 정량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토출구를 구비한 원터치캡에 있어서, 수납부(12)(13)가 분리 구성된 용기(10)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을 각각 토출 사용할 수 있는 토출구(112)(113)가 몸체(110)를 형성하는 상부판(111)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토출구(112)(113)는 용기(10)의 상부로 조립 설치되는 마감부재(20)에 형성되어져 있는 각각의 개구부(22)(23)에 대하여 체결되는 체결관(112a)(113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에는 스냅경첩(130)을 매개로 설치되어 짐과 동시에 각각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된 각각의 마개(212)(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212)(213)의 내저면에는 토출구(112)(113)를 차단하는 개폐봉(212a)(213a)이 형성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touch cap having a discharge port to enable the quantitative discharge and use of the viscous contents, each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the receiving portion 12, 13 is separated can be used for each discharge Discharge openings 112 and 113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111 forming the body 110, the discharge openings 112 and 113 to the finishing member 20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astening pipes 112a and 113a fastened to each of the openings 22 and 23 which are formed, and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nap hinge 130 as a medium. Each stopper 212 and 213 is formed to be divided so as to open and close, respectivel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ds 212a and 213a to block the discharge ports 112 and 113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212 and 213. ) Is achieved by a one-touch cap having two outlets.
용기, 마감부재, 몸체, 토출구, 마개 Container, Closure, Body, Outlet, Stopp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에 장착 사용되는 원터치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샴푸와 린스와 같이 함께 쓰여지는 내용물을 하나의 원터치캡을 통해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ap mounted on a container to easily discharge and us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use the one-touch cap to discharge the contents written together, such as hair shampoo and rinse. It is about design.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는 캡이 장착되어지게 되는데,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용기에 장착되는 캡이 달라지게 된다.In general, a cap is mounted on the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the cap mounted on the container varies depending on what the contents are contained in the container.
예를들어 스킨같이 점성이 없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분리장착되어지는 통상의 캡이 사용되어지게 되고, 헤어샴푸,린스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내용물이 수용되어진 용기에는 내용물의 정량 배출 사용의 가능하도록 하는 원터치캡을 장착 사용하게 된다.For example, a liquid-like non-viscous content such as a skin may be used by a normal cap which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a quantity of contents is discharged in a container where a viscous content such as a hair shampoo or a rinse is accommodated. It will be equipped with a one-touch cap to enable use.
상기의 캡중 원터치캡은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스냅경첩에 의해 힌지자재토록 설치되어져서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개폐봉을 구비한 마개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The one-touch cap of the cap is generally composed of a stopper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rod which is installed to be hinged by a snap hing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터치캡은 점성이 있는 헤어샴푸, 린스, 바디로션 등을 배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의도대로 필요한 량의 내용물을 손쉽게 배출 사용할 수가 있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The one-touch ca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easily discharge and use the required amount of contents as the user intended when using a viscous hair shampoo, rinse, body lotion and the like.
본 고안은 상기한 원터치캡을 보완 개량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트물품으로 사용되어지는 내용물을 두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용기에 수용한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각각 토출구를 통해 토출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헤어샴푸, 린스와 같이 하나의 세트물품으로 사용되어지는 제품의 간편한 휴대 사용이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세트물품을 사용할 때 각각의 용기를 취급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one-touch cap to improve the utilization, the purpose is to accommodate the contents contained in each storage unit in a state containing the contents to be used as a set article in a container having two storage units By discharging through each discharge por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products that are used as a single set item such as hair shampoo and rinse, and to use each container when using the set i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ne-touch cap having two ejection opening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점성이 있는 내용물을 정량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토출구를 구비한 원터치캡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one-touch cap having a discharge port to enable the quantitative discharge use of the viscous contents,
수납부(12)(13)가 분리 구성된 용기(10)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을 각각 토출 사용할 수 있는 토출구(112)(113)가 몸체(110)를 형성하는 상부판(111)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토출구(112)(113)는 용기(10)의 상부로 조립 설치되는 마감부재(20)에 형성되어져 있는 각각의 개구부(22)(23)에 대하여 체결되는 체결관(112a)(113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에는 스냅경첩(130)을 매개로 설치되어 짐과 동시에 각각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된 각각의 마 개(212)(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212)(213)의 내저면에는 토출구(112)(113)를 차단하는 개폐봉(212a)(21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은, 세트 물품으로 사용되어지는 내용물을 두개의 수납부(12)(13)를 구비한 용기(10)에 수용한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부(12)(13)에 수용된 내용물을 원터치캡의 몸체(110) 상부판(111)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112)(113)를 통해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헤어샴푸, 린스와 같이 하나의 세트물품으로 사용되어지는 제품의 간편한 휴대 사용이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세트물품을 사용할 때 각각의 용기를 취급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ne-touch cap having the two discharge 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numb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ents to be used as a set article is accommodated in the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1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은, 용기(10)의 상부로 조립 설치되는 마감부재(20)에 대하여 조립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는 마개(212)(213)로 이루어져 있다.1 to 5,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용기(10)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격벽(11)에 의해 수납부(12)(13)가 분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상기 용기(10)의 상부로 조립 설치되어지는 마감부재(20)는 용기(10)의 수납부(12)(13) 각각에 위치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10)의 상부에 초음파 융착되어 진다.The
상기 마감부재(20)로 조립되는 원터치캡은 몸체(110)와 마개(212)(213)로 이루어진다.One-touch cap assembled with the
상기 몸체(110)는 상부판(111)에 용기(10)의 수납부(12)(13) 각각에 수용된 내용물을 각각 토출하는 토출구(112)(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토출구(112)(113)는 내용물이 부드럽게 토출되어질 수 있도록 돔형상을 이루며 형성된 것이다.The
상기 토출구(112)(113)는 상부판(111)의 내저면으로 형성되어져서 마감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개구부(22)(23)에 대하여 체결되는 체결관(112a)(113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몸체(110)의 전면에는 마개(212)(213)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손톱요홈(114)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몸체(110)에는 분할 형성되어진 각각의 마개(212)(213)가 스냅경첩(130)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마개(212)(213)의 내저면에는 토출구(112)(113)를 차단하는 개폐봉(212a)(21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터치캡은 용기(10)에 몸체(110)가 직접 조립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one-touch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assembled to the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은 세트제품으로 사용되어지는 헤어샴푸와 린스등이 수용되는 용기(10)에 장착 사용함으로써, 그 효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로 마감부재(20)가 조립 설치된 용기(10)에 원터치캡을 장착하게 된다.The one-touch cap having the two discharge 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mounted on the
상기 원터치캡은 몸체(110)의 상부판(111)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112)(113)와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판(111) 내저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관(112a)(113a)을 마감부재(20)에 형성된 개구부(22)(23)에 걸림고정되도록 체결함으로써, 원터치캡의 장착이 완료되어지는 것이다.The one-touch cap closes th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원터치캡이 장착되어진 용기(10)의 수납부(12)(13)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때에는 도4와 도5에서와 같이 마개(212)(213)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discharging and us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receiving
상기 원터치캡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 사용하는 상태의 일예를 하나의 세트물품으로 사용되어지는 헤어샴푸와 린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여보면 아래와 같다.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used through the one-touch cap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n example of a hair shampoo and a rinse used as one set article.
머리를 감을 때에는 헤어샴푸와 린스를 사용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로써, 도4는에서와 같이 헤어샴푸가 수용된 쪽의 마개(212)를 개방하여 용기(10)의 수납부(12)에 수납된 헤어샴푸를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t is well known that the hair shampoo and rinse are used when washing the hair, and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용기(10)의 수납부(12)에 수납된 헤어샴푸를 토출 사용할 때에는 용기(10)를 기울여 마감부재(20)의 개구부(22)를 거쳐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When discharging and using the hair shampoo stored in the
이후, 도5에서와 같이 마개(212)를 닫고 린스가 수납되어 있는 쪽의 마 개(213)를 개방하여 용기(10)의 수납부(13)에 수납된 린스를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 the
상기와 같이 마개(212)(213)가 분할 형성되어져 개별적으로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용기(10)의 수납부(12)(13) 각각에 수납된 내용물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결합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은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마개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only one of the stoppers of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마개 중 다른 하나를 개방하고 개방되었던 마개를 닫은 상태의 예시도.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one of the caps of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the caps that have been opened are closed.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두개의 토출구를 갖는 원터치캡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cap having two discharge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용기 11 : 격벽10 container 11: partition wall
12,13 : 수납부 20 : 마감부재12,13: accommodating part 20: finishing member
22,23 : 개구부 110 : 몸체22,23: Opening 110: Body
111 : 상부판 112,113 : 토출구111: top plate 112,113: discharge port
114 : 손톱요홈 212,213 : 마개114: nail groove 212,213: stopper
212a,213a : 개폐봉 130 : 스냅경첩212a, 213a: Opening and closing rod 130: Snap hinge
..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169U KR20090010788U (en) | 2008-04-18 | 2008-04-18 |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169U KR20090010788U (en) | 2008-04-18 | 2008-04-18 |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788U true KR20090010788U (en) | 2009-10-22 |
Family
ID=4153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5169U KR20090010788U (en) | 2008-04-18 | 2008-04-18 |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0788U (en) |
-
2008
- 2008-04-18 KR KR2020080005169U patent/KR20090010788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8251B2 (en) |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 |
KR200471795Y1 (en) | Pump receptacle with a plural of storages | |
KR20090010788U (en) | One touch cap with two outlets | |
AU6423894A (en) | Container for health care product | |
DE502004001205D1 (en) | TABLETS DONORS | |
KR20160073080A (en) | Tube type cosmetic case | |
KR200479286Y1 (en) |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independent sealed sub-containing space in the inner of the lid | |
KR102050048B1 (en) | Double tube lid | |
JP3764036B2 (en) | Duplex tube container | |
KR102007200B1 (en) | Double tube lid | |
KR200371123Y1 (en) | a tube partitioning inner space | |
KR101812083B1 (en) | Lquid detergent,container | |
KR200449137Y1 (en) | 2-in-1 cosmetic container | |
KR101512431B1 (en) | Pumping bottle | |
CN201186781Y (en) | Integrated double-mouth folding cover | |
KR200275711Y1 (en) | A structure of liquid charge | |
KR200394934Y1 (en) | Advanced shampoo container | |
KR200281551Y1 (en) | Cosmetic powder container comprising a auxiliary entrance | |
KR200167126Y1 (en) | Fluid container having mutiple separated entrance | |
KR200485444Y1 (en) | Container cap | |
KR20250007760A (en) | A portable bath products case with waterproof bluetooth speaker | |
KR20170139184A (en) | A portable bath products case with waterproof bluetooth speaker | |
KR200235923Y1 (en) | Food containers with valves | |
CA2461393A1 (en) | Container having a depressible member for ejecting contents | |
KR20210085231A (en) |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4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111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401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1 Appeal identifier: 2010101003243 Request date: 201004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13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30 Effective date: 20120213 |
|
U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010100324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13 Request date: 201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