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443A -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 Google Patents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0443A KR20090010443A KR1020070073545A KR20070073545A KR20090010443A KR 20090010443 A KR20090010443 A KR 20090010443A KR 1020070073545 A KR1020070073545 A KR 1020070073545A KR 20070073545 A KR20070073545 A KR 20070073545A KR 20090010443 A KR20090010443 A KR 20090010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dual
- nuclear fuel
- grid
- fuel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56—Spacer grids being provided with fuel element supporting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이중냉각 핵연료봉(Dual Cooling Nuclear Fuel Rods)을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으로, 냉각 성능과 핵연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기 위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채택함으로써 핵연료봉의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핵연료봉과 격자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종래의 지지격자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어 배열된 판재형상의 제1격자판과 제2격자판 및 상기 제1격자판과 제2격자판의 교차점 부근에 삽입되어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grid for supporting Dual Cooling Nuclear Fuel Rods arranged at a narrow interv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ooling nuclear fuel rod for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and fuel stability and obtaining high combustion and high output.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nuclear fuel rods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nuclear fuel rods and the lattice plate is narrow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support grid cannot be used. The support grid of the dual-cooled fuel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grid plate and the second grid plate of the plate shape arranged to cros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is insert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grid plate and the second grid plate to support the dual-cooled fuel rods. .
Description
본 발명은 핵연료봉의 중심 온도를 낮추어 초고연소도에서도 핵연료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출력을 높여서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개발 중인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핵연료봉보다 직경이 커져서 핵연료봉과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지지체를 지지격자체의 교차점에 삽입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grid of a dual-cooled fuel rod under development in order to lower the center temperature of the nuclear fuel rod to secure the fuel rod safety and increase the output even at ultra-high combustion, and to obtain an economic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grid for supporting a dual-cooled fuel rod in a diagonal direction by inserting a support at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support lattice in response to a narrower gap between the fuel rod and the suppor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의 단위격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support grid applied to the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grid applied to a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nit grid of the support grid supporting a nuclear fuel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핵연료 집합체(100)는 핵연료봉(110)과 안내관(140)과 지지격자체(150)와 상단 고정체(120)와 하단 고정체(1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상기 핵연료봉(110)은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우라늄 소결체가 포함되고, 이러한 우라늄 소결체의 핵분열 반응에 의하여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Here, the
한편, 상기 안내관(140)은 원자로 노심의 출력을 조절하고 핵분열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며, 상기 지지격자체(150)는 원자로 연료집합체의 구성부품 중 하나로 지지격자체의 각 격자에 있는 스프링(118) 및 딤플(119)이 핵연료봉(110)을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스프링(118) 및 딤플(119)에서의 스프링력이 너무 작을 경우 핵연료봉(110)을 정해진 위치로 지지할 수 없어 핵연료봉(110)의 지지건전성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으며, 스프링력이 너무 클 경우에는 핵연료봉(110)을 지지격자체로 삽입할 때 과도한 마찰 저항력으로 인하여 핵연료봉(110)의 표면에 긁힘과 같은 흠이 발생할 수 있고, 원자로 운전 중 중성자 조사에 의한 핵연료봉(110)의 길이방향 성장을 적절히 수용할 수 없어서 핵연료봉(110)이 휘게 되는, 즉 핵연료봉(110)의 휨 현상(Bowing)을 유발시킬 수 있다.If the spring force in the
핵연료봉(110)이 휘게 되면 인접한 핵연료봉(110)들과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되어 연료봉사이의 냉각수 유로(channel), 즉 부수로(115)를 좁게 하거나 차단하게 되고 이것은 연료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수로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연료봉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어 핵비등 이탈(Departure from Nuclear Boiling, DNB)의 발생가능성을 높여서 핵연료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주원인이 된다.When the
상단 고정체(120)와 하단 고정체(130)는 노심 상·하부 구조물에 핵연료 집합체(1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하단 고정체(130)에는 노심 내부를 부유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이물질여과기, 미도시)를 포함한다.The
한편, 상기 지지격자체(150)는 통상 지르코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핵연료봉(110)들을 지지하는 핵연료봉셀과 안내관(140)이 삽입되는 안내관셀들이 있으며, 핵연료봉셀은 두 면에서 각 1개씩 총 2개의 격자 스프링(118)과 상기 스프링들의 상·하측에 위치하되, 나머지 두 면에서 각 2개 씩 총 4개의 딤플(119)로 총 6개 지지점에서 핵연료봉(110)을 지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핵연료봉(110) 내부에는 실린더 형상의 이산화 우라늄 소결체가 장입되며, 냉각수는 4개의 핵연료봉(110)으로 둘러졌거나, 3개의 핵연료봉(110)과 1개의 안내관(140)으로 둘러싸인 부수로(sub channel, 115)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노심 하부에서 상부로 빠르게 유동한다.Meanwhile, a cylindrical uranium dioxide sintered body is charged inside the
여기서, 부수로(115)는 핵연료봉(110)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유체가 자유로이 이웃된 유로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Here, the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핵연료 봉(110) 대신에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미국특허공보 제3,928,132호 및 제6,909,765에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6 and 7, dual-cooled
여기서,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소결체(11)와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측 피복관(12)과 외주연에 구비되는 외측 피복관(13)으로 구성되며, 냉각수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로도 흐를 수 있게 하여 이중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표면 온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핵연료의 중심온도 상승에 의한 연료 손상의 가능성을 낮추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안전 여유도를 증가시켜서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가능하게 한다.Here, the dual-cooled
그러나, 기존의 가압 경수로형 노심에 구조적으로 양립하기 위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은 핵연료 집합체(100) 내에서 노심 구조부품들과의 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안내관(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다는 이유와 연료봉 외경이 증가하는 이유로 인하여 핵연료봉과 격자판 사이의 간극이 기존보다 상당히 좁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12×12 배열의 이중냉각 핵연료 설계안에 따라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할 경우 핵연료봉과 단위 격자판 사이의 간극이 기존의 1.45 ㎜에서 약 0.39 ㎜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be structurally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pressurized water reactor-type core, the dual-cooled
따라서, 핵연료봉과 단위 격자판 사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지금까지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해서 핵연료봉과 직교하는 부분에 연료봉 지지부들을 성형하여 접촉하던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refore, due to the narrow gap between the fuel rod and the unit latt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nd contacting the fuel rod supports at the portion orthogonal to the fuel rod so as to support the nuclear fuel rod cannot be us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기 위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이 전체 수명동안 건전하게 지지되도록 기존의 격자판에 소성변형으로 스프링 및 딤플을 형성시켜 지지하는 대신에 지지격자체의 각 격자판의 교차점 부근에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체를 삽입함으로써, 좁은 간격에도 불구하고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support the cooling system to form a spring and dimple with plastic deformation on the existing grating so that the dual-cooled fuel rods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and to obtain a high combustion and high output is soundly supported for the whole life Instead, by inserting a separate support to support the dual-cooled fuel rods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grids of the support grid itself, it is to ensure that the dual-cooled fuel rods can be stably supported despite the narrow gap.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어 배열된 판재형상의 제1격자판과 제2격자판 및 상기 제1격자판과 제2격자판의 교차점 부근에 삽입되어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grid of the dual-cooled nuclear fuel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like first grid plate and the second grid plate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irst grid plate and the first Inserted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two gri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provided to support the dual-cooled nuclear fuel rods.
특히, 상기 제1격자판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1격자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격자슬릿을 중심으로 양쪽에 제1체결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격자판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2격자슬릿이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제2격자슬릿을 중심으로 양쪽에 제2체결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grid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grid slit spaced at the same interval on either side of the upper or lower, the first fastening slit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first grid slit, the second grid plate A second grid slit spaced at equal intervals is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second fastening sl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rid slit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지지체는 사각 단면을 가진 판재로서, 각 모서리에 상기 제1체결슬릿 및 제2체결슬릿에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되고, 각 면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 료봉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is square As a plate having a cross-section, each edge is provided with a sli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 and the second fastening slit,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ouble-cooled fuel rods.
대안적으로, 상기 지지체는 사각 단면을 가진 판재로서, 각 모서리에 상기 제1체결슬릿 및 제2체결슬릿에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되고, 각 면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외경부와 접촉하도록 오목(concave), 볼록(convex) 또는 평면(plate) 형태의 지지부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upport is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each corner is provided with a sli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 and the second fastening slit, the concave to contact the outer diameter of the dual-cooled fuel rods on each side ( A concave, a convex or a plate-shaped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지지체는 장방형의 판재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is to be formed by bending the rectangular plate material at a right angle.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체는 원형 단면을 가진 판재로서, 원주상의 4개소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슬릿 및 제2체결슬릿에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릿부 사이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is a plat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rranged in four circumferential intervals at 90 degree intervals, the slits being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 and the second fastening slit, the slits being provided between the sli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dual-cooled nuclear fuel rods are formed.
이때, 상기 지지체는 장방형의 판재를 원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is formed by rolling a rectangular plate in a circular shape.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체는 원통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상의 4개소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슬릿 및 제2체결슬릿에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이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is made of a cylindrical tube, arranged in four circumferential intervals at 90 degree intervals provided with a sli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 and the second fastening slit, the double-cooled nuclear fuel The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외경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상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절곡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contact part contacting the outer diameter part of the dual cool fuel rod and a connection part bent and extende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tact part after charging the dual cool fuel rod.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면접촉을 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대안적으로 상기 지지부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 또는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in a concave shape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dual-cooled fuel rod to make a surface contact with the dual-cooled fuel rod after charging the dual-cooled fuel rod, alternatively consider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The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onvex shape or a simple planar shape protruding in the dual-cooled fuel rod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딤플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제1격자판, 제2격자판 및 지지체는 서로 용접되어 결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grid plate, the second grid plate and the support are welded to each other to be coupled.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외경이 증가한 초고연소도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전체 수명동안 건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핵연료봉과 격자판 사이의 간격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제1격자판과 제2격자판의 교차점에 지지체를 삽입하여 구비함으로써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narrow gap between the fuel rod and the lattice plate so that the ultra-high-combustion dual-cooled fuel rods with an increased outer diameter of the dual-cooled fuel rods can be soundly supported for the whole life, the first grid and the second grid plate By inserting the support at the intersection of the grid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ably support the dual-cooled fuel rods.
더구나, 핵연료 집합체 내에서 안내관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상단 고정체와 하단 고정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노심 구조물의 수정이나 변경 없이 종래의 핵연료 집합체의 구성 부품들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Moreover,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uide tube within the fuel assembly, and the upper and lower fixtures can be used as they are so that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fuel assembly can be maintained without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core structure. do.
또한 각 격자판에 스프링이나 딤플을 소성 가공하지 않고 교차점에 지지체를 삽입함으로써 측면하중에 대한 충격강도를 제고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 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ide effect of improving impact strength against side loads by inserting a support at an intersection without plasticizing a spring or dimple on each grat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격자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격자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격자판, 제2격자판 및 지지체를 결합하는 순서를 도시한 조립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딤플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lat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cond lat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support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지지격자체(1)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어 배열된 판재 형상의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 및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삽입되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체(40)로 이루어져 있다.The
즉,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을 다수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각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수용되며,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안정적으로 지지 하기 위하여 지지체(40)를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삽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dual cooling nuclear fuel rods in a space formed by crossing the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제1격자판(20)은 판재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에 두 종류의 슬릿인 제1격자슬릿(21)과 제1체결슬릿(22)이 구비되어 있다.The
먼저 제1격자슬릿(21)은 후술할 제2격자판(3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격자판(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격자슬릿(21)을 중심으로 좌우측 양쪽에는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슬릿(22)이 구비되어 있다.First, the
즉, 상기 제1격자판(20)에 형성된 제1격자슬릿(21)과 제1체결슬릿(22)은 상기 제1격자판(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격자슬릿(21)은 후술할 제2격자판(30)의 제2격자슬릿(31)과 결합하며, 상기 제1체결슬릿(22)은 후술할 지지체(40)에 형성된 슬릿부(41)와 결합되도록 한다.That is, a plurality of first lattice slits 21 and
여기서 상기 제1격자슬릿(21)과 제1체결슬릿(22)이 상기 제1격자판(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그 위치를 하부로 변경할 수도 있다.Here, the
도 9에 따른 본 발명의 제2격자판(30)은 판재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격자판(20)과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슬릿인 제2격자슬릿(31)과 제2체결슬릿(32)이 구비되어 있다.The
제2격자슬릿(31)은 상기 제1격자판(20)에 구비된 제1격자슬릿(21)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2격자판(3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제2체결슬릿(32)은 상기 제2격자판(30)의 상부에 상기 제1체결슬릿(22)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격자슬릿(31)을 중심으로 좌우측 양쪽에 구비되어 있다.The
만약, 상기 제1격자판(20)의 하부에 제1격자슬릿(21)과 제1체결슬릿(22)이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제2격자판(30)의 제2격자슬릿(31)은 상기 제2격자판(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체결슬릿(32)은 하부에 구비되어야 한다.If the first lattice slit 21 and the
이때는 후술할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40)가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체(4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가지는 판재의 각 모서리에 상기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과 결합되도록 슬릿부(41)가 구비되어 있다.10 shows a
이 때 상기 지지체(40)의 대각선 길이는 상기 제1격자판(20) 및 제2격자판(30)에 각각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diagonal length of the
즉,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을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한 다음에 각 격자판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과 제2체결슬릿(32)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4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슬릿부(41)의 대각선 길이는 상기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가로 또는 세로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 여야 한다.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릿부(41)가 상기 지지체(40)의 각 모서리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지지체(40)를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슬릿부(41)를 상기 지지체(40)의 각 모서리 상부에 구비하여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은 모두 각 격자판의 하부에 구비되어야 함이 마땅하다.For this purpose, the first fastening slit 22 and the second fastening slit 32 provided in the
상기 사각단면을 가지는 지지체(40)의 각 면에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지지부(42)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접촉되는 접촉부(43)와 상기 접촉부(43)의 상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절곡형성된 연결부(44)로 이루어져 있다.Each side of the
즉, 상기 지지체(40)의 각 면에 구비된 지지부(42)는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에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43)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접촉부(43)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43)의 상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 연결부(44)가 마련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즉, 상기 연결부(44)는 상기 지지체(40)의 각 면에서 돌출된 접촉부(43)를 탄성지지하며, 이는 결국 상기 접촉부(43)를 통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탄성지 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connecting
도 10에서 상기 접촉부(43)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과 면접촉을 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42)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부(43)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 또는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10, the
상기 지지체(40)는 장방형의 판재를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릿부(41)와 접촉부(43) 및 연결부(44)로 이루어진 지지부(42)를 소성 가공한 다음에 이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사각형상을 갖도록 한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1격자판(20), 제2격자판(30) 및 지지체(40)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격자체(1)를 만드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shows an example of forming the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격자판(20)의 제1격자슬릿(21)에 상기 제2격자판(30)의 제2격자슬릿(31)이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2격자판(30)을 상기 제1격자판(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조립한다. 그 후에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각 교차점을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고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1, the
그 다음에, 상기 지지체(4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슬릿부(41)가 각 격자판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과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체(4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한다. 그 후에 상기 지지체(40)와 각 격자판이 교차되는 부분을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고착되도록 한다.Next, the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각 격자판에 의해 둘러싸인 정사각형상의 공간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수용하고, 각 교차점에 삽입된 지지체(40)에 구비된 지지부(42)에 의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도 14는 도 10의 지지체(40)의 각 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딤플(46)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14 shows that dimples 46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상기 딤플(46)은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체의 각 면에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방향으로 돌출하되,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형태의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다.The
도 14에서 상기 딤플(46)은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면접촉을 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형태의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건정성을 위해서라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태 또는 단순한 평면 형태의 접촉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In FIG. 14,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체(4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가지는 판재의 각 모서리에 상기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과 결 합되도록 슬릿부(41)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면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면접촉하도록 오목(concave)한 형태의 지지부(42)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FIG. 15 shows a
또한,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지지체(40)의 강성 또는 상기 지지체(40)에 의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프레팅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면의 상부와 하부의 일부를 세로방향으로 절개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지지부(42)가 오목(concave)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과 면접촉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또한, 상기 지지체(40)의 대각선 길이는 상기 제1격자판(20) 및 제2격자판(30)에 각각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diagonal length of the
즉,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을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한 다음에 각 격자판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과 제2체결슬릿(32)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4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슬릿부(41)의 대각선 길이는 상기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가로 또는 세로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여야 한다.That is, the
상기 지지체(40)는 장방형의 판재를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릿부(41)와 접개부 및 지지부(42)를 소성 가공하여 형성한 다음에 이를 직각으로 절 곡하여 사각형상을 갖도록 한다.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지격자체(1)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따라서,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각 격자판에 의해 둘러싸인 정사각형상의 공간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수용하고, 각 교차점에 삽입된 지지체(40)에 구비된 지지부(42)에 의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볼록한 지지부(42)를 갖는 지지체(4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부(42)가 볼록(convex)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과 접촉하여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할 수 있다.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비록 도 17 및 도 1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지지부(42)는 평평한 평면(plate)의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7 and 18, the
또한,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지지체(40)의 강성 또는 상기 지지체(40)에 의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프레팅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면의 상부와 하부의 일부를 세로방향으로 절개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체(4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원형단면을 가지는 판재의 원주상의 4개소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슬 릿(22) 및 제2체결슬릿(32)과 결합되도록 슬릿부(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슬릿부(41) 사이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지지부(42)가 마련되어 있다.19 shows a
이때, 상기 지지체(40)의 원주상에 구비된 슬릿부(41)에서 각각 마주보는 슬릿부(41)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격자판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상기 원형단면을 가지는 지지체(40)의 원주상 4개소에는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지지부(42)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접촉되는 접촉부(43)와 상기 접촉부(43)의 상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절곡형성된 연결부(44)로 이루어져 있다.Fou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즉, 상기 지지체(40)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에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43)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접촉부(43)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43)의 상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 연결부(44)가 마련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즉, 상기 연결부(44)는 상기 지지체(40)의 각 면에서 돌출된 접촉부(43)를 탄성지지하며, 이는 결국 상기 접촉부(43)를 통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탄성지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connecting
도 19에서 상기 접촉부(43)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 중냉각 핵연료봉(10)과 면접촉을 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42)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부(43)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 또는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19, the
상기 지지체(40)는 장방형의 판재를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릿부(41)와 접촉부(43) 및 연결부(44)로 이루어진 지지부(42)를 소성 가공한 다음에 이를 원형으로 말아서 형성한다.The
따라서,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각 격자판에 의해 둘러싸인 정사각형상의 공간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수용하고, 각 교차점에 삽입된 지지체(40)에 구비된 지지부(42)에 의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도 22는 도 19의 지지체(40)의 각 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딤플(46)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22 illustrates that
상기 딤플(46)은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체의 각 면에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방향으로 돌출하되,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장입 후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형태의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다.The
도 22에서 상기 딤플(46)은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면접촉 을 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외경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형태의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건정성을 위해서라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태 또는 단순한 평면 형태의 접촉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In FIG. 22, the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체(4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40)는 원통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상 4개소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과 결합되도록 슬릿부(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상기 지지체(40)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지지되도록 한다.FIG. 23 shows a
이때, 상기 지지체(40)의 원주상에 구비된 각각 마주보는 슬릿부(41)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격자판에 구비된 제1체결슬릿(22) 및 제2체결슬릿(32)의 간격과 동일하게끔 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40)는 장방형의 판재를 직각으로 절곡하거나 원형으로 말아서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의 튜브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40)를 제공하며, 프레스 장치 등에 의해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상기 슬릿부(41)를 소성 가공하도록 한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따라서,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상기 제1격자판(20)과 제2격자판(30)의 교차점 부근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각 격자판에 의해 둘러싸인 정사각형상의 공간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수용하고, 각 교 차점에 삽입된 원형 단면의 지지체(40)의 외주면에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지지체(40) 자체의 강성을 이용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Figure 2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grid applied to a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grid applied to the nuclear fu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의 단위격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nit grid of the support grid for supporting the nuclear fuel r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6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ual-cooled nuclear fuel rod,
도 7은 이중냉각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7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ual-cooled fuel assembly;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격자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lat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격자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lat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1격자판, 제2격자판 및 지지체를 결합하는 순서를 도시한 조립도,11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 procedure of combining the first grid plate, the second grid plate and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딤플이 추가로 구비된 것 을 나타내는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impl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upport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pplied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평면도,16 is a plan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볼록한 지지부를 갖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having a convex support applied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평면도,20 is a plan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딤플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dimples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a support applied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pplied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평면도,24 is a plan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의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gri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지지격자체 10 : 이중냉각 핵연료봉1: support grid 10: dual cooling nuclear fuel rod
11 : 소결체 12 : 내측 피복관11: sintered compact 12: inner side cover tube
13 : 외측 피복관 20 : 제1격자판13: outer cladding tube 20: first lattice plate
21 : 제1격자슬릿 22 : 제1체결슬릿21: first lattice slit 22: first fastening slit
30 : 제2격자판 31 : 제2격자슬릿30: second lattice plate 31: second lattice slit
32 : 제2체결슬릿 40 : 지지체32: second fastening slit 40: support
41 : 슬릿부 42 : 지지부41: slit part 42: support part
43 : 접촉부 44 : 연결부43: contact 44: connection
46 : 딤플 100 : 핵연료 집합체46: dimple 100: nuclear fuel assembly
110 : 핵연료봉 115 : 부수로110: nuclear fuel rod 115: subwaterway
118 : 스프링 119 : 딤플118: spring 119: dimple
120 : 상단 고정체 130 : 하단 고정체120: upper fixture 130: lower fixture
140 : 안내관 150 : 지지격자체140: guide 150: support grid itself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545A KR100900917B1 (en) | 2007-07-23 | 2007-07-23 |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545A KR100900917B1 (en) | 2007-07-23 | 2007-07-23 |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443A true KR20090010443A (en) | 2009-01-30 |
KR100900917B1 KR100900917B1 (en) | 2009-06-03 |
Family
ID=404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3545A Active KR100900917B1 (en) | 2007-07-23 | 2007-07-23 |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091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95124A1 (en) * | 2012-09-04 | 2014-03-07 |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 SPACING GRILLS WITH LIMITED-DEVIATION PENCIL CONTACTS FOR NUCLEAR COMBUSTI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CN107230502A (en) * | 2017-06-09 | 2017-10-03 | 岭东核电有限公司 | Fuel assembly and its screen work and support insert |
CN109935369A (en) * | 2017-12-19 | 2019-06-25 |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 A cell, fuel assembly spacer grid and fuel assembly |
KR20190089614A (en) * | 2018-01-23 | 2019-07-31 |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 Spacer grid insertion component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119B1 (en) | 2009-01-23 | 2010-07-05 | 한국원자력연구원 | Space grid having pipe-shaped springs which are inserted into interior grid intersection regio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32351A (en) * | 1990-05-11 | 1991-07-16 | General Electric Company | Modified cross point spacer apparatus and construction |
US5327470A (en) * | 1992-02-07 | 1994-07-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Spacer with steam separator |
KR100330355B1 (en) * | 1999-06-04 | 2002-04-01 | 장인순 | Duct type spacer grid with swirl flow vane in nuclear fuel assembly |
-
2007
- 2007-07-23 KR KR1020070073545A patent/KR100900917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95124A1 (en) * | 2012-09-04 | 2014-03-07 |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 SPACING GRILLS WITH LIMITED-DEVIATION PENCIL CONTACTS FOR NUCLEAR COMBUSTI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US10176899B2 (en) | 2012-09-04 | 2019-01-08 | Global Nuclear Fuel-Americas, Llc | Spacers with deflection-limited rod contacts for nuclear fue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CN107230502A (en) * | 2017-06-09 | 2017-10-03 | 岭东核电有限公司 | Fuel assembly and its screen work and support insert |
CN109935369A (en) * | 2017-12-19 | 2019-06-25 |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 A cell, fuel assembly spacer grid and fuel assembly |
KR20190089614A (en) * | 2018-01-23 | 2019-07-31 |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 Spacer grid insertion component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0917B1 (en) | 2009-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66135A1 (en) | Debris filtering bottom spacer grid with louvers for preventing uplift of fuel rods | |
KR20090021478A (en) | Support grid with canoe-shaped spring to prevent fuel rod fretting wear | |
KR100967119B1 (en) | Space grid having pipe-shaped springs which are inserted into interior grid intersection regions | |
ES2368472T3 (en) | NUCLEAR FUEL, HARMONY AND ASSEMBLY SUPPORT ROD SUPPORT GRILLE PROVIDED WITH SUCH GRILLE. | |
KR100900917B1 (en) | Support Grid of Dual Cooled Fuel Rod Using Cross Point Supports | |
US20080232537A1 (en) | Nuclear fuel assembly with an advanced spacer grid | |
JP5769981B2 (en) | Fretting-resistant fuel rod support structure with split spring | |
US8483349B2 (en) | Spacer grid for dual-cooling nuclear fuel rods using intersectional support structures | |
KR100844879B1 (en) | Support grid with W and springs with improved fuel rod fretting wear resistance | |
KR101163998B1 (en) |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 |
KR100907635B1 (en) | Support grid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with M-type dimples | |
KR100999871B1 (en) | Supporting grid with movable tubular spring inserted in the intersecting area of the internal lattice | |
KR100891942B1 (en) | Support grid with shifted support points for narrowly spaced nuclear fuel rods | |
KR100901812B1 (en) | Supporting grid with double-winged spring for stable fuel rod support and fretting wear | |
KR100844472B1 (en) | Support grid with cylindrical integral springs and dimples to prevent fuel rod fretting wear | |
US9171647B2 (en) |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flow-induced vibration | |
KR100961486B1 (en) | Unit support grid, unit support grid and nuclear fuel rod support grid | |
KR101071288B1 (en) | Spacer grid comprising of inserted impact supportplate and upward/downward movable spring supportplate to support fuel rods at interior grid intersection regions | |
US9196386B2 (en) |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high frequency vibration | |
KR101071286B1 (en) | Spacer grid inserted upward/downward movable spring supportplate to support fuel rods at interior grid intersection regions | |
KR100981669B1 (en) | Support grid with insert curved spring plate | |
KR101071287B1 (en) | Internal structure of wire spring type spacer grid | |
KR100800094B1 (en) | Support grid with table spring to prevent fuel rod fretting wear | |
KR101062786B1 (en) | Support grid of nuclear fuel rods | |
KR101069846B1 (en) | Spacer grid comprising with inserted impact supportplate and movable spring support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