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7924A -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924A
KR20090007924A KR1020070071153A KR20070071153A KR20090007924A KR 20090007924 A KR20090007924 A KR 20090007924A KR 1020070071153 A KR1020070071153 A KR 1020070071153A KR 20070071153 A KR20070071153 A KR 20070071153A KR 20090007924 A KR20090007924 A KR 2009000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tray
making tray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환
이태희
김영진
서광하
박홍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924A/ko
Priority to PCT/KR2008/003087 priority patent/WO2009011493A2/en
Priority to US12/142,172 priority patent/US8109114B2/en
Publication of KR2009000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2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또는, 급수 시에 물 혹은 살얼음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급수 중에 물이 튀거나, 제빙단계에서 제빙트레이가 설치된 제빙장치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제빙트레이 외부로 물 또는 살얼음이 넘쳐나오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엉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빙장치의 냉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빙, 얼음, 이빙

Description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ice mak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또는, 급수 시에 물 혹은 살얼음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냉동 장치에 장착되어 냉기에 의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냉장고를 비롯하여 정수기나 자동판매기, 얼음 제조장치 등(이하 "냉장고 등"이라 함)에서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아 이를 빙점 이하로 냉각시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물의 빙점 이하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실에 물이 담긴 제빙용기를 넣어 두고 얼음이 생성되면 이를 사용자가 직접 꺼내어 얼음을 획득하도록 하는 단순한 방식의 제빙이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생활 수준의 향상과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빙과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제빙장치에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 획되며, 각 공간에 물을 공급하여 얼음을 만드는 기구로서, 제빙트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트레이는 제빙된 얼음의 이빙 방식에 따라, 가열식 제빙트레이와 트위스트(twist)식 제빙트레이로 대별된다. 가열식은 이빙을 위해 가열장치를 제빙용기와 인접하도록 설치하여 얼음을 녹여 분리하는 방식이며, 트위스트식은 이빙을 위해 가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빙트레이를 비틀어서 이빙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전도체로 구성된 제빙트레이에 짧은 시간 동안 펄스를 가하여 얼음을 녹임으로써, 물발생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얼음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빙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제빙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제빙트레이에 급수하거나, 얼음이 얼기 전 제빙단계에서 물 또는 살얼음이 제빙트레이 외부로 튀거나 넘쳐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급수 중에 물이 튀거나, 제빙단계에서 제빙트레이가 설치된 제빙장치가 외력에 의해 흔들림으로써, 제빙트레이 외부로 물 또는 살얼음이 넘쳐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제빙된 얼음이 수용되는 수용부에서 물이 섞여 얼게 되므로, 얼음의 엉김 현상이 발생하고, 제빙장치의 기타 주변 부품에서 물이 얼게 되어 제빙장치의 냉동성능이 저하되며,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함에 있어서, 엉겨붙은 얼음을 서로 떼어내어 상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또는, 급수 시에 물 혹은 살얼음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 및, 상기 제빙트레이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빙트레이 커버를 포함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제빙장치 본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를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과 상기 제빙장치 본체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빙트레이를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국면에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빙트 레이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로의 급수를 위한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통부로 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벽은 상기 연통부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은 제빙트레이 커버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하여, 제빙트레이에 급수하고 제빙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를 가열하여 상기 얼음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 완료된 제빙트레이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를 덮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제빙장치 본체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빙트레이의 가열은 상기 제빙트레이에 펄스를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급수 중에 물이 튀거나, 제빙단계에서 제빙트레이가 설치된 제빙장치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제빙트레이 외부로 물 또는 살얼음이 넘쳐나오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빙된 얼음의 엉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빙장치의 냉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함에 있어서, 항상 엉겨붙지 않고 각각 분리된 얼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얼음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에 사용되는 제빙트레이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크게,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110) 및, 상기 제빙트레이(110)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빙트레이 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제빙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에는 물을 급수받아 얼음을 만드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을 수용하며, 그 상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얼음이 분리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상기 수용부(112)가 복수 개 형성된, 수용부(112)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112)가 일렬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수용부(112)가 여러 줄 나란히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부(112)는 여러 가지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12)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큐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취향과 구미에 맞는 모양을 가지는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수용부(112)를 갖는 제빙트레이(110)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별 모양이나 하트 모양 등 좀 더 복잡한 형태를 갖는 수용부(112)가 구비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수용된 물이 냉기를 받아 제빙된 경우, 제빙된 얼음을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이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수용부(112)가 일렬로 늘어선 방향을 의미한다)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수용부(112)의 개구된 상방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 방향 양단과 축결합되는 회전부재(122)와, 상기 회전부재(122)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122)와 함께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부재(122)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동시킨다. 물론, 상기 회전부재(122)는 고정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제빙트레이(110)만을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회전하는 각도는 90°~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회전각이 상기 범위 내이면, 얼음이 분리되면서 얼음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낙하하여 다른 기구에 의한 추가적 이동 없이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미도시) 등,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바로 얼음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부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32)와, 상기 저장용기(132)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32)는 예를 들어, 급수호수(136)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134)과 저장용기(1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물이 유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반복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에서 제빙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과 제빙트레이(110)의 접촉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녹이는 열원으로서 기능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트위스트 방식으로 된 제빙트레이(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도 후술할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는 반복적인 on/off 제어가 가능한 여하한 종류의 히터 또는 발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펄스를 가함으로써, 상기 얼음을 녹여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이 제시된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공급장치(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류공급장치(142)는 파워 서플라이(143)와 입력제어장치(1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엄밀히 말하면,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까지 포함하여 상기 가열부를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재질인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스테인리스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빙트레이(110)에 전극(114)을 연결하여 펄스를 가해줌으로써, 짧은 시간에 제빙트레이(110)를 균일하게 발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양단에 전극(114)이 삽입되고 상기 전극(114)에 전기회로(미도시)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22) 내부에 상기 양 전극(114)을 연결하는 전기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일정 시간 펄스가 가해지면서 열이 발생하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수용부(112)와 상기 수용부(112)에 형성된 얼음의 접촉면에서부터 얼음이 녹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용부(112)에 달라붙어 있던 얼음이 수용부(112)로부터 분리되며, 상기와 같이, 제빙트레이(110)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하여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발열량 조절은 파워 서플라이(143)에 의해 공 급되는 전류가 입력제어장치(144)에 의하여 펄스 형태로 인가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제어장치(144)는 저항회로, Triac회로나 Coil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에 적용되는 제빙트레이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는 상기 제빙트레이(110)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빙트레이 커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 수용부(112)의 개구부를 봉쇄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물 또는 살얼음이 튀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제빙장치(100) 본체(미도시)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 커버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5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52)의 끝단과 상기 제빙장치(100) 본체가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 재(152)는 제빙장치(100)의 본체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부품에 힌지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152)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거나 노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물이 공급되거나, 이빙을 위해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회동하는 때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노출시키고, 그 상태에서 급수나 이빙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급수가 이루어진 후, 제빙단계에서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덮는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하면은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하면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수용부(112)를 밀봉하면서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을 때 서로 밀착되어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구동장치(미도시)와 이동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하로 직선운동하도록 구비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거나 노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물이 공급되거나, 이빙을 위해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회동하는 때에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노출시키고, 그 상태에서 급수나 이빙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급수가 이루어진 후, 제빙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장치 구동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하면은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상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하면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수용부(112)를 밀봉하면서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덮을 때 서로 밀착되어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재질에 따라,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함께 성형되거나, 접착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일체로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펄스 적용의 이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펄스가 가해질 때,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로는 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얼음이 수용된 수용부(112)에서만 균일한 발열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발열하더라도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110)로의 급수를 위한 연통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통부(154)를 통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물론, 제1,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통부(15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이동 없이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통부(154)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길이 방향(제빙트레이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될 것이다.)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54)는 급수 시 물이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빙단계에서 상기 제빙트레이(110) 수용부(112)에 수용된 물을 얼리기 위한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154)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통부(154)를 통하여 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벽(1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A-A'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방수벽(156)은 상기 연통부(154)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튀어나가는 물의 차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제2 실시 예에서는 제빙된 얼음의 이빙 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회동 내지 이동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노출시키므로, 상기 방수벽(156)이 얼음의 이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일체로서 구비되면, 얼음의 이빙 시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함께 회동하고, 이 경우, 상기 방수벽(156)이 얼음의 이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수벽(156)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부(154)의 크기도 얼음이 걸리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고, 도 7b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며, 도 7c는 제3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어방법은 크게, 제빙트레이 커버(150)에 형성된 연통부(154)를 통하여, 제빙트레이(110)에 급수하고 제빙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전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가열하여 상기 얼음을 분리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110)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빙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과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부를 작동시켜, 상기 저장용기(132)에 저장된 물을 급수관(134)을 거쳐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공급한다. 이때, 물은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에 형성된 연통부(154)를 통하여 제빙트레이(110)로 공급된다(S110).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제빙을 실시한다(S110).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완료된 제빙트레이(110)를 노출 시키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를 이동시킨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전시킨다(S130).
이때,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이동한 후에 상기 제빙트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지만, 상기 두 단계(S120, S130)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빙트레이(110)도 이빙 위치로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이동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제빙장치(100) 본체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와 제빙트레이(110)의 동작은 도 7a와 같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이동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와 제빙트레이(110)의 동작은 도 7b와 같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제빙트레이(110)와 일체로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와 제빙트레이(110)가 함께 이빙 위치로 회동한다.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얼음을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분리시킨다(S13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전기 전도성을 가진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펄스가 가해짐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10)가 가열될 수 있다. 물론, 얼음의 이빙은 전술한 가열식이나 트위스트 방식의 이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110)가 원위치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150). 그리고,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110)를 덮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150)도 원위치로 이동한다(S160).
이때,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제빙트레이 커버(150)는 동시에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실시 예에 따른 제빙트레이(110)와 제빙트레이 커버(150)의 동작은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동작도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빙트레이 커버(150)가 구비됨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질 때, 또는 제빙단계에서 외력에 의한 제빙트레이(110)의 흔들림이 있더라도 제빙트레이(110) 외부로 물이 넘치거나 튀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제빙트레이에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제빙과정에서 물이나 살얼음이 튀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제빙장치의 신뢰성 확보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에 사용되는 제빙트레이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에 적용되는 제빙트레이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a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
도 7b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
도 7c는 제3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빙장치 110 : 제빙트레이
112 : 수용부 114 : 전극
132 : 저장용기 134 : 급수관
142 : 전류공급장치 143 : 파워 서플라이
144 : 입력제어장치 150 : 제빙트레이 커버
152 : 연결부재 154 : 연통부
156 : 경사부

Claims (16)

  1.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 및
    상기 제빙트레이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빙트레이 커버;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제빙장치 본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과 상기 제빙장치 본체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빙트레이를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빙트레이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 상부에 상기 제빙트레이로의 급수를 위한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통부로 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벽을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벽은 상기 연통부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1. 제빙트레이 커버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하여, 제빙트레이에 급수하고 제빙하는 단계;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빙트레이를 가열하여 상기 얼음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완료된 제빙트레이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 분리된 제빙트레이를 덮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제빙장치 본체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 커버는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빙트레이의 가열은 상기 제빙트레이에 펄스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71153A 2007-07-16 2007-07-16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Ceased KR20090007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53A KR20090007924A (ko) 2007-07-16 2007-07-16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PCT/KR2008/003087 WO2009011493A2 (en) 2007-07-16 2008-06-02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same
US12/142,172 US8109114B2 (en) 2007-07-16 2008-06-19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53A KR20090007924A (ko) 2007-07-16 2007-07-16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453A Division KR101033600B1 (ko) 2009-05-27 2009-05-27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24A true KR20090007924A (ko) 2009-01-21

Family

ID=4026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153A Ceased KR20090007924A (ko) 2007-07-16 2007-07-16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9114B2 (ko)
KR (1) KR20090007924A (ko)
WO (1) WO20090114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20B1 (ko) * 2006-08-29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040160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595B1 (ko) * 2008-11-19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US20110146324A1 (en) 2009-12-2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08016B2 (en) * 2010-04-27 2013-04-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with rotating ice mold and counter-rotating ejection assembly
KR20120082990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706313B1 (en) * 2011-05-05 2020-07-01 Hefei Midea Refrigerator Co., Ltd. Manual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KR101968563B1 (ko) * 2011-07-15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CN102353193B (zh) * 2011-09-02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制冰机和冰箱
US9016073B2 (en) 2013-03-14 2015-04-28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with heatless ice removal and method for heatless removal of ice
JP7016731B2 (ja) * 2018-03-09 2022-02-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機
JP7141287B2 (ja) * 2018-09-21 2022-09-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機
KR102660521B1 (ko) * 2018-11-16 202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11578904B2 (en) * 2018-11-1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WO2020101370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11002476B2 (en) * 2019-04-01 2021-05-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er having a splash cover
JP7392981B2 (ja) * 2019-12-25 2023-12-06 アクア株式会社 製氷機及び製氷機を備えた冷蔵庫
USD1020967S1 (en) * 2022-01-28 2024-04-02 Xinjun CHEN Portable cool box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529A (en) * 1982-09-30 1984-02-21 Mcmillan Charles Ice tray with lid
KR960008175B1 (ko) 1991-12-17 1996-06-20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냉장고의 제빙장치
JPH05296623A (ja) * 1992-04-17 1993-11-09 Hitachi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H06241626A (ja) * 1993-02-23 1994-09-02 Sharp Corp 自動製氷装置
JPH06273014A (ja) * 1993-03-18 1994-09-30 Toshiba Home Technol Corp 自動製氷装置
KR0135684B1 (ko) 1994-08-30 1998-04-23 김광호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JPH0961023A (ja) * 1995-08-21 1997-03-07 Sharp Corp 製氷装置
EP2221561A2 (en) * 2004-06-22 2010-08-25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Pulse systems and methods for detaching 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1493A3 (en) 2009-12-30
WO2009011493A2 (en) 2009-01-22
US20090019880A1 (en) 2009-01-22
US8109114B2 (en)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924A (ko)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90007923A (ko) 제빙트레이
EP3165853A1 (en) Ice machin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58230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ce
KR2009007937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800316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8534088B2 (en)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JP2003336947A (ja)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KR20220037820A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1033600B1 (ko)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90057966A (ko)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644181B1 (ko) 실링 겸용 구형 얼음 제빙장치 및 방법
US20130239594A1 (en) Ice maker with self-regulating ice mold &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392196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H0979717A (ja) 製氷装置
KR100257197B1 (ko) 가정용 제빙기
CN212619512U (zh) 微型制冰机
KR0164754B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
JP2001082841A (ja) オーガ式製氷機
KR20080090100A (ko)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JPH09269166A (ja) 製氷機
JP2893335B1 (ja) 理化学機器用の冷水循環供給機
JP2003336948A (ja)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KR20110037403A (ko) 음료제조기
JP2007198645A (ja) 自動製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0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8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6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225

Appeal identifier: 2009101004099

Request date: 2009050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701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04

Effective date: 201002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2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504

Decision date: 20100225

Appeal identifier: 2009101004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