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652A -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 Google Patents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7652A KR20090007652A KR1020097000235A KR20097000235A KR20090007652A KR 20090007652 A KR20090007652 A KR 20090007652A KR 1020097000235 A KR1020097000235 A KR 1020097000235A KR 20097000235 A KR20097000235 A KR 20097000235A KR 20090007652 A KR20090007652 A KR 20090007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e
- elevator system
- elevator
- floor
- hoistw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54 Wrough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높이가 낮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5)을 가진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5)의 바닥에 고정된 기저판(3) 상에 힌지 결합되고 정상적인 엘리베이터 작동시에 수평 위치로 접혔을 때 승강로 바닥(5) 위의 감소된 높이에 배치되는 브레이스(1)와, 카(11) 아래에 고정되고 접힌 위치에 있는 브레이스(1)의 수평 측면 표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버퍼 요소(9)를 사용하고, 상기 브레이스(1)는 작업자가 승강로 바닥(5)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상태로 버퍼 요소(9)가 브레이스(1)의 상부 표면(15)과 접촉할 수 있는 수직 상승 위치로 적절한 상승 장치(31)에 의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버퍼 요소(9)의 두께에 추가되는 브레이스(1)의 길이는 카(11)의 하면과 승강로 바닥(5) 사이에 충분한 깊이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승강로 바닥(5)에 충돌할 위험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n operator in an elevator with a low height elevator floor 5 is hinged on a base plate 3 fixed to the floor of the elevator path 5 and during normal elevator operation. Contact with the brace 1 disposed at a reduced height above the hoist floor 5 when folded in a horizontal position to the horizontal side surface of the brace 1 in a fixed and folded position below the car 11 With a buffer element 9, which allows the brace 1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15 of the brace 1 with the operator working within the hoist floor 5. And the length of the brace 1 added to the thickness of the buffer element 9,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11 and the hoist bottom 5, which is adapted to be moved by an appropriate lifting device 31 to a vertical rise position. Provide enough dep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suppresses the risk of colliding with the hoist floor 5.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로 바닥의 높이가 낮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having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in an elevator having a low floor of a hoistway.
일부 엘리베이터는, 특히 지하수층이 1층에 근접하여 위치된 경우에, 감소된 높이의 승강로 바닥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준 높이(0.8 내지 1.2 m)에 비해 낮은 승강로 바닥의 이러한 높이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에 충돌하는 위험을 초래한다.Some elevators are known to require elevated floor heights, especially when the groundwater level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floor. This height of the floor of the hoistway, lower than the standard height (0.8-1.2 m), creates the risk of the maintenance worker colliding with the elevator car.
작업자 보호를 위해 승강로 바닥에 힌지 결합된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는 국제 공보 제WO-A-9947447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힌 위치에 있는 브레이스의 수평 측면 표면 및 수직 상승 위치에 있는 브레이스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카 아래에 고정되는 버퍼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An elevator comprising a brace hinged to the bottom of the hoistway for worker protection is known from WO-A-9947447. Nevertheless, there is no buffer element fixed under the car to contact the horizontal side surface of the brace in the folded position and the top surface of the brace in the vertical raised posi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승강로의 바닥 단부의 높이가 낮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제안하며, 안전 장치는 승강로 바닥에 고정된 기저판 상에 힌지 결합되고 정상적인 엘리베이터 작동시에 감소된 높이의 수평 위치로 접혔을 때 승강로 바닥 위에 배치되는 브레이스와, 카 아래에 고정되고 접힌 위치에 있는 브레이스의 수평 측면 표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버퍼 요소를 사용하고, 상기 브레이스는 작업자가 승강로 바닥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상태로 버퍼 요소가 브레이스의 상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수직 상승 위치로 적절한 상승 장치에 의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버퍼 요소의 두께에 추가된 브레이스의 길이는 카의 하면과 승강로 바닥 사이에 충분한 깊이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에 충돌할 위험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vator having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in an elevator having a low height at the bottom end of the hoistway, the safety device being hinged on a base plate fixed to the hoistway floor and reduced in normal elevator operation. A brace placed on the hoist floor when folded to a horizontal position of height, and a buffer element adapted to contact the horizontal side surfaces of the brace in the fixed and folded position below the car, the brace being used by the operator within the hoist floor. In operation, the buffer element is intended to be moved by a suitable lifting device to a vertical raised position where it can contact the top surface of the brace, and the length of the brace added to the thickness of the buffer element is between the bottom of the car and the bottom of the hoistway. Providing enough depth to the operator It characterized by inhibiting the danger of collision in Doc.
버퍼의 두께에 추가되는 이 브레이스 길이는 카 속도에 따른 표준 길이, 즉 0.80 m 내지 1.20 m까지 추가될 수 있다.This brace length, in addition to the thickness of the buffer, can be added up to a standard length depending on the car speed, ie from 0.80 m to 1.20 m.
브레이스는 유리하게는 승강로 바닥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고, 대향하는 버퍼 요소도 마찬가지로 카에 위치되지만, 중심을 약간 벗어난 위치도 또한 가능하고, 카가 불의에 브레이스에 충돌하는 경우 해로운 측방향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카 가이드 레일의 평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e is advantageously placed at the center of the hoist floor and the opposing buffer elements are likewise located in the car, but a slightly off center position is also possible and does not create harmful lateral stresses if the car accidentally hits the brace. It is preferable to be in the plane of the car guide rail.
브레이스는 유리하게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관형이며, 버퍼 요소를 대면하는 상기 수평 측면 표면은 튜브의 측방향 측면 중 하나이다.The brace is advantageously tubular with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horizontal side surface facing the buffer element is one of the lateral sides of the tube.
브레이스의 상부 표면은 편평하며, 브레이스가 수직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수평이 될 수 있도록 튜브의 측방향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top surface of the brace is flat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ateral side of the tube so that it can be horizontal when the brace is in a vertically raised position.
버퍼는 유리하게는 강철판이 부착되거나 또는 경화된 하부 측면을 갖는 고무의 블록 또는 유사한 감쇄 재료이며, 상기 판은 적어도 고무 블록의 치수에 따라 수평으로 절단되고, 블록의 전체 표면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것을 허용한다.The buffer is advantageously a block of rubber or similar dampening material having a lower side to which a steel sheet is attached or cured, the plate being cut horizontally at least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rubber block and the impact being absorbed by the entire surface of the block. To allow.
상기 브레이스 상승 장치는 브레이스를 가압하여 수직 상승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헬리컬 또는 나선형 스프링 요소일 수 있고, 서비스중에 수평으로 접힌 브레이스 위치와 수직의 유지보수 위치는 각각의 적절한 잠금 요소에 의해 잠금된다.The brace lifting device may be a helical or helical spring element that presses the brace back into the vertically raised position, wherein the horizontally folded brace position and the vertical maintenance position are locked by each appropriate locking element during service.
상기 브레이스 상승 장치는 브레이스를 그것의 수평 및 수직 유효 위치로 회전시키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 장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The brace lifting device may also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or electric motor device that rotates the brace to its horizontal and vertical effective position.
상승 장치는 예를 들어 최하부 랜딩 도어가 개방되자마자, 작업자의 안전 키를 사용하여 승강로 바닥에 접근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잠금부를 해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발로 지지되는 작업자의 무게를 통해 작업자의 존재를 검출하는 승강로 바닥의 압력판과 같은 작업자로부터의 직접 명령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for example, as soon as the lowermost landing door is opened, the weight of the operator supported by the operator using the operator's safety keys to access the floor of the hoistway and / or by at least one foot, for example to release the lock.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direct command from the operator, such as a pressure plate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operator.
또한, 엘리베이터의 명령 안전 체인상에 직렬로 장착된 브레이스가 접힌 서비스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안전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 스위치는 브레이스가 접힌 작동 위치에서 잠금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임의의 변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개방된다.In addition, a safety switch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service position where the brace mounted in series on the elevator's command safety chain is folded. This switch is locked in the folded operating position and in the opposite case is opened to stop any displacement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로 바닥에 있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 한 안전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vato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below by means of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또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에서 작업하는 동안 어느 경우에나 엘리베이터 카의 불의의 추락으로부터 승객 또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vato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that can protect a passenger or an operator from an accidental fall of an elevator car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or while the maintenance worker is working on the floor of an elevator hoist. have.
도면 중에서 특히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승강로 바닥 단부용 안전 장치는 대체로 엘리베이터 승강로(7)의 바닥(5)에 고정된 기저판(3)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스(1)와, 브레이스(1)에 대향하여 엘리베이터 카(11) 아래에 고정된 버퍼 요소(9)를 포함한다.With particular reference to FIG. 1 of the drawings, a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floor end for protecting a maintenance wo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pivotable on a
버퍼 요소(9)는 원통형 고무 블록이며, 그 하부 표면이 강철판(13)에 고정된다. 수평 강철판(13)의 단면은 약 30 cm의 직경을 갖는다.The
버퍼 요소(9)는 대략 20 cm의 두께이다.The
브레이스(1)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진 단단한 금속 튜브로 만들어진다. 그것의 길이는 대략 90 cm이며, 정사각형의 각각의 측면의 길이는 약 20 cm이다. 우측 단부의 측면(15)은 측방향 측면들에 대해 수직인 면을 형성하도록 폐쇄된다.The
기저판(3)은 플로어에 고정된 편평한 바 아이언(bar iron)으로 만들어지며, 튜브(1)의 양쪽에 배치된 2개의 돌출된 수직 윙(19)이 제공된다. 튜브(1)는 윙의 상단에 장착된 수평 축(21)에 의해 윙(19)에 힌지 결합된다.The
기저판(3)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5)의 중심 위치에 고정된다. The
정상 작동에 있어서, 유지보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에 접근해서는 안 될 때, 브레이스(1)는 수평으로 기울어져, 튜브의 단부 표면(15)에 있는 상보적 오목부(25) 안에 걸리는 잠금 요소(23)에 의해 그 위치에 잠금된 채로 유지된다.In normal operation, when the maintenance worker should not approach the floor of the elevator hoist, the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1)의 불의의 추락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가 튜브(1)의 누워있는 수평 측면 위로 추락하고, 버퍼 요소(9)가 1점 쇄선(27)으로 한정한 영역과 접촉하며(도3),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으로부터 약 25 cm 상승된 기부에 실질적으로 접촉할 것이다.In this state, when an unexpected fall of the
브레이스의 기울어진 위치는 튜브(1)에 대향하는 플로어에 고정된 검출기 스위치(29)가 검출한다. 이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체인과 직렬로 장착된다. 스위치는 브레이스가 기울어진 위치에 있을 때 폐쇄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개방되기 때문에,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 상태에서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tilted position of the brace is detected by a
플로어 또는 기저판(3) 및 튜브(1)에 고정되고 튜브(1)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압축되는 헬리컬 스프링(31)은 간단한 탄성 복귀에 의해 튜브(1)를 수직 위치로 가압하며(도2), 튜브는 제2 잠금 요소(33)에 의해 수직 위치에 유지되며, 제2 잠금 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튜브의 또 다른 상보적 오목부(35)와 결합한다. 이 위치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불의의 추락의 경우에 승강로의 바닥 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카까지의 높이가 약 110 cm이고, 이는 유지보수 작업자(37)가 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브레이스(1)의 이러한 수직 위치는 유지보수 작업자(37)가 승강로 바닥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브레이스 상의 버퍼 요소의 접촉 영역(39)은 도4에서 브레이스의 상부 표면 상에 1점 쇄선으로 구체화되어 있으며, 접촉은 고 저항의 영역에서 기저판(3)에 수직으로 적용되며, 충격은 버퍼 요소(9)의 재료가 변형되어 하부 강철판(13) 상에 압착됨으로써 흡수된다. The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5)에 접근하는 유지보수 작업자(37)를 보호하기 위해 브레이스(1)를 상승시키는 명령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것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를 보완하기 위해 함께 설치될 수 있는 2개의 상보적인 변형예에 따라 이하에 설명된다.The command to raise the
작업자가 승강로 바닥 내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보호하는 제1 변형예(도5)에 따르면, 제1 접근판(41)이 승강로 바닥(5)에 장착된다. 이 판은 실질적으로 바닥 표면의 절반을 덮으며, 적절한 장치를 사용하여 브레이스를 수평 위치(23)에 잠그고 있는 요소의 해제를 명령하기 위해 작업자의 적어도 하나의 발의 무게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기를 구비하여, 스프링(31)이 즉시 브레이스를 수직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여기에서 제2 잠금부(33)가 브레이스와 결합하여 브레이스를 수직 위치에 잠근다. 이로써 작업자가 보호된다.According to a first variant (FIG. 5) which protects the operator from direct access within the hoistway floor, a
스프링(31)이 압축되고 수평 위치(23)에 잠그는 요소가 다시 잠금되는 역순의 브레이스 기울임 과정에 이어 정상 작동으로의 리셋이 이루어진다.A reset to normal operation follows a reverse brace tilting process in which the
제2 변형예(도6)는 작업자가 상방으로의 브레이스(1)의 변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케이블(43)을 배치하여 가장 낮은 플로어에서 랜딩 도어(47)의 잠금부(45)와 수평 위치 사이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수평 위치(23)를 잠그는 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고전적인 삼각형 키(49)를 사용하여 이 도어의 안전 잠금부(45)를 개방하는 것은 상기 케이블(23)을 통해 자동적으로 잠금부(23)의 해제와 브레이스(1)의 수직 상승을 유발하여, 작업자가 승강로 바닥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modification (Fig. 6) enables the operator to remotely control the displacement of the
이 명령은 잠금 해제 키의 사용을 검출하는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This command may be generated electrically by the contact detecting the use of the unlock key.
도1은 엘리베이터의 정상 작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normal operating position of an elevator.
도2는 브레이스가 상승된 유지보수 위치에 있는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the device with the brace in the elevated maintenance position.
도3 및 도4는 접혀있는 서비스 위치 및 상승된 유지보수 위치에 있는 브레이스 상의 접촉 면적을 각각 도시한다.3 and 4 show the contact area on the brace in the folded service position and the elevated maintenance position, respectively.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를 위한 액츄에이팅 장치를 도시한다.5 and 6 show an actuating device for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7000235A KR20090007652A (en) | 2009-01-07 | 2004-05-05 |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7000235A KR20090007652A (en) | 2009-01-07 | 2004-05-05 |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3053A Division KR20070012450A (en) | 2006-11-03 | 2004-05-05 | Elevator with safety guard for operator protection of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652A true KR20090007652A (en) | 2009-01-19 |
Family
ID=4048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0235A Ceased KR20090007652A (en) | 2009-01-07 | 2004-05-05 |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765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77946A (en) * | 2019-05-30 | 2019-08-02 |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 Staircase safety device and staircase |
CN115196453A (en) * | 2021-04-09 | 2022-10-18 | 苏州珀威智能科技有限公司 | Elevator mechanical stopp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
2004
- 2004-05-05 KR KR1020097000235A patent/KR2009000765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77946A (en) * | 2019-05-30 | 2019-08-02 |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 Staircase safety device and staircase |
CN115196453A (en) * | 2021-04-09 | 2022-10-18 | 苏州珀威智能科技有限公司 | Elevator mechanical stopp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90506B2 (en) | An elevato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in an elevator where the bottom end of the hoistway is low | |
FI110771B (en) | Temporary workspace fuse | |
EP2035315B1 (en) |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 |
US8136637B2 (en) |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 |
AU2010280520B2 (en) | Operator cage with enhanced operator safety | |
CN109890737B (en) |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 |
US20060042883A1 (en) | Elevator pit safety device | |
KR101747682B1 (en) | Safety-enhanced elevator | |
EP1343712B1 (en) |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 |
KR101931197B1 (en) | Safety door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lift | |
KR20090007652A (en) | Elevators with safety devices for worker protection in elevators with low lift floors | |
KR20070012450A (en) | Elevator with safety guard for operator protection of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 |
HK1114076B (en) | Elevator equipped with safety device for operator protection in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 |
CN204999474U (en) | Elevator protection device | |
KR20000025367A (en) |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worker at lift rail pit | |
HK1133864B (en) |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 |
GB2356623A (en) | Locking device for elevator do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9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