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263A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6263A KR20090006263A KR1020070069431A KR20070069431A KR20090006263A KR 20090006263 A KR20090006263 A KR 20090006263A KR 1020070069431 A KR1020070069431 A KR 1020070069431A KR 20070069431 A KR20070069431 A KR 20070069431A KR 20090006263 A KR20090006263 A KR 20090006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power
- peripheral device
- signal
- power transmissio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로 되는 주변기기를 작동되도록 하여 무접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복잡한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무선주변기기용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operate a peripheral device that i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contactlessly provided without a complicated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for ease of us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10)로부터 전력을 수신받고 전력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와 무접점의 무선전력전송으로 전력을 수신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의 주변기기(30)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컴퓨터(10)와의 신호통신을 제어하고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제어부(21)가 구비되며,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주변기기(30)로 전력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된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1차측안테나(231)로 전송하는 공진컨버터(2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computer 10 and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including a power signal or a data signal, the contactless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The peripheral device 3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for receiving pow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is to control the signal communication with the computer 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A transmission device control unit 2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1, and converts an output signal consisting of a power signal and a data signal to the peripheral device 30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device control unit 21, thereby performing a primary side antenna 231. Resonant converter (23) for transmitting to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로 되는 주변기기를 작동되도록 하여 무접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주변기기용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upplying power without contact by operating a peripheral device that become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It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자체 판독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Generally, a computer is a device configured to read and process itself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 user.
이러한 컴퓨터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364327호(컴퓨터용 키보드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컴퓨터본체(510)와 유선(521)(531)으로 연결되는 키보드(520)와 마우스(530) 등으로 되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모니터(540)으로 되는 출력장치로 처리된 내용을 출력하게 되는 구성이다.Such a computer includes a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컴퓨터는 다수의 선으로 연결되도록 주변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배선이 복잡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대부분 사무실이나 가정집에서는 컴퓨터본체(510)가 책상 밑에 놓이고, 반면 모니터(540), 키보드(520)와 마우스(530) 등은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책상의 윗면에 놓이기 때문에 배선이 길고 서로 엮여서 정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mpu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wiring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use because a peripheral devic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ines. Especially in most offices and homes, the computer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대한민국 특허 제364327호(2000년 11월 06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No. 364327 published on November 06, 200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은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로 되는 주변기기를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무접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공급하여 복잡한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operate a peripheral device that become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contactless state and supplies a complex wire.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y to use without using.
또한 전력전송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유도자기장을 LC 공진컨버터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며, 다수의 주변기기와 연결된 경우에도 해당 주변기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되도록 하여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로 되는 다수의 주변기기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for power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 is implemented using an LC resonant converter to implemen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operates stably, and even when connected to a number of peripheral devices to distinguish and transmit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device It is an object to use together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that are devices and output devices.
나아가 작동되는 주변기기가 어떤 것인지를 해당 주변기기의 LED로 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구별되는 주변기기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re is an object to make it easy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distinguished peripheral device to be displayed by the LED of the peripheral device that the peripheral is opera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변기기용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은 컴퓨터(10)로부터 전력을 수신받고 전력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와 무접점의 무선전력전송으로 전력을 수신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의 주변기기(30)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컴퓨터(10)와의 신호통신을 제어하고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제어부(21)가 구비되며,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주변기기(30)로 전력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된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1차측안테나(231)로 전송하는 공진컨버터(2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이에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전력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된 출력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공진컨버터(23)에 전송하고 부츠트랩 게이트 드라이브를 구비한 게이트드라이버(24), 및 상기 공진컨버터(23)와 연결되어 1차측안테나(231)와 연결되어 상기 주변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로 전송하는 신호검출부(25)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주변기기(30)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1차측안테나(231)에 의해 발생된 유도자기장으로 되는 출력신호를 2차측안테나(321)에서 수신받아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 부터 전력 및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2차측정류회로부(32), 상기 2차측정류회로부(32)와 연결되어 배터리셀(33)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측안테나(231) 및 상기 2차측안테나(32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주변기기(30)의 상태, 입력신호, 상기 주변기기(30)의 고유ID 데이터값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주변기기제어부(31), 상기 주변기기제어 부(31)는 충전제어부(34)와 신호처리제어부(35)로 구비되고, 상기 충전제어부(34)는 상기 2차측정류회로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셀(33)에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호처리제어부(35)는 기기메모리부(351)에 저장된 고유ID 데이터값에 대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어지는 데이터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 전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컴퓨터(10)의 USB포트와 연결되는 장치USB포트(221)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10)와의 USB통신을 제어하는 USB모듈(22)이 구비되고,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는 상기 USB모듈(22)의 신호통신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가 상기 컴퓨터(10)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1차측안테나(231)를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한 주변기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주변기기의 고유ID를 호출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주변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주변기기 고유ID 데이터값을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판별하는 고유ID판독부(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LED(27)가 구비되고, 상기 상태표시LED(27)는 상기 컴퓨터(10)와 USB 데이터 송수신상태를 표시하는 USB-LED(271), 상기 주변기기(30)와 데이터 송수신상태를 표 시하는 기기LED(272)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reles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변기기용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제어방법은,Furthermore, a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10)와 USB포트로 연결되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S01);A power supply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주변기기의 탐색을 위하여 주변기기 고유ID의 호출 요청 신호를 1차측안테나(231)을 통하여 발신하는 주변기기탐색단계(S02);Peripheral search step (S02) for transmitting the call request signal of the peripheral unique ID to the peripheral device for the search of the peripher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device control unit 21 (S02);
주변기기(30)에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고유ID 호출신호에 의하여 주변기기(30)의 고유ID 데이터값을 전송하는 고유ID데이터 신호 발신단계(S03);A unique ID data signal transmitting step (S03) of transmitting a unique ID data value of the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에서 상기 주변기기(30)에서 전송된 고유ID 데이터값을 분석하여 해당 주변기기에 대한 상태, 종류를 판별하는 주변기기판별단계(S04);Peripheral device discrimination step (S04) to determine the state, type for the peripheral device by analyzing the unique ID data value transmitted from the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1차측안테나(231)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30)로 구동용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단계(S05);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tep (S05) of transmitting driving power to the
상기 주변기기(30)에 대한 상태 및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USB전송방식으로 상기 컴퓨터(10)로 전송하는 주변기기정보전송단계(S06);Peripheral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06) for transmitting data on the state and type for the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주변기기(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 하기 위하여 수신대기하는 주변기기 작동대기단계(S07)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ripheral device operation waiting step (S07) to wait for receiving the data signal input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의하여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로 되는 주변기기를 작동하는 것으로, 무접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복잡한 전선을 이용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By operating the peripheral device a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by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non-contact state and does not use complicated wires It does not have the advantage of ease of use.
또한 전력전송 및 데이터전송을 위한 유도자기장을 LC 공진컨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다수의 주변기기와 연결된 경우에도 해당 주변기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되도록 하기 때문에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로 되는 다수의 주변기기를 함께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LC resonant converter is used as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for power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operates stably, and to distinguish and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device even whe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that are input devices and output devices.
나아가 작동되는 주변기기가 어떤 것인지를 해당 주변기기의 LED로 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구별되는 주변기기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identifying the operation of the distinguished peripherals by displaying the LEDs of the peripherals as to which peripherals are operat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제어 흐름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trol flow char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변기기용 무선전력전송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A)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10)로부터 전력을 수신받고 전력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되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와 무접점의 무선전력전송으로 전력을 수신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의 주변기기(30)가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ower from the
이에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컴퓨터(10)와의 신호통신을 제어하고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송장치제어부(21)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주변기기(30)로 전력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된 출력신호를 변환하여 1차측안테나(231)로 전송하는 공진컨버터(2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송장치제어부(21)에는 컴퓨터(10)로부터 공급받아 무접점으로 주변기기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제어모듈이 구비되고, 또한 주변기기의 고유ID 데이터값에 의한 판별 및 주변기기의 상태의 판별, 컴퓨터로 주변기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제어 및 주변기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어 주변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 등 신호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기기제어모듈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wireless
그리고 이러한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전력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된 출력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공진컨버 터(23)에 전송하고 부츠트랩 게이트 드라이브를 구비한 게이트드라이버(24), 및 상기 공진컨버터(23)와 연결되어 1차측안테나(231)와 연결되어 상기 주변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로 전송하는 신호검출부(25)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주변기기(30)(30')로는 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의 예에서는 키보드(30)와 마우스(30')를 예로하여 보이고 있으나, 입력되는 데이터의 처리 프로세서를 변화하면 스캐너, 카메라, 마이크, 센서 등의 입력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팩스, 스피커 및 작동기기 등과 같은 출력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팩스 및 작동기기 등 고전력을 이용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충전용 배터리셀을 고용량으로 하여 구비하고, 주변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항시 충전작동되도록 하여 고용량의 구동 작동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주변기기(30)(30')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컴퓨터(10)와 연결된 무선전력전송장치(20)와 무접점 전력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분과, 기존의 주변기기로써 작동되어지는 통상의 작동부분 등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통상의 주변기기 작동부분은 통상의 구성으로 알려진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A)에 적용되는 주변기기(30)(30')의 주요 특징은 무선전력전송장치(20)와 전력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변환하기 위한 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such a
그리하여 이와 같은 주변기기(30)(30')에 대한 구성을 보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20)의 1차측안테나(231)에 의해 발생된 유도자기장으로 되는 출력신호를 2차측안테나(321)(321')에서 수신받아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으로부터 전력 및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2차측정류회로부(32)(32')가 구비된다.Thus,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2차측정류회로부(32)(32')와 연결되어 배터리셀(33)(33')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측안테나(231) 및 상기 2차측안테나(321)(32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주변기기(30)(30')의 상태, 입력신호, 상기 주변기기(30)(30')의 고유ID 데이터값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주변기기제어부(31)(31')가 구비된다.A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이러한 상기 주변기기제어부(31)(31')는 충전제어부(34)(34')와 신호처리제어부(35)(35')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충전제어부(34)(34')는 상기 2차측정류회로부(32)(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셀(33)(33')에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호처리제어부(35)(35')는 기기메모리부(351)(351')에 저장된 고유ID 데이터값에 대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어지는 데이터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 전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e
또한 이러한 주변기기(30)(30') 등은 원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처리프로세스를 위한 입력 또는 출력부(예로 키보드, 마우스버튼, 프린팅장치부, 스캐너부 등과 같은 입출력부), 그리고 이들 입출력부와 주변기기의 신호처리제어부(35)(35') 등과 신호변환을 위한 신호변환부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이에 더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상기 컴퓨터(10)와의 접속은 일반 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전력을 공급받으며 데이터의 송수신이 자유롭게 함께 할 수 있는 USB 전송방식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을 수신받으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구성이든 무관하게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ireless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되는 USB 전송방식의 구성을 살펴보면, 컴퓨터(10)의 USB포트와 연결되는 장치USB포트(221)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10)와의 USB통신을 제어하는 USB모듈(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는 상기 USB모듈(22)의 신호통신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USB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module connected to the
그리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가 상기 컴퓨터(10)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1차측안테나(231)를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한 주변기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주변기기의 고유ID를 호출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us, when the transmission
그리고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주변기기 고유ID 호출에 대해 상기 주변기기(30)(30')로부터 전송되는 주변기기 고유ID 데이터값을 판별하는 고유ID판독부(26)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유ID판독부(26)는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판별작동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는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LED(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상태표시LED(27)는 상기 컴퓨터(10)와 USB 데이터 송수신상태를 표시하는 USB-LED(271) 및 상기 주변기기(30)(30')와 데이터 송수신상태를 표시하는 기기LED(272)(27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그리하여 무선전력전송장치(20)가 컴퓨터(10)와 통신하는 중인지, 또는 주변기기와 통신 중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다수 개의 주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주변기기가 어떤 것이지 알 수 있도록 다수의 기기LED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easy to know whether th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10)와 USB포트로 연결되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S01)에 의하여 무선전력전송시스템(A)의 작동이 준비되는 것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is prepared by a power supply step (S01)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이후 무선전력전송장치(20)에서 주변기기를 탐색하여 전력전송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준비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으로, 우선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주변기기의 탐색을 위하여 주변기기 고유ID의 호출 요청 신호를 1차측안테나(231)을 통하여 발신하는 주변기기탐색단계(S02)를 진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이러한 주변기기탐색단계에서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의 공진컨버터(23), 게이트드라이버(24) 등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우선 주변기기 탐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전송은 공진컨버터(23)와 연결되는 1차측안테나(231)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한 것으로, 이때 공진컨버터(23)는 반파 또는 전파형 직렬/병렬 공진형 컨버터를 사용하는 LC 공진으로 유도자기장을 발 생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전력전송 및 데이터 신호전송을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변기기 탐색을 위한 신호는 고유ID에 대한 Request(FSK) 신호를 실어보내는 것으로, 주변기기로부터 이에 대한 Acknowledge 응답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호출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주변기기로부터 고유ID 데이터값이 전송되지 않으면 일정 주기로 하여 주변기기 탐색을 위한 Request(FSK) 신호를 계속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주변기기가 탐색되어 작동되는 경우에도, 다른 주변기기의 접속 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Request(FSK)에 대한 신호를 계속해서 발신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주변기기가 탐색되어 작동되더라도 새로운 주변기기가 새로이 탐색되면 이에 대한 준비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step, the components are operated by components such as the
이러한 유도자기장에 고유ID의 호출을 요청하는 데이터 신호를 함께 실어 보내기 때문에 주변기기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기기에 알맞은 고유ID 데이터값을 부하변조에 의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주변기기(30)(30')에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고유ID 호출신호에 의하여 주변기기(30)(30')의 고유ID 데이터값을 전송하는 고유ID데이터 신호 발신단계(S03)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유ID 데이터값은 주변기기(30)(30')의 기기메모리부(351)(35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주변기기(30)(30')가 키보드와 마우스로 구성될 경우에는 각각의 기기메모리부에는 키보드에 대한 고유ID 데이터값 및 마우스에 대한 고유ID 데이터값이 저장되는 것이고, 따라서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 전송되는 고유ID 데이터값도 해당 키보드 및 마우스에 대한 고유ID 데이터값이 전송되는 것이다.Since a data signal requesting a call of a unique ID is sent to the induced magnetic field, the peripheral device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unique ID data value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device by load modulation. That is, the unique ID data signal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unique ID data values of the
이와 같이 고유ID데이터 신호 발신단계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20)에서는 상기 주변기기(30)에서 전송된 고유ID 데이터값을 분석하여 해당 주변기기에 대한 상태, 종류를 판별하는 주변기기판별단계(S04)를 진행한다. 따라서 주변기기(30)(30')가 마우스인지 키보드인지 또는 기타 다른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 인지를 특정지어 판별하게 되며, 이러한 판별에 의하여 이후 전력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해당 주변기기의 고유ID에 맞는 신호를 함께 실어 전송하여, 해당 주변기기와만 정해진 코드에 의하여 신호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전송장치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1차측안테나(231)를 통하여 유도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주변기기(30)(30')로 구동용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단계(S05)를 진행한다. 그리하여 주변기기(30)(30')는 무선전력전송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변기기(30)(30')의 작동을 하기 위한 준비 설정동작을 하게 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tep (S05) of generat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through the
이와 함께 각각의 주변기기(30)(30')로부터 전송된 고유ID 데이터값에 대한 분석데이터는 컴퓨터로 전송되어 주변기기(30)(30')의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즉 상기 주변기기(30)(30')에 대한 상태 및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USB전송방식으로 상기 컴퓨터(10)로 전송하는 주변기기정보전송단계(S06)를 수행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nalysis data for the unique ID data value transmitted from each
이에 컴퓨터에서는 일반적인 주변기기의 작동 준비과정에서와 같이, 해당 주변기기의 종류를 검색하여 분류하고, 해당 주변기기의 작동을 위한 드라이버의 설치여부를 검색하며, 이에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설치작업을 하거나 해당 주변기기에 드라이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무선전력전송장치(20)를 통하 여 해당 주변기기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해당 주변기기에 구동용 드라이버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해당 주변기기의 작동을 위한 구동드라이버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세지 창이 열리게 되어 해당 주변기기의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Therefore, the computer searches for and classifies the type of peripheral device, and installs a driver for oper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s in the normal preparation process of the peripheral device. If the driver is not installed, the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automatically. Whether a driver exists in the peripher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이와 같이 주변기기(30)(30')에 작동을 위한 전력이 공급되고, 컴퓨터에서 해당 주변기기의 작동을 위한 구동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주변기기 작동을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해당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송을 하게 된다. 즉 출력장치로 주변기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해당 주변기기로 출력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20)를 통하여 송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입력장치로 주변기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해당 주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이다.In this way, power for operation is supplied to the
즉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주변기기(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대기하거나 컴퓨터의 명령에 의하여 주변기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대기하는 주변기기 작동대기단계(S07)를 진행하게 된다.That is, the peripheral device operation waiting step (S07) for waiting for transmission of a data signal for receiving or waiting for a dat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A)에 의하여 유도자기장을 이용하여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로 되는 주변기기를 작동하는 것으로, 무접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복잡한 전선을 이용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By operating the peripheral device as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us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out contact and supplies pow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무선전력전송시스템에 대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변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무선전력전송시스템 10 : 컴퓨터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 Computer
20 : 무선전력전송장치 21 : 전송장치제어부2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1: transmission device control unit
22 : USB모듈 23 : 공진컨버터22: USB module 23: resonant converter
30 : 주변기기 31 : 주변기기제어부30: peripheral device 31: peripheral device control uni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431A KR100913558B1 (en) | 2007-07-11 | 2007-07-11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431A KR100913558B1 (en) | 2007-07-11 | 2007-07-11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6263A true KR20090006263A (en) | 2009-01-15 |
KR100913558B1 KR100913558B1 (en) | 2009-08-21 |
Family
ID=4048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9431A KR100913558B1 (en) | 2007-07-11 | 2007-07-11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3558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2789A3 (en) * | 2010-03-31 | 2012-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charging set |
WO2012091211A1 (en) * | 2010-12-30 | 2012-07-05 | 전자부품연구원 | Method of charging a multi nod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
WO2012093823A2 (en) * | 2011-01-03 | 2012-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
KR101220018B1 (en) * | 2011-02-24 | 2013-01-09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Wireless power provision apparatus using uwb and mimo antenna and control method of battery in the apparatus |
US9041253B2 (en) | 2010-11-26 | 2015-05-2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Direct feeding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
US9048695B2 (en) | 2009-12-24 | 2015-06-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KR20160028352A (en) * | 2014-08-19 | 2016-03-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ire and wireless storage apparatus |
US9391461B2 (en) | 2011-05-31 | 2016-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2134B1 (en) * | 2010-12-17 | 2017-02-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
KR102000987B1 (en) | 2011-05-17 | 2019-07-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wireless multi-power transmiss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134Y1 (en) | 2000-07-13 | 2001-03-02 | 윤경중 | RF system for wireless electricity power transmitter and receiver |
KR200377913Y1 (en) * | 2004-12-24 | 2005-03-14 | 이현성 | Wireless Input Device for Computers Rechargeable with Radio Wave |
KR200389856Y1 (en) | 2005-04-15 | 2005-07-14 | 배대환 | Computer Make Use of Wireless High Frequency Electric Power |
-
2007
- 2007-07-11 KR KR1020070069431A patent/KR100913558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48695B2 (en) | 2009-12-24 | 2015-06-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EP2553791A2 (en) * | 2010-03-31 | 2013-0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charging set |
CN102870316A (en) * | 2010-03-31 | 2013-01-09 | 三星电子株式会社 | Wireless charging set |
WO2011122789A3 (en) * | 2010-03-31 | 2012-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charging set |
EP2553791A4 (en) * | 2010-03-31 | 201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charging set |
US9337691B2 (en) | 2010-03-31 | 2016-05-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charging set |
US9041253B2 (en) | 2010-11-26 | 2015-05-26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Direct feeding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
WO2012091211A1 (en) * | 2010-12-30 | 2012-07-05 | 전자부품연구원 | Method of charging a multi nod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
WO2012093823A2 (en) * | 2011-01-03 | 2012-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
WO2012093823A3 (en) * | 2011-01-03 | 2012-09-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
US9306633B2 (en) | 2011-01-03 | 2016-04-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
KR101220018B1 (en) * | 2011-02-24 | 2013-01-09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Wireless power provision apparatus using uwb and mimo antenna and control method of battery in the apparatus |
US9391461B2 (en) | 2011-05-31 | 2016-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system |
KR20160028352A (en) * | 2014-08-19 | 2016-03-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ire and wireless storage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3558B1 (en) | 2009-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558B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489304B (en) | Transfer equipment, transf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
CN107018260B (en) | Image formation system and device, portable terminal and their control method | |
US7232068B2 (en) | Non-contact IC card reader/writer device, non-contact IC card, input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location of non-contact IC card | |
EP3334009A1 (en) |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 |
KR100974103B1 (en) | Portable devices | |
US10122601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5305317B2 (en) |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 |
US11470222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 |
CN109256873B (en) | Wireless charging prompting method and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 |
CN108237536A (en) | Robot control system | |
US2017018791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CN102340332B (en) | Apparatus,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touch mode | |
CN108616655A (en) |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Bluetooth pairing | |
CN102486521B (en) | Wafer detection system | |
EP1739609A1 (en) | Output terminal, data output system and data output method | |
JP2011012994A (en) | Data recording device supplied with power from device for outputting data and data recording method for the device | |
KR101183379B1 (en) | Pen input device with data storage | |
US2023012075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 |
CN112668684B (en) | Identity validity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igh-speed carrier communication module | |
CN107202599A (en) |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numerical data of the occasional transmission from source | |
JP5209407B2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 |
US2015018499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pplication thereof | |
WO2012046885A1 (en) | Reader/writ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EP3967992A1 (en) | Controller for weigh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