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4893U - 엘리베이터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893U
KR20090004893U KR2020070018575U KR20070018575U KR20090004893U KR 20090004893 U KR20090004893 U KR 20090004893U KR 2020070018575 U KR2020070018575 U KR 2020070018575U KR 20070018575 U KR20070018575 U KR 20070018575U KR 20090004893 U KR20090004893 U KR 20090004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hoisting machine
elevator
hoist
arm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근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893U/ko
Publication of KR20090004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93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권상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보다 우수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는, 메인시브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하우징 내주면 양측에는 각각 요입부가 형성된 후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권상기의 구동축과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몸체 및 각각의 브레이크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각각의 아마추어에 스트로크 조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해당 브레이크 드럼의 내면을 밀착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권상기, 브레이크, 브레이크슈, 스트로크조정볼트, 구면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ELEVATOR WINCH}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권상기의 구조를 설계 변경하여 권상기의 구조를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권상기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건물에서 사람이나 사물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별도의 기계실이나 승강로 내부를 통해 권상기를 설치한 후, 상기 권상기의 메인 시브(main sheeve)에 권취된 로프가 이동되도록 제어를 행하여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상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는 대부분 권상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권상기의 부피를 증대시키면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복잡한 구조에 의해 신호 및 동작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권상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보다 우수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는, 메인시브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하우징 내주면 양측에는 각각 요입부가 형성된 후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권상기의 구동축과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몸체 및 각각의 브레이크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각각의 아마추어에 스트로크 조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해당 브레이크 드럼의 내면을 밀착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는 상기 브레이크 슈와 맞닿는 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와 맞닿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구면좌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상기의 하우징 후면에는 점검구가 구성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는 각각의 부재가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권상기의 발생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권상기 메인시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의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장치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 단순화에 의해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박형화 및 제조 원가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편, 분할 코어의 볼트 고정을 통해 권상기의 저진동 및 저소음을 구현하여 보다 고품질의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는, 메인시브(17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권상기(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구성되는 내확 브레이크로 채택하여 외부환경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상기(100)의 하우징(110) 내주면 양측에는 각각 일정 깊이만큼 내측을 향해 요입되게 형성되는 요입부(120)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요입부(120)의 내면에는 각각 브레이크 드럼(1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권상기(100)의 구동축 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130)을 매개로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데, 즉 상기 구동축과 인접한 지점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몸체(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몸체(10)의 일측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아마추어(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아마추어(20)의 일측에는 스트로크 조정볼트(40)를 매개로 고정되어 아마추어(20)와 연동되는 브레이크 슈(30)가 구비되어, 자기력에 의한 상기 아마츄어(20)의 유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대응되는 브레이크 드럼(130)의 내면을 밀착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20) 및 브레이크 슈(30)가 상호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40)의 상기 브레이크 슈(30)와 대응되는 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구면좌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50)를 매개로 상기 브레이크 슈(30)가 고정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50)가 갖는 구면좌 구조란 한면은 평평하고 다른 한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50)의 평평한 면은 상기 브레이크 슈(30)에 맞닿음과 아울러 오목한 면은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40)와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면좌 구조를 갖는 상기 연결부재(50)는 브레이크 몸체(10) 측의 센터축과 브레이크 드럼(130)이 약간 어긋난 상태가 되더라도 연결부재(50)의 오목한 면을 통해 브레이크 슈(30)가 브레이크 드럼(130)의 대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상기(100)의 하우징(110)에 구성되는 요입부(120)의 상단 및 하단 측에는 토크리시브파트(122)가 구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30)에서 발생되는 제동 토크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브레이크 드럼(130) 및 토크리시브파트(122)는 상호 3밀리미터[mm]의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져 이물질의 인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10) 후면의 하측 가운데 부분에는 점검구(140)가 형성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권상기(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스테이터(150)는 각각 볼트(160)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권상기(100)의 구동 시에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라, 내확 브레이크를 채택하여 권상기(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100)의 브레이크 장치가 제동될 시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전자석코일(도시안됨)의 자기력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몸체(10)에 설치된 각각의 아마추어(20)는 상기 권상기(100) 하우징(110)의 요입부(120) 내에 구성된 해당 브레이크 드럼(1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아마추어(20)에 스트로크 조정볼트(40)를 매개로 결합된 브레이크 슈(30)가 연동하여 브레이크 드럼(130)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130)의 내면을 밀착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4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슈(30)는 구면좌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50)를 매개로 설치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센터축과 브레이크 드럼(130)이 어긋난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구면좌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50)의 오목한 면을 통해 브레이크 슈(30)가 브레이크 드럼(130)의 대응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우수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슈(30)는 스트로크 조정볼트(40)를 통해 아마츄어(20)에 설치된 구조이므로,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4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스트로크의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드럼(130) 및 브레이크 슈(30)의 밀착에 의한 권상 기(100)의 제동 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슈(30)에서 작용되는 토크가 상기 권상기(100) 하우징(110)의 요입부(120) 상측 및 하측에 구성된 토크리시브파트(122)에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토크리스브파트(122)는 상기 브레이크 슈(30)로부터의 토크에 의해 권상기(100) 하우징(110)이 임의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100)에 구비되는 스테이터(150)는 각각의 부재가 볼트(160)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이므로, 권상기(100)의 구동 및 제어 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브레이크 몸체, 20: 아마추어,
30: 브레이크 슈, 40: 스트로크 조정볼트,
50: 연결부재, 100: 권상기,
110: 하우징, 120: 요입부,
122: 토크리시브파트, 130: 브레이크 드럼,
140: 점검구, 150: 스테이터,
160: 볼트, 170: 메인시브.

Claims (4)

  1. 메인시브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하우징 내주면 양측에는 각각 요입부가 형성된 후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권상기의 구동축과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몸체 및 각각의 브레이크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각각의 아마추어에 스트로크 조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해당 브레이크 드럼의 내면을 밀착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는 상기 브레이크 슈와 맞닿는 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 슈는 상기 스트로크 조정볼트와 맞닿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구면좌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하우징 후면에는 점검구가 구성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는 각각의 부재가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권상기의 발생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
KR2020070018575U 2007-11-19 2007-11-19 엘리베이터 권상기 Ceased KR200900048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75U KR20090004893U (ko) 2007-11-19 2007-11-19 엘리베이터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75U KR20090004893U (ko) 2007-11-19 2007-11-19 엘리베이터 권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93U true KR20090004893U (ko) 2009-05-22

Family

ID=4130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75U Ceased KR20090004893U (ko) 2007-11-19 2007-11-19 엘리베이터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8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60588A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5911042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
EP1481935A1 (en) Elevaltor apparatus
JP2010143661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駆動モータ
US9341219B2 (en) Fixing interface for a machinery brake, and a machinery brake
EP1553040B1 (en) Driver of elevator
WO2018193494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ブレーキ及びエレベータ巻上機
CN110546100B (zh) 电梯装置
KR20090004893U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EP1801061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424453Y1 (ko) 드럼방식의 직접형 전자 브레이크를 구비한 권양기
CN108285083A (zh) 卷扬机以及电梯
KR100784923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4522181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42999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075360A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
JP47578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078290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EP1724228A1 (en) Brake device for elevator hoist
JPWO20040007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702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4507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216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4993978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1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1026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