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12A - Wind power generator - Google Patents
Wind power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4412A KR20090004412A KR1020080005994A KR20080005994A KR20090004412A KR 20090004412 A KR20090004412 A KR 20090004412A KR 1020080005994 A KR1020080005994 A KR 1020080005994A KR 20080005994 A KR20080005994 A KR 20080005994A KR 20090004412 A KR20090004412 A KR 20090004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generation
- wind
- wing
- power
- t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36—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rotor
- F03D3/044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rotor the shield being fixed with respect to the wind motor
- F03D3/045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rotor the shield being fixed with respect to the wind motor and only with concentrating action, i.e. only increasing the airflow speed into the rotor, e.g. divergent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발전공간을 형성한 발전탑과, 상기 발전탑의 상부 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발전날개과, 상기 발전탑 외측 벽체에 형성되어 풍력이 발전날개의 날개에 작용되도록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바람유입구와, 상기 발전탑의 모서리 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발전탑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 바람유입구로 풍압이 집중 작용되게 하는 바람막이판 및 상기 발전탑의 하부에 상기 발전날개와 수직으로 설치된 발전축을 매개로 축결된 발전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날개를 수직으로 축지 구성하여 발전탑 내부에 구비하고, 바람이 바람유입구로 집중 작용되게 돌출된 발전탑의 외측에 바람막이판을 구비함으로써 풍속에 제한받지 않고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태풍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며, 다수의 발전날개와 발전기를 한정된 장소에서 다층으로 구비할 수 있어 그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발전날개의 회전 궤도를 따라 'ㄷ'자형의 둥근 원형의 격실을 이루도록 바람유도판을 구비하여 바람이 둥근 원형의 격실을 따라 발전날개와 같이 회전하게 하여 발전날개의 회전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generation tower having a power generation space therein, a power generation wing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to induce wind to act on the wings of the power generation wing A plurality of wind inlets and a windshield provided to protrude on the edge 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to prevent the wind blowing into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wind pressure to the wind inl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perpendicular to the power generation wing It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a generator condensed through the installed power generation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wing is formed vertically axially provid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provided with a windshield on the out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protruding so that the wind is concentrated to the wind inlet,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not limited by the wind spe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yphoons, typhoons, etc., and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ng wings and generators can be provided in a multi-layer in a limited place to maximiz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wind induction plate is formed to form a 'c' shaped round circular compartment along the rotational track of the power generating blade so that the wind rotates along the circular circular compartment with the power generating wing to accelerate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ing blade.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를 갖는 발전탑 내에 발전날개와 발전축을 수직으로 축설하고 바람막이판과 바람유입구에 의해 압축된 바람이 발전날개에 접선으로 작용되게 구성되며, 다수의 발전날개와 발전기를 한정된 장소에서 다층으로 구비할 수 있어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고, 태풍 등에 의해 발전날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 보수가 용이한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ower generation tower having a certain height vertically constructed the power generation wing and power generation axis, and the wind compressed by the windshield and the wind inlet is configured to act as a tangent to the power generation w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wings and generators can be provided in a multi-layer in a limited place to maximiz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power generation wings due to typhoons, etc., and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or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장치는 자연에 무한하게 존재하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wind power generator is to enable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by using the power of the wind that is infinitely in natur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a long time.
풍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기계는 네덜란드의 풍차가 있으며, 근래에서 들어서는 많은 나라들이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풍력발전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The most representative machine using wind power is the Dutch windmill.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invested heavily in wind power generation that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한 바와 같은 풍력발전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발전날 개와 상기 발전날개와 축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날개와 발전기가 많은 양의 바람과 접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설치되도록 하는 발전지주와,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발전날개가 바람과 정면으로 접하도록 회전되게 하는 회전 결속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wind turbine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is condensed with the power generation wing and horizon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generator to produce electricity, and the power generation wing and the generator to be installed in a high pl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large amount of wind It is composed of a rotation binding structure that allows the power generation wing and the power generation wing to rotate in front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ind.
이상과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에 의하여 발전날개가 회전되게 되고 회전되는 발전날개와 축결된 발전기가 회전되면서 전기가 생산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is to generate electricity while the power generation blade is rotated by the wind and the power generator wing and condensed generator is rotated by the win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풍력 발전장치는 일정 풍속 이상의 바람이 불면 발전날개가 과도회전으로 인한 파손 위험이 있어 발전을 중지하여야 하며, 발전날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태풍 등에 의하여 발전날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if the wind blows more than a certain wind speed,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over-rot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blades, and the power generation should be stopp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하나의 발전지주에 하나의 발전날개만이 설치됨으로 그 시공원가 비하여 생산 전력량이 적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reduced because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less than the city park because only one power generation wing is installed in one power st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풍력발전장치가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발전 풍속이 제한되는 문제점과, 발전날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태풍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과, 발전기가 발전지주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하나의 발전지주에 하나의 발전날개만이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전날개를 수직으로 축지 구성하여 발전탑 내부에 구비하고, 바람이 바람유입구로 집중 작용되게 돌출된 발전탑의 외측에 바람막이판을 구비함으로써 풍속에 제한받지 않고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태풍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며, 다수의 발전날개와 발전기를 한정된 장소에서 다층으로 구비할 수 있어 그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lem that the wind speed of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is limited due to safety problems, the power generation wi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asily damaged by typhoons and the like, and the generato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power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maintain, and only one power generation wing is installed in one power plant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low productivit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vertically forming the power generation wing is provid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by providing a windshield on the out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protruding so that the wind is concentrated to the wind inlet,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not limited by the wind spe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yphoons, typhoons, and the like, and can provide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ng wings and generators in a limited space in a multi-layered manner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maximiz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본 발명은, 내부에 발전공간을 형성한 발전탑과, 상기 발전탑의 상부 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발전날개와, 상기 발전탑 외측 벽체에 형성되어 풍력이 발전날개의 날개에 작용되도록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바람유입구와, 상기 발전탑의 모서리 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발전탑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 바람유입구로 풍압이 집중 작용되게 하는 바람막이판 및 상기 발전탑의 하부에 상기 발전날개와 수직으로 설치된 발전축을 매개로 축결된 발전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tower having a power generation space therein, the power generation wing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to induce the wind to act on the wings of the power generation wing And a plurality of wind inlets to protrude on the edge 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and a windshield to prevent wind from blowing into the power generation tower so that the wind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wind inl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perpendicular to the power generation wing. It provides a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a generator condensed through the installed power generation shaft.
상기 발전날개는 상하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발전날개 사이에는 상호 회전간섭과 풍력간섭이 방지되게 격막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power generating wing is provided in plurality up and down, the diaphrag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wer generation wing to prevent mutual rotation interference and wind interference.
상기 발전날개는 상하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호 간의 회전편차로 인한 회전간섭을 방지하게 일방향 회동에 대하여만 회전력이 작용되게 원웨이클러치를 매개로 회전축에 축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w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 and down, may be provided to be condensed on the rotating shaft via a one-way clutch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only for one-way rotation to prevent rotation interference due to rotational deviation between each other.
상기 바람유입구는 풍력이 발전날개의 날개 끝 부분에 작용되게 발전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접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nd inlet is preferably formed in a direction tangential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generation blade so that the wind acts on the blade tip of the power generation blade.
상기 발전탑의 모서리 측에는 풍압이 바람유입구로 집중 작용되게 돌출된 바람막이판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edge side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may be provided with a windshield projecting the wind pressure concentrated action to the wind inlet.
상기 바람막이판의 상하부의 각 면과 상기 발전탑의 외측 둘레에는 바람의 상하 유동을 제한하는 수평돌출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풍력 발전장치는 상기 수평돌출판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복수 개의 층을 이룰 수 있다.Each sid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shiel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rizontal projection plate for limiting the vertical flow of the wind, the wind power generator is divided based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plate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상기 발전날개의 회전 궤도를 따라 발전탑 내부 벽면에 바람유입구로 유도된 바람이 발전날개의 회전 궤도 내에서 회전되게 유도하는 바람유도판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발전날개의 회전 궤도를 따라 'ㄷ'자형의 둥근 원형의 격실을 이루도록 바람유도판을 구비함으로서 바람이 둥근 원형의 격실을 따라 발전날개와 같이 회전하게 하여 발전날개의 회전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A wind induction plate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wind induced by the wind inlet on the inner wall of the power generation tower along the rotation track of the power generation blade to rotate within the rotation track of the power generation wing.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generating blades by having the wind induction plate to form a round circular compartment of the 'c' shape along the rotational track of the power generating blades so that the wind rotates along the power circular blades along the circular circular compartment.
본 발명에 의하면, 대지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장소에서 다층으로 발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configured in multiple layers in a limited place without occupying much land area.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전날개를 수직으로 축지 구성하고 발전탑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풍속에 제한받지 않고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태풍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며, 다수의 발전날개와 발전기를 구비할 수 있어 그 발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wind turbine, the power generation blades are vertically axially arranged and provid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tower so that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achieved without being limited by wind speed, and damages caused by typhoons are prevented, And can be provided with a generator that can be maximized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각형 또는 원형의 발전탑(10)을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각 층마다 풍력 발전장치를 구비하여 풍력발전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or circular
또한, 발전탑(10) 내부의 실내 공간에 수직으로 발전축(3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발전날개(20)을 다단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발전탑(10)의 각 방향에 대하여 다수 개의 바람유입구(40)를 만들어 이로부터 유입된 압축 바람에 의해 발전날개(20)가 회전하면서 발전기(50)가 발전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doesn't happen.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본 발명은 대지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장소에서 발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풍력 발전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발전 공간을 형성한 발전탑을 다층으로 형성함으로서 한정된 장소에서도 효율적으로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풍력 발전장치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nd power generator that can constitute a power generator in a limited place without occupying much land area.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maximiz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efficiently in a limited place by forming a multi-layer power tower having a power generation space there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발전공간을 형성한 발전탑(10)을 형성하고, 상기 발전탑(10)의 상부 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발전날개(20)를 구비하며, 상기 발전날개(20)의 외측 발전탑의 벽체에는 풍력이 발전날개(20)의 날개에 작용되도록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바람유입구(40)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탑(10)의 모서리 측에 돌출되어 상기 발전탑(10)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 바람유입구(40)로 풍압이 집중 작용되게 하는 바람막이판(12)이 구비되며, 상기 발전탑(10)의 하부에 상기 발전날개(20)와 수직으로 설치된 발전축(30)을 매개로 축결된 발전기(50)를 구비한다.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2 and 3 to form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하나의 발전탑(10)에 다수의 발전날개(20)를 구비하여서 그 발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 발전탑(1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탑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각형(예컨대, 사각탑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탑(10)의 형태를 둥근 원형으로 형성하고, 바람막이판(12)과 둥근 구조의 발전탑(10)으로 인해 바람이 집중적으로 바람유입구(40)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바람막이판(12)과 발전탑(10) 사이의 바람유입구(40) 입구측 은 넓게 하고 발전날개(20)로 유입되는 통로는 좁게 함으로써 발전날개(20)에 작용하는 풍력이 최대가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날개(20)는 상하로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날개(20) 사이에는 상호 회전간섭과 풍력간섭이 방지되게 격막(11)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유입구(40)도 상기 발전날개(20)에 대응하여 다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또한, 상기 다수 개 구비되는 발전날개(20)는 상호 간의 회전편차로 인한 회전간섭을 방지하게 일방향 회동에 대하여만 회전력이 작용되게 원웨이클러치(21)를 매개로 회전축에 축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기(50)는 다수 개 구비되고, 발전축(30)의 하부 측에 벨트, 체인, 기어 등과 같은 전동수단을 매개로 전동결속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바람유입구(4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발전날개(20)의 날개 끝 부분에 작용되게 발전날개(2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접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여 풍력이 발전날개(20)의 날개 끝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되게 하여 발전날개(20)의 회전력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함으로서 최소의 풍력으로 최대의 발전 효율을 갖게 할 수 있다. The
발전탑(10) 내에는 바람유입구(40)로 유도된 바람이 발전날개(20)의 회전 궤도 내에서 회전되게 유도하는 바람유도판(60,62)이 구비되어 있어 바람의 확산을 막아 풍력이 발전날개(20)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 람유도판(60,62)은 발전날개(20)의 회전 궤도를 따라 발전탑(10) 내부 벽면에 설치된다. 바람유도판(60,62)은 상부 유도판(60)과 하부 유도판(62)으로 구성되어 상부 유도판(60), 하부 유도판 및 발전탑(10)의 내부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이 'ㄷ'자형의 격실을 이루며, 상부 유도판(60)의 길이는 하부 유도판(6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날개(20)의 회전 궤도를 따라 'ㄷ'자형의 둥근 원형의 격실을 이루도록 바람유도판(60,62)을 구비함으로서 바람이 둥근 원형의 격실을 따라 발전날개(20)와 같이 회전하게 하여 발전날개(20)의 회전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지렛대 원리와 같이 바람이 발전날개(20)의 끝 부분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발전날개(20)의 회전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탑(10)의 모서리 측에는 풍압이 바람유입구(40)로 집중 작용되게 돌출된 바람막이판(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람막이판(12)은 발전탑(10)의 각 벽면에 부는 바람을 막아 바람유입구(40)로 바람을 유도하여 바람이 압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6, 7, and 8, the edge side of the
상기 바람막이판(12)의 상하부의 각 면과 발전탑(10)의 외측 둘레에는 바람의 상하 유동을 제한하며, 작업자가 이동가능하게 한 수평돌출판(13)을 구비할 수 있다. 발전탑(10)은 수평돌출판(13)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돌출판(13)은 베란다로 이용되거나 또는 상층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바람이 발전탑(10)에 대하여 정면 또는 사선 방향 등 어떠한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도 바람막이판(12)과 수평돌출판(13)으로 인해 바람을 바람유입구(40)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발전탑(10)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불어도 바람막이판(12)을 기준으로 양측(2면)의 바람유입구(40)로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풍력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Each sid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날개(20)와 발전기(50)가 구비된 발전탑(10)을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전탑(10)을 다층으로 구성함으로서 한정된 장소에서도 효율적으로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발전탑(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람배출구(7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발전탑(10)을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풍력동력기와 같은 기능을 한다. Such a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wind turbine.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내부에 발전공간을 형성한 발전탑(10)을 형성하고, 상기 발전탑(10)의 상부 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는 발전날개(20)를 구비하며, 상기 발전날개(20)의 외측 발전탑의 벽체에는 풍력이 발전날개(20)의 날개에 작용되도록 바람을 유도하는 다수의 바람유입구(40)를 형성하며, 상기 발전탑(10)의 모서리 측에는 풍압이 바람유입구로 집중 작용되게 돌출된 바람막이판(12)이 구비되며, 상기 발전탑(10)의 하부에 상기 발전날개(20)와 수직 으로 설치된 발전축(30)을 매개로 축결된 발전기(50)를 구비한다.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이 바람유입구(40)로 유입되게 되면, 발전날개(20)의 날개에 접선 방향으로 작용되게 되어 있는 바람유입구(40)를 통하여 풍력이 유입되어서 발전날개(20)의 날개에 작용됨으로써 발전날개가 회전되게 된다.When the wind is introduced into the
바람막이판(12)과 바람유입구(40)에 의해 유도된 압축 바람은 발전날개(20)의 회전 방향에 접선 방향으로 작용되고, 바람유도판(60,62)을 통해 발전날개(20)의 회전 궤도를 따라 회전되게 하여 풍력의 손실이 최소화된다. Compressed wind induced by the
이상과 같이 발전날개(20)가 회전되게 되면, 수직으로 설치된 발전축(30)을 통하여 회전력이 발전기(50)에 절달됨으로써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에 따른 발전과정에 있어서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바뀐 바람의 방향에 위치한 바람유입구(40)를 통하여 바람이 유입되어서 발전날개(20)의 날개 끝에 작용됨으로써 바람의 방향에 관계없이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in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is introduced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에 따른 발전과정에 있어서 태풍 등으로 인해 빠른 풍속의 바람이 불게 되면, 빠른 풍속의 바람이 바람유입구(40)를 통하여만 제한되게 유입됨으로써 발전날개(20)에 과도한 풍속이 작용되지 않아 빠른 풍속에서도 발전이 이루어지며, 발전날개(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아 태풍 등에 의하여 발전날개가 손상되는 일이 방지된다.In addition, in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wind of the high wind speed due to the typhoon or the like, the wind of the high wind speed is limited only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발전날개(20)를 다 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발전기(50)를 다수 구비할 수 있어 그 발전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발전기(50)가 발전탑(10)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of 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is carried out. This is possible.
본 발명은 풍력 발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전날개를 수직으로 축지 구성 함으로서 풍속에 제한받지 않고 연속적인 발전이 이루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power generation blades are vertically axially configured so that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not limited by the wind speed.
그리고, 본 발명은 발전날개가 발전탑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태풍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generation wing is located inside the power generation tower, damage caused by a typhoon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발전날개와 발전기를 구비함으로써 그 발전량이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ximiz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wings and a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평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다수 발전기를 구비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발전탑을 다층으로 구비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layer power generation tow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7 is a cross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평 단면도이다.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를 수직으로 절단한 경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or vertically cu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발전탑 11: 격막10: Power Tower 11: Diaphragm
12: 바람막이판 13: 수평돌출판12: windshield 13: horizontal protrusions
20: 발전날개 21: 원웨이클러치20: power wing 21: one-way clutch
30: 발전축 40: 바람유입구30: power generation shaft 40: wind inlet
60,62: 바람유도판 70: 바람배출구60,62: wind guide plate 70: wind outlet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084 | 2007-07-05 | ||
KR20070011084 | 2007-07-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4412A true KR20090004412A (en) | 2009-01-12 |
KR100984702B1 KR100984702B1 (en) | 2010-10-01 |
Family
ID=4048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5994A KR100984702B1 (en) | 2007-07-05 | 2008-01-21 | Wind power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470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5759A2 (en) * | 2011-02-01 | 2012-08-09 | Ko Young-Eun |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wind guide |
WO2013118945A1 (en) * | 2012-02-07 | 2013-08-15 | Son Sung-Chul | Wind power generator in the form of a column |
KR101306754B1 (en) * | 2011-02-01 | 2013-09-13 | 고영은 | Wind power generator with wind guid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243A (en) * | 1993-08-07 | 1995-03-20 | 김재우 | Power generator and method using wind power |
JP2001193633A (en) * | 2000-01-13 | 2001-07-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Wind-force power generator |
JP2005171868A (en) * | 2003-12-10 | 2005-06-30 | Dmw Japan:Kk | Compound windmill |
KR20040077825A (en) * | 2004-07-13 | 2004-09-07 | 이금례 | wind power and flowing liquid power electricity system |
-
2008
- 2008-01-21 KR KR1020080005994A patent/KR10098470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5759A2 (en) * | 2011-02-01 | 2012-08-09 | Ko Young-Eun |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wind guide |
WO2012105759A3 (en) * | 2011-02-01 | 2012-12-20 | Ko Young-Eun |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wind guide |
KR101306754B1 (en) * | 2011-02-01 | 2013-09-13 | 고영은 | Wind power generator with wind guide |
US9048705B2 (en) | 2011-02-01 | 2015-06-02 | Young-eun Ko |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wind guide |
WO2013118945A1 (en) * | 2012-02-07 | 2013-08-15 | Son Sung-Chul | Wind power generator in the form of a column |
US9103324B2 (en) | 2012-02-07 | 2015-08-11 | Sung-Chul Son | Pillar type wind power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4702B1 (en) | 2010-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09325B1 (en) | Vertical axis turbine | |
US883409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ugmenting and converting wind power | |
US20100230974A1 (en) | Low wind, vertical axis, dual stage, wind turbine power generator | |
WO2016023351A1 (en) | All-directional flow-guide shaftless wind-driven generator | |
KR20110115546A (en) | Tunnel-powered turbine system that produces potential energy from waste kinetic energy | |
KR20140021688A (en) | Omni-directional wind turbine | |
KR20180116418A (en) | Wind power generator combined with building | |
JP2013511649A (en) | Wind collector tower for wind power generator | |
KR100984702B1 (en) | Wind power generator | |
JP2011064097A (en) | Wind turbine device and wind turbine generator using the same | |
KR20060050090A (en) |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fluid | |
AU2007283443A1 (en) | Omni-directional wind power station | |
WO2011062635A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ugmenting and converting wind power | |
KR101381247B1 (en) | Wind power generator for a fence for a lane regulation | |
CN116816590A (en) |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renewable energy system | |
KR20200106489A (en) | Wind power station | |
JP6709002B2 (en) | Wind power system | |
KR200392106Y1 (en) | Windmill for aerogenerator | |
KR101409717B1 (en) | Wind power system | |
KR101074958B1 (en) | A wind power plant | |
KR200420323Y1 (en) | Wind turbine rotor | |
KR20200052748A (en) |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100133338A (en) | Solar wind power generator | |
CN203614321U (en) | Shutter type vertical shaft resistance type wind turbine and wind collecting device thereof | |
KR200473807Y1 (en) | Blade for power gene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