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2671U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71U
KR20090002671U KR2020090000876U KR20090000876U KR20090002671U KR 20090002671 U KR20090002671 U KR 20090002671U KR 2020090000876 U KR2020090000876 U KR 2020090000876U KR 20090000876 U KR20090000876 U KR 20090000876U KR 20090002671 U KR20090002671 U KR 20090002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all plate
upper box
locking means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관
Original Assignee
문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관 filed Critical 문종관
Priority to KR2020090000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671U/ko
Publication of KR20090002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3Corner pads or corner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 벽면에 걸림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턱과 삽입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내측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상기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상기 상부상자의 덮개판과는,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걸림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서, 상기 포장용 박스를 적층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덮개판을 눌러도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손상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상자의 내측에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상자를 상부상자의 덮개판의 높이까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상부상자의 걸림수단까지만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하부상자에 소요되는 종이의 양을 대폭 줄여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립이 용이하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포장용 박스, 걸림턱, 덮개판, 수용부

Description

포장용 박스{Package box}
본 고안은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의 내측 벽판에 걸림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턱과 삽입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상자의 벽면 내측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통 방식에 따르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포장용 박스에 수납되어 운송 및 보관된다. 즉, 종래의 포장용 박스의 기능은 제품들을 수납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포장용 박스내 수납된 제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하부상자와 상부상자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상자에 상부상자를 덮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상자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면 벽판과, 우측에 형성된 우측면 벽판과,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벽판과,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벽판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면 벽판과, 우측에 형성된 우측면 벽판과,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벽판과,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벽판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상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물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부상자는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하부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덮는 역할만 할 뿐, 상기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보호하는 역할은 미미하였다. 왜냐하면, 상기 하부상자에 상부상자가 덮어질 때, 상기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상부상자의 덮개판이 너무 근접하게 덮어짐으로 인해, 소비자가 덮개판을 눌렀을 때, 포장용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상자의 높이를 높일시,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품이 수용부의 하단부에 수용됨으로 인해,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 벽면에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상기 상부상자의 덮개판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포장용 박스를 적층으로 적재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덮개판을 눌러도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손상을 가할 수 없게 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상자의 벽판 내측에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상자를 상부상자의 덮개판의 높이까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상부상자의 걸림수단까지만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하부상자에 소요되는 종이의 양을 대폭 줄여서, 원가를 절감하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를 덮는 상부상자와,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삽입구 및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테두리 밑면과,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과 제 3 걸림턱 및 제 4 걸림턱 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부상자의 벽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상기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상기 상부상자의 덮개판과는, 상기 상부상자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서, 상기 포장용 박스를 적층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덮개판을 눌러도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손상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상자의 내측에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상자를 상부상자의 덮개판의 높이까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상부상자의 걸림수단까지만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하부상자에 소요되는 종이의 양을 대폭 줄여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립이 용이하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는,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를 덮는 상부상자와,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삽입구 및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테두리 밑면과,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과 제 3 걸림턱 및 제 4 걸림턱 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부상자의 벽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를 뒤집었을 때, 걸림턱을 삽입구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를 뒤집었을 때, 걸림턱을 삽입구에 삽입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상자와 하부상자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는 하부상자(10)와, 상부상자(20) 및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상자(10)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면 벽판(12)과, 우측에 형성된 우측면 벽판(13)과,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벽판(14)과,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벽판(15) 및 바닥판(11)의 상부에 수용되는 수용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상자(10)는, 상기 하부상자(10)의 바닥판(11)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16)에 물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상자(20)는, 덮개판(27)과, 상기 덮개판(27)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벽판(21)과,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벽판(22), 좌측에 형성된 좌측면 벽판(23)과, 우측에 형성된 우측면 벽판(24)과, 상기 전면벽판(21)과 후면벽판(22)과 좌측면벽판(23)과 우측면벽판(24)이 상호 연결된 테두리의 밑판(25) 및 덮개판(27)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상자(20)는, 상기 하부상자(10)의 수용부(16)를 덮어서 물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27)은, 상부상자(20)의 뚜껑에 해당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상자(20)의 전면벽판(21)과 후면벽판(22)과 좌측면벽판(23)과 우측면벽판(24)이 상호 연결되면서 형성된 내측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그 구성은 제 1 걸림턱(31)과, 제 2 걸림턱(32)과 제 3 걸림턱(33)과, 제 4 걸림턱(34)과, 제 1 삽입구(35)와 제 2 삽입구(36)와, 제 3 삽입구(37) 및 제 4 삽입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 1 걸림턱(31)과, 제 2 걸림턱(32)과, 제 3 걸림턱(33)과, 제 4 걸림턱(34)은, 상기 덮개판(27)까지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여 공간부(26) 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하부상자(10)의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상기 상부상자(20)의 덮개판(27)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과 덮개판(27)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소비자가 덮개판(27)을 눌러도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턱(31)은, 상기 상부상자(20)의 전면벽판(21)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턱(32)은, 상기 상부상자(20)의 전면벽판(21)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걸림턱(33)은, 상기 상부상자(20)의 후면벽판(22)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걸림턱(34)은, 상기 상부상자(20)의 후면벽판(22)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 1 삽입구(35)는, 상기 상부상자(20)의 좌측면벽판(23)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구(36)는 상기 상부상자(20)의 우측면벽판(24)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삽입구(37)는, 상기 상부상자(20)의 좌측면벽판(23)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삽입구(38)는, 상기 상부상자(20)의 우측면벽판(24)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걸림턱(31)은, 제 1 삽입구(3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걸림턱(32)은 제 2 삽입구(36)에 삽입되며, 상기 제 3 걸림턱(33)은, 제 3 삽입구(37)에 삽입되며, 상기 제 4 걸림턱(34)은, 제 4 삽입구(38)에 삽입됨으로써, 걸림수단은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의 각각의 걸림턱은, 상기 하부상자(10)의 벽판 상단부가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부상자(10)가 상부상자(20)의 덮개판(27) 쪽으로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아, 상기 각각의 걸림턱과 덮개판(27) 사이에 공간부(26)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수단의 각각의 걸림턱의 높이는, 상기 하부상자(10)의 벽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의 높이는, 상기 상부상자(20)의 벽판의 밑판(25)에서 각각의 걸림턱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상자(20)의 벽판 테두리 밑면(25)과, 상기 상부상자(20)의 벽판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31)과 제 2 걸림턱(32)과 제 3 걸림턱(33) 및 제 4 걸림턱(33) 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부상자(10)의 벽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를 뒤집었을 때, 걸림턱을 삽입구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상부상자를 뒤집었을 때, 걸림턱을 삽입구에 삽입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1 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용 박스의 하부상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상자와 하부상자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상자 20. 상부상자
30. 걸림수단

Claims (2)

  1.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를 덮는 상부상자와,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좌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후면벽판의 우측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걸림턱과;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하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삽입구와;
    상기 상부상자의 좌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3 삽입구; 및
    상기 상부상자의 우측면벽판의 상부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제 4 삽입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테두리 밑면과, 상기 상부상자의 벽판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과 제 3 걸림턱 및 제 4 걸림턱 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부상자의 벽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2020090000876U 2009-01-23 2009-01-23 포장용 박스 KR20090002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76U KR20090002671U (ko) 2009-01-23 2009-01-23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76U KR20090002671U (ko) 2009-01-23 2009-01-23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71U true KR20090002671U (ko) 2009-03-17

Family

ID=4128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876U KR20090002671U (ko) 2009-01-23 2009-01-23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67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192Y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481085Y1 (ko) 내부 지지대를 구비한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US7967142B2 (en) Nestable crate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090002671U (ko) 포장용 박스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EP3994073B1 (en) A case for storing articles and carrying articles by hand
US10099815B2 (en) Multi-use container with wheels
US6270005B1 (en) Shipping carton with slotted flaps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90001167U (ko) 포장용 박스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KR101136989B1 (ko) 박스 보호대
KR200339384Y1 (ko) 접철식 종이상자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KR101476636B1 (ko)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RU2669935C1 (ru) Упаковка и колонна из этих упаковок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200000001U (ko) 계란 포장 운반구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JP3137275U (ja) 果実包装用容器
JP2012030887A (ja) 蓋体およびその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0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