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546U -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546U KR20090001546U KR2020070013444U KR20070013444U KR20090001546U KR 20090001546 U KR20090001546 U KR 20090001546U KR 2020070013444 U KR2020070013444 U KR 2020070013444U KR 20070013444 U KR20070013444 U KR 20070013444U KR 20090001546 U KR20090001546 U KR 2009000154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case body
- case
- cover
- cat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1케이스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2케이스본체로 구성되어, 상호 마주하는 일단면이 접지결합되면서,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 후면을 덮게 되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제1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하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로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2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각각의 케이스본체가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부로 끼워진 후,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손에서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감을 향 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방식의 화면 액정을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화면 액정의 ON/OFF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휴대용 단말기 100: 케이스본체
110: 제1케이스본체 120: 제2케이스본체
130: 관통공 140: 미끄럼방지턱
200: 걸림부 210: 제1걸림부
220: 제2걸림부 211,221: 측벽
212,222: 덮개 213: 수신스피커 노출부
223: 송신마이크 노출부 310: 결합돌기
320: 결합홈 H: 개구부
T: 텐션용 덮개홈
본 고안은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2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케이스본체가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부로 끼워져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술 발전에 의해 통신장비가 소형화되고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통신장치의 이동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현대인은 PDA와 휴대전화기 등 통신을 위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결합 및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스윙형(Swing Type), 상기 복합형(Complex Type) 또는 바형(Bar Type) 휴대용 단말기로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편리한 휴대를 도모하며 긁힘과 외부충격으로부터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보조하며,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초창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는 비닐,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사용되었으나 소재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후 부착 작업을 해야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쉽게 찢어지거나 노후화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닐,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장기간 사용하면 땀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케이스의 내외측이 오염되거나 변색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의 사용을 기피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성형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도록 씌워지면서,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에 결착되게 된다.
이때,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 상측모서리부에 걸쳐져서 고정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서리부에 상응하게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재질 특성에 의한 탄성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휴대용 단말기를 밀어 넣으면, 탄성에 의해 걸림턱이 외 측으로 벌어지면서 휴대용 단말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걸림턱이 휴대용 단말기의 모서리부에 결착되면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걸림턱이 결착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모서리부가 절곡되게 형성되거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형성되어야만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걸림턱이 탄성에 의해 유동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 측부의 일정 부분만을 감싸거나, 4측부 중 마주하는 양측부만을 감싸서 휴대용 단말기의 모서리부에 상기 걸림턱이 결착되도록 형성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4측부를 모두 감싸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이 불가능하였다.
또 다른 형태의 종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로 휴대용 단말기의 4측부 중 3측부만을 감싸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개방된 1측방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밀어넣어 끼우게 되는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케이스 형태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4측부를 모두 감싸지 않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 일정 부분만을 감싸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결착이 안정적이지 않아 휴대용 단말기에서 쉽게 분리되게 되고, 휴대용 단말기 측부의 감싸지지 않는 부분은 보호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스는 바 형태(Bar Type)의 휴대용 단말기, 특히 최근에 출시된 '애플(apple)'사의 바형 휴대폰 '아이폰(iphone)'과 같이 측부가 유선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형상의 휴대용 단말기 등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2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각각의 케이스본체가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부로 끼워진 후,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손에서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감을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방식의 화면 액정을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화면 액정의 ON/OFF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1케이스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2케이스본체로 구성되어, 상호 마주하는 일단면이 접지결합되면서,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 후면을 덮게 되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제1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하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로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좌,우측면을 감싸는 측벽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과 전면 일부를 감싸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의 상측 또는 하측 모서리에서 대각선상으로 상,하측이 상호 분리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텐션용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텐션용 절개홈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덮개는 개별적으로 각각 내,외측 방향의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착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가 유선형으로 돌출형성될 때, 상기 제1걸 림부 또는 제2걸림부는 그에 상응하게 내측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때,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에서 수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는 바(Bar)타입으로 형성될 때,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또는 전면을 덮도록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전면의 수신스피커에 대응하는 상기 제1걸림부의 위치에 수신스피커 노출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전면의 송신마이크에 대응하는 상기 제2걸림부의 위치에 송신마이크 노출부;가 관통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의 충전용포트 또는 사이드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의 위치에 개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 및 걸림부의 표면에는 원하는 색상 및 질감을 갖도록 마감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표시되는 제품로고 및 문양의 형태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마주하여 접지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 각각의 일단면들 중 어느 한 면에 후크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호 마주하여 접지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 각각의 일단면들 중 다른 한 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고정되도록 그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의 외표면 인접부분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케이스본체(100), 걸림부(200), 결합돌기(310) 및 결합홈(320)으로 형성되어,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1)의 외관에 탈착되게 된다.
케이스본체(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상부 후면에 대응되는 제1케이스본체(11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하부 후면에 대응되는 제2케이스본체(120)로 구성되고, 상호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에 덮도록 접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및 제2케이스본체(120)는 상호 마주하는 일단면이 접지결합되는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이분할 때,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상부 및 하부의 후면을 덮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및 제2케이스본체(120)는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에 의해 상호 삽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310)가 상호 마주하여 접지되게 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와 제2케이스본체(120) 각각의 일단면들 중 제1케이스본체(110)의 일단면에 형성되면, 결합홈(320)은 제2케이스본체(120)의 일단면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310) 및 결합홈(320)은 상호 마주하여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및 제2케이스본체(120) 단면에 한 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10)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또는 제2케이스본체(120) 각각의 일단면 중 어느 한 단면상에 후크형태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0)은 상시 결합돌기(310)에 마주하여 접지되게 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또는 제2케이스본체(120)의 단면에 상기 결합돌기(310)가 삽입고정되도록 그에 대 응되게 형성되게 된다.
걸림부(200)는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좌,우측면을 감싸는 측벽(211,221)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상측 또는 하측과 전면 일부를 감싸는 덮개(212,22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본체(100)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부(200)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걸림부(210)와 상기 제2케이스본체(120)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걸림부(220)로 구분된다.
상기 제1걸림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2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 하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케이스본체(120)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걸림부(210) 및 제2걸림부(220)는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좌,우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및 제2케이스본체(120)의 양측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측벽(211,221)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상측 또는 하측과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2케이스본체(110,120) 및 상기 측벽(211,221)에서 연장형성되는 덮개(212,222)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212,222)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 전면의 액정화면 상하단까지만 형성되어 액정화면은 노출되어 감싸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211,221)들에는 각각 텐션용 절개홈(T)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211,221) 및 덮개(212,222)가 개별적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용 절개홈(T)은 상기 측벽(211,221)들 상에 각각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제1,2케이스본체(110,120)와 만나는 하측 모서리부 또는 상기 덮개(212,222)와 만나는 상측 모서리부에서 대각선상으로 상기 덮개(212,222)가 형성되는 상측 모서리부 또는 하측 모서리부 까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측벽(211,221)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텐션용 절개홈(T)에 의해 그 상, 하측이 상호 분리되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측벽(211,221)과 상기 덮개(212,222)는 개졀적으로 각각 내,외측 방향으로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손쉽게 탈착될 수 있게 된다.
일실시 예로, 측부가 유선형으로 돌출형성된 휴대용 단말기(1)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210) 또는 제2걸림부(220)는 그에 상응하게 내측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또는 제2케이스본체(120)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측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1)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210) 또는 제2걸림부(220)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에서 수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또는 제2케이스본체(120)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210)의 덮개(2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액정화면 위쪽에 위치되는 수신스피커(미도시)를 덮도록 형성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상부 전면의 상기 수신스피커에 대응하는 상기 제1걸림부(210) 덮개(212)의 위치에 수신스피커 노출부(213)가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부(220)의 덮개(22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액정화면 아래쪽에 위치되는 송신마이크(미도시)를 덮도록 형성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1) 상부 전면의 송신마이크에 대응하는 상기 제2걸림부(220) 덮개(222)의 위치에 송신마이크 노출부(223)가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210) 및 제2걸림부(220)의 측벽(211,221)에는 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측부에 구비되는 충전용포트(미도시) 및 사이드 기능버튼(미도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H)가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에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끼운 상태로도 충전용 포트 및 사이드 기능버튼을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0) 및 걸림부(200)의 표면에는 원하는 색상 및 질감을 가지도록 마감코팅층(미도시)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1)에 탈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1)의 형태의 특성상 전면부와 후면부의 형태가 대칭에 가깝게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케이스본체(1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측부 및 전면 일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걸림부(200)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과 측부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1)의 특성상 전면부와 후면부가 유사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부 뿐만 아니라, 전면부에도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의 후면부를 덮도록 끼워질 경우, 외부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를 보호하고, 그립(Grip)감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사용자의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보관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1)의 전면부를 덮도록 끼워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화면 액정을 보호하며,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본체(100)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 후면에 표시되는 제품로고 및 문양의 형태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끼운 상태에서도 상기 제품로고 및 문양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 또는 제2케이스본체(120)의 외표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에 인접되는 부분에 소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턱(14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케이스본체(110)와 제2케이스본체(120)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2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각각의 케이스본체가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부로 끼워진 후,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손에서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감을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을 덮도록 탈착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방식의 화면 액정을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화면 액정의 ON/OFF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 바(Bar)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에 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1케이스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후면에 접하게 되는 제2케이스본체로 구성되어, 상호 마주하는 일단면이 접지결합되면서,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 후면을 덮게 되는 케이스본체; 및상기 제1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케이스본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 하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케이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로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각각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좌,우측면을 감싸는 측벽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과 전면 일부를 감싸는 덮개로 이루어지고,상기 측벽의 상측 또는 하측 모서리에서 대각선상으로 상,하측이 상호 분리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텐션용 절개홈;이 형성되어,상기 텐션용 절개홈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덮개는 개별적으로 각각 내,외측 방향의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가 유선형으로 돌출형성될 때,상기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는 그에 상응하게 내측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때,상기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에서 수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부의 측면 및 전면 일부를 덮도록 상 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와 연결되는 종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형태가 대칭을 이루는 바(Bar)타입으로 형성될 때,상기 케이스본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또는 전면을 덮도록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전면의 수신스피커에 대응하는 상기 제1걸림부의 위치에 수신스피커 노출부;가 관통형성되고,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전면의 송신마이크에 대응하는 상기 제2걸림부의 위치에 송신마이크 노출부;가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의 충전용포트 또는 사이드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의 위치에 개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본체 및 걸림부의 표면에는 원하는 색상 및 질감을 갖도록 마감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후면에 표시되는 제품로고 및 문양의 형태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상호 마주하여 접지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 각각의 일단면들 중 어느 한 면에 후크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 및상호 마주하여 접지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와 제2케이스본체 각각의 일단면 들 중 다른 한 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고정되도록 그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1케이스본체 또는 제2케이스본체의 외표면 인접부분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444U KR20090001546U (ko) | 2007-08-13 | 2007-08-13 |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444U KR20090001546U (ko) | 2007-08-13 | 2007-08-13 |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546U true KR20090001546U (ko) | 2009-02-18 |
Family
ID=4129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3444U Abandoned KR20090001546U (ko) | 2007-08-13 | 2007-08-13 |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1546U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555B1 (ko) * | 2010-06-21 | 2010-09-15 | 에스지피코리아 (주)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
KR200452677Y1 (ko) * | 2010-09-17 | 2011-03-14 | 김성주 | 휴대단말기 케이스 |
WO2011019907A3 (en) * | 2009-08-12 | 2011-06-30 | Uncommon, LLC | Two-piece protective carrying case |
WO2012008644A1 (ko) * | 2010-07-16 | 2012-01-19 | (주)중앙티앤씨 |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
WO2012037567A1 (en) * | 2010-09-17 | 2012-03-22 | Agamatrix, Inc. | Housing for integrat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WO2013002442A1 (ko) * | 2011-06-30 | 2013-01-03 | (주)중앙티앤씨 |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
KR101292295B1 (ko) * | 2011-11-10 | 2013-08-01 | 주식회사 다스텍 | 휴대용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
KR101308506B1 (ko) * | 2012-02-15 | 2013-09-17 | 여영규 |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
KR101389703B1 (ko) * | 2012-04-16 | 2014-04-30 | 주식회사 애니모드 | 휴대 단말기용 지갑형 케이스 |
EP2409407A4 (en) * | 2009-03-17 | 2014-05-07 | Belkin International Inc | HOUSING FOR A MULTIPLE MOBILE MEDIA PLAYER |
KR101454152B1 (ko) * | 2012-03-08 | 2014-11-03 | 김태웅 | 줌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KR101465669B1 (ko) * | 2012-09-05 | 2014-12-01 | 추종철 | 전자통신기 보호용 원터치방식 범퍼대 |
KR200485724Y1 (ko) * | 2016-11-02 | 2018-02-12 |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 승화 전사용 지그 |
KR20180001561U (ko) * | 2016-11-17 | 2018-05-25 | 조자운 | 화장품 수납수단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
-
2007
- 2007-08-13 KR KR2020070013444U patent/KR20090001546U/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09407A4 (en) * | 2009-03-17 | 2014-05-07 | Belkin International Inc | HOUSING FOR A MULTIPLE MOBILE MEDIA PLAYER |
WO2011019907A3 (en) * | 2009-08-12 | 2011-06-30 | Uncommon, LLC | Two-piece protective carrying case |
KR100982555B1 (ko) * | 2010-06-21 | 2010-09-15 | 에스지피코리아 (주)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
WO2012008644A1 (ko) * | 2010-07-16 | 2012-01-19 | (주)중앙티앤씨 |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
KR101118708B1 (ko) * | 2010-07-16 | 2012-02-28 | (주)중앙티앤씨 |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
KR200452677Y1 (ko) * | 2010-09-17 | 2011-03-14 | 김성주 | 휴대단말기 케이스 |
WO2012037567A1 (en) * | 2010-09-17 | 2012-03-22 | Agamatrix, Inc. | Housing for integrated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WO2013002442A1 (ko) * | 2011-06-30 | 2013-01-03 | (주)중앙티앤씨 |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
KR101292295B1 (ko) * | 2011-11-10 | 2013-08-01 | 주식회사 다스텍 | 휴대용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
KR101308506B1 (ko) * | 2012-02-15 | 2013-09-17 | 여영규 |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
KR101454152B1 (ko) * | 2012-03-08 | 2014-11-03 | 김태웅 | 줌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KR101389703B1 (ko) * | 2012-04-16 | 2014-04-30 | 주식회사 애니모드 | 휴대 단말기용 지갑형 케이스 |
KR101465669B1 (ko) * | 2012-09-05 | 2014-12-01 | 추종철 | 전자통신기 보호용 원터치방식 범퍼대 |
KR200485724Y1 (ko) * | 2016-11-02 | 2018-02-12 |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 승화 전사용 지그 |
KR20180001561U (ko) * | 2016-11-17 | 2018-05-25 | 조자운 | 화장품 수납수단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01546U (ko) |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KR200437885Y1 (ko) |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KR200460260Y1 (ko) | 휴대폰 보호케이스 | |
KR100852080B1 (ko) | 폴더식 휴대 전자기기 | |
KR101118708B1 (ko) |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 |
KR101220507B1 (ko)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
KR200455692Y1 (ko) |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 |
KR101560790B1 (ko) |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 |
KR20150000251U (ko) |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 |
KR200462730Y1 (ko) | 휴대용 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0464932Y1 (ko)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CN206908642U (zh) | 一种防护性好的组合式手机保护壳 | |
KR101141761B1 (ko) | 휴대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 | |
JP2017011466A (ja) | 携帯機器 | |
JP2007190091A (ja) | 携帯電子機器 | |
KR200474038Y1 (ko) |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 |
KR200478502Y1 (ko) |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 |
KR20110109668A (ko) |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 |
KR101373747B1 (ko) |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 |
KR200475030Y1 (ko) | 이륜차 취부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가방 | |
KR100466167B1 (ko) |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 |
KR20140045617A (ko) | 탄성밴드를 부착한 스마트폰용 범퍼 케이스 | |
KR200476086Y1 (ko) | 탈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 |
KR101442351B1 (ko) | 덮개의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
KR200301222Y1 (ko) |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81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