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195U -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195U KR20090001195U KR2020070012783U KR20070012783U KR20090001195U KR 20090001195 U KR20090001195 U KR 20090001195U KR 2020070012783 U KR2020070012783 U KR 2020070012783U KR 20070012783 U KR20070012783 U KR 20070012783U KR 20090001195 U KR20090001195 U KR 200900011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t
- roller
- rail
- sliding door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상부레일(24)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상부레일(24)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상부롤러(42)를 갖는 문(4)으로 구성된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부(6)와, 상기 다수의 문(4)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6)에 결합되어 수평구동하는 롤러(7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내,외측문짝의 개폐구동시 상부롤러 및 하부의 롤러에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구현될 수 있고, 본체과 별개로 제 1 및 제 2레일이 설치된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장, 문, 하부, 롤러
Description
본 고안은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롤러가 설치되고, 하부에 문의 이동을 지지하며 안내하는 구동부가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장농을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붙박이 장의 사용이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은 물론, 단독 주택에서도 보편화되고 있다.
통상 붙박이 장은,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개폐문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문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통상 미닫이 방식이 채용된다.
도 1은 종래 붙박이 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붙박이 장은 본체(2')의 상부에 수평되게 상부레일(24')을 설치하고, 문(4')에는 상기 상부레일(24')에 결합되는 상부롤러(42')를 구비하였으며, 문(4')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2')의 하부에 마련된 레일홈(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단턱부(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붙박이 장은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습기 및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바, 특히 문짝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본체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 간의 결합상태가 뒤틀리게 되면서 미닫이 방식의 개폐작동이 불능상태가 되거나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붙박이 장과 같은 가구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본체 및 문의 하부에 구동수단을 더 설치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켜 파손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문의 개폐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 상부레일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상부롤러를 갖는 문으로 구성된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된 레일부와, 상기 문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수평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외측문짝의 개폐구동시 상부롤러 및 하부의 롤러에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구현될 수 있고, 본체과 별개로 제 1 및 제 2레일이 설치된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설명을 돕기 위해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문이 설치된 전면을 전방으로 정하고, 본체의 후측은 후방으로 정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상부에 상부레일(24)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상부레일(24)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상부롤러(42)를 갖는 문(4)으로 구성된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부(6)와, 상기 문(4)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6)에 결합되어 수평구동하는 롤러(7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문(4)은, 상기 레일부(6)에 결합되어 좌우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통상 내측문짝(43)과 외측문짝(41)으로 구성되며, 상호 교차 구동될 수 있도록 전,후측에 설치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각기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6)는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되되, 전,후측으로 인접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레일(61,6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 1레일(61)에는 내측문짝(43)이 결합되고, 제 2레일(62)에는 외측문짝(41)이 결합되어 내,외측문짝(41)이 슬라이딩되면서 교차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레일(61)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체로써,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벽이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형상이며, 그 내부에는 롤러(70)가 수평되게 삽입되어 이동되는 공간인 가이드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레일(62)은, 상기 제 1레일(61)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레일(61) 보다 제 2레일(62)의 가이드부(60)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외측문짝(43,41)의 하단에는 제 1 및 제 2브라켓(61,62)이 각기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브라켓(61,62)에는 상기 제 1 및 제 2레일(61,62)의 가이드부(60)에 결합되는 롤러(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브라켓(71)의 하부에 제 2브라켓(72)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내,외측문짝(43,41)의 개폐시 제 1브라켓(71)과 제 2브라켓(72)이 상호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브라켓(71)은, 일단이 내측문짝(43)의 하단에 볼트결합 등으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축봉이 수직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축봉에 롤러(70)가 수평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70)는 원통체로써 상기 제 1 및 제 2레일(61,62)의 가이드부(60)에 내접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브라켓(72)은, 일단이 외측문짝(41)의 하단에 볼트결합 등으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축봉이 수직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축봉에 롤러(70)가 수평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 1브라켓(7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 1브라켓(71)의 외측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내,외측문짝(43,41)의 개폐시 상기 제 1브라켓(71)과 제 2브라켓(72)이 충돌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붙박이 장의 본체(2) 전면에 내,외측문짝(43,41)을 설치하되, 상기 내,외측문짝(43,41)의 상부롤러(42)가 본체(2)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레일(24)에 결합됨으로써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본체(2)의 하단에 제 1 및 제 2레일(61,62)로 구성된 레일부(6)를 장착한다.
이때, 제 1 및 제 2레일(61,62)은 개구된 하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전면에 내,외측문짝(43,41)을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내측문짝(43)의 하단에는 제 1브라켓(71)을 장착하고, 외측문짝(41)의 하단에는 제 2브라켓을 장착한다.
이후, 제 1브라켓(71)의 롤러(70)를 제 1레일(61)의 가이드부(60)에 끼워 결합시키고, 제 2브라켓(72)의 롤러(70)를 제 2레일(62)의 가이드부(60)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후 내,외측문짝(43,41)을 좌우로 밀어 개폐시킬 수 있다.
즉, 내측문짝(43)을 밀면, 상부롤러(42)가 상부레일(24)을 따라 구동됨과 동시에 하부에 마련된 제 1브라켓(71)의 롤러(70)가 제 1레일(61)의 가이드부(60)를 따라 구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문짝(41)도 밀면, 상부롤러(42)가 상부레일(24)을 따라 구 동됨과 동시에 하부에 마련된 제 2브라켓(72)의 롤러(70)가 제 2레일(62)의 가이드부(60)를 따라 구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붙박이 장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4 : 문
41 : 외측문짝 43 : 내측문짝
61 : 제 1레일 62 : 제 2레일
70 : 롤러 71 : 제 1브라켓
72 : 제 2브라켓
Claims (4)
- 상부에 상부레일(24)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상부레일(24)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상부롤러(42)를 갖는 문(4)으로 구성된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부(6)와,상기 문(4)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6)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레일부(6)는, 전,후측으로 인접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레일(61,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문(4)은, 상기 레일부(6)의 제 1 및 제 2레일(61,62)에 결합되는 내,외측문짝(43,41)으로 구성되며,상기 내,외측문짝(43,41)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레일(61,62)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70)가 장착된 제 1 및 제 2브라켓(61,62)이 각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2783U KR20090001195U (ko) | 2007-07-30 | 2007-07-30 |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2783U KR20090001195U (ko) | 2007-07-30 | 2007-07-30 |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195U true KR20090001195U (ko) | 2009-02-04 |
Family
ID=4150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2783U Ceased KR20090001195U (ko) | 2007-07-30 | 2007-07-30 |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1195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0779B1 (ko) * | 2011-05-24 | 2013-04-08 | 주식회사금원하이텍 |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
KR101338694B1 (ko) * | 2012-12-04 | 2013-12-06 | 박설화 |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
WO2014081204A1 (ko) * | 2012-11-20 | 2014-05-30 | Suk Jung Yun |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
-
2007
- 2007-07-30 KR KR2020070012783U patent/KR20090001195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0779B1 (ko) * | 2011-05-24 | 2013-04-08 | 주식회사금원하이텍 |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
WO2014081204A1 (ko) * | 2012-11-20 | 2014-05-30 | Suk Jung Yun |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
KR101338694B1 (ko) * | 2012-12-04 | 2013-12-06 | 박설화 |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780809B (zh) | 抽屉拉出引导装置 | |
JP3041731B2 (ja) | 引き出し用閉止装置 | |
KR101151895B1 (ko) |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 |
CN105829628B (zh) | 一种用于滑动构件的牵引和阻尼单元 | |
US20060097609A1 (en) | Undermount drawer slide | |
CN101167614A (zh) | 一体式抽屉滑轨组件 | |
KR101900144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 |
CN103002771A (zh) | 用于抽屉的拉出导向装置 | |
KR20090001195U (ko) |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 |
KR200422339Y1 (ko) |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 |
JP6709878B2 (ja) | 引き違いドアのスライド装置 | |
KR20110103163A (ko) | 하부에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용 도어 구조 | |
CN209197288U (zh) | 冰箱 | |
CN102772045A (zh) | 具有至少一个滑动门的家具 | |
KR200452763Y1 (ko) |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 |
CN216534503U (zh) | 一种抽屉安装结构 | |
KR101071976B1 (ko) | 냉장고용 레일 설치구조 | |
KR100907754B1 (ko) | 모니터 내장용 컴퓨터 책상 | |
KR102519488B1 (ko)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 |
KR20110120181A (ko) | 욕실 수납장 | |
US639786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rack to a dishwasher | |
CN218922079U (zh) | 一种连动型拉出式橱柜 | |
CN106961816A (zh) | 滑轨总成 | |
CN218246378U (zh) | 一种滑轨结构及柜子 | |
CN219515721U (zh) | 一种抽拉式储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