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31U - Fruit box. - Google Patents
Fruit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0631U KR20090000631U KR2020070011814U KR20070011814U KR20090000631U KR 20090000631 U KR20090000631 U KR 20090000631U KR 2020070011814 U KR2020070011814 U KR 2020070011814U KR 20070011814 U KR20070011814 U KR 20070011814U KR 20090000631 U KR20090000631 U KR 2009000063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cover
- sides
- box
- fruit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41235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2 fresh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85 thyroid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3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판지로 구성된 상자 내부에 과일을 수납하여서, 과일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자를 개방하지 않고도 수납된 과일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storing the fruit in a box made of cardboard, so as to stably store and move the fruit so as not to shake, and identify the state of the fruit stored without opening the box It's about a fruit box that you can.
과일, 상자, 덮개, 투시구멍, 받침대. Fruits, boxes, covers, see-through holes, pedestals.
Description
본 고안은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판지로 구성된 상자 내부에 과일을 수납하여서, 과일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자를 개방하지 않고도 수납된 과일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storing the fruit in a box made of cardboard, so as to stably store and move the fruit so as not to shake, and identify the state of the fruit stored without opening the box It's about a fruit box that you can.
일반적으로 과일상자는 농가나 과일가게 등에서 주로, 멜론, 수박, 참외, 등의 과일을 상자에 담아 보관하거나 이송 및 판매하고 있다.In general, fruit boxes are used in farms and fruit shops to store, transport, and sell fruits such as melons, watermelons, melons, etc. in boxes.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자는 실용신안 선출원 제: 1991-15217호의 포장용 상자와, 실용신안 출원 제: 1987-6795호의 조립식 농수산물 포장용 상자 외 다수가 제안된 바에 있다. Such a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been proposed, such as the packaging box of Utility Model First Application No. 1991-15217, and the prefabricat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packaging box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87-6795.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자는 그 구조가 복잡다단하여 원가 및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경제적인 단점과, 제작이 난해하며, 복잡한 제작공정을 통해 작업시간이 지연됨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economic disadvantage that the cost and pric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the production is difficult, and the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delay in the working time through a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
또한, 상자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흔들리면서 서로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심하게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x is collid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shaken or damaged or badly damaged.
그리고, 상자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덮개를 개방해야 하거나 개방 후에도 내용물의 상단부만이 보여져 내용물의 상태나 식별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x, the cover should be opened or only the upper end of the contents is shown after open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or identify the contents.
골판지로서 전/후면과, 좌/우측면과, 상/하면의 육면체를 구성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가 마련된 과일상자에 있어서; 상기 과일상자(1)는, 직립하는 전면부(20)와 후면부(30)의 양측으로 연장된 측지부(22, 32,)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저면부(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측면부(12)와 내측면부(14, 14a)가 상기 측지부의 내/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의 상부 모서리부는 35도에서 55도의 각도(θ)로 비스듬히 내향하는 경사받침부(34)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30)의 상단부와 연결된 덮개(40)는 양측 절곡선(42a)의 외측으로 연장된 경사면(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투시구멍(43)이 형성되고, 비스듬히 하향 절곡되어 상기 경사받침부(34)와 대접하며; 내측 하부에는 과일(100)이 안치되도록 안착부(52)가 형성된 받침대(50)가 내장되며; 손잡이(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 fruit box comprising a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upper and lower hexahedrons as a corrugated cardboard, the cover is provided to open / clos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면부(14)의 단부에 돌출된 고정턱(15)은 상기 저면부(10)의 양측부에 형성된 측면고정통공(18)에 삽착되며; 상기 덮개(40)는 전방 단부에 돌출된 고정턱(46)이 상기 전면부(20)의 상단에 연장된 덮개받침부(26)의 덮개고정통공(27)에 삽착되고, 상기 경사면(40)의 외측 단부에 연장된 인입부(44)는 상기 측면부(12)의 상단 양측부에 마련된 착탈홈(16)을 통해 내측으로 삽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ing jaw (15) protruding at the end of the
본 고안은 전술되어진 바와 같이,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자 내부에 과일을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원래대로의 상태를 유지시켜 신선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igid structure that can safely store the fruit inside the box, and in particular, by preventing it from shaking, preventing damage to the fruit and maintaining the original state so that the freshness is not lowered. .
그리고, 본 고안은 상자를 개방하지 않고도 과일의 색상, 향기 등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어서 전시효과는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신선한 과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state of the fruit color, aroma, etc. without opening the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ows the consumer to select fresh fruit as well as the display effect.
또한, 본 고안은 덮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임의대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덮개의 개방이 용이한 장점과, 지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경제적인 이점과, 폐기시에는 전개도처럼, 다시 펼쳐서 쓰레기로서의 처리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ecurely fixed so that the cover does not open arbitrarily, the opening of the cover is easy to open, the economical advantage that can be reused continuously, and when disposing, it is easy to dispose as garbage Provide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상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를 펼친 상태의 전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ruit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folded state of the frui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과일상자(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 등의 평면부재로서, 재단하거나 접어서 박스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된 과일(F)이 손상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상자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골판지(100)가 가장 바람직하다. Fruit box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member such as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s a box cut or folded, made to securely protect the fruit (F) stored therein from damage, general Most preferred is cardboard 100 widely used for boxes.
상기 과일상자(1)는 저면부(10)와, 전면부(20)의 배면에 후면부(30)와, 좌/우 측면부(12)와, 상부의 덮개(40)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40)의 양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경사면(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2)에는 내부가 보이도록 관통된 투시구멍(43)이 마련되고, 내측부 하단에 받침대(50)가 안치되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부에 손잡이(60)가 구비된다. The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과일상자(1)는 펼친 상태 즉, 골판지(100)를 재단하는 과일상자의 전개도로 구성된다. 이는, 사각의 저면부(10)와, 저면부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절곡선(20a, 30a)을 기준으로 하부에 전면부(20)가 형성되고, 상부에 후면부(30)가 형성되며, 좌/우측 절곡선(12a)의 양측으로 측면부(12)와 내측면부(14)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2)와 내측면부(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첩선(14a, 14b)가 이격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저면부(10)의 양측 단부에는 절곡선(12a)의 내측으로 측면고정통공(18)이 형성되고, 내측면부(14)의 외측 단부에는 측면고정통공(18)에 삽착되는 고정턱(15)가 형성된다.Side fixing holes (18)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10) inward of the bent line (12a), and fixing jaws (15) are inserted into the side fixing holes (18) at the outer ends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14). ) Is formed.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의 양측부에는 상기 절곡선(12a)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절곡선(22a, 32a)의 외측으로 측지부(22, 32)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측지부(22)에는 돌출부(23)이 형성되고, 후면부의 측지부(32)에는 상기 돌출부(23)과 맞물리는 결합홈(34)이 형성된다. Both side portions of the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는 사각으로 형성되데, 상/하부의 양측 모서리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비스듬한 각도(θ)로 경사진 절곡선(24a, 34a)이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24a, 34a)의 외측부에 경사받침부(24, 34)가 소정의 폭만큼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도(θ)는 35도에서 55도 이내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전면부(20)의 하단부에는 덮개받침부(26)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덮개받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덮개고정통공(27)이 형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후면부(30)의 상부 절곡선(40a) 위로는 덮개(4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양측부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2)에는 투시구멍(43)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40)는 상단부에는 덮개고정통공(27)에 삽찹되는 고정턱(4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42)의 외측 절곡선(44a)을 통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인입부(44)가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에는 결합구멍(28, 28a)이 형성되어 손잡이(60)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는 파지가 용이하고 유동이 자유로워 보관 시 간섭되지 않도록 줄이나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Coupling holes 28 and 28a are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측면부(12)와 측지부(22, 32)의 사이는 절개되어져 있고, 상기 내측면부(14)는 절첩선(14a, 14b)에서 단을 이루며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접을 때 갑선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상기 경사받침부(24, 34)와, 덮개받침부(26)와, 인입부(44)와, 고정턱(46)은 접거나 결합 시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또한, 상기 경사받침부(24, 34)는 측지부(22, 32)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착탈홈(16)을 마련하여 상기 인입부(44)가 삽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의 내부에 안치되는 받침대를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받침대(50)는 골판지, 마분지 등의 종이부재(100a)를 도 3과같이 외측 모서리부를 절개 및 재단하여 구성된다.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pedestal placed inside the frui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받침대(50)는 저면부(10)의 면적보다 다소 작은 면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접이선(54a, 55a) 외측으로 지지부(54, 5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50)는 중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3) 및 안착부(52)가 형성되고, 양측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안착부(52)는 과일의 하부 외주연과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통공(53)과 소정의 폭으로 이격된 접이선(52a) 사이를 대수의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된다. The seating
상기 받침대(50)는 중간부에 중간받침부(56)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이는 도 3에서처럼, 중간부에서 양측 통공의 내측으로 연장된 중간받침부(56)가 마련되고, 중간 절곡선(57a) 외측부에 서로 겹쳐지는 겹침부(57)가 형성되며, 상기 겹침 부(57)는 절반씩 엇갈리며 교차 결합되도록 절개홈(58)이 형성된다.The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상자의 구성 및 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의 덮개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과일상자를 접는 과정을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olding process of the fruit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the cover of the frui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folding the fruit box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먼저, 상기 과일상자(1)는 전면부(20)와 후면부(30)를 접어 입각시키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측 측지부(22, 32)가 대향하도록 내측으로 접으면 돌출부(23)가 결합홈(33)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이어 도 4a와 같이, 상기 측면부(12)를 접어 입각시켜 상기 측지부(22, 32)의 외측면과 밀착시킨 후, 다시 내측면부(14)를 측지부(22, 32)의 내측면과 밀착시키면서 접는다. 이어, 상기 고정턱(15)을 측면고정통공(18)에 삽착시켜 고정시킴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상자 틀이 완성된다. First, the
여기서, 상기 손잡이(60)의 단부를 외측에서 결합구멍(28, 28a)에 삽입한 후, 내측에서 구멍보다 크거나 길이를 가지는 고정구(62)를 결합시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Here, th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받침대(50)는 가장자리의 지지부(54, 55)를 하향 절곡하여 상자 내부 바닥에 안치시키고 과일(F)을 안정적으로 수납시킨다.The
다음 도 5에서처럼, 상기 경사받침부(24)와 덮개받침부(26)를 내측으로 접어두고, 상기 덮개(40)를 전방으로 접어 덮는다. 이때 상기 덮개의 양측 경사면(42)은 하향 절곡되면서 상기 경사받침부(24)와 대접하여 덮이고, 상기 고정턱(46)은 덮개고정통공(27)에 삽착된다. Next, as shown in FIG. 5, the
이어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인입부(44)가 측면부(1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온전히 덮이게 되며, 특히 인입부의 양측 단부가 상기 착탈홈(16)에 끼워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시말해, 상기 인입부(44) 및 고정턱(46)으로서 덮개(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서 임의대로 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A, the
본 고안의 과일상자에 수납되는 과일(F)은 받침대(50)에 안치되고, 상기 받침대는 중간받침부(56)를 하향 절곡하여 겹침부(57)가 겹쳐지도록 접어서 절개홈(58)을 통해 교차하며 겹쳐져 받침대의 중간부가 지지된다. 이로서 도 5a와 같이, 과일의 하부 외주연이 통공(53)을 통해 안착부(52)와 밀착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수납이 이루어진다. The fruit (F) accommodated in the fruit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이와 같이, 상기 과일(F)의 포장이 완료된 후, 이동시에는 손잡이(60)를 위로 올려 손으로 파지할 수 있어서, 휴대하기가 용이하다.In this way, after the packaging of the fruit (F) is completed, when moving the
역으로, 상기 덮개(40)를 개방시에는 인입부(44)를 이탈시킨 후, 고정턱(46)을 인출하여 간편하게 개방이 이루어진다. Conversely, when th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상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ruit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를 펼친 상태의 전개도.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ruit box in the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의 내부에 안치되는 받침대를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ed pedestal placed inside the frui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상자의 구성 및 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uit box and the process of folding th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4의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Figure 4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상자의 덮개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frui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FIG. 5A is a front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저면부 12: 측면부10: bottom part 12: side part
20: 전면부 22, 32: 측지부20:
24, 34: 경사받침부 26: 덮개받침부24, 34: inclined support 26: cover support
30: 후면부 40: 덮개30: rear part 40: cover
42: 경사면 43: 투시구멍42: slope 43: perspective hole
100: 골판지100: corrugated cardboar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814U KR20090000631U (en) | 2007-07-18 | 2007-07-18 | Fruit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1814U KR20090000631U (en) | 2007-07-18 | 2007-07-18 | Fruit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0631U true KR20090000631U (en) | 2009-01-22 |
Family
ID=4129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1814U Abandoned KR20090000631U (en) | 2007-07-18 | 2007-07-18 | Fruit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0631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668U (en) * | 2016-08-29 | 2018-03-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Packing box |
KR20200032063A (en) * | 2017-05-15 | 2020-03-25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Transport container |
KR102147865B1 (en) * | 2020-03-18 | 2020-08-25 | 김보성 | Packing box |
-
2007
- 2007-07-18 KR KR2020070011814U patent/KR20090000631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668U (en) * | 2016-08-29 | 2018-03-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Packing box |
KR20200032063A (en) * | 2017-05-15 | 2020-03-25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Transport container |
KR102147865B1 (en) * | 2020-03-18 | 2020-08-25 | 김보성 | Pack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31163B2 (en) | Combination shipping/display container | |
US8985338B2 (en) | Stackable packages for bedding products | |
FR2716163A1 (en) | Fast and semi-automatic packaging obtained from a semi-rigid thin sheet, pleated in double symmetry, mainly for cylindrical or similar sandwiches. | |
KR100934457B1 (en) | Cake Packaging Box, Reduced in Half | |
US6334536B1 (en) | Hanging ornament storage container | |
KR20090000631U (en) | Fruit box. | |
US2490779A (en) | Folding box | |
KR20080006060A (en) | Packing box with handle | |
JP462506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seedling trays | |
KR200453822Y1 (en) | Packaging | |
EA022101B1 (en) | Containers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products | |
JP3105406U (en) | Fruit wrapping paper box | |
KR200495498Y1 (en) | Paper box with 8-square shape for fruit packing | |
US20060219763A1 (en) | Generally pyramidal packaging box | |
JP2004338767A (en) | Moisture keeping container for cut flower and packaging member for it | |
JP3121163U (en) | Mirror box packaging box and mirror box package using the same | |
KR200438770Y1 (en) | Fruit Packing Box | |
KR200454517Y1 (en) | Cake packaging box | |
JP3692470B2 (en) | Packaging container | |
FR2915189A1 (en) | Alimentary product i.e. egg, packaging box, has blocking tabs blocking base of module in folded position, to maintain free space between parallel walls, and locking tabs co-operated with no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with base | |
BG2014U1 (en) | Commercial packaging | |
KR200496096Y1 (en) | Confectionery packing case | |
KR200428409Y1 (en) | Packing box with handle | |
KR200449014Y1 (en) | Cookie box | |
FR2898875A1 (en) | Bell type cardboard cover closure for packaging e.g. pastry type non-stackable fragile product, has lateral walls forming specific angle greater than specific degree in stackable manner and extending by flaps, and handles cut on upper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