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00019A -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019A
KR20090000019A KR1020060128549A KR20060128549A KR20090000019A KR 20090000019 A KR20090000019 A KR 20090000019A KR 1020060128549 A KR1020060128549 A KR 1020060128549A KR 20060128549 A KR20060128549 A KR 20060128549A KR 20090000019 A KR20090000019 A KR 2009000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ata
information
proces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원일
성맹희
김희진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019A/ko
Priority to US11/819,229 priority patent/US20080148263A1/en
Publication of KR2009000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을 확보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자신의 장치정보를 전송하고, 처리할 대상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처리대상데이터에 대한 처리대상정보를 전송하고,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장치 측에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하여 처리권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두 장치 사이에 처리상태정보가 공유되므로 유기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관리장치, 처리대상정보, 처리상태정보, 선택정보, 처리권리정보.

Description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 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데이터처리장치
102, 202, 302, 402 : 데이터처리장치의 제어부
104, 204, 304, 404 : 데이터처리장치의 인터페이스부
106, 206, 306, 406 :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부
208, 408 : 데이터처리장치의 표시부
310, 410 : 데이터처리장치의 저장부
500, 600 : 데이터관리장치
502, 602 :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
504, 604 : 데이터관리장치의 인터페이스부
506, 606 : 데이터관리장치의 저장부
608 : 데이터관리장치의 디지털권리관리부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간의 연결이 끊어졌다 재설정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seamles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털컴퓨터(PC), PDA,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PMP, 게임기, 디지털 TV, DVD플레이어 등 다양한 디지털 장치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장치들이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디지털 장치들이 처리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그 처리 대상 데이터 자체가 보호되어야 할 가치를 가지게 됨으로써 안전하고 합법적인 처리권리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더욱이 네트워크 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보호 받아야 할 가치를 지닌 처리대상데이터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어 저작권을 갖는 디지털 데이터의 권리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보호를 위하여 디지털권리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한 디지털권리관리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 유통에 안전성, 유통성, 재사용을 지원하며, 저작권자, 유통업자, 소비자에 이르는 디지털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에 관계된 모든 에이전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신뢰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상기 디지털권리관리 기술은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가 디지털권리관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상기 장치가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러나,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갖는 데이터관리장치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요구된다. 또한, 연결이 되어 처리하던 처리대상데이터를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경우, 과거 처리되던 부분부터 연속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요구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 장치가 분리되었을 때 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도 강인성을 갖게 하는 기술적 과제가 존재한다.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 및 관리권한을 데이터처리장치가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 처리를 하다가 다시 재개할 경우 과거 처리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전에 처리하던 위치부터 이어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하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담당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가 담당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 경우, 두 장치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다가 연결이 해제되고 다시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가 기존에 처리하던 데이터의 처리를 재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기존 처리된 데이터의 다음 위치부터 연속성을 갖고 데이터를 처리하여야 한다. 이를 데이터처리 연속성 문제라고 한다. 상기 두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다가 두 장치간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은 처리하던 데이터 처리동작을 계속해야 할지 결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결정에 따라 처리동작을 지속해야 할 경우, 처리동작을 할 때마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권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를 함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한 강인성을 갖는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그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관리장치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권리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될 때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데이터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었을 때 과거 처리되던 데이터의 처리위치를 알려주는 처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상태정보와 데이터 처리권리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검사함으로써 상기 처리 권리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더 이상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동작을 하지 않음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한 강인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에 의하여 인증 처리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처리정보는 처리대상정보, 처리상태정보, 또는 처리권리정보 등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대상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가 처리되는 상황에 따라서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라서 처리할 부분이 더 남아있을 때는 미완료,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는 처리완료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처리완료 또는 처리지속을 결정하는 판단기준이 된다. 또한 처리결과에 따라 처리완료인 경우 처리완료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전송하거나 처리할 대상이 아직 남아있는 경우 현재까지의 처리상태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처리위치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때 현재까지의 처리상태를 알려줌으로써 다음 처리위치를 결정하여 처리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처리권리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되는 정보로써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처리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은 상기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장치 ID에 상응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수신하게 된다. 상기 선택정보는 이전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되던 중 완료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될 때, 처리할 대상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선택정보에 기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리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처리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이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에 대한 처리동작에 따라 처리상태정보 및 처리대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고, 데이터처리결과 생성되는 처리된 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대상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데이터처리장치 ID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인증된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조회하는 조회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선택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해독된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 리권리정보를 해독하여 처리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처리지시정보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전달되고 상기 지시에 따라 데이터 처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여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ID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처리대상데이터 ID에 기반하여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하는 디지털권리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00)는 제어부(102), 인터페이스부(104), 처리부(10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 시지를 인터페이싱한다.
처리부(106)는 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102)는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전송하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처리정보를 해독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1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1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200)는 제어부(202), 인터페이스부(204), 처리부(106), 그리고 표시부(208)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04)는 도1의 인터페이스부(104) 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처리부(206)는 도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표시부(208)는 데이터 처리부(206)에서 처리되는 처리대상정보에 포함되어있는 처리대상데이터 명칭 등을 표시하거나 처리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생성되는 처리완료 여부를 알리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어느 부분이 처리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처리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202)는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2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2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표시부(208)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300)는 제어부(302), 인터페이스부(304), 처리부(306), 그리고 저장부(31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0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1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처리부(306)는 도 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저장부(310)는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CD, DVD, 또는 메모리의 형태로 미리 저장된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302)는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3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 부(3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부(310)로부터 독출하여 처리부(306)에서 처리되도록 지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400)는 제어부(402), 인터페이스부(404), 처리부(406), 표시부(408), 그리고 저장부(41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0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1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처리부(406)는 도 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표시부(408)는 도 2의 표시부(208)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저장부(410)는 도 3의 저장부(310)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부(402)는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4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4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표시부(408)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고,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부(410)로부터 독출하여 처리부(406)에서 처리되도록 지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 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500)는 제어부(502), 인터페이스부(504), 그리고 저장부(50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04)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한다.
저장부(506)는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외부장치정보,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502)는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506)에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처리정보를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600)는 제어부(602), 인터페이스부(604), 저장부(606), 그리고 디지털권리관리부(608)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604)는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저장부(606)는 도 5의 저장부(506) 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디지털권리관리부(608)는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ID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외부장치에서 선택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ID에 기반하여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한다.
제어부(602)는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 또는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606)에 저장하도록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디지털권리관리부(608)에 의해 발부되는 처리권리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되며, 외부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는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S702)한다. 선택된 처리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리대상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704)한다. 처리대상정보는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처리대상데이터 ID, 처리대상데이터 이름, 크기,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표 1]
처리정보
처리대상정보 처리상태정보 처리권리정보
처리대상데이터ID 처리완료정보 처리위치정보 처리권한정보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전송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수신(S706)한다.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부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S708)한다.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라 처리상태정보가 생성된다. 처리상태정보는 [표 1]을 참조하면, 처리완료 여부를 알 수 있는 처리완료정보와 처리되는 처리대상데이터가 얼마만큼 처리되었는지 알 수 있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처리위치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되고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동작을 수행할 때 참조되어 처리할 위치를 결정하는 정보가 된다.
생성된 처리상태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710)되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712)되고, 처리대상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다.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미완료 상태임을 알리는 미완료 속성을, 처리가 완료된 경우 처리완료 속성을 포함한다.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현재 처리된 위치 또는 다음 번 처리동작에서 처리할 위치를 알리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상태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708), 처리상태정보 전송(S710), 처리완료여부 확인(S712) 동작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가 완료(S714)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처리장치는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수신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708)동작을 수행하기 전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정보를 검사하여 처리권리정보가 수신되면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을 종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S802)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자신의 장치정보 즉,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804)한다. 데이터처리장 치정보는 아래 [표 2]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 ID, 데이터처리장치 제조사, 또는 데이터처리장치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표 2]
데이터처리장치정보
데이터처리장치 ID 데이터처리장치 제조사 데이터처리장치 종류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는 전송하는 선택정보를 수신(S808)한다. 선택정보는 아래 [표 3]을 참조하면,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한다.
[표 3]
선택정보
처리대상정보 처리상태정보
선택정보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인증된 데이터장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여 전송해 줌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가 수신할 수 있지만,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전송(S804)하고, 데이터관리장치와 과거 연결되었을 때 처리완료 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S806)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완료 되지 못한 데이터 중에서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S810)하면 처리대상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보고하는 처리대상정보 전송(S812)단계를 수행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포함하는 처리권리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S814)한다. 처리권리정보에 기반 하여 제어부에서 처리부로 지시하는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가 처리(S816) 되고, 그 처리상태에 따라서 처리상태정보가 생성된다. 생성된 처리상태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818)되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820)된다.
처리상태정보에 포함된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된다.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 미완료 상태임을 알리는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처리된 위치 또는 다음 번 처리동작에서 처리할 위치를 암시하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상태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816), 처리상태정보 전송(S818), 처리완료여부 확인(S820) 동작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가 완료(S822)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수신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지속하여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816)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정보를 검사하여 처리권리정보가 수신(S814)되면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을 종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되며, 외부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데이터관리장 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알 수 있는 처리대상정보를 수신(S902)한다. 처리대상정보의 처리대상데이터 ID에 기반하여 [표 1]과 같은 처리정보를 생성(S904)하고 처리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S906)된다. 데이터처리장치가 생성하는 처리상태정보를 수신(S908)하여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처리위치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에 공유된다.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완료(S910)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상태정보 수신(S908), 처리완료 확인(S910) 동작은 처리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전송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상태정보 수신(S908)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처리장치로 처리정보를 전송(S906)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수신하는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동작이 수행되고 처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처리동작이 종료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S1002)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수신(S1004)하고 수신된 데이터처리장치정보가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기반으로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S1006)한 다.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기반으로 과거 연결되었을 때 처리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를 재개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S1010)할 수 있다. 선택정보는 [표 3]과 같이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정보 전송(S1010)단계 이전에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완료 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수신(S1008)할 수 있다.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는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해독되고, 해독결과 처리대상데이터 ID에 상응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선택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수신(S1012)하면,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포함하는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거나, 디지털권리관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경우 디지털권리관리부에서 발부하는 처리권리정보가 포함된 처리정보가 제어부의 지시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S1014)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생성되는 처리상태정보를 수신(S1016)한다.
처리상태정보가 수신(S1016)되면 처리상태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1018)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관리장치가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위치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수신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상태정보 수신(S1016), 처리완료 확인(S1018) 동작을 처리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전송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상태정보 수신(S1016)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처리장치로 처리정보를 전송(S1014)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수신하는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동작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이 종료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자신의 ID 및 자신이 처리하고 있거나 처리할 예정인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 ID에 대응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일부분씩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일정한 단위씩 처리할 때마다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이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10MB씩 재생할 때마다, 처리위치정보를 1씩 증가시켜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처리장치에 전송되지 않고, 처음부터 데이터처리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부분에 대한 권한을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처리장치가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부분씩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인 동영상 데이터 400MB 중 앞부분 50MB의 재생에 대한 권한을 수신하면, 상기 50MB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10MB씩 재생할 때마다, 처리위치정보를 1씩 증가시켜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데이터관리장치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끊어진 후 재연결된 경 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식별한다. 그 다음,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식별한다. 상기 식별된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된다. 그러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수신한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통해 자신이 처리 중이었던 데이터가 무엇이었는지 판단하고, 또한 그 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이어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 중단되었던 부분부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여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처리대상 데이터의 처리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될 때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데이터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 기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었을 때 이전에 처리하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 정보를 기초로 연속적인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태정보와 처리권리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검사함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해서도 강인성을 갖게 한다.

Claims (25)

  1. 데이터관리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에 있어서,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권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에 따라 인증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정보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완료정보는 데이터처리 또는 상기 처리상태정보의 전송을 결정하는 판단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에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11.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관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과 정;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리권리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12. 제11항 에 있어서,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상기 처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13.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 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대한 처리동작에 따라 상기 처리상태정보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처리대상데이터 조회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조회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선택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21.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 를 해독하여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지시정보에 따라 처리대상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외부장치를 인증하거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하는 디지털권리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
  23. 데이터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
KR1020060128549A 2006-12-15 2006-12-15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KR20090000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ko) 2006-12-15 2006-12-15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US11/819,229 US20080148263A1 (en) 2006-12-15 2007-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data processing by information ex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ko) 2006-12-15 2006-12-15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19A true KR20090000019A (ko) 2009-01-07

Family

ID=3952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ko) 2006-12-15 2006-12-15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48263A1 (ko)
KR (1) KR20090000019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963B2 (en) * 2002-02-14 2004-08-24 Qualcomm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erminating a user from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8263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913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793762B2 (en) Simple nonautonomous peering network media
US832592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with an escrow anchor point
KR101190341B1 (ko) 교차 트랜스포트 인증
US895459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EP0977436A1 (en) Digital av data transmitting unit, digital av data receiving unit, digital av data transmitting/receiving unit, and medium
KR10261735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것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US20090151000A1 (en) Licen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EP1585249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license issuing server, an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9003097B2 (e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information transfer system and information transfer method
US20100034391A1 (en) Cryptographic-key management system, external device, and cryptographic-key management program
JP518805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735816B2 (en)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KR20080084481A (ko)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0019A (ko)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
KR101389928B1 (ko) 상호 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drm 디바이스
US20100275023A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KR101199159B1 (ko) 온라인 기반의 파일 설치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JP4760273B2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24095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ライセンス発行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8020214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JP2007096801A (ja) 通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のコンテンツリスト管理方法
US20220382835A1 (en) Method for managing transmission of a content protected against copying to a rendering device
CN101840716A (zh) 存储设备认证系统及方法
CN101903875A (zh) 使用内容、控制集群中的内容的使用、和验证用于访问内容的授权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